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683A - 자전거 페달 및 이를 결합한 신발 - Google Patents

자전거 페달 및 이를 결합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683A
KR20130133683A KR1020130060311A KR20130060311A KR20130133683A KR 20130133683 A KR20130133683 A KR 20130133683A KR 1020130060311 A KR1020130060311 A KR 1020130060311A KR 20130060311 A KR20130060311 A KR 20130060311A KR 20130133683 A KR20130133683 A KR 20130133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astening
pedal
bicy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창
황상동
이재익
김명훈
김민우
박자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학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학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학산
Publication of KR20130133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4Shoes for cycl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겸용을 위한 자전거 페달 및 이를 이용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바닥면 안착되는 신발안착부와; 상기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페달에 놓여지는 신발의 전방 양측면에 체결부가 결합분리되어 페달과 결합분리되는 자전거 페달을 제공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체결돌기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내측면체결부와 비스듬히 경사져 형성되는 외측면체결부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신발안착부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와 결합,분리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분리되도록 전방 양측면에 페달결합부가 형성되는 자전거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전거용 신발의 페달결합부는, 상기 페달의 체결부상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신발과 페달의 견고한 결합에 의하여 자전거 운행에는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 신발로는 일반 보행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자에게 최적의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페달 및 이를 결합한 신발 {THE BICYCLE PEDAL AND ITS SHOES}
본 발명은 자전거 페달 및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의 구조 및 이와 결합하는 신발을 변경시켜 평상시에는 일반 운동화 처럼 보행이 자유롭도록 하는 보행겸용을 위한 자전거 페달 및 이를 이용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는 것으로, 신발을 신고 뛰거나 걷는 경우에 발을 외부와 차단시킴과 동시에 발을 보호시킨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에서 출발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특수목적을 위한 신발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워킹화, 등산화, 안전하 등 각 기능별 요소를 충족하여 소비자를 만족시키고 있다.
한편, 친환경에 부응하여 무공해 교통수단인 자전거가 각광 받고 있으며, 자전거는 교통대체수단을 비롯하여 취미생활등을 위하여 다양하 종류 역시 출시되고 있다. 일반 신발을 신고 자전거를 탈 경우, 신발을 단순히 자전거의 페달에 얹은 상태에서 페달을 가속시키기게 된다. 이때, 신발과 페달면의 접촉 여부에 따라 미끄러짐 등이 발생되어 신발에 의해 전달되는 힘이 자전거에 춥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발이 페달을 놓치는 경우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페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전거 전용신발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통상 자전거 전용신발은 바닥면에 클리트가 구비되고, 이러한 클리트는 페달과 신발을 서로 결합 가능하게 하여 신발과 페달간의 결합력을 높이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 클리트가 구비된 자전거 전용신발을 보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트(a)가 신발(10) 바닥 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클리트(a)가 자전거의 페달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자전거 전용신발(10)의 다른 부위를 살펴보면, 바닥창(2)의 경우는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페달면과 평행하도록 하여 힘 전달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며, 갑피(4) 역시 발등에 밀착 고정되어 신발(10)과 발의 일체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 자전거 전용신발(10)은 페달 가속에 의한 자전거 운행에는 적합하나 통상적인 일반신발의 기능인 걷거나 뛰는 일반보행에는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어 자전거 전용매니아들은 보행신발과 자전거 전용신발(10) 두가지를 가지고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자전거를 타기전까지 일반신발을 착용한 채 사용하다가 자전거를 타기 위해서는 자전거전용신발(10)로 갈아 신고, 자전거 주행 후 다시 일반신발로 갈아 신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이는 자전거 전용신발(10)이 가지는 구조적인 문제로 보행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자전거 페달면과 결합되는 부위인 클리트가 신발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상적인 보행 또는 런닝시 돌출된 클리트 때문에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 페달의 구조를 변경하고, 이에 결합되는 자전거신발에서 클리트를 제거함으로써 자전거 페달과의 단단한 결합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되, 일반보행 및 자전거 전용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보행겸용 자전거용 페달 및 이를 이용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신발이 페달과 결합 분리되는 자전거 페달에 있어서, 신발바닥면 안착되는 신발안착부와; 상기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페달에 놓여지는 신발의 전방 양측면에 체결부가 결합분리되어 페달과 결합분리되는 자전거 페달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체결돌기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내측면체결부와 비스듬히 경사져 형성되는 외측면체결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신발안착부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와 결합,분리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는,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빈공간부와;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신발안착부의 면을 통하여 형성되는 스토퍼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신발안착부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단 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고정체결부재와; 신발안착부의 