KR20130137077A -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077A
KR20130137077A KR1020130041011A KR20130041011A KR20130137077A KR 20130137077 A KR20130137077 A KR 20130137077A KR 1020130041011 A KR1020130041011 A KR 1020130041011A KR 20130041011 A KR20130041011 A KR 20130041011A KR 20130137077 A KR20130137077 A KR 2013013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utdoor
augmented reality
area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백성환
이공욱
정지홍
조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3170694.7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72458A3/en
Priority to US13/910,768 priority patent/US20130328930A1/en
Priority to CN201310222627.7A priority patent/CN103475689B/zh
Publication of KR2013013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버와, 상기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서버와,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모드 수행 도중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의 진입 시점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수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 영역인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와 제2 영역인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가 서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서비스 전환에 걸리는 시간 동안 전환될 아웃도어 또는 인도어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서비스 전환을 제공받을 수 있고, 아웃도어에서 인도어로 진입하거나 인도어에서 아웃도어로 진입 시, 미리 인도어 또는 아웃도어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술에 관한 것으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의 하나이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 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증강 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치는(overlap)방식 등으로 현실환경과 가상화면이 하나의 화면 나타나도록 하여 현실환경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최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실 사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특히 단말기가 서버에 GPS 정보 및/또는 지자기 정보를 제공하면 서버가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판단하고 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대상에 대한 가이드 정보(증강 현실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증강현실 기술은 위치기반 기술을 기반으로 휴대폰이나 PDA, PC, 스마트폰 등으로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와 관련된 경로안내, POI (Point Of Interest) 정보, 쇼핑 정보, 광고 등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로는 기지국 신호 및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는 아웃도어(Outdoor) 방식과, 건물 내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무선랜(WLAN)의 AP(Access Point) 등을 이용하여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인도어(Indoor)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예컨대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는 GPS 신호 등의 실외 신호를 가지고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는 WIFI 신호 등의 실내 신호를 가지고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증강 현실 서비스는 아웃도어(Outdoor) 서비스와 인도어(Indoor) 서비스가 각각 별도로 제공되고, 심리스(seamless)하게 제공되지 않고 있어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아웃도어에서 아웃도어 방식으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가, 인도어로 진입하는 경우 GPS 신호 수신이 어려우므로 인도어 방식으로 전환하여 WIFI 신호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한다. 그런데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가 각각 제공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아웃도어에서 인도어로 진입할 때 수동적인 조작 등을 통해 아웃도어 서비스를 종료하고 인도어 서비스를 요청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웃도어 서비스를 받다가 인도어 서비스를 받을 때 증강 현실 서비스가 잠시 단절되는 느낌을 받게 되므로 자연스러운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 간의 전환 이용 시 두 방식의 서비스를 단절 없이 심리스(seamless)하게 제공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아웃도어에서 인도어로 진입하거나, 인도어에서 아웃도어로 진입 시,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 없이도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가 서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서비스 전환에 걸리는 시간 동안 전환될 아웃도어 또는 인도어의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버와, 상기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서버와,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모드 수행 도중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의 진입 시점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수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버와 상기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서버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모드 수행 도중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의 진입 시점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모드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수행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모드 수행 