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114A - 정황에 기반한 텍스트 디스플레이의 자동 업데이트 - Google Patents

정황에 기반한 텍스트 디스플레이의 자동 업데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114A
KR20130135114A KR20130061082A KR20130061082A KR20130135114A KR 20130135114 A KR20130135114 A KR 20130135114A KR 20130061082 A KR20130061082 A KR 20130061082A KR 20130061082 A KR20130061082 A KR 20130061082A KR 20130135114 A KR20130135114 A KR 2013013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ontext
instructions
based portio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126B1 (ko
Inventor
모건 위너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13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정황 인식 메시지가 그것이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에 기반하여 상이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에서 작성된 메시지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의 정황에 기반하여 수정될 수 있는 정황 기반 부분을 포함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메시지에는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과 관련되어 있는 정황 의존 데이터가 보충될 수 있다. 정황 의존 데이터는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뿐만 아니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에 따라 정황 중립 표현을 어떻게 변환할지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원 메시지와 정황 의존 데이터는 정황 인식 메시지로서 송신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황에 기반한 텍스트 디스플레이의 자동 업데이트{AUTOMATICALLY UPDATING A DISPLAY OF TEXT BASED ON CONTEX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정황 인식 디바이스에서의 데이터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에 기반하여 수정될 수 있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자적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사용하여 개인들이 통신하는 것이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메시지들은 전자 메일 메시지, 단문 메시징 서비스(SMS) 텍스트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및 소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이들 타입의 메시지들은 거의 항상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 텍스트 데이터는 메시지의 발신자에 의해 작성되는 대로 정확하게 메시지의 수취인에게 제시된다. 이러한 방식은 콘텐츠의 작성자를 적절히 따르지만,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의 "스마트한" 특성을 이용하지는 못한다.
전술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대다수의 디바이스들은 어느 정도의 정황 인식(contextual awareness)을 갖는다. 즉, 디바이스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정황(예를 들어, 위치 및 타이밍)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과 데스크톱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 및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들은 이들의 위치, 이러한 위치에 기반한 선호, 및/또는 메시지의 전송과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일어났을 수 있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고 있거나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들을 더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정황 인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디바이스에서 작성된 메시지의 정황 기간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정황 의존 데이터를 메시지의 식별된 정황 기반 부분과 관련시키는 단계, 및 메시지 및 정화 의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메시지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일부이거나 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정황에 기반하여 수신된 메시지의 일부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표시하는 데이터가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 내에서 식별될 수 있다.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의 변경 버전이 데이터 및 디바이스의 정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의 변경 버전과 함께 메시지가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는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프로그램은 메시지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일부이거나 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정황에 기반하여 수신된 메시지의 일부를 변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들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 저장 매체가 또한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정황 기반이라고 식별될 수 있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는 자동 텍스트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다수의 수신 디바이스로의 메시지의 송신 및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수신 디바이스의 정황에 기반한 수신 디바이스에서의 메시지의 고유 디스플레이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의 디스플레이의 정황에 기반하여 정황 기반 전화번호의 포맷화가 수정되는 예시적인 정황 인식 메시지를 예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디바이스의 정황에 기반하여 정황 기반 시간이 수정되는 예시적인 정황 인식 메시지를 예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소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정황 인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디바이스의 정황에 기반하여 정황 기반 운전 시간 및 거리가 수정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정황 인식 메시지를 예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가 작성되는 디바이스가 원격 소스에 액세스하고 정황 인식 메시지에 원격 소스에 대한 참조를 첨부하는 예시적인 정황 인식 메시지를 예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정황에 기반한 메시지 디스플레이 적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식별하고, 정황 의존 데이터를 메시지의 콘텐츠에 추가하고, 정황 인식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기법들이 개시된다.
다음의 상세 설명에는 설명 목적으로, 수많은 특정 상세 사항이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설명의 일부로서, 본 발명의 일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불명확화를 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구조물 및 디바이스들을 표현한다. 명확성을 위해, 실제 구현예의 모든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언어는 주로 가독성(readability) 및 교육 목적을 위해 선택되었고, 발명적 주제의 범위를 정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선택되지 않았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발명적 주제를 판단하기 위해 반드시 청구항에 기대야 한다. "일 실시예"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본 명세서에서의 참조는 실시예들과 함께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참조는 반드시 전부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임의의 개발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임의의 실제 구현예의 개발에 있어서, 개발자의 특정 목적들(예를 들어, 시스템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들의 준수)을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목적들은 구현예마다 달라질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시스템의 설계 분야에서의 당업자에게는 일상적인 수행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텍스트 업데이트 프로세스(100)가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제1 디바이스에서의 메시지의 작성으로 시작된다(블록(105)). 이 메시지는 전자 메일 메시지, SMS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소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예를 들어, 상태 업데이트, 코멘트, 또는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 또는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될 수 있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메시지는 예를 들어, 디지털 이미지 또는 비디오 파일과 같은 다른 타입의 콘텐츠가 첨부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음악 플레이어, 휴대폰, 노트북, 랩톱, 태블릿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서버 컴퓨터,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 및 전송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 후, 메시지가 임의의 정황 기반 부분을 포함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블록(110)).