타측면을 통해 형성되고 상단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되며 좌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빈공간부에 결합분리되는 체결편이 구비된 탄성체결부재;로 이루어져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체결편이 빈공간부에 결합되어 체결돌기가 신발양측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분리되도록 전방 양측면에 페달결합부가 형성되는 자전거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전거용 신발의 페달결합부는, 상기 페달의 체결부상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신발이 페달과 결합 분리되는 자전거 페달에 있어서,신발바닥면이 안착되는 신발안착부와; 상기 신발안착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향 돌출된 원호형상의 돌출가이드; 상기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페달에 놓여지는 신발의 전방 양측면에 체결부가 결합분리되어 페달과 결합분리되는 자전거 페달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 하기로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체결돌기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내측면체결부와 외측면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외측면 체결부는 폭방향으로 임의의 길이조정이 이루어지고, 가해지는 외력에 따른 탄성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외측면체결부는, 페달의 내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골이 일측외면에 형성되어 나사산의 조정에 따라 길이조정이 이루어지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내부에 위치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외면에 탄성스프링이 구비된 지지바와; 일측 중앙을 통하여 상기 지지바와 결합 연결되고, 상기 결합축에 접면하는 체결돌기;로 구성되어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탄성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지지바의 움직임에 따라 체결돌기가 탄성복원 이동되고, 나사산의 조정에 따라 결합축의 길이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이에 대응하는 신발은, 상기 체결부와 결합분리되도록 전방 양측면에 페달결합부가 형성되고, 바닥면 일측에는 상기 돌출가이드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자전거용 신발의 페달결합부는,상기 페달의 체결부상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가이드되도록 비스듬한 방향으로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라인의 끝 부분에는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발과 페달의 견고한 결합에 의하여 자전거 운행에는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 신발로는 일반 보행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자에게 최적의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전거 전용신발의 모습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페달 및 이를 이용한 신발의 모습을 보인도.
도 3은 도2의 자전거 페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페달과 신발의 결합 모습을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페달의 일실시예의 모습을 보인도.
도 6는 도 5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페달과 신발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
도 7은 도 5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페달과 신발의 분리과정을 나타낸 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페달의 일실시예의 모습을 보인도.
도 9는 도 8의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을 보인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신발의 측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보행 겸용 자전거용 페달 을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페달 및 이를 이용한 신발의 모습을 보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페달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페달과 신발의 결합 모습을 보인 도이다.
먼저, 자전거용 신발을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의 자전거용 신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 바닥창의 저면에 클리트가 형성되어 있어 보행에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페단을 없애기 위하여 신발(400) 바닥창의 저면은 통상의 보행용 신발처럼 아무것도 없는 상태이며, 다만, 페달과 결합하기 위하여 바닥창의 전방 양측면에 페달과 결합,분리되는 페달결합부(41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페달결합부(410) 페달(100)에 결합시 페달(100)과 일체로 움직임이 가능해 자전거 주행이 용이하도록 하며, 분리시에는 보행용신발로 가능하도록 한다. 즉, 페달결합부(410)은 보행시 아무런 장애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단지 페달(100)과 결합시에만 그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자전거 페달(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페달(100)은 신발(400)의 바닥창 면이 안착되는 신발안착부(110)과 신발과 결합되는 체결부(120)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먼저, 신발안착부(110)은 통상의 페달과 마찬가지로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다만, 테두리 부분에 요철부(11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철부(112)는 신발(400) 바닥창면이 보다 페달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체결부(120)는 상술한 신발(400)의 페달결합부(410)과 결합,분리되는 부위로써 페달(100)의 양측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신발의 전방 내측면에 형성된 페달결합부(410)에 결합되는 내측면체결부(122)와 외측면 페달결합부(410)에 결합되는 외측면체결부(124)로 형성되며, 각각 체결부(122,124)상에는 서로 마주보는 돌출체결돌기(122a, 124a)가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체결돌기(122a, 124a)가 페달결합부(410)에 결합분리되어 페달과의 결합분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체결부(120)중에서 외측면체결부(124)는 약간 비스듬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신발의 구조에 기인한 것으로써, 신발의 구조상 발의 형상에 의하여 전방부분으로 갈수록 약간 라운드진 형상을 이루고, 특히 외측부분이 내측부분보다 더욱더 라운드진 형상을 이루므로, 이러한 라우드진 신발 측면구조에 대응하기 위하여 외측면체결부(124)는 비스듬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외측면체결부(124)는 신발외측 체결결합부(410)에 결합시 면과 면은 거의 수평면으로 맞닿게 되어 견고한 체결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페달(100)은 자전거결합부(100a)를 통하여 자전거의 페달축과 결합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자전거 전용신발의 클리트 구비 여부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이용가능해진다.