도중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의 진입 가능한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모드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수행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 간의 전환 이용 시 두 방식의 서비스를 단절 없이 심리스(seamless)하게 제공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웃도어에서 인도어로 진입하거나, 인도어에서 아웃도어로 진입 시,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 없이도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 서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가 서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서비스 전환에 걸리는 시간 동안 전환될 아웃도어 또는 인도어의 정보를 제공받아 보다 자연스러운 서비스 전환을 제공받을 수 있고, 아웃도어에서 인도어로 진입하거나 인도어에서 아웃도어로 진입 시, 미리 인도어 또는 아웃도어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의 전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방식에서 인도어 방식으로 서비스 전환 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방식에서 인도어 방식으로 서비스 전환 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도어 정보 일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도어 방식에서 아웃도어 방식으로 서비스 전환 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아웃도어(Outdoor) 방식과 인도어(Indoor)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제1 영역인 아웃도어 영역에서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인 인도어 영역 진입 또는 제2 영역인 인도어에서 제1 영역인 아웃도어 진입에 따라 아웃도어 방식과 인도어 방식 간 서비스 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서비스 전환 시 전환될 인도어 정보 또는 아웃도어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의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는 건물 밖 등의 실외인 아웃도어(10)에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아웃도어(10)에서의 사용자의 단말(100)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와 관련된 경로안내, POI (Point Of Interest) 정보, 쇼핑 정보, 광고 등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는 사용자의 단말(100)에서 촬영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프리뷰 이미지) 및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에 해당하는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가 프리뷰 이미지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또한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는 사용자의 단말(100)에서 촬영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프리뷰 이미지) 및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되어 미리 구비된 스트리트 뷰가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로서 프리뷰 이미지 없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는 건물 내 등의 실내인 인도어(20)에서 설치된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무선랜(WLAN)의 AP(Access Point) 등을 이용한 WIFI 신호를 이용하여 인도어(10)에서의 사용자의 단말(100)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에 해당하는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는 사용자의 단말(100)에서 촬영된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프리뷰 이미지) 및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된 인도어 정보들에 해당하는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가 프리뷰 이미지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또한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는 사용자의 단말(100)에서 촬영된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프리뷰 이미지) 및 단말(100)의 위치와 관련하여 미리 구비된 인도어 뷰가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로서 프리뷰 이미지 없이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단말(100)을 통해 아웃도어(10)에서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다가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경우(I), 자동으로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로 전환하고, 서비스 전환 시 진입할 인도어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인도어 정보는 진입할 인도어 진입 위치 정보, 인도어 간략 정보 및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도어 간략 정보는 인도어에 해당하는 건물의 문과 같은 입구 정보, 건물의 평면도 정보 등과 같이 인도어를 나타내는 간략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는 사용자가 인도어 진입 시 인도어 진입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로서, 3D 오브젝트로 이루어진 애니메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는 문이 열리는 애니메이션, 입구로 진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단말(100)을 통해 인도어(20)에서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다가 아웃도어(10)로 진입하는 경우(O), 자동으로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를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로 전환하고, 서비스 전환 시 진입할 아웃도어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아웃도어 정보는 사용자가 아웃도어 진입 시 아웃도어로 진입했을 때 보이는 뷰(view)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뷰 정보는 진입 정면 뷰정보, 진입 후 좌측 뷰 정보, 진입 후 우측 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아웃도어와 인도어 사이의 진입 전환에 따라 아웃도어 방식과 인도어 방식 간 서비스 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서비스 전환 시 전환될 인도어 정보 또는 아웃도어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100), 아웃도어 서버(200), 인도어 서버(300)를 포함한다.
