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623A - 광섬유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섬유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3623A KR20130133623A KR1020120057024A KR20120057024A KR20130133623A KR 20130133623 A KR20130133623 A KR 20130133623A KR 1020120057024 A KR1020120057024 A KR 1020120057024A KR 20120057024 A KR20120057024 A KR 20120057024A KR 20130133623 A KR20130133623 A KR 201301336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rrule
- optical fiber
- coupled
- hook
- adap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1—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grooves to align ferrule en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어댑터의 내부에 걸리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섬유를 포함하는 페룰(ferrule)에 결합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는 페룰에 연결된 프레임만으로 케이블 커넥터를 어댑터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룰을 어댑터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원가 및 제조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는 페룰에 연결된 프레임만으로 케이블 커넥터를 어댑터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룰을 어댑터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원가 및 제조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섬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의 전송매체인 광섬유의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광커넥터는 각종 통신기기, 정밀계측기, 오디오 및 비디오기기, 센서 등의 광링크에 널리 사용된다.
상기 광커넥터는 서로 다른 광섬유들을 상호 손쉽게 분리, 접속할 수 있고 여러 차례 반복 접속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현재 광섬유 분배반이나 광단국 장치와 광선로 연결시 또는 광섬유 케이블간의 연결시에 사용되거나 광측정기 등의 입출력 단자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광커넥터는, 광섬유가 위치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의 후단부에 결합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덮어씌워서 상기 페룰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스톱퍼와, 상기 페룰의 후단부와 상기 스톱퍼의 전단부 외주를 덮어씌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덮어씌우는 하우징과, 상기 스톱퍼 외부로 노출된 페룰이 결합되는 심선안내부와, 상기 심선안내부의 외부를 덮어씌우는 부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광커넥터의 구성 요소가 다수개로 이루어져 광커넥터의 제조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구성 요소들이 많음으로 인해 광커넥터의 조립에 따른 시간이 증가하였다.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한 광섬유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는, 어댑터의 내부에 걸리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섬유를 포함하는 페룰(ferrule)에 결합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광섬유 커넥터는 상기 페룰에 고정되어 있고 광섬유를 상기 페룰로 가이드 하며 상기 프레임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베이스는, 상기 페룰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광섬유를 상기 페룰로 가이드 하는 심선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페룰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면에 상기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와 이웃하며 상기 어댑터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몸체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일면과 상기 연결부의 일면은 서로 접하며, 서로 접하는 상기 몸체와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는 훅과 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훅이 상기 훅홈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연결부가 결합될 수 있다.
서로 접하는 상기 몸체와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훅과 상기 훅홈과 이웃하는 기준 돌기와 기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 돌기가 상기 기준 홈에 결합되면서 상기 훅이 상기 훅홈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어댑터의 내부 바닥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 부분에는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커넥터는 상기 어댑터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가 걸리는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을 가압하여 벌리는 조립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툴은,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내부로 상기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을 가압하는 지그 및 상기 지그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룰에 연결된 프레임만으로 케이블 커넥터를 어댑터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룰을 어댑터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원가 및 제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룰에 연결된 프레임만으로 케이블 커넥터를 어댑터에 고정하게 되면서 케이블 커넥터와 어댑터의 조립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가 어댑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가 어댑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가 어댑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가 어댑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가 어댑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가 어댑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가 어댑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300)는 어댑터((100)도 5 참조)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광섬유(1)를 연결하는 것으로, 광섬유(1)가 위치하는 페룰(200)에 결합되고 광섬유(1)를 페룰(200)로 안내하는 고정 베이스(310), 페룰(200)에 위치하여 고정 베이스(310)에 고정되며 어댑터의 내부에 걸리는 프레임(320), 그리고 프레임(320)을 어댑터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어댑터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하는 조립툴(330)을 포함한다.
먼저, 도 5를 참고하여 어댑터(100)를 설명하면, 어댑터(100)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 홈(111)이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원관부(120), 그리고 본체(110) 내부에 위치하고 원관부(120) 양측에 위치한 걸림턱(130)을 포함한다. 원관부(120) 양측에 위치한 걸림턱(130)은 2개 1조로 이루어져 원관부(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한다. 아울러, 걸림턱(130)은 원관부(120)와 본체(110)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걸림턱(130)은 탄성력을 갖는다. 탄성력을 갖는 걸림턱(130)을 본체(110)의 내부면 방향으로 가압하면 걸림턱(130)은 본체(110) 내부면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페룰(200)은 광섬 접속 정렬(alignment)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페룰(200)은 스테인리스강, 폴리머 또는 세라믹계인 산화알루미늄이나 산화지르코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페룰(20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광섬유(1)가 위치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페룰(20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페룰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 베이스(310)는 페룰(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고정 베이스(310)는 연결부(311) 및 심선 가이드부(312)를 포함한다.