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들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에 기반하여 상이하게 그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메시지의 임의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의 위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선호, 디바이스에 의한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타이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들은 이들 파라미터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메시지의 임의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기반 부분은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정황 기반 부분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들의 일부 예시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화 번호가 상이한 위치에서(예를 들어, 미국과 유럽 사이에) 상이하게 포맷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반하여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디바이스는 작성된 메시지 내의 일련의 번호들이 정확한 개수의 숫자들을 갖고/갖거나 수치 시퀀스가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자동 식별될 수 있도록 포맷화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의 일부가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자동 식별되는 경우, 사용자는 이 부분이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식별되어야 하는지를 확인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하이라이트 부분이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적절히 식별되었음을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팝업 디스플레이가 제1 디바이스에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시지를 작성한 사용자는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수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시지를 타이핑함에 따라, 메시지의 부분에 하이라이트 표시를 하고 하이라이트 부분을 정황 기반으로서 식별하기 위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정황 기반이라고 식별되면(블록(110)의 "예" 갈래), 정황 의존 데이터가 메시지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블록(115)).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가 캘리포니아에 위치하고, "The game comes on tonight at 8pm"라는 문구의 메시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면, 메시지의 시간 부분 "8pm"은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식별될 수 있으며, 정황 의존 데이터는 정황 중립 방식으로, 예를 들어 "4:00 GMT"로서 그 부분을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에 임베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메시지는 작성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8pm")와 상세히 후술될 정황 의존 데이터("04:00 GMT")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될 바와 같이, 정황 의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메시지가 작성된 디바이스의 정황(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에 있는 디바이스에서 작성됨)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어떠한 부분도 정황 기반이라고 식별되지 않거나(블록(110)의 "아니오" 갈래), 또는 정황 의존 데이터가 식별된 정황 기반 부분마다 포함되어 있다면, 메시지는 타깃 목적지(들)로 전송될 수 있다(블록(120)).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및 임의의 정황 의존 데이터)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가 하나 이상의 수취 디바이스에 직접 전송될 수 있다. 통상적인 실시예에서, 메시지는 전송 디바이스와 하나 이상의 수취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연결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근거리 네트워크(LAN),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WAN), 근거리 네트워크와 광역 네트워크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임의의 바람직한 기술, 또는 기술들(유선, 무선, 또는 이들의 조합)과 프로토콜(예를 들어, 송신 제어 프로토콜(TCP))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시지가 수취인에게 간접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 관계에 있는 임의의 사람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검색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수취인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블록(125)). 일 실시예에서, 수취인의 디바이스는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했다고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브라우징할 수 있다.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려는 시도에 응답하여, 메시지가 임의의 정황 의존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블록(130)). 달리 말하면, 메시지가 임의의 정황 기반 부분을 포함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의 존재는 메시지의 콘텐츠로부터 수취인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마크업 언어로 전달되면, 정황 의존 데이터는 정황 의존 데이터와 관련된 특정 마크업 명령(예를 들어, 태그)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원래 작성된 데이터에 부가될 수 있으며, 부가된 데이터의 고유 식별 섹션의 존재에 기반하여 수취인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메시지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포함한다고 판단되면(블록(130)의 "예" 갈래), 수취인 디바이스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가 정황 의존 데이터에 기반하여 메시지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면, 디바이스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전달하는 마크업 언어에 대한 인터프리터(interpreter)를 포함하면, 디바이스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수취인 디바이스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활용하여 메시지를 정황 인식 방식으로 렌더링할 수 없다면, 수취인 디바이스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수용할 수 없다고 판단될 수 있다.
메시지가 어떠한 정황 의존 데이터도 포함하지 않거나(블록(130)의 "아니오" 갈래), 디바이스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수용할 수 없다고(블록(135)의 "아니오" 갈래) 판단되면,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예를 들어, SMS 메시지 대 이메일 메시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발신자에 의해 작성된 대로 수취인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블록(140)). 메시지가 발신자에 의해 작성된 원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수취인 디바이스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없다면(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원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수취인 디바이스가 수신된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변환할 수 없는 상황에서, 메시지의 디스플레이는 발신자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로 디폴트된다. 또한, 메시지가 다수의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황 의존 데이터뿐 아니라 원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은 다른 수취인 디바이스들이 발신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들을 여전히 볼 수 있으면서 정황 의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수취인 디바이스들이 정황 인식 방식으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호환성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메시지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포함하고(블록(130)의 "예" 갈래), 디바이스가 정황 의존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으면(블록(135)의 "예" 갈래), 정황 인식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메시지가 변경될 수 있다(블록(145)).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는 정황 의존 데이터에 의해 식별된 명령들을 수행하고 메시지의 적절한 정황 기반 부분들을 이러한 명령들의 결과로 대체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의 정황에 정황 중립 표현을 적응시키기 위해 수취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조작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조작은 수취인 디바이스로 하여금 그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 위치에 기반한 특성들을 판단하게 할 수 있다. 이들 특성은 상세히 후술될 위치 기반 특성들과 위치 정보를 상관시키는 수취인 디바이스의 로컬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예시로서, 전술한 메시지인 "The game comes on tonight at 8pm"을 수신한 디바이스는 원 메시지뿐만 아니라 정황 중립 시간을 "04:00 GMT"로서 식별하는 정황 의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수취인 디바이스는 그의 위치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식별은 디바이스에게 알려진 GPS(global positioning satellite) 위치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 식별은 삼각 측량 기법에 기반할 수 있다. 그 후, 위치 정보는 디바이스의 위치 기반 특성들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미국 동부 시간대(Eastern US time zone)에 있고 미국 동부 시간대는 -5시간의 그리니치 표준시(GMT, Greenwich Mean Time) 오프셋을 갖는다고 판단하는데 이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황 중립 "04:00 GMT"은 원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인 "8pm"를 대체할 수 있는 "11pm"으로 적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메시지는 수취인 디바이스에서 "The game comes on tonight at 11pm."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메시지 작성자에 의해 사용되는 포맷화는 가능할 때마다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8pm"는 "11:00," "11:00pm," 또는 "23:00" 대신에 "11pm"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포맷화는 메시지와 함께 포함된 정황 의존 데이터에서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기반 변화는 날짜 변화에 대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은 "8pm"뿐 아니라 대신에 "tonight at 8pm"일 수 있으며, 이는 필요한 경우 "tomorrow at ...."로 수정될 수 있다.