먼저 단말(100)에 대해 설명하면, 아웃도어 서버(200)로부터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아 출력하고, 인도어 서버(300)로부터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아 출력한다. 이러한 단말(100)은 센서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카메라부(140),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00)는 GPS 센서(112), 지자기 센서(114), 자이로 센서(116)를 포함한다. GPS 센서(112)는 GPS 신호를 수신한다. 지자기 센서(114)는 지자기 신호를 센싱한다. 자이로 센서(116)는 자이로 값을 측정한다.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122), WIFI 모듈(124)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모듈(122)은 아웃도어 서버(200)와 인도어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WIFI 모듈(124)은 WIFI 신호를 측정하고 WIFI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수행하는 아웃도어 모드와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도어 모드간의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
카메라부(140)는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현실 환경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터치 스크린 등이 될 수 있으며, 아웃도어(10) 모드에서는 증강 현실 아웃도어 뷰를 표시하고, 인도어 모드(20)에서는 증강 현실 인도어 뷰를 표시한다. 이때 증강 현실 아웃도어 뷰는 카메라부(140)에 의해 촬영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프리뷰 이미지) 상에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뷰일 수도 있고, 촬영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프리뷰 이미지)없이 스트리트 뷰와 같이 미리 정해진 뷰에 해당하는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뷰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말(100)은 아웃도어(10) 모드에서 카메라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증강 현실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아웃도어 현실 환경을 촬영하고, 센서부(110)의 GPS 센서(112), 지자기 센서(114), 자이로 센서(116)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위치에 해당하는 GPS 신호, 지자기 세기, 자이로 등을 측정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촬영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측정된 센싱 정보를 아웃도어 서버(200)로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아웃도어 서버(200)로부터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측정된 센싱 정보에 해당하는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50) 상에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아웃도어 가상 영상이 겹쳐진 증강 현실 아웃도어 뷰를 표시한다. 이때 단말(100)은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 없이 미리 구비된 스트리트 뷰와 같은 아웃도어 가상 영상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인도어(10) 모드에서, 단말(100)은 카메라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증강 현실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인도어 현실 환경을 촬영하고, WIFI 모듈(124)을 통해 인도어(20)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WIFI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촬영된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측정된 복수의 WIFI 신호 세기 측정값을 이동통신 모듈(122)을 통해 인도어 서버(300)로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인도어 서버(100)로부터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측정된 WIFI 신호 세기 측정값에 해당하는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50)상에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인도어 가상 영상이 겹쳐진 증강 현실 인도어 뷰를 표시한다. 이때 단말(100)은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 없이 미리 구비된 인도어 뷰를 이용한 인도어 가상 영상만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WIFI 모듈(124)을 이용하여 측정된 복수의 WIFI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인도어 상의 단말(100)의 위치를 계산한다. 그러나 WIFI 모듈(124)외에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 또는 기타 인도어 측위 수단을 이용하여 인도어 상의 단말(100)의 위치 계산도 가능하다.
또한 단말(100)은 아웃도어(10) 모드에서 증강 현실 아웃도어 뷰 표시 중 인도어(20)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말(100)은 일정 시간 동안 카메라부(140)에 의해 촬영된 방향과 대상이 동일하고, 촬영중인 대상의 크기가 일정크기 이상 커지면,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단말(100)로 촬영하고 있는 사용자가 진입 지점으로 다가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아웃도어 서비스를 위한 GPS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하로 줄어들고, 인도어 서비스를 위한 WIFI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상으로 커지면,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단말(100)을 가진 사용자가 인도어(20) 영역에 가까이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에 인도어 진입 지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인도어 진입 지점과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도어 서버(300)로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요청하고, 인도어 서버(300)로부터 인도어 서비스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인도어 서버(300)로 인도어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인도어 정보를 표시부(150)에 표시함과 동시에 인도어(20) 모드로 전환하여, 인도어(20)내 WIFI 모듈과 연결을 수행하고,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단말(100)은 인도어(20) 모드에서 증강 현실 인도어 뷰 표시 중 아웃도어(10)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말(100)은 일정시간 동안 카메라부(140)에 의해 촬영된 방향과 대상이 동일하고, 촬영중인 대상의 크기가 일정크기 이상 커지면, 아웃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단말(100)로 촬영하고 있는 사용자가 아웃도어 진입문으로 다가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인도어 서비스를 위한 WIFI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하로 줄어들고, 아웃도어 서비스를 위한 GPS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상으로 커지면, 아웃도어(1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단말(100)을 가진 사용자가 아웃도어(10) 영역에 가까이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에 아웃도어 진입 지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아웃도어 진입 지점과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아웃도어(1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아웃도어(1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도어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아웃도어 정보를 표시하고, 아웃도어 서버(200)로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요청하고, 아웃 도어 서버(200)로부터 아웃도어 서비스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아웃도어(10) 모드로 전환하여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하 아웃도어 서버(200)에 대해 설명하면, 아웃도어 서버(200)는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아웃도어 서버(200)는 제1 송수신부(210), 데이터 수집부(220), 아웃도어 서비스부(230), 아웃도어 맵 정보 DB(240)를 포함한다.