연결부(311)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연결부(311)의 관통된 내부로 페룰(200)의 일측 단부 일부분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페룰(200) 일측 단부는 연결부(311)의 개방된 일측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연결부(311)와 페룰(200) 일측 단부를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311)의 외부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의 훅홈(311a)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홈(311b)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훅홈(311a)과 기준 홈(311b)은 연결부(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심선 가이드부(312)는 연결부(311)에 결합되어 있다. 심선 가이드부(312)의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심선 가이드부(312) 내부로 광섬유(1)가 삽입되어 있다. 심선 가이드부(312)의 내부로 삽입된 광섬유(1)의 심선은 페룰(20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심선 가이드부(312)를 통과하는 광섬유(1) 부분은 접착제(도시하지 않음) 따위로 심선 가이드부(312)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한편, 심선 가이드부(312)와 광섬유(1)의 일부분은 부트 부재(312a)가 감싸고 있다. 부트 부재(312a)는 심선 가이드부(312)와 광섬유(1)의 연결 부분이 단선되지 않도록 광섬유(1)를 보호한다.
이와 같은 고정 베이스(310)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프레임(320)은 페룰(200)을 본체(110)의 내부에 고정하는 것으로, 몸체(321), 고정부(322), 가이드 돌기(323), 그리고 지지부(324)를 포함한다.
몸체(321)는 본체(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몸체(321)의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몸체(321)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321)의 관통된 내부로 페룰(200)이 관통한다.
몸체(321)의 일면과 연결부(311)의 일면은 서로 접한다. 몸체(321)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훅홈(311a)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훅(321a)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홈(311b)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돌기(321b)가 돌출되어 있다. 훅(321a)과 기준 돌기(321b)는 몸체(3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훅(321a)의 단부 야측은 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훅(321a)의 단부 중앙 부분은 분할되어 벌어져 있다. 벌어진 훅(321a)의 단부가 좁혀지는 경우 탄성력이 발생한다. 벌어진 훅(321a)의 단부는 간격이 좁혀지면서 훅홈(311a)을 관통할 수 있다. 훅홈(311a)을 관통한 훅(321a)의 단부는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벌어지며 구부러진 부분은 연결부(311)의 타면에 걸리게 된다. 훅(321a)이 연결부(311)의 타면에 걸리게 되면 훅(321a)의 단부 부분이 벌어지면서 발생한 탄성력에 의하여 몸체(321)는 고정 베이스(310)의 연결부(311)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다.
기준 돌기(321b)는 기준 홈(311b)에 결합된다. 기준 돌기(321b)는 훅(321a)이 훅홈(311a)에 결합될 때 훅(321a)이 훅 홈(311a)에 반듯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아울러, 기준 돌기(321b)는 기준 홈(311b)의 결합으로 훅(321a)의 비틀림을 보강한다. 한편, 기준 돌기(321b)가 기준 홈(311b)에 결합될 때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기준 돌기(321b)의 단부가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단부는 연결부(311)의 타면에 걸릴 수 있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가이드 돌기(323)는 몸체(321)의 외부 둘레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몸체(321)가 본체(110) 내부로 삽입될 때 가이드 돌기(323)는 가이드 레일 홈(111)에 결합된다. 가이드 돌기(323)는 몸체(321)가 본체(110) 내부로 삽입될 몸체(321)가 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 돌기(323)는 몸체(321)가 본체(110) 내부로 반듯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고정부(322)는 가이드 돌기(323)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고정부(322)는 몸체(321)의 외부 둘레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고정부(322)는 몸체(321)가 본체(110) 내부로 삽입될 때 서로 마주하는 걸림턱(130)을 본체(110)의 내부면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고정부(322)에 의하여 서로 마주하는 걸림턱(130)는 그 사이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고정부(322)가 걸림턱(130)의 단부를 관통하면 벌어진 고정부(322)는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322)는 걸림턱(130)의 단부에 걸리게 된다. 고정부(322)가 걸림턱(130)의 단부에 걸리므로 몸체(321)는 본체(110)의 내부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지지부(324)는 몸체(321)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 돌기(323)와 마주한다. 지지부(324)는 몸체(321)를 본체(110) 내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즉, 지지부(324)는 몸체(321)가 본체(110)의 중심에서 치우치지 않고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몸체(321)의 훅(321a)이 페룰(200)에 결합되거나, 몸체(321)가 페룰(200)에 직접 결합될 경우 고정 베이스(310)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베이스(310)가 생략되면 부트 부재(312a)는 페룰(200)과 광섬유(1)의 연결 부분을 감싼다.