비록 수신된 메시지의 일부 정황 기반 부분들을 변환하는데 필요한 특성들이 수취인 디바이스의 로컬 조작(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 기반한 시간대에 대한 테이블 룩업)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고 할지라도, 다른 정황 기반 부분들은 수취인 디바이스에게 원격 소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황 기반 부분은 특정 위치로의 방향들을 식별할 수 있다. 분명히, 수취인 디바이스는 그 위치로의 방향들을 로컬 저장할 것 같지 않고, 따라서 원격 소스로부터 방향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소스는 웹 서비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취인 디바이스에 의해 활용될 원격 소스는 정황 의존 데이터에서 식별될 수 있다.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들 각각이 변경된 후, 변경된 메시지는 수취인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블록(150)).
도 2를 참조하면, 블록도는 하나 이상의 수취인 디바이스에 의한 정황 인식 방식으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의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202)에서 메시지(204)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는 전자 메일 메시지, SMS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 등의 임의의 타입의 메시지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메시지(204)의 일부가 정황 기반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부분(<A>로 표시됨)이 정황 기반으로 식별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하는 팝업(206)이 디바이스(2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204)의 일부가 정황 기반일 수 있는 텍스트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메시지(204)를 작성할 때 팝업(206)이 자동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메시지(204)를 작성할 때가 아니라) 사용자가 메시지(204)를 작성한 후에, 자동 인식된 정황 기반 부분 전부를 식별하는 단일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팝업(206)은 사용자로 하여금 메시지(204)의 일부를 정황 기반으로 의도하지 않게 자동 식별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특정 타입의 콘텐츠(즉, 시간)가 정황 기반으로 식별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식별이 반드시 적절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뉴욕주에서 작성되어 하와이주에 휴가 중인 친구에게 전송된 "The game comes on at 8pm"이라는 메시지가 "The game comes on at 2pm"이라고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The neighbor's dog woke me up at 3AM"이라는 메시지가 "The neighbor's dog woke me up at 9PM"이라고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메시지(204)의 일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그 부분이 이와 같이 식별되어야 한다고 확인하게 하지 않고 정황 기반으로서 자동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시지(204)의 일부를 정황 기반이라고 수동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는 정황 기반으로 취급되어야 하는 메시지(204)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옵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204)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이 정황 기반으로 식별되면, 메시지가 정황 인식 방식으로 수취인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정황 의존 데이터가 메시지(204)의 콘텐츠에 추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황 의존 데이터는 메시지(204)의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뿐만 아니라, 아마 수취인 디바이스의 정황에 기반하여 정황 중립 표현을 변환하기 위한 명령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황 인식 메시지(208)는 메시지(204)의 원래 콘텐츠(즉,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204)의 콘텐츠)뿐 아니라 정황 의존 데이터(210)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204)의 원래 콘텐츠 및 정황 의존 데이터(210)가 명확성을 위해 별도로 예시되어 있지만, 정황 인식 메시지(208)가 통상적으로 단일 메시지로서 송신될 수 있으며, 정황 의존 데이터(210)가 메시지(204)의 원래 콘텐츠와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정황 인식 메시지(208)는 디바이스들(212 및 214)에 의해 수신된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인식 메시지(208)는 디바이스들(212 및 214)로 직접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황 인식 메시지(208)는 디바이스(202)와 각각의 수취인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황 인식 메시지(208)는 디바이스들(212 및 214) 중 하나 이상에 간접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황 인식 메시지(208)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12 및 214)에 의해 서버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검색되는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 또는 이메일로서 전달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정황 인식 메시지(208)는 제1 정황(216)에서 디바이스(21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정황(216)은 메시지(208)의 디스플레이의 타이밍, 메시지(208)를 디스플레이할 때의 디바이스(212)의 위치 등에 기반할 수 있다. 정황(216)에 기반하여, 원 메시지(204)의 정황 기반 부분 "<A>"는 디스플레이된 메시지(208)에서 "<X>"로 대체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메시지(208)는 정황(220)에서 디바이스(214)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정황(220)에 기반하여, 원 메시지(204)의 정황 기반 부분 "<A>"는 디스플레이된 메시지(208)에서 "<Z>"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는 또한 메시지(208)가 처음 디스플레이된 후에도 그의 정황 인식을 유지하는 것을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212)는 정황 변화를 겪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변화(222)는 시간 경과에 기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황 변화(222)는 디바이스(212)의 위치 변화에 기반할 수 있다. 정황(218)으로의 정황 변화(222) 후에 메시지(208)가 디바이스(212)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메시지(208)는 정황(216)에서와는 상이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정황(218)에 기반하여, 원 메시지(204)의 정황 기반 부분 "<A>"는 디스플레이된 메시지(208)에서 "<X>" 대신 "<Y>"로 대체될 수 있다. 일례로서, 비즈니스 여행객이 캘리포니아에 위치하는 동안(예를 들어, 정황(216)) "the teleconference is at 6:00pm tonight"이라고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를 수신하여 본 후, 여행객은 텍사스로 귀환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정황(218)). 영상 회의에 대한 시작 시각을 기억하려고 할 때, 이 비즈니스 여행객은 메시지(208)를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정황 변화에 기반하여, 메시지(208)는 "the teleconference is at 8:00 tonight."