제1 송수신부(210)는 단말(1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데이터 수집부(220)는 단말(100)로부터 촬영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센서부(110)의 GPS 센서(112), 지자기 센서(114), 자이로 센서(116)에 의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제1 맵 정보 DB(230)는 아웃도어(10)의 가상 3D 맵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가상 3D 맵 정보는 지리적 정보, 도로, 건물의 정보뿐만 아니라 경로 안내 정보, POI (Point Of Interest) 정보, 쇼핑 정보, 광고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촬영된 버드 아이 뷰(bird eye view) 또는 스트리트 뷰(street view)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도어 서비스부(240)는 제1 송수신부(210)를 통해 단말(100)로부터 촬영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센싱정보가 수신되면 제1 맵 정보 DB(230)의 제1 가상 3D 맵 정보를 이용하여 맵 매칭을 수행하고, 매칭된 맵 정보를 이용하여 현실 환경 이미지에 해당하는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 상의 건물에 오버레이 될 건물 이름, 현실 환경 이미지의 도로에 오버레이 될 설명, 현실 환경 이미지의 상점에 오버레이 될 상품 목록 등 다양한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관련하여 미리 구비된 스트리트 뷰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2D 및 3D 형식의 영상이 될 수 있다.
이하 인도어 서버(300)에 대해 설명하면, 인도어 서버(300)는 제2 송수신부(310), 제2 맵 정보 DB(330), 인도어 서비스부(340), 인도어 정보 DB(350)를 포함한다.
제2 송수신부(310)는 단말(100)로부터 측정된 WIFI 세기 정보를 수신하며, 인도어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2 맵 정보 DB(330)는 인도어(20)의 제2 가상 3D 맵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제2 가상 3D 맵 정보는 인도어에 해당하는 건물 내 위치 정보, 건물 내 위치에 대한 부가 정보, 건물 내 경로 안내 정보, 건물 내 POI (Point Of Interest) 정보, 쇼핑 정보, 광고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촬영된 인도어 뷰(Indoor view)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도어 서비스부(340)는 제2 송수신부(310)를 통해 단말(100)로부터 촬영된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측정된 복수의 WIFI 신호 세기가 수신되면, 복수의 WIFI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인도어(20) 내의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고, 제2 맵 정보 DB(330)의 제2 가상 3D 맵 정보를 이용하여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에 해당하는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 상의 건물 내 사물에 오버레이 될 사물 이름,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의 복도에 오버레이 될 설명,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의 상품에 오버레이 될 상품 목록 등 다양한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관련하여 미리 구비된 인도어 뷰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2D 및 3D 형식의 영상이 될 수 있다.