조립툴(330)은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걸림턱(130)의 간격을 벌리는 것으로 지그(331) 및 파지부(332)를 포함한다.
파지부(33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파지부(332)는 작업자가 잡을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332)의 일측에는 지그(331)가 형성되어 있다.
지그(331)는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지그(331)의 내부로 페룰(200), 프레임(320), 그리고 고정 베이스(310)가 위치하며 부트 부재(312a)는 파지부(332) 부분에 위치한다.
한편, 지그(331) 내부에 위치한 프레임(320)의 고정부(322), 가이드 돌기(323), 그리고 지지부(324)가 지그(331)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지그(331)의 상면, 저면, 그리고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지그(331)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지그(331)는 한 쌍의 걸림턱(130) 사이로 삽입된다. 지그(331)의 좌우 폭이 한 쌍의 걸림턱(130) 간격 보다 크게 형성되어 걸림턱(130)을 본체(110)의 내부면 방향으로 가압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광섬유 커넥터의 작용을 도 4 내지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다시 참고하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가 어댑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광섬유 커넥터가 어댑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고하면, 광섬유 커넥터(300)를 어댑터(100)에 결합하기 위하여 프레임(320)을 조립툴(330)의 지그(331) 내부로 위치시킨다. 이때 프레임(320)의 가이드 돌기(323)는 지그(33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부트 부재(312a)는 파지부(332)에 위치하게 된다.
작업자가 부트 부재(312a)와 파지부(332)를 함께 파지한 상태에서 프레임(320)이 수용된 지그(331)를 어댑터(100)의 본체(110)의 일측에서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가이드 돌기(323)가 가이드 레일 홈(111)에 위치하게 된다. 지그(331)가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면 가이드 돌기(323)는 가이드 레일 홈(11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페룰(200)이 지그(331)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원관부(120)를 향하여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다.
지그(331)를 본체(110) 내부로 삽입하면 지그(331)의 선단부는 걸림턱(130)에 접하게 된다. 이때 지그(331)의 폭이 걸림턱(130)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지그(331)는 걸림턱(130)을 본체(110) 내부면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걸림턱(130)의 간격은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걸림턱(130)이 벌어진 간격은 몸체(321) 양측에 위치한 고정부(322)의 간격보다 더 벌어지게 된다. 벌어진 한 쌍의 걸림턱(130)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한다.
지그(331)를 본체(110) 내부로 지속적으로 삽입하게 되면 페룰(200)은 원관부(120) 내부로 삽입되고 원관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이 몸체(321)의 관통된 내부로 삽입되면서 프레임(320)은 본체(110) 내부에 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그(331)를 당기게 되면 지그(331)는 본체(110) 내부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걸림턱(130)은 벌어지면서 발생한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고정부(322)는 걸림턱(1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걸림턱(130)에 걸리게 된다. 고정부(322)가 걸림턱(130)에 걸리게 되면서 가 고정된 프레임(320)은 본체(110)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320)이 본체(11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부(324)가 몸체(321)를 본체(110)의 내부에서 지지하게 때문에 몸체(321)가 기울여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원관부(120)와 페룰(200)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체(110)의 타측에서 프레임(320)을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시켜 이웃한 광섬유(1)를 서로 연결한다.