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황 인식 메시지(208)는 디바이스(212)의 정황 변화에 기반하여 상이한 시간에 상이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정황 인식 메시지(208)가 디바이스(202)에 저장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전송된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시지의 후속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에 기반하여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전송 디바이스도 메시지(208)의 정황 인식 특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2)의 사용자를 위한 새로운 전화 번호를 표시하는 정황 인식 메시지(312)가 미국(디바이스(304)), 프랑스(디바이스(306)), 및 영국(디바이스(308))에 위치한 사용자의 친구들에 의해 수신된다. 디바이스(302)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원 메시지(310)는 포맷화 없이 연속 숫자 열로서 전화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2)는 메시지(310)의 숫자들의 개수(예를 들어, 10)를 디바이스(302)의 위치에서의 통상 전화 번호에서의 숫자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숫자 열을 메시지(310)의 정황 기반 부분을 잠재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2)의 사용자는 숫자 열이 전화 번호이고 메시지(310)의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취급되어야 하는 것을 확인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2)의 사용자는 메시지(310)의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숫자 열을 수동 식별할 수 있다. 전화 번호가 메시지(310)의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식별되는 방식과 무관하게, 메시지(310)는 정황 의존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고, 3명의 친구 각각에 의해 정황 인식 메시지(312)로서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정황 기반 전화 번호의 디스플레이를 변환하기 위한 명령 및 미국 전화 번호로서의 숫자열의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인식 메시지(312)는 메시지(310)의 콘텐츠의 마크업 언어 주석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304)의 정황에 기반하여, 숫자 열 "9585550123"은 미국의 전화번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준 포맷에 따라 메시지(312A)에 "(958) 555-0123"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4)의 정황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디바이스(304)의 위치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위치는 디바이스에게 알려진 GPS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4)의 정황은 디바이스(304)의 통상 위치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4)는 위치 이력 정보를 사용하여 디바이스(304)의 정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304)의 사용자가 호주에서 휴가 중인 미국 거주자라면, 현재 위치에 기반한 호주 포맷 대신 익숙한 미국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된 전화 번호를 보고 싶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4)의 정황은 디바이스 설정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4)에 대한 현재 위치 또는 위치 이력 정보 대신에 디바이스(304)에 설정되어 있는 선호 설정(preference setting)으로부터 정황이 판단될 수 있다.
디바이스(306)의 정황에 기반하여, 전화 번호는 프랑스로부터 국제 전화를 걸기 위한 엑시트 코드(exit code)(314), 미국으로 국제 전화를 걸기 위한 국가 코드(316), 및 프랑스에서 전화 번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통상 포맷에 따라 포맷화된 숫자 열을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숫자 열 "9585550123"는 메시지(312B)에서 "00 1 95 85 55 01 23"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황 기반 전화 번호는 전화 번호를 호출하기 위해 다이얼링되어야 할 숫자들에 기반하여 수정되고 디바이스(306)의 사용자에게 더 친근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312)의 정황 기반 부분의 변환은 디바이스(306)의 메모리 내의 선호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306)는 전화 번호의 포맷화뿐 아니라 국제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한 엑시트 코드(314) 및 국가 코드(316)의 포함과 같은 위치 기반 특성들과 위치 정보를 상관시키는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312)의 정황 의존 데이터는 디바이스(306)로 하여금 위치 기반 특성들을 참조하고 이들 특성에 따라 정황 기반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308)의 정황에 기반하여, 전화 번호는 영국으로부터 국제 전화를 걸기 위한 엑시트 코드(318), 미국으로 국제 전화를 걸기 위한 국가 코드(316), 및 영국에서 전화 번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통상 포맷에 따라 포맷화된 숫자 열을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숫자 열 "9585550123"는 메시지(312C)에서 "00 1 (958) 555 0123"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황 인식 메시지(312)는 수취인 디바이스로 하여금 수취인 디바이스의 정황에 따라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의 포맷화를 변환하게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유성우(meteor shower)의 시간을 표시한 정황 인식 메시지(412)가 뉴욕주에 위치한 디바이스(402)로부터 애리조나주에 위치한 디바이스(404)로 전송된다. 디바이스(402)의 사용자는 1AM 로컬 시간에 유성우 발생을 표시한 메시지(410)를 작성한다. 메시지(410)의 로컬 시간은 메시지(410)의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410)의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의 로컬 시간의 식별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메시지(410)의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의 로컬 시간의 식별에 기반하여, 정황 의존 데이터가 메시지(410)의 콘텐츠에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의 추가는 우선 정황 중립 방식으로 로컬 시간을 표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402)의 정황뿐만 아니라 메시지(410)에서 참조된 시간의 정황이 판단될 수 있다. 디바이스(402)가 뉴욕주에 위치한다는 판단에 기반하여, 그 후 (예를 들어, 디바이스(402)에 저장된 위치 기반 특성들을 참고함으로써) 디바이스(402)의 위치가 미국 동부 시간대에 대응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이 위치가 서머타임(daylight saving time)을 준수하고 있으며 메시지(410)의 정황 기반 부분이 서머타임이 적용되는 시간을 나타낸다고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410)의 정황 기반 시간 부분이 동부 하절기 시간(EDT, Eastern Daylight Time) 포맷으로 입력된 시간을 나타낸다고 판단될 수 있다. 그 후, EDT 포맷은 -4시간의 그리니치 표준 시간(GMT) 오프셋에 대응하며, 메시지(410)의 입력된 텍스트 "1AM"이 "5AM GMT"의 정황 중립 포맷으로 표현될 수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메시지(410)에 추가된 정황 의존 데이터는 메시지(410)의 정황 기반 시간의 정황 중립 표현뿐만 아니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에 기반하여 정황 중립 표현을 변환하기 위한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정황 의존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412)가 디바이스(404)에 수신될 수 있다. 