다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페달 및 신발의 분리 결합 및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신발(400)의 바닥창면이 페달(100)의 신발안착부(110)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신발의 내측면체결부(122)가 신발의 내측면에 형성된 페달결합부(410)에 결합되도록 하는데, 이때 내측면체결돌기(122a)가 페달결합부(410)상에 구비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상태에서 신발의 외측부분을 강제적으로 비틀어 가압하여 외측면체결부(124)의 외측면체결돌기(124a)가 강제적으로 외측면 페달결합부(4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경우 신발의 외측부위는 약간 라운드진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는 외측면체결부(124) 역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제적인 비틀림 가압으로 외측면체결돌기(124a)가 페달결합부(410)의 홈속으로 삽입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페달(100)의 신발안착부(110)상에 형성된 요 철부(112)가 신발(400)의 바닥창면에 밀착되어 미끄럼 방지 및 견고한 바닥창면과의 밀착을 이루게 하고, 내외측면체결부(122.124)상에 각각 형성된 체결돌기(122a124a)가 페달결합부(410)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신발(400)과 페달(100)은 일체를 이루게 되어 종래의 클리트 결합에 의한 주행과 동일한 역활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자전거 주행이 끝난후, 분리시에는 역으로 신발외측부분에 힘을 가하여 비틈으로써 외측면체결돌기(124a)가 페달결합부(410)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이후 신발(400)이 페달(100)과 분리되도록 하면 족할 것이다. 이렇게 분리된 상태에서는 신발 바닥창면은 일반 보행 신발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보행용 신발로 그대로 이용가능게 된다.
다음, 동일한 원리를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페달의 모습을 보인도이고, 도 6과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페달의 작동원리를 보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통상의 자전거페달의 양측면을 통하여 형성되는 체결부(300)에 의해 자전거신발(400)의 양측면을 고정 시킴으로써 페달과 신발의 견고한 결합에 의한 자전거 주행의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종래와 같이 신발 바닥면에 클리트의 형성이 불필요하므로 자전거 신발로 일반보행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페달(100)은 크게 신발안착부(200)와 체결부(300)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신발안착부(200)는 종래 자전거페달에서 신발 바닥면이 접하는 부위로써 중앙부분에 위치한다. 이러한 신발안착부(200)은 일반적인 페달 형태 그대로 이용가능하며, 후술하는 체결부(3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 결합되는 구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체결부(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체결부(300)는 자전거신발과 페달의 밀착 결합을 위한 구조로써 신발안착부(200)의 양측면을 통해 형성되도록 한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신발안착부(2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310)와, 신발안착부(200)의 중앙상면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부(320)으로 이루이진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단 내측방향으로 체결돌기(310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310)중 일측부재는 신발안착부(200)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결부재(312)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타측은 좌우방향으로 탄성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결부재(314)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탄성체결부재(314)의 좌,우방향의 탄성움직임으로 인하여 신발의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움직임은 상기 탄성체결부재(314)와 신발안부(200)의 측면 사이에 탄성스프링(314a)을 설치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다음, 상기 탄성체결부재(314)의 일면에서 신발안착부(200)을 가로질러 체결편(314b)이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편(314b)은 후술하는 스토퍼부(320)와 연결되어 신발의 결합,분리를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 스토퍼부(3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스토퍼부는 신발안착부(20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도록 하며, 중앙부분에 빈 공간부(322)가 형성되도록 하여 공간부(322)에는 상술한 체결편(314b)이 삽입 및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320)의 저면과 신발안착부(200)의 내면사이에 스토퍼스프링(324)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스토퍼스프링(324)에 