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278A - 스마트 스탠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278A
KR20130136278A KR1020120059965A KR20120059965A KR20130136278A KR 20130136278 A KR20130136278 A KR 20130136278A KR 1020120059965 A KR1020120059965 A KR 1020120059965A KR 20120059965 A KR20120059965 A KR 20120059965A KR 20130136278 A KR20130136278 A KR 20130136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estal
folded
foldable
pedes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건상
Original Assignee
(주)신성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신성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05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6278A/ko
Publication of KR2013013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었을 때의 부피가 아주 작아 보관 및 휴대하기 편하고, 크기가 다른 이종 전자기기도 선택적으로 안전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스탠드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좌우 한 쌍으로 이뤄지는 받침대의 상단이 메인 힌지에 핀으로 설치되어 콤파스 형으로 벌어지거나 접혀지며, 메인 힌지의 뒤쪽에 지지대의 상단이 핀으로 설치되어 안전한 각도 범위 내에서 기울어진 받침대를 지지하고, 받침대의 하단에 엘(L)형 접이식 받침이 부착되며, 힌지식 유동날개가 부착된 가동봉이 상기 받침을 앞뒤 방향으로 헐겁게 관통하도록 설치된 스탠드로서,
받침대의 길이를 반분한 상부 받침대 부재의 하단부에 하부 받침대 부재의 상단부를 힌지식으로 겹치고 핀을 꽂아 결합한 접이식 받침대와, 상부 받침대 부재의 하단에 설치한 소형 전자기기 거치용 접이식 보조 받침과, 하부 받침대 부재의 하단에 힌지식으로 설치하여 접이식 받침대에 평행하게 접을 수 있게 한 유동날개가 설치된 중형 전자기기 거치용 가동봉 장착형 접이식 받침과, 윗마디에 아랫마디를 끼워서 조이개로 잠그게 한 신축형 지지대가 구비된 스마트 스탠드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스탠드{SMART TABLE STAND}
본 발명은 탁상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스탠드로서, 특히 아이(i) 패드와 같은 소형 전자기기와 태블릿 피씨(PC)와 같은 중형 전자기기를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편하게 사용하다가 접었을 때의 부피가 작아 보관 및 휴대하기 편하고, 외관도 산뜻한 스마트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참고가 될만한 독서용 스탠드로는 실용신안공보 제1985-228호를 우선 꼽을 수 있다. 이 스탠드는 뒤쪽으로 비스듬히 기울게 책을 뒷받치는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하단에서 앞쪽으로 수평 절곡되어 받침대와 일체를 이룬 받침 및 상기 받침의 선단에서 수직으로 내려진 다리, 뒤쪽으로 비스듬히 기운 받침대의 뒤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굵은 철사로 되어 있고, 다리 상에는 받침 위에 얹힌 책의 앞쪽 하단부를 눌러 책갈피를 안정시키는 철사제 유동날개가 설치된 것이다.
이 스탠드에서 지지대는 받침대에 평행에 가깝도록 접히고, 유동날개는 받침의 돌출 이내로 안쪽으로 접힌다. 하지만, 받침대는 독서하려고 전개한 때나 접힌 때를 막론하고 길이가 불변이다. 다시 말해 접은 길이(높이)가 그 이하로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접은 부피가 크고, 그래서 보관도 휴대도 불편하다. 받침은 아예 접히질 않는다. 받침대의 하단부를 절곡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스탠드를 접었을 때의 앞뒤 폭을 줄일 수 없다는 점에서 보관 및 휴대편의 제공을 전제로 하는 접은 부피의 축소가 불가능하다.
받침대의 기울기는 양 다리 사이에 설치된 노브로 지지대의 하단에 붙들어 맨 끈을 감아 들인다든지 늘리는 요령으로 조정하는데, 접힌 상태에서 받침대가 뒤쪽으로 기울면 지지대가 멋대로 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접힌 지지대를 받침대에 묶어두지 않으면 불안하다.
게다가, 이 스탠드는 아이 패드와 태블릿 피씨처럼 크기가 다른 이종 전자제품을 선택적으로 비치하여 사용할 수 없다.