디바이스(404)에 메시지(412)를 디스플레이하려는 시도에 응답하여, 정황 의존 데이터는 디바이스(404)의 정황에 따라 메시지(412)를 나타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404)가 애리조나주에 위치하고, 대응하는 시간대가 미국 산악 시간(United States Mountain Time)이고, 위치는 서머타임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404)가 -7 시간의 GMT 오프셋을 갖는 위치에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원래 입력된 정황 기반 시간(즉, 1AM)의 정황 중립 표현(즉, 5AM GMT)이 디바이스(404)의 정황에 기반하여 변환될 수 있고, "10PM"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410)에 언급되는 시간대를 식별하려고 하고 위치에 기반하여 시간을 변환하는 대신에, 디바이스(404)의 사용자는 디바이스(404)의 위치에 따라 시간이 디스플레이된다고 간단히 신뢰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412)가 단일 디바이스에만 전달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메시지는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다수의 상이한 시간대에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로 전송되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메시지(410)에서의 시간을 정황 기반으로 식별함으로써, 디바이스(402)의 사용자는 수취인들에게 그들의 위치에 기반하여 다수의 맞춤화된 메시지들을 전송하거나, 단일 메시지에서 유성우의 타이밍을 다수의 수취인에게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412)의 정황 인식은 메시지를 작성하고 수신 메시지를 해석하는 동작들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정황 인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는 원격 소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이 시점까지, 예시적인 정황 인식 메시지는 로컬 저장된 특성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수취인 디바이스의 정황에 대응하는 정보에 기반한 텍스트의 변경을 주로 수반하였다. 예를 들어, 전화 번호 포맷 변환 또는 시간대 변환은 수취인 디바이스에 저장된 위치 기반 특성들에 기반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타입의 변환들은 디바이스에 실제 저장될 수 없는 정보로의 액세스를 요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원격 소스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변환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502)의 사용자는 특정 통화로 표현된 가격을 포함하는 메시지(510)를 작성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메시지(510)는 비행 티켓에 대해 "$500"의 대략의 가격을 표현하고 있다. 가치 및 통화가 메시지(510)의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식별되는 경우, 디바이스(502)의 정황에 기반하여 가치가 (예를 들어, 호주 달러 또는 캐나다 달러가 아니라) 미국 달러(USD)로 표현되어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는 디바이스(502)의 정황(예를 들어, 미국 내의 디바이스(502)의 위치) 및 정황 기반 부분에서의 "$" 심볼의 포함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502)의 사용자는 정황 기반 가격에 대한 통화를 확인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 메시지(510)에서의 정황 기반 가격의 통화에 기반하여, 정황 의존 데이터가 메시지(510)의 콘텐츠에 추가될 수 있고, 정황 인식 메시지(512)가 디바이스(50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그 후, 메시지(512)는 디바이스(504)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블록(520)). 디바이스(504)에 의해 메시지(512)를 디스플레이하려는 시도에 응답하여, 메시지(512)의 디스플레이의 정황이 식별될 수 있다(블록(525)). 예시된 실시예에서, 메시지(512)의 디스플레이의 정황의 식별은 디바이스(504)의 위치 및 메시지(512)의 디스플레이의 타이밍의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504)의 위치는 메시지(512)를 디스플레이하려고 시도할 때 디바이스(504)의 위치, 위치 이력 정보에 기반한 디바이스(504)의 통상 위치, 디바이스(504)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선호 등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그 후, 디바이스(504)의 정황은 로컬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디바이스(504)의 정황 기반 선호를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블록(530)). 예시된 실시예에서, 독일 내의 디바이스(504)의 위치는 가치가 유로(EUR)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통화에 대한 적절한 정황 기반 선호를 판단하면, 정황 의존 데이터는 원격 소스에 액세스함으로써 발신자 선호(USD)와 수취인 선호(EUR) 사이에 변환하는 추가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블록(535)). 일 실시예에서, 원격 소스는 웹 서버에서 호스팅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그러므로, 디바이스(504)는 인터넷 접속을 통해 원격 소스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수취인 디바이스에 의해 활용될 특정 원격 소스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원격 소스에 의해 제공될 정보의 타입(예를 들어, 통화 변환율)을 식별할 수 있고, 수취인 디바이스로 하여금 특정 원격 소스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획득된 통화 선호 및 원격 소스로부터 획득된 USD-EUR 통화 변환율을 활용하여, 메시지(510)로부터의 "$500" 가격은 디바이스(504)에 "?384"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기반 부분의 변환의 임의의 부분이 완료될 수 없다면(예를 들어, 수취인 디바이스가 원격 소스에 액세스할 수 없으면), 메시지는 작성된 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원격 소스로부터 검색될 수 있는 정보에 의존하는 정황 인식 메시지의 다른 예시에서, 도 6은 다가올 이벤트에 대한 리마인더(reminder)와 함께 이벤트까지의 대략의 운전 시간 및 거리(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 있는 디바이스(602)의 위치에 관해 표현됨)를 갖는 메시지(610)를 예시한다. 메시지(610)의 운전 시간 및 거리 부분은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610)의 콘텐츠는 정황 의존 데이터가 보충되어 정황 인식 메시지(612)로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단순히 목적지 위치로서 표현된 운전 시간 및 거리의 정황 중립 표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602)의 사용자는 메시지(610)에 운전 시간 및 거리를 포함시킴으로써 참조되는 목적지 위치를 식별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기반 운전 시간 및 거리가 정황 중립 목적지 위치로서 표현되어야 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디바이스(602)는 사용자에게 목적지 위치를 식별하도록 유도하는 지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에 의해 식별된 대략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확대(zoom)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602)는 사용자의 텍스트가 특정 목적지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더 정확한 목적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메시지(610)에서 언급된 이벤트에 대한 목적지 위치는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의 위치를 나타낸다고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목적지 위치의 좌표로서 정황 중립 방식으로 운전 시간 명령들을 표현할 수 있다.