인도어 정보 DB(350)는 인도어 진입 위치 정보, 인도어 간략 정보 및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를 포함하는 인도어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인도어 간략 정보는 인도어에 해당하는 건물의 문과 같은 입구 정보, 건물의 평면도 정보 등과 같이 인도어를 나타내는 간략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는 사용자가 인도어 진입 시 인도어 진입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로서, 3D 오브젝트로 이루어진 애니메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는 문이 열리는 애니메이션, 입구로 진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도어 서버(300)는 하나의 서버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인도어 서버(300)들을 관리하는 인도어 관리 서버(미도시)와 인도어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 받는 각각의 개별적인 인도어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도어 정보 DB(350)는 인도어 서버(3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인도어 정보 DB(350)는 아웃도어 서버(2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의 컨텐츠 서버(미도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인도어 정보 DB(350)가 아웃도어 서버(200)에 포함되는 경우, 아웃 도어 서비스부(240)는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 생성 시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에 인도어 진입이 가능한 지점과 인도어 간략 정보와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인도어 정보 DB(350)가 별도의 컨텐츠 서버(미도시)에 포함되는 경우, 아웃도어 서버(200) 또는 인도어 서버(300)는 별도의 컨텐츠 서버로부터 인도어 정보를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아웃도어 방식에서 인도어 방식으로 서비스를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아웃도어(10) 영역에서 인도어(20) 영역으로 진입함에 따라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에서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에서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로 전환할 경우 서비스 전환 시 인도어 정보가 제공되는데, 인도어 정보는 아웃도어 서버(200)에서 제공할 수도 있고, 인도어 서버(300)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인도어 정보를 인도어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나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인도어 정보를 아웃도어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인도어 정보를 인도어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방식에서 인도어 방식으로 서비스 전환 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아웃도어(10) 모드에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센싱 정보를 아웃도어 서버(200)로 송신한다(302단계). 이때 센싱 정보는 GPS 신호, 지자기 센싱 정보, 자이로 센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도어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송신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고, 미리 저장된 제1 가상 3D 맵 정보를 이용하여 맵 정보 매칭을 수행한다(304단계).
그리고 아웃도어 서버(200)는 매칭된 맵 정보를 이용하여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단말(100)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한다(306단계). 이때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 상의 건물에 오버레이 될 건물 이름, 현실 환경 이미지의 도로에 오버레이 될 설명, 현실 환경 이미지의 상점에 오버레이 될 상품 목록 등 다양한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관련하여 미리 구비된 스트리트 뷰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단말(100)은 아웃도어 서버(200)로부터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에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가 오버레이된 증강 현실 아웃도어 뷰를 생성하고, 표시부(150)를 통해 증강 현실 아웃도어 뷰를 표시한다(308단계). 이때 단말(100)은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없이 스트리트 뷰를 증강현실 아웃도어 뷰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아웃도어 뷰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인도어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310단계). 이때 단말(100)은 일정 시간 동안 카메라부(140)에 의해 촬영된 방향과 대상이 동일하고, 촬영중인 대상의 크기가 일정크기 이상 커지면,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단말(100)로 촬영하고 있는 사용자가 진입문으로 다가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아웃도어 서비스를 위한 GPS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하로 줄어들고, 인도어 서비스를 위한 WIFI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상으로 커지면,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단말(100)을 가진 사용자가 인도어(20) 영역에 가까이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에 인도어 진입 지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인도어 진입 지점과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인도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120)를 통해 인도어 서버(300)로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요청하고(312단계), 인도어 서버(300)로부터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 수락 신호를 수신한다(314단계). 이때 인도어 서비스 수락 신호에는 인도어 서비스를 위해 접속 가능한 URL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100)은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 수락 신호가 수신되면 인도어 서비스를 위해 접속 가능한 URL 정보를 이용하여 인도어 서버(300)로 진입할 인도어 정보를 요청한다(316단계).
이에 따라 인도어 서버(300)는 인도어 정보 DB(350)에서 단말(100)이 요청한 인도어 정보를 검색하고(318단계), 인도어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한다(320단계). 이때 인도어 정보는 인도어에 해당하는 건물의 문과 같은 입구 정보, 건물의 평면도 정보 등과 같이 인도어를 나타내는 간략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도어 간략 정보와, 문이 열리는 애니메이션, 입구로 진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등을 나타내는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단말(100)은 인도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한다(322단계). 이때 인도어 정보는 인도어에 해당하는 건물의 문과 같은 입구 정보, 건물의 평면도 정보 등과 같이 인도어를 나타내는 간략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도어 간략 정보와, 문이 열리는 애니메이션, 입구로 진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등을 나타내는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도어 모드로 전환되어 완전한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기 전까지 인도어 정보를 보면서 미리 인도어(20) 영역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며, 아웃도어 모드에서 인도어 모드로 전환될 때, 심리스(seamless)하게 전환되는 것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단말(100)은 인도어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인도어 서비스 수행을 위해 인도어 모드로 전환하고, 인도어 내의 복수의 WIFI 통신모듈(미도시)에 접속한다(324단계). 그리고 단말(100)은 인도어 서버(300)와 통신을 통해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수행한다(326단계).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인도어 정보를 아웃도어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아웃도어 방식에서 인도어 방식으로 서비스 전환 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아웃도어(10) 모드에서 촬영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센싱 정보를 아웃도어 서버(200)로 송신한다(402단계). 이때 센싱 정보는 GPS 신호, 지자기 센싱 정보, 자이로 센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도어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송신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고, 미리 저장된 제1 가상 3D 맵 정보를 이용하여 맵 정보 매칭을 수행한다(404단계).