의해 신발안착부(200)의 상면보다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페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전거에 안착한 후, 자전거신발(400)의 바닥면이 자전거페달면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신발(400) 바닥면으로 스토퍼(320)을 누름과 동시에 신발(400)의 일측면으로 탄성체결부재(314)를 강제적으로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신발(400) 바닥면이 신발안착부(200)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스토퍼(320)는 신발바닥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수축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탄성체결부재(314) 측으로 가한 힘을 해제할 경우, 탄성복원력으로 인하여 신발안착부(200)면 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때, 체결편(314b)이 스토퍼의 공간부(322)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체결부재(310)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돌기(312)는 신발(400)의 양측면을 고정하여 신발(400)과 페달(100)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는 신발(400)이 페달(100)과 일체화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클리트에 의한 신발과 페달의 결합과 동일한 역활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신발바닥면에 형성되 클리트가 페달면 상면에 결합되어 일체화 시키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체결돌기(312)가 신발(400)의 측면과 결합되어 페달(100)과 신발(400)을 일체화시킨다.
자전거 주행이 끝난 후, 분리되는 과정을 도7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400)의 일측면으로 강제적인 힘을 가하여 탄성체결부재(314)가 외측방향으로 밀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체결편(314b)은 스토퍼부(320)의 빈공간부(322)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신발(400)을 들어올리게 되면, 스토퍼스프링(324)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하여 스토퍼(320)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신발을 완전히 벗은 경우에는 탄성체결부재(314)의 체결편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스토퍼(320)의 일단에 의해 제지되는 상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전거 페달(100)에서 완전히 탈피된 신발(400)의 경우 바닥면에 별도의 돌출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보행 및 런닝등 일반적인 신발로써의 기능을 충분히 달 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범용적인 일반 신발의 사용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도2 내지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신발 전방양측면에 페달결합부(410)가 형성된 경우에도 당연히 사용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페달 결합부(410)이 형성된 경우에는 체결부(300)의 상측 부분에 형성된 돌출돌기가 페달결합부(410)의 홈속으로 결합되어 보다 단단한 결합을 이룰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의 탄력에 의한 강제 밀착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범용신발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데 주안점이 있을뿐이다.
다음은 도시한 도8 내지 도11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인 개념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지만, 보다 사용이 편리한 자전거페달 및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크게 세가지로 대별된다.
첫째, 페달과 신발의 안정적인 결합에 따른 원활한 자전거 주행을 위한 밀착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전거페달(100)의 신발안착부(110) 면상에 원호 형상의 돌출가이드(110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발(400)의 바닥면(420)상에 가이드홈(420a')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가이드(110a')가 가이드홈(420a')상에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신발(400)의 페달(100)에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자전거 주행중 신발바닥면(420)이 페달(100)의 신발안착부(110)면에 밀착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가이드(110a')는 신발(400)에서 엄지발가락이 위치되는 뒷부분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페달(100)의 주행중 힘을 가하는 부분일뿐만 아니라 신발(400)의 분리시에도 회전축의 중심역활을 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신발(400)의 바닥면(420)에 형성된 가이드홈(420a')는 오목한 형태로 제작되어 일 부분에만 존재하므로 평상시 보행은 아무런 지장이 없게 된다.