정황 의존 데이터는 메시지(612)를 디스플레이하려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정황 중립 목적지 위치를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반하여 운전 시간 및 거리 정보로 변환하게 하는 명령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604)는 원격 소스에 액세스하여 운전 시간 및 거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웹 기반 맵핑 애플리케이션에게 시작 지점으로서 현재 위치(예를 들어, 새크라멘토)를 그리고 종료 지점으로서 정황 중립 목적지(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를 제공하도록 디바이스(604)에 명령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맵핑 애플리케이션은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 사이의 현재의 교통 조건 및 운전 방향을 검색하여 운전 시간 및 거리를 디바이스(604)에 반환할 수 있다. 그 후, 디바이스(604)는 획득된 정보를 활용하여 디바이스(604)의 정황에 기반하여 메시지(61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원격 소스로부터 검색된 정보에 기반한 텍스트 데이터의 변경의 추가적인 예시는 본 명세서를 읽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일례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에 관한 메시지가 수취인 디바이스의 정황에 기반하여 맞춤화될 수 있다. 좋아하는 텔레비전 쇼에 대한 방송 시간을 표시하는 메시지가 수취인의 시간대에 기반하여 수정될 수 있는데, 텔레비전 쇼는 상이한 시간대의 상이한 시간에 방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황금 시간대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동부 시간대에서는 9PM에 방송될 수 있고, 태평양 시간대(Pacific time zone)에서는 (6PM 대신) 9PM에 재방송을 위해 녹화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곧바로 시간대를 변환하는 것은 정보를 제대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텔레비전 쇼를 설명하는 메시지의 시간 부분이 원격 소스(예를 들어, 웹 기반 텔레비전 프로그래밍 애플리케이션)와 관련되어 있으면, 적절한 타이밍뿐만 아니라 추가 정보(예를 들어, 에피소드 요약)가 검색되어 메시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수취인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위한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에 관한 정보가 수취인 디바이스에서 설정으로서 입력되었다면, 메시지는 적절한 채널 정보 등을 반영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원격 소스로부터 검색된 정보에 기반한 텍스트 데이터의 변경의 또 다른 예시에서, 리소스에 대한 참조가 리소스 자체를 통합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특정한 인터넷 위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정보를 식별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메시지는 새로운 기사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블로그 포스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종, 메시지는 브라우저로 하여금 URL에 의해 표시되는 리소스를 열고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선택 가능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는 수취인이 적절한 위치에 도착하게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를 별도의 브라우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는 대신 콘텐츠가 메시지에 직접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새로운 기사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면, 링크 자체는 원격 소스에 액세스하여 메시지를 수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취인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는 리소스에 대한 링크 대신 리소스로부터의 텍스트(즉, 새로운 기사의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기사의 텍스트만이 메시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리소스의 임의의 관련 없는 부분(예를 들어, 배너, 광고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원격 소스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한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의 다양한 예시가 제공되었지만, 수많은 추가 예시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원격 소스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한 텍스트 데이터의 수정의 다른 예시에서, 도 7은 메시지의 전송과 그 후 메시지를 보는 것 사이에 일어나는 변화에 기반한 메시지의 수정을 예시한다. 디바이스(702)의 사용자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 일어나는 회의에 대한 리마인더를 포함하는 메시지(710)를 작성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메시지(710)는 회의 장소를 식별하며, 사용자는 회의 일자 전에 상황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때문에, 이 장소는 메시지(710)의 정황 기반 부분으로서 식별된다. 따라서, 메시지(710)는 정황 의존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수정되어 정황 인식 메시지(712)로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네트워크(720)를 통해 서버 컴퓨터 시스템(706)으로의 접속(725)을 통해 디바이스(702)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706)는 정황 인식 메시지를 전송 및/또는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검색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예를 들어, 웹 서버, 데이터 저장 서버, 이메일 서버 등)를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황 의존 데이터는 서버(706)에 의해 호스팅되는 장소 리뷰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장소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정황 중립 방식으로 장소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Yelp®와 같은 장소 리뷰 애플리케이션이 수많은 장소에 정보 및 고객 리뷰를 제공할 수 있다. (YELP는 Yelp 사의 등록 상표임) 메시지 내의 장소 정보를 장소에 대한 정황 중립 식별자에 링크함으로써, 장소에 대한 정보가 변하면 메시지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704)에 의한 메시지(712)의 디스플레이 전에, 메시지(712)에 식별된 식당이 위치를 변경한다. 위치 변화가 식당에 대한 장소 리뷰 애플리케이션 리스팅에 반영되기 때문에, 디바이스(704)는 접속(730)을 통해 서버(706)에 액세스하며, 식별자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된 정보를 검색한다. 그러므로, 메시지(712)는 메시지(710)에서 언급된 과거 위치 "100 Main Street" 대신 현재 위치 "210 Smith Street"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바이스(704)의 사용자는 잘못된 위치에 도착하는 좌절감을 피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인식 메시지의 텍스트는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의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황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의 특성들을 나타낼 뿐 아니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메시지 자체의 특성들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황 인식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시에 이용될 수 있는 가장 최근 정보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동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정황 인식 메시지는 날씨 정보(정황 중립 날씨 예보 애플리케이션에 링크된 날씨 예보 정보를 포함함), 이벤트 정보(정황 중립 이벤트 웹사이트에 링크된 타이밍 및 스피커 정보를 포함함), 비행 정보(정황 중립 항공사 애플리케이션에 