그리고 아웃도어 서버(200)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와 매칭된 맵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0)이 위치한 위치에 해당하는 인도어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06단계).
아웃도어 서버(200)는 인도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인도어 정보와 매칭된 맵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에 해당하는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한다(408단계). 이때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 상의 건물에 오버레이 될 건물 이름, 현실 환경 이미지의 도로에 오버레이 될 설명, 현실 환경 이미지의 상점에 오버레이 될 상품 목록 등 다양한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관련하여 미리 구비된 스트리트 뷰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단말(100)은 아웃도어 서버(200)로부터 인도어 정보와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에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가 오버레이된 증강 현실 아웃도어 뷰를 생성하고, 표시부(150)를 통해 증강 현실 아웃도어 뷰를 표시한다(410단계). 이때 단말(100)은 아웃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없이 스트리트 뷰를 증강현실 아웃도어 뷰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아웃도어 뷰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인도어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412단계). 이때 단말(100)은 일정시간 동안 카메라부(140)에 의해 촬영된 방향과 대상이 동일하고, 촬영중인 대상의 크기가 일정크기 이상 커지면,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단말(100)로 촬영하고 있는 사용자가 진입 지점으로 다가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아웃도어 서비스를 위한 GPS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하로 줄어들고, 인도어 서비스를 위한 WIFI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상으로 커지면,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단말(100)을 가진 사용자가 인도어(20) 영역에 가까이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아웃도어 가상 영상 정보에 인도어 진입 지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인도어 진입 지점과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인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인도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120)를 통해 인도어 서버(300)로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요청하고(414단계), 인도어 서버(300)로부터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 수락 신호를 수신한다(416단계). 이때 인도어 서비스 수락 신호에는 인도어 서비스를 위해 접속 가능한 URL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100)은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 수락 신호가 수신되면 기 수신받은 인도어 정보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418단계). 이때 인도어 정보는 인도어에 해당하는 건물의 문과 같은 입구 정보, 건물의 평면도 정보 등과 같이 인도어를 나타내는 간략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도어 간략 정보와, 문이 열리는 애니메이션, 입구로 진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등을 나타내는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도어 정보 일예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도어 간략 정보는 참조번호 52와 같이 건물의 평면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도어 인터랙션 정보는 참조번호 54와 같이 인도어로 진입하기 위한 문이 열리는 애니메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도어 모드로 전환되어 완전한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기 전까지 인도어 정보를 보면서 미리 인도어(20) 영역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며, 아웃도어 모드에서 인도어 모드로 전환될 때, 심리스(seamless)하게 전환되는 것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단말(100)은 인도어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인도어 서비스 수행을 위해 인도어 모드로 전환하고, 인도어 내의 복수의 WIFI 통신모듈(미도시)에 접속한다(420단계). 그리고 단말(100)은 인도어 서버(300)와 통신을 통해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수행한다(422단계).