다른 참고 선행기술로는 도 1에 예시한 유형의 스탠드가 있다. 이 스탠드는 2개 1조로 된 봉상 받침대(1)의 상단을 메인 힌지(2)에 핀으로 설치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콤파스를 벌린 것처럼 전개하거나 나란하게 접을 수 있고, 상기 받침대(1)의 대략 중간에는 받침대(1)를 축삼아 교축방향(d2)으로 제자리에서 선회가능한 힌지(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힌지(3)에는 상하방향(d1)으로 접어지는 받침날개(4)의 후단이 핀으로 설치되어 있다.
메인 힌지(2)의 뒷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보조 힌지(5)에는 지지대(6)의 상단이 핀으로 설치되어 있고, 받침대(1)의 길이 대략 중간점과 지지대(6)의 길이 대략 중간점에 연결된 체인(7)은 지지대(6)의 전개각도, 즉 받침대(1)의 기울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받침대(1)의 하단에는 합성수지 사출물인 엘(L)형 받침(8)이 부착되어 있다. 이 받침(8)의 절곡부(8a) 끝에 직각으로 형성된 브래킷(8b)에는 그 앞뒤 방향으로 가동봉(9)이 헐겁게 관통하였고, 가동봉(9)의 선단에 부착된 합성수지 사출물제 힌지(10)에는 받침(8)에 얹힌 태블릿 피씨의 앞쪽 하단부를 눌러 안정시키는 유동날개(11)가 핀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봉(9)은 브래킷(8b) 상에서 360도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이 스탠드는 브래킷을 포함한 받침의 길이 이하로 접을 수 없고, 브래킷(8b)에 겹치도록 접은 힌지(10)가 더해진 치수 이하로도 접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모두에 인용된 선행기술과 마찬가지로 받침이 1종이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2종의 전자기기를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없다.
이처럼 접은 부피를 최소화하는 데 한계가 분명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보관 편의성과 휴대 간편화 추구, 및 이종의 전자기기를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하는 사용편의성 면에서 거리가 멀기 때문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었을 때의 부피가 아주 작아 보관 및 휴대하기 편하고, 크기가 다른 이종 전자기기도 선택적으로 안전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으로 이뤄지는 받침대의 상단이 메인 힌지에 핀으로 설치되어 콤파스 형으로 벌리거나 접고, 메인 힌지 상에별도로 설치된 접이식 지지대의 상단이 핀으로 설치되어 안전한 각도 범위 내에서 기울어진 받침대를 지지하며, 받침대의 하단에 엘(L)형 받침이 부착되고, 힌지식 유동날개가 부착된 가동봉이 상기 받침을 앞뒤 방향으로 헐겁게 관통하도록 설치된 스탠드를 전제로 하되, 상기 받침대는 길이를 대략 양분한 상·하부 받침대 부재로 하여 힌지식으로 결합해 절반 길이로 접을 수 있게 하고, 상부 받침대 부재의 하단부에는 상부 받침대 부재 속으로 접어 넣는 접이식 보조 받침을 설치하여 아이 패드(상품명) 만한 크기의 소형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게 하고 기존의 받침은 태블릿 피씨처럼 아이 패드보다는 큰 중형 전자기기용 받침으로 활용하며, 유동날개가 설치된 가동봉이 브래킷을 관통한 받침은 하부 받침대 부재의 하단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접이식으로 하여 받침을 올려세울 수 있게 하며, 지지대도 신축형으로 하여 접은 길이가 접힌 받침대의 길이 이내에 들게 한 스마트 스탠드를 제안한다.
유동날개가 곧게 펴진 접이식 받침을 하부 받침대 부재에 나란하게 접은 후 보조 받침이 세워져 접어 넣어진 상부 받침대 부재의 뒤쪽으로 올려 접어 씌우면 받침대의 접힌 길이가 대략 절반으로 줄어들고, 신축형 지지대도 접은 길이가 절반 가량 단축된다. 유동날개를 곧게 편 상태로 하부 받침대 부재와 나란하게 접히는 받침은 접힌 후 하부 받침대 부재로부터의 돌출길이가 힌지보다도 짧다.
