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692A -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 Google Patents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692A
KR20130135692A KR1020120059774A KR20120059774A KR20130135692A KR 20130135692 A KR20130135692 A KR 20130135692A KR 1020120059774 A KR1020120059774 A KR 1020120059774A KR 20120059774 A KR20120059774 A KR 20120059774A KR 20130135692 A KR20130135692 A KR 20130135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body
discharge
content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열
고창순
Original Assignee
이승열
고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열, 고창순 filed Critical 이승열
Priority to KR1020120059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5692A/ko
Publication of KR2013013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보관된 액체가 물통의 외부면을 타고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액체의 배출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Water pail}
본 고안은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보관된 액체가 물통의 외부면을 타고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액체의 배출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통은 단순히 수장부에 물을 충만시켜 운반하는 용도로만 취급되어 이의 사용이나 운반의 편리성이 고려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의 구조는 여러 형상으로 성형된 본체의 내부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연통된 수장부가 구비되고, 또 상면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1개의 손잡이가 형성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수장부에 물이 충만된 경우 중량이 무거워서 한 손으로 운반하는 것이 용이치가 않고, 또 물을 다른 용기로 따를 경우 한 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하고, 또 다른 한 손으로는 본체의 특정되지 않은 일부위를 파지한 후 비스듬히 눕히거나 거꾸로 세워서 수장부에 충만 되어 있는 내부의 물을 주입구로 배출시켜야만 되는 바, 이는 본체의 표면이 매우 미끄러워서 정상적으로 파지할 수 없으며, 특히 부녀자나 노약자는 중량이 무거우므로 이를 다루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물통(D1)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본체(1)와 본체(1) 상면 일측에 개폐가 가능한 마개(2)로 덮어진 입구(3)와, 본체(1) 상면 타측에 마개(2')로 덮어진 공기 유입구(4)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1)의 상단 중에는 손잡이(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물통(D1)은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본체(1)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본체(1)를 기울일 때 본체(1)의 하면을 사용자가 잡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 오염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본체(1)의 크기가 커져 많은 내용물을 보관하게 되면 어린이나 노약자가 쉽게 물을 따라 마시기가 어려운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통 내부의 배출이 용이하고 물통에서 배출되는 액체의 배출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배출수단을 구비한 물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배출수단을 구비하여 다양한 상황 따라 사용이 가능한 물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은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단이 폐쇄된 연결관(200); 상기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위해 상기 연결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끝단에 제1 마개(310)가 형성되는 제1 배출관(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0)은 상단이 개방되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단에 연결관 마개(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0)의 하단에는 결합마개(22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마개(220)와 체결되는 결합관(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1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관(110)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한 고정대(410)와 상기 고정대(4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배출된 액상의 내용물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안내판(420)을 포함하는 보조배출수단(4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1 배출구를 구비하여 다양한 상황에 맞게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고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연결관은 본체와 분리 결합이 가능하며 종래의 물통에 연결관을 체결하여 사용하면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켜 상당한 경제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배출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물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100)를 갖는다. 본체(100)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체(100)는 합성수지재인 PVC수지(Polyvinyl 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 수지(Polypropyle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다각형 형상의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상측에는 연결관(200)이 형성된다. 연결관(200)은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결관(200)은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본체(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200)은 내부가 중공 되도록 형성된다. 연결관(200)이 본체(100)에 형성되는 위치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한 사항이므로 본체(100)의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를 참조하면 연결관(200)에는 제1 배출관(300)이 형성된다. 제1 배출관(300)의 일단은 연결관(200)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타단에 제1 마개(310)가 형성된다. 제1 배출관(300)은 연결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관(300)의 타측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마개(310)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마개(310)가 제1 배출관(300)의 타측에 회전되어 결합된다. 제1 마개(310)의 결합방법 중 상기 기재된 수나사 및 암나사는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의 방법에 불과하며, 제1 배출관(300)에 제1 마개(310)를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이면 그 어떠한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제1 마개(310)는 본체(100)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즉, 본체(100)를 일정각도 기울이면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이 연결관(200)을 지나 제1 배출관(300)으로 배출된다.
도 3 를 참조하면 연결관(200)의 상단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200)의 상단에는 연결관 마개(210)가 형성된다. 연결관 마개(210)는 본체(100)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연결관(200)의 상측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관 마개(210)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연결관 마개(210)는 연결관(200)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연결관 마개(210)가 연결관(200)에 결합되는 결합방법 중 상기 기재된 수나사 및 암나사는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의 방법에 불과하며, 연결관(200)에 연결관 마개(210)를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이면 그 어떠한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상단에는 결합관(110)이 돌출 형성된다. 결합관(110)은 연결관(200)과 상호 결합 된다. 즉 연결관(200)은 본체(100)와 상호 분리될 수 있으며 본체(100)에 형성된 결합관(110)에 결합 된다. 이때 연결관(200)의 하단에는 결합마개(220)가 형성된다. 결합마개(2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결합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결합마개(220)가 회전되어 결합된다. 결합마개(220)는 연결관(200)의 하단에 자유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결합관(110)에 체결되는 보조배출수단(400)이 구비된다. 보조배출수단(400)은 결합관(11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고정대(410)를 포함한다. 고정대(410)는 결합관(110)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체결되며, 결합관(110)의 외주면의 직경과 동일한 내주면의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관(110)에 끼워져 결합된다. 고정대(410)는 결합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나사결합 및 억지끼움 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대(410)는 결합관(110)을 중심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고정대(410)에는 안내판(420)이 형성된다. 안내판(420)은 고정대(410)로부터 제1 배출관(300)이 형성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안내판(42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액상의 내용물을 안내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즉 결합관(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의 내용물은 안내판(420)에 형성된 U자 형상의 홈을 따라 안내된다. 이때 고정대(410)를 회전시키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조배출수단(400)을 구비함으로써 결합관(110)에서 배출되는 액상의 내용물이 바닥으로 유실되지 않는 장점이 발생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관(200)에는 제1 배출관(300)과 상호 대칭되는 제1 공기유입구가 형성된다. 제1 공기유입구의 끝단에는 제2 마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유입구는 연결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공기유입구는 제1 배출관(300)을 개방하여 본체(100)의 내용물을 배출할 때 본체(100)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제1 공기유입구는 제1 배출관(3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00) 내부의 액상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제1 배출관(300)을 구비하여 다양한 상황에 맞게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고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연결관(200)은 본체와 분리 결합이 가능하고, 종래에 제작된 물통에 연결관(200)을 체결하면 사용하면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켜 상당한 경제적인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배출수단(40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보조배출수단(400)으로 인해 결합관(110)에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내용물을 보조배출수단(400)이 차단하여주므로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본체 110 : 결합관
200 : 연결관 210 : 연결관 마개
220 : 결합마개 300 : 제1 배출구
310 : 제1 마개 400 : 보조배출수단
410 : 고정대 420 : 안내판