상기한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아웃도어(10) 영역에서 인도어(20) 영역으로 진입함에 따라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에서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사용자가 인도어(20) 영역에서 아웃도어(10)영역으로 진입함에 따라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가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하 인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에서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도어 방식에서 아웃도어 방식으로 서비스 전환 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인도어 모드에서, 카메라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증강 현실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인도어 현실 환경을 촬영하고, WIFI 모듈(124)을 통해 인도어(20)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WIFI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촬영된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측정된 복수의 WIFI 신호 세기 측정값을 인도어 서버(300)로 송신한다(502단계).
인도어 서버(300)는 단말(100)로부터 촬영된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측정된 복수의 WIFI 신호 세기가 수신되면, 복수의 WIFI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인도어(20) 내의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고, 제2 맵 정보 DB(330)의 제2 가상 3D 맵 정보를 이용하여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에 오버레이될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504단계). 예를 들면,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 상의 건물 내 사물에 오버레이 될 사물 이름,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의 복도에 오버레이 될 설명,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의 상품에 오버레이 될 상품 목록 등 다양한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단말(100)의 위치 및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와 관련하여 미리 구비된 인도어 뷰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는 2D 및 3D 형식의 영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WIFI 모듈(124)을 이용하여 측정된 복수의 WIFI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인도어 상의 단말(100)의 위치를 계산한다. 그러나 WIFI 모듈(124)외에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인도어 상의 단말(100)의 위치 계산도 가능하다.
그리고 인도어 서버(300)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와 매칭된 맵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0)이 위치한 위치에 해당하는 아웃도어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06단계).
인도어 서버(300)는 아웃도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아웃도어 정보와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에 오버레이될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한다(508단계).
단말(100)은 인도어 서버(200)로부터 아웃도어 정보와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인도어 현실 환경 이미지에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가 오버레이된 증강 현실 인도어 뷰를 생성하고, 표시부(150)를 통해 증강 현실 인도어 뷰를 표시한다(510단계).
그리고 단말(100)은 인도어 뷰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아웃도어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512단계). 이때 단말(100)은 일정시간 동안 카메라부(140)에 의해 촬영된 방향과 대상이 동일하고, 촬영중인 대상의 크기가 일정크기 이상 커지면, 아웃도어(2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단말(100)로 촬영하고 있는 사용자가 아웃도어 진입문으로 다가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인도어 서비스를 위한 WIFI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하로 줄어들고, 아웃도어 서비스를 위한 GPS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상으로 커지면, 아웃도어(1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단말(100)을 가진 사용자가 아웃도어(10) 영역에 가까이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은 인도어 가상 영상 정보에 아웃도어 진입 지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아웃도어 진입 지점과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아웃도어(1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아웃도어(10)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 수신받은 아웃도어 정보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514단계). 이때 아웃도어 정보는 아웃도어로 진입하기 위한 문과 같은 출구 정보 등을 나타내는 간략한 아웃도어 간략 정보와, 아웃도어로 진입하기 위한 문이 열리는 애니메이션, 등을 나타내는 아웃도어 인터랙션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아웃도어 진입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적 정보, 도로, 건물의 정보뿐만 아니라 경로 안내 정보, POI (Point Of Interest) 정보, 쇼핑 정보, 광고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촬영된 버드 아이 뷰(bird eye view) 또는 스트리트 뷰(street view)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뷰 정보는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정면 뷰정보,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뷰 정보,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도어 모드에서 아웃도어 모드로 전환되어 완전한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받기 전까지 아웃도어 정보를 보면서 미리 아웃도어(10) 영역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며, 인도어 모드에서 아웃도어 모드로 전환될 때, 심리스(seamless)하게 전환되는 것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단말(100)은 아웃도어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아웃도어 서비스 수행을 위해 아웃도어 모드로 전환하고(516단계), 아웃도어 서버(200)에 아웃도어 서비스를 요청한다(518단계).