이 세 가지 점을 합쳐 보면 스마트 스탠드를 받침대의 절반 길이로 짧고 접힌 받침대의 돌출폭도 힌지보다 좁아서 접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하기 용이하고 휴대도 간편하다.
아이 패드 규모의 소형 전자기기를 사용하려면 보조 받침을 펼치고, 아이 패드 보다도 큰 태블릿 피씨와 같은 중형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보조 받침을 접은 상태에서 접이식 받침을 활용한다. 보조 받침이 부가됨에 따라 받침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비해 작은 전자기기도 한 대의 스마트 스탠드 상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엘(L)형 받침을 가진 종래 스탠드의 예시도
도 2는 스마트 스탠드의 부분 절개 전개 측면도
도 3은 보조 받침부의 상세도
도 4는 신축형 지지대의 조이개 부분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2의 "가" 방향에서 본 부분 절개 확대도
도 6은 도 2에서 신축형 지지대측의 부분 절개 확대도
도 7은 접힌 스마트 스탠드의 측면도
도 8은 변경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스탠드의 접힌 상태 예시도
도 2에서, 스마트 스탠드는 메인 힌지(20)와 좌우 한 쌍으로 이뤄지는 신축형 받침대(30), 신축형 지지대(40), 접이식 받침(50), 및 보조 받침(60)으로 구성된다.
메인 힌지(20)에는 접이식 받침대(30)와 신축형 지지대(40)의 상단이 별도의 핀(21,22)으로 설치되어 접이식 받침대(30)는 콤파스처럼 양 옆으로 펼치거나 나란히 맞닿게 접을 수 있는 형태로 조합되어 있고, 신축형 지지대(40)는 핀(22)을 중심으로 하여 접이식 받침대(30)의 뒤쪽으로 접거나 그 반대쪽으로 전개하여 접이식 받침대(30)를 알맞은 각도로 기울여 뜨리게 된다.
접이식 받침대(30)는 좌우가 한 쌍을 이루며, 대략 길이를 반분한 상부 받침대 부재(31)의 하단부에 하부 받침대 부재(32)의 상단부를 힌지식으로 겹치고 핀(35)을 꽂아 뒤쪽으로 접어서 접은 길이를 반으로 줄이거나 접힌 상태에서 아래로 펴 사용하게 한 것으로, 상부 받침대 부재(31)는 거기에 내장되어 외측으로 팔을 벌리듯 전개되는 윗날개(33)를 접어서 숨길 수 있는 디귿자형 단면의 형강 또는 합성수지 사출물이고, 하부 받침대 부재(32)는 상부 받침대 부재(31)의 뒤로 올려 접어서 감싸듯 겹쳐지게 하기 위하여 이것 역시 디귿자형 단면을 가진 합성수지 사출물이다.
좌우측 접이식 받침대(30)의 상부 받침대 부재(31)는 트인 쪽이 외측을 바라보도록 등진 형태로 그 상단부를 핀(21)으로 메인 힌지(20)에 설치하여 외향 전개형인 윗날개(33)를 접어 넣을 수 있게 한다.
상부 받침대 부재(31)의 하단에는 보조 받침(60)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받침(60)은 접이식 받침(50)을 이용할 전자기기 보다도 작은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핀(34)을 중심으로 앞쪽을 향해 직각으로 펴지고 상부 받침대 부재(31) 속에 그에 평행하도록 접어 넣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조 받침(60)의 접힌 상태 및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건 탄성체(39)이다. 탄성체(39)는 상부 받침대 부재(31)의 하단부 내측면에 부착되어 보조 받침(60)에 탄력적 압력을 가해 뉜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로 지속되게 한다. 보조 받침(60)의 출몰 편의를 위하여 보조 받침(60)에 인접한 상부 받침대 부재(31)의 윗벽 부분을 제거하여 출입구(36)로 삼는다.
하부 받침대 부재(32)의 앞면 하단에 부착된 힌지(37)에는 핀(38)으로 접이식 받침(50)이 설치되어 있다.