한편, 본체(110) 내부에 고정된 프레임(320)을 분리해야 할 경우 지그(331)를 본체(110) 내부로 삽입시켜 걸림턱(130)의 간격을 벌린다. 걸림턱(130)이 벌어지면서 고정부(322)를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트 부재(312a)와 파지부(332)를 잡고 지그(331)를 당기게 되면 프레임(320)은 본체(110)의 내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광섬유
100: 어댑터
110: 본체 111: 가이드 레일 홈 120: 원관부 130: 걸림턱
200: 페룰
300: 커넥터
310: 고정 베이스 311: 연결부 311a: 훅홈 311b: 기준 홈 312: 심선 가이드부 312a: 부트 부재
320: 프레임 321: 몸체 321a: 훅 321b: 기준 돌기 322: 고정부 323: 가이드 돌기 324: 지지부
330: 조립툴 331: 지그 332: 파지부
100: 어댑터
110: 본체 111: 가이드 레일 홈 120: 원관부 130: 걸림턱
200: 페룰
300: 커넥터
310: 고정 베이스 311: 연결부 311a: 훅홈 311b: 기준 홈 312: 심선 가이드부 312a: 부트 부재
320: 프레임 321: 몸체 321a: 훅 321b: 기준 돌기 322: 고정부 323: 가이드 돌기 324: 지지부
330: 조립툴 331: 지그 332: 파지부
Claims (9)
- 어댑터의 내부에 걸리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섬유를 포함하는 페룰(ferrule)에 결합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 제1항에서,
상기 페룰에 고정되어 있고 광섬유를 상기 페룰로 가이드하며 상기 프레임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 제2항에서,
상기 고정 베이스는,
상기 페룰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광섬유를 상기 페룰로 가이드하는 심선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 제3항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페룰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면에 상기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와 이웃하며 상기 어댑터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몸체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
를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 제4항에서,
상기 몸체의 일면과 상기 연결부의 일면은 서로 접하며,
서로 접하는 상기 몸체와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는 훅과 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훅이 상기 훅홈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광섬유 커넥터. - 제5항에서,
서로 접하는 상기 몸체와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훅과 상기 훅홈과 이웃하는 기준 돌기와 기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 돌기가 상기 기준 홈에 결합되면서 상기 훅이 상기 훅홈에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광섬유 커넥터. - 제4항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어댑터의 내부 바닥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 부분에는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 제1항에서,
상기 어댑터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가 걸리는 상기 어댑터의 걸림턱을 가압하여 벌리는 조립툴을 더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 제8항에서,
상기 조립툴은,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내부로 상기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을 가압하는 지그 및
상기 지그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7024A KR101411581B1 (ko) | 2012-05-29 | 2012-05-29 | 광섬유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7024A KR101411581B1 (ko) | 2012-05-29 | 2012-05-29 | 광섬유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3623A true KR20130133623A (ko) | 2013-12-09 |
KR101411581B1 KR101411581B1 (ko) | 2014-06-25 |
Family
ID=4998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7024A KR101411581B1 (ko) | 2012-05-29 | 2012-05-29 | 광섬유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158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2960B1 (ko) * | 2016-06-30 | 2018-07-30 | 일신광통신 (주) |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77572B2 (ja) | 2002-05-27 | 2006-05-24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光コネクタプラグ |
KR100502196B1 (ko) | 2005-02-03 | 2005-07-21 | 오리온광통신(주) | 광섬유 커넥터용 페룰홀더 |
JP5411006B2 (ja) | 2010-01-21 | 2014-02-12 |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 光コネクタ用簡易プラグ |
KR20120001125A (ko) * | 2010-06-29 | 2012-01-04 | 주식회사 골드텔 | 현장 조립용 광 어댑터 |
-
2012
- 2012-05-29 KR KR1020120057024A patent/KR10141158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1581B1 (ko) | 2014-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18979B2 (ja) | 光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レセプタクルハウジング、光コネクタアダプタ、アダプタハウジング | |
KR100797652B1 (ko) | 광 컨넥터 및 광섬유 케이블 조립방법 | |
CN102928931B (zh) | 光纤连接器及其安装工具 | |
US8905649B2 (en) | Optical fiber terminal fixing member,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fiber cable with connector | |
KR101469804B1 (ko)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KR101065079B1 (ko) |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 |
KR20170047462A (ko)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JP4278148B2 (ja) | 2芯コネクタユニット | |
US20130251310A1 (en) | Connector for ribbon optical fiber | |
KR101411581B1 (ko) | 광섬유 커넥터 | |
KR101180962B1 (ko) | 현장 접속형 광섬유 커넥터 | |
KR101051119B1 (ko) |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 |
KR101132835B1 (ko) | 광 커넥터 | |
KR20160011739A (ko) | 이중 구조를 갖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KR101792554B1 (ko)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KR200450506Y1 (ko) | 광커넥터 및 심선 연결용 툴 | |
KR101998375B1 (ko) | 광 커넥터 | |
JP5716007B2 (ja) | 成端処理用キ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成端方法 | |
KR100970441B1 (ko)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JP5415905B2 (ja) | 二芯光コンセント | |
KR100748560B1 (ko) | 광섬유 접속장치 | |
KR20100048952A (ko)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CN110941054B (zh) | 可现场组装的光纤连接器 | |
JPH08240746A (ja) | 光多芯コネクタ | |
KR20110037341A (ko) | 광섬유 접속용 기계식 접속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