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691A -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691A
KR20130136691A KR1020120060275A KR20120060275A KR20130136691A KR 20130136691 A KR20130136691 A KR 20130136691A KR 1020120060275 A KR1020120060275 A KR 1020120060275A KR 20120060275 A KR20120060275 A KR 20120060275A KR 20130136691 A KR20130136691 A KR 20130136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top
screen
user terminal
display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2006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6691A/ko
Publication of KR2013013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바탕 화면에서 다른 바탕 화면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바탕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탕 화면에서 다른 바탕 화면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따라 바탕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화면을 쉽게 이동하면서 확대된 화면을 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DISPLAY METHOD AND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의 발달로 인해 사용자는 핸드폰을 통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은 핸드폰의 작은 메모리, 낮은 연산력 및 작은 화면 크기로 인하여 효율적으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57187호는 복수 개의 스크린 설정을 위한 멀티스크린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서비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지컬 스크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포트를 상호 지정하여, 출력 포트에 지정된 스크린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최종 출력하고, 멀티스크린 설정을 생성, 변경, 보고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컨텐츠를 스크린 상에 원하는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출력하는 멀티스크린 설정을 구성하고 재설정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39530호는 멀티 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이동단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수신된 멀티미디어용 화상 데이터와, 기본 화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멀티 스크린 구성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서 멀티미디어용 화상 데이터와 기본 화면 데이터를 읽어와서 멀티 스크린을 구성한 후에 구성된 멀티 스크린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처리부, 상기 화상 출력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멀티 스크린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화상 출력 처리부로 멀티 스크린 구성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5718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3953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탕 화면에서 다른 바탕 화면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따라 바탕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화면을 쉽게 이동하면서 확대된 화면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바탕 화면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함에 따라 보다 확장성 있게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바탕 화면에서 다른 바탕 화면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바탕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바탕 화면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바탕 화면에서 위쪽, 아래쪽, 왼쪽 및 오른쪽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탕 화면의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바탕 화면에 대한 디스플레이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 정보에 따라 복수의 바탕 화면의 디스플레이 형식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형식에 따라 해당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탕 화면 및 다른 바탕 화면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은 바탕 화면에서 다른 바탕 화면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따라 바탕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화면을 쉽게 이동하면서 확대된 화면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바탕 화면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함에 따라 보다 확장성 있게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실행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터치 스크린(110) 및 바탕화면 생성부(120)를 포함하고,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0)은 터치 검출부(111) 및 디스플레이부(113)를 포함하고, 이러한 터치 스크린(310)는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터치 존재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한다.
터치 검출부(111)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360)에 해당 터치 입력을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해당 터치 입력을 바탕화면 생성부(12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전달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터치 입력은 수신자(예를 들어, 제어부(140), 바탕화면 생성부(120))에 적절하게 가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검출부(111)는 디스플레이부(113) 상에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장치로,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탕 화면 생성부(120)는 바탕 화면을 생성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하고, 제어부(140)는 해당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3)에 전달한다. 즉, 바탕 화면 생성부(120)는 터치 스크린(110) 상에 바탕 화면을 시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110)의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명령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 바탕화면 생성부(120) 및저장부(130)를 제어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실행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터치 스크린 상에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단계 S21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디폴트로 설정된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바탕 화면(310)에서 다른 바탕 화면(320, 330, 340, 350)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단계 S22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위쪽, 아래쪽, 왼쪽 및 오른쪽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입력은 바탕 화면(310)상에서 왼쪽, 오른쪽, 위쪽 및 아래쪽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한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바탕 화면(3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320, 330, 340, 3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23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바탕 화면(310)의 확장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320, 330, 340, 3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왼쪽(320), 오른쪽(330), 위쪽(340) 및 아래쪽(350)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있는 다른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탕 화면(310) 및 다른 바탕 화면(320, 330)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구동된다. 즉, 바탕 화면(310) 및 다른 바탕 화면(320)간의 이동은 프로세스 간의 이동이 아닌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바탕 화면의 확장 방식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바탕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 확대 또는 축소된 바탕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보여지는 바탕 화면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탕 화면(310)을 기준으로 위쪽의 바탕 화면(312) 및 제2 바탕 화면(320)을 기준으로 위쪽의 바탕 화면(322)는 화면의 이동과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옵션 설정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탕 화면(310)을 기준으로 왼쪽의 바탕 화면(314) 및 제2 바탕 화면(320)을 기준으로 왼쪽의 바탕 화면(324)은 독립적으로 제1 바탕 화면(310)의 전체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이러한 바탕 화면의 확대 화면 또는 축소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바탕 화면(310)을 기준으로 오른쪽의 바탕 화면(311) 및 제2 바탕 화면(320)을 기준으로 오른쪽의 바탕 화면(321)은 현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바탕 화면을 외부로 보내고 제어하기 위한 확장 화면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은 프로젝터와 연결되어 있을 경고 프로젝트 내에서의 동작과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동작이 구분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변화 없이 프로젝트의 화면만 변경된다.
제1 바탕 화면(310)을 기준으로 아래쪽의 바탕 화면(311)은 제1 바탕 화면(310)과 동일 화면을 포함하고 있지만, 별개로 또 다른 바탕 화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제1 바탕 화면(310)에는 문서50 페이지 중 3번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고, 아래쪽의 바탕 화면(311)에는 일한 문서의 50 페이지 중 30번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탕 화면(320)을 기준으로 우측의 바탕 화면(321)에는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위쪽의 바탕 화면(322)에는 옵션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아래쪽 바탕 화면(323)은 듀얼 화면과 같이 외부로 보여지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터치 스크린 111: 터치 검출부
113: 디스플레이부 120: 바탕화면 생성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Claims (4)

  1.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바탕 화면에서 다른 바탕 화면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바탕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바탕 화면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바탕 화면에서 위쪽, 아래쪽, 왼쪽 및 오른쪽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 화면의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다른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바탕 화면에 대한 디스플레이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 정보에 따라 복수의 바탕 화면의 디스플레이 형식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형식에 따라 해당 바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 화면 및 다른 바탕 화면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20060275A 2012-06-05 2012-06-05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KR20130136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275A KR20130136691A (ko) 2012-06-05 2012-06-05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275A KR20130136691A (ko) 2012-06-05 2012-06-05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691A true KR20130136691A (ko) 2013-12-13

Family

ID=4998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275A KR20130136691A (ko) 2012-06-05 2012-06-05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66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7086A (zh) * 2014-04-21 2014-07-16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壁纸处理方法、系统和移动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7086A (zh) * 2014-04-21 2014-07-16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壁纸处理方法、系统和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797B1 (ko) 복수의 파워 모드들을 갖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동적인 정보 적응
US20180095809A1 (en) Multi-window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203739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and method therefor
US9892668B2 (en) Screen resiz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US9298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201401499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navigation method thereof
CN109508128B (zh) 搜索控件显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8918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U2012231990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items on clipboard of portable terminal
KR20130050606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독서 실행 방법 및 장치
US201401735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1062803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EP270899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cons on mobile terminal
US917740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6439266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有する電子装置におけるテキスト入力方法及び装置
US2016012459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900650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1561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de display on a multi-display mobile device
JP2014229304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操作方法、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の操作プログラム
WO2024037418A1 (zh)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150128031A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20110304536A1 (en) Display power saving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CN107820630B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20140043210A1 (en) Positionally Informative Remote Display Selection Interface
US20140043267A1 (en) Operation Method of Dual Operating Systems, Touch Sensitive Electronic Device Having Dual Operating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Dual Operat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