신축형 지지대(40)는 윗마디(41)에 아랫마디(42)가 끼워지고, 노출길이가 조정되거나 접은 아랫마디(42)는 조이개(43)로 잠근다.
접이식 받침(50)은 슬리브(51)와 날개(52)가 직각을 이루도록 일체화한 합성수지 사출물로서, 슬리브(51)는 저면의 대략 중간이 상기 힌지(37)에 핀(38)으로 설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펴지거나 접힌다. 슬리브(51)에는 가동봉(53)이 억지로 끼워져서 인위적으로 잡아 빼거나 밀어넣지 않는 한 그대로 머물며, 접이형 받침(50)에 얹힐 전자기기의 두께에 따라 출몰시켜 착좌 안정성을 기한다.
가동봉(53)의 선단에는 유동날개(54)의 하단이 핀(55)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유동날개(54)는 접이식 받침(50)에 얹힌 전자기기의 앞면 아래를 눌러 착좌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다.
도 3은 상부 받침대 부재(31)와 하부 받침대 부재(32)의 힌지식 결합 구조 상세도이다.
도 4에서, 신축형 지지대(40)에 적용되는 조이개(43)는 윗마디(41)의 외측단에 끼워서 고정한 숫나사(45)를 가진 관상 쐐기(44)에 아랫마디(42)측 조임너트(46)를 체결한 것으로, 조임너트(46)의 체결강도에 따라 잠가지거나 풀린린다.
도 5에서, 메인 힌지(20)에서 각기 핀(21)에 의지하도록 설치된 상부 받침대 부재(31)의 상단부는 핀(21)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맞물려 도는 톱니로 되어 있고, 이들 톱니는 메인 힌지(20)의 천장에 부착된 탄성체(24)에 탄력적으로 짓눌려 접힌 상태 또는 펴진 상태로 지속된다.
도 6에서, 신축형 지지대(40)가 접힌 상태 또는 펴진 상태로 지속 가능한 것은 탄성체(48)에 의해 늘 억눌린 상태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핀(22)에 의지한 윗마디(41)의 고정단은 주면에 크리크홈(47)이 원주피치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의 어느 크리크홈(47)인가가 메인 힌지(20)의 내주벽에 설치된 탄성체(48)에 의해 늘 탄력적으로 억눌려 멋대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
모두가 펴진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최소의 길이와 부피로 접는 것은 유동날개(54)가 가동봉(53)에 연직방향에 놓이도록 바르게 펴기, 가동봉(53)과 유동날개(54)가 하부 받침대 부재(32)에 평행하도록 접이식 받침(50)의 접기, 보조 받침(60) 및 윗날개(33)의 접어넣기, 하부 받침대 부재(32)를 올려 접어서 상부 받침대 부재(31)에 씌우기, 조이개(43)를 풀고 아랫마디(42)를 윗마디(41)에 밀어넣기 상부 받침대 부재(31)를 내리눌러서 하부 받침대 부재(32) 속으로 밀어넣기의 순으로 진행한다.
도 2에서, 보조 받침(60)을 활용할 때 접이식 받침(50)은 휴지기에 들고, 접이식 받침(50)을 이용할 때에는 보조 받침(60)이 휴지기이다.
보조 받침을 세워서 접어 넣은 상부 받침대 부재를 상부 받침대 부재의 뒤쪽으로 접어 올려서 상부 받침대 부재를 씌우게 하면 받침대의 접힌 길이가 대략 절반으로 줄어들고, 신축형 지지대도 접은 길이를 절반 가량 단축시킬 수 있다. 유동날개를 곧게 편 상태로 하부 받침대 부재와 나란하게 접히는 받침은 접힌 후 하부 받침대 부재로부터 돌출폭이 힌지보다도 짧다.
그래서 스마트 스탠드를 받침대의 절반 길이로 짧고 접힌 받침대의 돌출폭도 힌지 보다 좁아서 접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과 휴대하기가 편하다.
아이 패드 규모의 소형 전자기기는 보조 받침을 이용하고, 아이 패드보다도 큰 태블릿 피씨와 같은 중형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보조 받침이 접힌 상태에서 접이식 받침을 활용하여 편하게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하부 받침대 부재(32)를 외측으로 접어 올려서 상부 받침대 부재(31)에 씌워지게 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핀(35)의 방향을 90도 변환시킨 것 외에는 다름이 없다.