다음 둘째로 신발사이즈에 따른 길이 조정이 가능한 구조이다. 즉, 사람에 따라 신발의 사이즈는 다를 뿐만 아니라, 대체로 신발 사이즈가 증가할 수록 이에 따라 발등폭(신발의 가로폭)또한 크게 된다. 또한, 동일한 신발 사이즈라 할지라도 체형에 따라 발등의 구조가 다르며 이에 따른 신발폭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신발의 사이즈 및 체형에 따른 신발폭 변화에 맞쳐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페달(100)의 `신발안착부(110)에 놓여지는 신발(400)의 좌우 폭에 따른 폭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페달(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부(120')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중 내측면 체결부(122')측은 자전거에 고정되므로 외측면 체결부(124')가 신발의 폭방향으로 길이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면 족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체결부(124')는 외측면체결돌기(124a')가 결합된 결합축(124b')이 페달(100)의 내부에서 외부측으로 임의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나사산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페달(100)의 내부면에 삽입된 결합축(124b')의 외면 일측에는 나사산 탭(a)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는 페달(100) 내부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 탭(b)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결합축(124b')을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축(124b')은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임의의 신발폭에 따라 길이조정이 이루어질 수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결합구조에 따라 스토퍼 등을 이용하여 일정길이에 도달한 후, 고정시키는 것은 잘 알려진 여러가지 방법으로 가능할 것이다. 일 예를 들어 페달(100)의 외측 일면을 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 내부를 통하여 스토퍼를 설치하고 이러한 스토퍼가 결합축(124b')을 고정시키면 족할 것이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결합축(124b')의 고정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세번째로 신발의 체결결합 및 분리를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측면체결부(124')가 탄성체결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스프링을 이용하여 외측면체결부(124b')가 탄성체결을 이루는 것과 거의 동일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탄성스프링(126')이 페달(1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외부의 요인에 의한 파손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외측면체결돌기(124a')와 일체로 연결된 지지바(125')가 외측면결합축(124b')의 내부로 관통설치되고, 지지바(125')의 외면둘레에 탄성스프링(126')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바(125')와 일체로 움직이는 외측면체결돌기(124a')는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탄성스프링(126')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신발(400)을 페달(100)에 결합시키기 위해 인위적으로 신발(400)의 측면을 통해 힘을 가함에 따라 외측면체결돌기(124a')가 외측으로 밀려나고, 체결돌기(124a')가 신발의 페달결합부(410')에 삽입시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네번째로 신발(400)의 페달결합부(410')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페달과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도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결합부(410')에 전체적으로 약간 비스듬히 경사지게 가이드라인(412')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라인(412')의 최 내측 부분에 체결돌기(122a'.124a')가 삽입되는 체결홈(414')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신발(400)을 페달(100)에 결합시, 체결돌기(122a'.124a')가 페달결합부(410')의 가이드라인(412')의 끝부분 닿이게 한 상태에서 약간의 힘을 가하여 비틀게 되면, 탄성스프링(126')의 작동에 따라 체결돌기(122a'.124a')가 가이드라인(412')을 따라 쉽게 움직이며, 체결홈(414')에 체결돌기(122a'.124a')가 쉽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탄성스프링(126')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하여 신발(400)이 페달(100)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벗을 경우 역시 사용자가 임의로 신발을 비틀게 되면 자연스럽게 체결홈(414')에서 체결돌기(122a'.124a')가 빠져나오게 되고, 가이드라인(412')를 따라 움직여 쉽게 벗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전거페달의 양측면을 통하여 신발양측면과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여 결합분리되는 기능을 위한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자전거 페달 110 : 신발안착부
110a': 돌출가이드 112 : 요철부 120,120': 체결부 122,122' : 내측면체결부 122a: 내측면체결돌기 124: 외측면체결부 124a,124a': 외측면체결돌기 124b': 결합축
100a: 축결합부 125': 지지바 126' : 탄성스프링 a, : 나사산탭
b : 나사산 탭 200: 신발안착부
300: 체결부 310:체결부재
312: 고정체결부재 312a: 탄성스프링
314: 탄성체결부재 314a: 탄성스프링
314b: 체결편 400 : 신발
410,410' :페달결합부 412': 가이드라인
414':체결홈 420a':가이드홈

Claims (12)

  1. 신발이 페달과 결합 분리되는 자전거 페달에 있어서,
    신발바닥면 안착되는 신발안착부와;
    상기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페달에 놓여지는 신발의 전방 양측면에 체결부가 결합분리되어 페달과 결합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페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체결돌기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내측면체결부와 외측면체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페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체결부는,
    비스듬히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페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신발안착부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와 결합,분리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페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빈공간부와;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신발안착부의 면을 통하여 형성되는 스토퍼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신발안착부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상단 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고정체결부재와;
    신발안착부의 타측면을 통해 형성되고 상단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되며 좌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빈공간부에 결합분리되는 체결편이 구비된 탄성체결부재;로 이루어져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체결편이 빈공간부에 결합되어 체결돌기가 신발양측면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페달.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결합분리되도록 전방 양측면에 페달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신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신발의 페달결합부는,
    상기 페달의 체결부상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신발.