링크된 출발 및 도착 정보를 포함함), 또는 변화에 겪을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에 대한 동적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800)의 간단한 기능 블록도가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자 디바이스(800)는 프로세서(805), 디스플레이(810), 사용자 인터페이스(815), 그래픽 하드웨어(820), 디바이스 센서(825)(예를 들어, 근접 센서/주변광 센서, 가속도계 및/또는 자이로스코프), 마이크(830), 오디오 코덱(들)(835), 스피커(들)(840), 통신 회로(845), 디지털 영상 캡처 유닛(850), 비디오 코덱(들)(855), 메모리(860), 저장소(865), 및 통신 버스(8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800)는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음악 플레이어, 휴대폰, 노트북, 랩톱 또는 태블릿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서버 컴퓨터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술한 전송 디바이스, 수신 디바이스, 및 원격 소스들 중 어느 것이든 디바이스(800)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5)는 디바이스(800)에 의해 수행되는 많은 기능들의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하는데 필요한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05)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810)를 구동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815)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15)는 버튼, 키패드, 다이얼, 클릭 휠, 키보드,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터치 화면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5)는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발견되는 것들과 같은 시스템-온-칩일 수 있고, 전용 그래픽 처리 유닛(GPU)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5)는 RISC(reduced instruction-set computer) 아키텍처, CISC(complex instruction-set computer) 아키텍처, 또는 임의의 적합한 아키텍처에 기반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하드웨어(820)는 그래픽을 처리하고 및/또는 프로세서(805)가 그래픽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돕기 위한 특수 목적의 계산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 하드웨어(820)는 프로그램 가능 그래픽 처리 유닛(GPU)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및 카메라 회로(850)는 비디오 코덱(들)(855) 및/또는 프로세서(805) 및/또는 그래픽 하드웨어(820), 및/또는 회로(850)에 통합된 전용 영상 처리 유닛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정지 및 비디오 영상들을 캡처할 수 있다. 그렇게 캡처된 영상들은 메모리(860) 및/또는 저장소(865)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860)는 디바이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805) 및 그래픽 하드웨어(820)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860)는 메모리 캐시,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865)는 미디어(예를 들어, 오디오, 영상 및 비디오 파일),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 선호 정보,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소(865)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고정식, 플로피, 및 착탈식) 및 테이프, CD-ROM 및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학 매체, 및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60) 및 저장소(865)는 하나 이상의 모듈로 조직화되고 임의의 원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유형적으로 보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05)에 의해 실행될 때,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고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자료는 임의의 당업자로 하여금 여기에 설명된 발명적 개념들을 제작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고, 특정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제공되는데, 그 변형예들은 당업자에게 즉시 명백할 것이다(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부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 전술한 설명을 검토한 당업자에게는 여러 다른 실시예들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함께, 그러한 청구항들의 자격이 있는 균등물의 전 범위를 참조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including" 및 "in which"라는 용어들은 각각의 용어에 상당하는 쉬운 영어 표현들인 "comprising" 및 "wherein"으로 사용된다.

Claims (23)

  1.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디바이스에서 작성된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context-based portion)을 식별하게 하는 명령어들 -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은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함 -;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과 정황 의존 데이터를 연관시키게 하는 명령어들 - 상기 정황 의존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함 -; 및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와 상기 정황 의존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는 명령어들
    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식별하게 하는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자동 식별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자동 식별하게 하는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정황 기반 부분이 적절히 식별되었다고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식별하게 하는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수동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식별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황 의존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context-neutral representation)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은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은 표준화된 시간 포맷으로 상기 시간을 표현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7. 제1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작성된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과 정황 의존 데이터를 연관시키는 단계 - 상기 정황 의존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함 -;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시지와 상기 정황 의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과 정황 의존 데이터를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에 상기 정황 의존 데이터를 임베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와 상기 정황 의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의 마크업 언어 주석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황 의존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을 포함하는 방법.