그리고 단말(100)은 아웃도어 서버(200)로부터 아웃도어 서비스 제공이 수락되면(520), 아웃도어 서버(200)와 통신을 통해 아웃도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수행한다(522단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 간의 전환 이용 시 두 방식의 서비스를 단절 없이 심리스(seamless)하게 제공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웃도어에서 인도어로 진입하거나, 인도어에서 아웃도어로 진입 시,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 없이도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 서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웃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와 인도어 방식의 증강 현실 서비스가 서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서비스 전환에 걸리는 시간 동안 전환될 아웃도어 또는 인도어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서비스 전환을 제공받을 수 있고, 아웃도어에서 인도어로 진입하거나 인도어에서 아웃도어로 진입 시, 미리 인도어 또는 아웃도어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같은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버와,
    상기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서버와,
    상기 제1 서버 및 상기 제2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모드 수행 도중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의 진입 시점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수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각각 아웃도어 및 인도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간략 정보와 인터랙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4.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버와 상기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서버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모드 수행 도중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의 진입 시점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모드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수행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각각 아웃도어 및 인도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간략 정보와 인터랙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단말.
  7.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모드 수행 도중 상기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모드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증강 현실 서비스 수행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각각 아웃도어 및 인도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간략 정보와 인터랙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0041011A 2012-06-06 2013-04-15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137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70694.7A EP2672458A3 (en) 2012-06-06 2013-06-05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US13/910,768 US20130328930A1 (en) 2012-06-06 2013-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CN201310222627.7A CN103475689B (zh) 2012-06-06 2013-06-06 用于提供增强现实服务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56113P 2012-06-06 2012-06-06
US61/656,113 2012-06-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077A true KR20130137077A (ko) 2013-12-16

Family

ID=4998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011A KR20130137077A (ko) 2012-06-06 2013-04-15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70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25A (ko) 2014-12-16 2016-06-24 이주성 실측을 통한 증강현실기반의 객체 생성장치 및 그 방법
CN110914640A (zh) * 2017-08-04 2020-03-24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创建用于工厂环境的对象地图的方法
WO2024048873A1 (ko) * 2022-08-31 2024-03-07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커스텀 영역 생성 툴을 사용하여, 공간 내에서 서비스 요소가 연관된 커스텀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25A (ko) 2014-12-16 2016-06-24 이주성 실측을 통한 증강현실기반의 객체 생성장치 및 그 방법
CN110914640A (zh) * 2017-08-04 2020-03-24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创建用于工厂环境的对象地图的方法
CN110914640B (zh) * 2017-08-04 2024-03-12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创建用于工厂环境的对象地图的方法
WO2024048873A1 (ko) * 2022-08-31 2024-03-07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커스텀 영역 생성 툴을 사용하여, 공간 내에서 서비스 요소가 연관된 커스텀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4905B (zh) 图像数据和地理要素数据的显示
US8879784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N103674016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步行指引系统及其实现方法
JP6418266B2 (ja) 音声コマンドに対応した視覚コンテキストを表示する三次元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8930141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points of interest
US7088389B2 (en)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specific region
KR100912369B1 (ko) 현장 체험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289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JP5485244B2 (ja) 移動式タグを利用した拡張現実提供装置及び方法
KR101087725B1 (ko) 실시간 교통정보 측정·도로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EP2271891B1 (en) A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emphasising a map route
KR20120017293A (ko)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25421A (ko) 실내주차장에서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CN112015836A (zh) 导航地图显示方法及装置
KR20150088662A (ko) 증강현실 특이점을 이용한 이동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137077A (ko)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59646B1 (ko) 차량 정보 공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보 공유 방법
KR20130112191A (ko) 경로 안내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ar 내비게이션 장치 및 경로 안내 제공 방법
KR20110095443A (ko) 피사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3508A (ko) 상호작용을통한증강현실구현시스템
JP3591456B2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60018940A (ko) 주변 정류장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119545A (ko) 주변 정류장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0164402A (ja) 情報収集装置、移動端末、情報センター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284348B1 (ko) 상호작용을 통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및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