  8. 신발이 페달과 결합 분리되는 자전거 페달에 있어서,
    신발바닥면이 안착되는 신발안착부와;
    상기 신발안착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향 돌출된 원호형상의 돌출가이드;
    상기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페달에 놓여지는 신발의 전방 양측면에 체결부가 결합분리되어 페달과 결합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페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신발안착부의 양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체결돌기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내측면체결부와 외측면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외측면 체결부는 폭방향으로 임의의 길이조정이 이루어지고, 가해지는 외력에 따른 탄성복원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페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체결부는,
    페달의 내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골이 일측외면에 형성되어 나사산의 조정에 따라 길이조정이 이루어지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내부에 위치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외면에 탄성스프링이 구비된 지지바와;
    일측 중앙을 통하여 상기 지지바와 결합 연결되고, 상기 결합축에 접면하는 체결돌기;로 구성되어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탄성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지지바의 움직임에 따라 체결돌기가 탄성복원 이동되고, 나사산의 조정에 따라 결합축의 길이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페달.
  11. 제8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결합분리되도록 전방 양측면에 페달결합부가 형성되고, 바닥면 일측에는 상기 돌출가이드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신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용 신발의 페달결합부는,
    상기 페달의 체결부상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가이드되도록 비스듬한 방향으로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라인의 끝 부분에는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신발.
KR1020130060311A 2012-05-29 2013-05-28 자전거 페달 및 이를 결합한 신발 KR201301336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20 2012-05-29
KR20120056920 2012-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683A true KR20130133683A (ko) 2013-12-09

Family

ID=4998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311A KR20130133683A (ko) 2012-05-29 2013-05-28 자전거 페달 및 이를 결합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36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5965A1 (ja) * 2016-02-22 2017-08-31 三上 亮 着脱式歩行兼円駆動可能自転車ペダル機構
KR20200003979A (ko) * 2018-07-03 2020-01-13 이종훈 안전한 자전거 클릿 페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5965A1 (ja) * 2016-02-22 2017-08-31 三上 亮 着脱式歩行兼円駆動可能自転車ペダル機構
KR20200003979A (ko) * 2018-07-03 2020-01-13 이종훈 안전한 자전거 클릿 페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87288A1 (ja) 簡易着脱履物
US20080040949A1 (en) Sand walking sandal
US20130025165A1 (en) Attaching objects to footwear
US9775400B2 (en) Foot arch support device
KR101178603B1 (ko) 자전거용 신발
KR20130133683A (ko) 자전거 페달 및 이를 결합한 신발
KR100911759B1 (ko) 바퀴달린 신발
KR101551484B1 (ko) 샌들
US20090260261A1 (en) Over-the-shoe dance tap attachment
KR102091830B1 (ko) 기능성 신발 및 신발용 기능성 유닛
US20180035745A1 (en) Fastening device and kit, especially for interchangeable fashion footwear
CN203860555U (zh) 一种拉丁舞鞋
KR100693282B1 (ko) 탈착 가능한 뒷굽이 구비된 신발
KR20110006305U (ko) 패션 샌들
KR200457284Y1 (ko) 신발용 뒤축 보조구
CN112407132B (zh) 一种高安全性的自行车踏板系统
KR101498683B1 (ko) 샌들
KR101900613B1 (ko) 기능성 신발 및 신발용 기능성 유닛
KR101936233B1 (ko) 회전 기능을 갖는 신발
KR20100030224A (ko) 신발 바닥의 구조
KR101652234B1 (ko) 착탈 가능한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신발
KR20150012829A (ko) 미끄럼방지수단이 탈착 가능한 신발
KR200471091Y1 (ko)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TWI543716B (zh) Both cycling efficiency and walking comfort soles
JP3107586U (ja) 履き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