20: 메인 힌지
21,22,35: 핀
30: 접이식 받침대
31: 상부 받침대 부재
32: 하부 받침대 부재
39: 탄성체
40: 신축형 지지대
41: 윗마디
42: 아랫마디
43: 조이개
50: 접이식 받침
51: 슬리브
53: 가동봉
60: 보조 받침

Claims (2)

  1. 좌우 한 쌍으로 이뤄지는 받침대의 상단이 메인 힌지에 핀으로 설치되어 콤파스 형으로 벌어지거나 접혀지며, 메인 힌지의 뒤쪽에 지지대의 상단이 핀으로 설치되어 안전한 각도 범위 내에서 기울어진 받침대를 지지하고, 받침대의 하단에 엘(L)형 받침이 부착되며, 힌지식 유동날개가 부착된 가동봉이 상기 받침을 앞뒤 방향으로 헐겁게 관통하도록 설치된 스탠드로서,
    받침대의 길이를 반분한 상부 받침대 부재의 하단부에 하부 받침대 부재의 상단부를 힌지식으로 겹치고 핀을 꽂아 결합한 접이식 받침대와,
    상부 받침대 부재의 하단에 설치한 소형 전자기기 거치용 접이식 보조받침과,
    하부 받침대 부재의 하단에 힌지식으로 설치하여 접이식 받침대에 평행하게 접을 수 있게 한 유동날개가 설치된 중형 전자기기 거치용 가동봉 장착형 접이식 받침과,
    윗마디에 아랫마디를 끼워서 조이개로 잠그게 한 신축형 지지대,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받침대 부재가 상부 받침대 부재의 뒤쪽 또는 외측으로 올려 접는 스마트 스탠드.
KR1020120059965A 2012-06-04 2012-06-04 스마트 스탠드 KR20130136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65A KR20130136278A (ko) 2012-06-04 2012-06-04 스마트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65A KR20130136278A (ko) 2012-06-04 2012-06-04 스마트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78A true KR20130136278A (ko) 2013-12-12

Family

ID=4998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965A KR20130136278A (ko) 2012-06-04 2012-06-04 스마트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62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1838A (zh) * 2016-08-29 2016-11-23 苏州市顺仪五金有限公司 一种电动折叠支架
KR102348648B1 (ko) * 2020-11-30 2022-01-06 김철주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1838A (zh) * 2016-08-29 2016-11-23 苏州市顺仪五金有限公司 一种电动折叠支架
KR102348648B1 (ko) * 2020-11-30 2022-01-06 김철주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942B2 (en) Foldable table having legs of unequal length
CN201666442U (zh) 床头折叠式笔记本电脑架
KR20130136278A (ko) 스마트 스탠드
US9439544B1 (en) Toilet stool table assembly
BR102019015042B1 (pt) Apoio de suporte articulado, estrutura de suporte e mesa
CN206462620U (zh) 一体式便携折叠桌
CN208371215U (zh) 一种可折叠桌子
CN205594992U (zh) 室内led显示屏
CN205321812U (zh) 一种多功能折叠椅和组合桌子
KR200463680Y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CN202135899U (zh) 便携式折叠桌椅
KR20130136277A (ko) 스마트 스탠드
CN104002610B (zh) 坐立两用便携式写生画架
TWM586563U (zh) 易展收的升降桌架結構
US20220053939A1 (en) Foldable stool
CN203082488U (zh) 户外瓦斯罐用支架
CN103741986A (zh) 一种多功能帐篷
CN209528503U (zh) 一种自动回位座椅
CN208133935U (zh) 一种折叠式便携美术画板
CN207215109U (zh) 一种测距仪
CN206371659U (zh) 一种化妆镜
CN218588650U (zh) 一种折叠床
KR200483766Y1 (ko) 파라솔 편심지주 형성장치
CN205994068U (zh) 平躺扶手床
CN105686379A (zh) 一种多功能学生学习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