Claims (4)

  1.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단이 폐쇄된 연결관(200);
    상기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위해 상기 연결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끝단에 제1 마개(310)가 형성되는 제1 배출관(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0)은 상단이 개방되고 상기 본체(100)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단에 연결관 마개(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0)의 하단에는 결합마개(22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마개(220)와 체결되는 결합관(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1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관(110)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한 고정대(410)와 상기 고정대(4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배출된 액상의 내용물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안내판(420)을 포함하는 보조배출수단(4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KR1020120059774A 2012-06-01 2012-06-01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KR20130135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774A KR20130135692A (ko) 2012-06-01 2012-06-01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774A KR20130135692A (ko) 2012-06-01 2012-06-01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692A true KR20130135692A (ko) 2013-12-11

Family

ID=4998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774A KR20130135692A (ko) 2012-06-01 2012-06-01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56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7976B2 (en) Closeable container cap
RU2582467C2 (ru) Удерживаемая в руке смесительная емкость
US9199782B1 (en) Portable cooler
US7686168B1 (en) Container
US8011521B2 (en) Fluid container
US7806298B2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US10556724B2 (en) Container
US10364057B2 (en) Pet water container and bowl
KR20170053845A (ko) 오뚜기텀블러
KR101576977B1 (ko) 다용도 뚜껑을 갖는 다용도 물통
US11089921B2 (en) Modular dispenser system
WO2017044992A1 (en) Separable container assembly
KR20130135692A (ko) 배출수단이 구비된 물통
US20080271361A1 (en) Fishing Tackle Holder
IL260731B2 (en) Tank holding system
GB2424862A (en) Drink receptacle
KR20220167607A (ko)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JP6468553B2 (ja) 給水器用容器
KR20100006436U (ko) 액체 저장 용기
KR20130097610A (ko) 물통
RU2677717C2 (ru) Пластиковая емкость со встроенными ручками
JP2006240634A (ja) 高粘度液体用容器のキャップ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KR20110009627U (ko) 물통
KR101311199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