  11.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디바이스에서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는 명령어들;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식별하게 하는 명령어들 - 상기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정황 기반 부분을 나타냄 -;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정황 및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황 기반 부분의 변경 버전을 생성하게 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황 기반 부분의 변경 버전과 함께 상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어들
    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정황 기반 부분의 변경 버전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정황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을 변환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황 기반 부분의 변경 버전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로컬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특성들에 액세스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황 기반 부분의 변경 버전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황 기반 부분의 변경 버전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상기 식별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기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황 기반 부분의 변경 버전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원격 소스로부터의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소스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에서 식별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의 마크업 언어 주석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마크업 언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22.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요소;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에 통신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들은,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식별하고,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을 생성하고,
    정황 의존 데이터로 상기 메시지를 보충하고 - 상기 정황 의존 데이터는 상기 정황 중립 표현 및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수정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함 -,
    상기 메시지와 상기 정황 의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23.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요소;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에 통신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들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려는 시도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내에서,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식별하고 - 상기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의 정황 중립 표현을 포함함 -,
    상기 디바이스의 정황 및 상기 정황 중립 표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정황 기반 부분을 수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에 상기 수정된 정황 기반 부분과 함께 상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30061082A 2012-05-31 2013-05-29 정황에 기반한 텍스트 디스플레이의 자동 업데이트 KR101546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85,162 2012-05-31
US13/485,162 US9530120B2 (en) 2012-05-31 2012-05-31 Automatically updating a display of text based on contex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114A true KR20130135114A (ko) 2013-12-10
KR101546126B1 KR101546126B1 (ko) 2015-08-20

Family

ID=4857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082A KR101546126B1 (ko) 2012-05-31 2013-05-29 정황에 기반한 텍스트 디스플레이의 자동 업데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30120B2 (ko)
EP (1) EP2669858A1 (ko)
JP (1) JP5793818B2 (ko)
KR (1) KR101546126B1 (ko)
CN (1) CN103559183A (ko)
AU (1) AU2013205562B2 (ko)
BR (1) BR1020130132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136B1 (ko) 2009-03-31 2015-08-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140011073A (ko) * 2012-07-17 2014-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 추천 방법 및 장치
WO2014046272A1 (ja) * 2012-09-21 2014-03-27 グリー株式会社 タイムライン領域における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当該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情報記録媒体
US20140181221A1 (en) * 2012-12-21 2014-06-26 Longsand Limited Analyzing a message using location-based processing
CN105874443B (zh) * 2013-12-19 2020-05-19 英特尔公司 用于在伴随装置之间进行通信的方法和设备
US10038757B2 (en) 2015-04-29 2018-07-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personalized greetings on a digital assistant
KR20160139132A (ko) * 2015-05-26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상황 기반의 정보 처리 방법
KR102341144B1 (ko) 2015-06-01 2021-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95372B2 (en) 2016-03-14 2018-10-09 Motorola Mobility Llc Devices and methods for modifying temporally dependent content elements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US10049104B2 (en) 2016-11-04 2018-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ssage modifier responsive to meeting location availability
US10146770B2 (en) * 2016-12-01 2018-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agent for capturing referential information during conversation muting
US11630688B2 (en) 2017-02-02 202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across applications
US11138265B2 (en) * 2019-02-11 2021-10-05 Verizon Media Inc.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of modified machine-generated messages
CN114418533A (zh) * 2022-01-13 2022-04-29 北京声智科技有限公司 问卷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0365A1 (en) * 2002-01-24 2005-03-17 Robinson Scott L. Context-based information processing
GB0218713D0 (en) * 2002-08-12 2002-09-18 Mitel Knowledge Corp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for control of context aware call processing with local feature definition
US20040117501A1 (en) 2002-12-12 2004-06-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on of textual information based on locale of the recipient
US7706785B2 (en) * 2003-01-22 2010-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aware unified communications
US7636779B2 (en) 2006-04-28 2009-12-22 Yahoo! Inc. Contextual mobile local search based on social network vitality information
US8805337B2 (en) * 2007-11-01 2014-08-12 Omnitracs, Llc Context aware message presentation system
CN101946267B (zh) 2007-12-21 2013-12-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匹配通信设备
US8417593B2 (en) * 2008-02-28 2013-04-09 Sap A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naging consistent interfaces for business objects across heterogeneous systems
US20100082629A1 (en) 2008-09-29 2010-04-01 Yahoo! Inc. System for associating data items with context
US8140057B2 (en) * 2008-10-10 2012-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call context notification
CN101754125A (zh) 2008-12-15 2010-06-23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定时发送信息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20100228590A1 (en) 2009-03-03 2010-09-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aware electronic social networking
US8385975B2 (en) * 2009-04-23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based messag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223590B2 (en) 2010-01-06 2015-12-29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commands to applications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WO2011157215A1 (en) * 2010-06-15 2011-12-22 Usm China/Hong Kong Limited Context level protocols and interfaces
US20130095865A1 (en) * 2011-10-17 2013-04-18 Marcopololoco, Llc Context-based messaging
CN104205882A (zh) * 2012-03-30 2014-12-10 英特尔公司 基于情境的消息传递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50972A (ja) 2013-12-12
US20130325971A1 (en) 2013-12-05
CN103559183A (zh) 2014-02-05
KR101546126B1 (ko) 2015-08-20
US9530120B2 (en) 2016-12-27
AU2013205562B2 (en) 2015-04-09
AU2013205562A1 (en) 2013-12-19
EP2669858A1 (en) 2013-12-04
JP5793818B2 (ja) 2015-10-14
BR102013013229A2 (pt)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126B1 (ko) 정황에 기반한 텍스트 디스플레이의 자동 업데이트
US10955991B2 (en) Interactive icons with embedded functionality used in text messages
US10270862B1 (en) Identifying non-search actions based on a search query
KR101923355B1 (ko) 액티브 이메일
US20200184427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o-do list of user
AU2011253646B2 (en) Determining message prominence
US8996625B1 (en) Aggregate display of messages
EP269902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essage function
US113863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ed document approval
JP2016541076A (ja) 連絡先情報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8751234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determining contextual information
KR20140121417A (ko) 이동 통신 통합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20150099547A (ko) 구조화된 엔티티로 강화된 메시지
US11669677B2 (en) Integrating an application for surfacing data on an electronic message pane
US93693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izing outbound communications between an email system and a third party service
KR2015013918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0603553B (zh) 以结构化元数据共享事件
US10778621B2 (en) Location integration into electronic mail system
US20200267101A1 (en) In-line collaboration in e-mail
US11470031B2 (en) Electronic mail format protocol for instructing automatic behavior of electronic devices executing an electronic mail client application
EP2518643A9 (en) Communication device for determining contextual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