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551A - A feeding roller unit - Google Patents
A feeding roller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3551A KR20130133551A KR1020120056896A KR20120056896A KR20130133551A KR 20130133551 A KR20130133551 A KR 20130133551A KR 1020120056896 A KR1020120056896 A KR 1020120056896A KR 20120056896 A KR20120056896 A KR 20120056896A KR 20130133551 A KR20130133551 A KR 20130133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coupled
- roller
- support shaft
- conveying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8—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guiding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16C13/022—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 F16C13/024—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adjustable for positioning, e.g. radial movable bearings for controlling the deflection along the length of the roll mantl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조 반송롤러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substrate, GLASS)을 반송시 처짐을 방지하면서 반송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보조 반송롤러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for supporting a substrate (substrate, GLASS) to be transported while preventing the sag during conveyance.
기판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며,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 PDP(플라즈마 표시장치)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다.The substrate is applied to various products, for example, to flat panel display devices such as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상기와 같은 장치에 채용되는 기판은 다양한 반도체 공정을 거쳐서 최종 제품으로 생산되는데, 각각의 반도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반송롤러 유닛에 의해 이송된다.The substrate employed in the above apparatus is produced as a final product through various semiconductor processes, and is transported by a conveying roller unit to perform each semiconductor process.
일 예로서, 기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반송롤러는 통상 상부 및 하부 반송롤러가 서로 마주하여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부 및 하부 반송롤러의 지지축은 기어열에 의해 서로 동시에 회전구동되도록 연결됨으로써, 회전시 그들 사이로 기판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a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a substrate is usually install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rotate to face each other, and the support shafts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are connected to rotate at the same time by means of gear trains, so as to rotate between them.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substrate.
상기와 같은 상부 및 하부 반송롤러 각각에는 기판의 이송시 마찰력을 제공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기판의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 및 수지계열의 재질로 된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Each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rollers may be provided with an O-ring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a resin-based material so as to provide a frictional force during transport of the substrate to prevent slippage and to smoothly transport the substrate without damaging the substrate. have.
또한, 기판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조 반송롤러 유닛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 반송롤러에도 기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오링 또는 별도의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may be further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sagging of the substrate, and an O-ring or a separate support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ubstrate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보조 반송롤러는 반송롤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지축에 설치되므로, 오랜 시간 사용시 새것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반송롤러를 분리한 뒤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그 보조 반송롤러에 설치되는 오링의 경우에도 새것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반송롤러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By the way,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conveying rollers, in order to replace with a new one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was a hassle to separate the conveying roller after mount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O-ring installed on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there was a need to separate the conveying roller in order to replace it with a new one.
따라서, 오링은 물론, 보조 반송롤러를 새것으로 교체하는데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이 번거롭게 되어 매우 비효율적이며, 교체작업 동안에는 반송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중단시켜야 하므로, 그 사이에 기판의 생산을 멈추게 되므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Therefore, the O-ring, of course, takes a long time to replace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with a new one, becomes cumbersome, very inefficient, and the conveying system must be completely stopped during the replacing process, thus stopping the production of the substrate in the meantime, thus improving productivity. It is a factor of deterioration.
또한, 오링 및 보조 반송롤러를 교체한 후에는 다시 분리했던 부품 및 장치들을 다시 체결하여 조립하여야 하고, 부품들의 결합위치 및 체결상태를 다시 점검하고 세팅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after replacing the O-ring and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the parts and devices that have been separated must be reassembled and assembled, and there is a hassle of checking and setting the coupling position and the fastening state of the parts aga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보조 반송롤러 유닛의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보조 반송롤러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 반송롤러 유닛은, 지지축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형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지지편을 가지는 지지판부재와; 상기 지지판부재의 양측을 각각 밀착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반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롤러는, 상기 지지축을 감싸서 결합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반원형상을 가지며, 양단 각각에 결합부를 가지는 한 쌍의 롤러 몸체; 상기 한 쌍의 롤러 몸체의 서로 접하는 결합부들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 및 상기 롤러 몸체가 상기 지지축에 대해 위치고정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plate member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shaft, having a pair of support pieces detachable and coupl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the support shaft therebetween; And a pair of transport rollers detachably mounted to the support shaft to support the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member, respectively, wherein the transport rollers have semicircular shap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support shaft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 pair of roller bodies having engaging portions therein; A fastening member for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pair of roller bodi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oller body to be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여기서, 상기 롤러 몸체의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공이 관통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crew hole is preferably form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between the two ends of the roller body so that the fixing member is screwed.
또한, 상기 지지편 각각의 일단부는 단차지게 형성되며, 돌출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로킹돌기를 가지며, 상기 지지편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와 상보적으로 접합되어 결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돌기가 로킹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로킹홀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one end of each of the support pieces is formed stepped, and has one or more locking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upport pieces is formed stepped to be joined and bonded complementary to the one end,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locking holes are formed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s are locked.
또한, 상기 로킹돌기 및 상기 로킹홀은 복수 형성되며, 복수의 로킹돌기 및 로킹홀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hole may be formed in plura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nd the locking hole may have a different siz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보조 반송롤러 유닛은, 지지축에 결합되며, 서로 분리 및 결합가능하도록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롤러 몸체 및, 상기 한 쌍의 롤러 몸체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가지는 반송롤러와; 상기 반송롤러의 외주에 환형으로 인입 형성되는 오링장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air of roller body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having a symmetrical shape to be separat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pair of roller body A conveying roller having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asten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O-ring detachably mounted in the O-ring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annular inle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veying roller.
여기서, 상기 오링은, 서로 단절되고 단차진 형상의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양단부들의 결합면들이 서로 상보적으로 마주하여 결합 가능한 오링 몸체와; 상기 오링 몸체의 양단부 각각의 결합면들이 상보적으로 마주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양단부를 체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은 상기 오링 몸체의 단부들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단부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에서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부들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와; 상기 단부들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과한 반대편 연결부재의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돌기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링 몸체의 단부의 측면에는 상기 안착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이 좋다.
Here, the O-ring, the O-ring body which has both ends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nd the stepped shape, the coupling surfaces of the both end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coupled; And a connecting member for fastening the both ends so that the coupling surfaces of each of both ends of the O-ring body complementarily face each other, and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air, each of which has end portions of the O-ring body.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ends in directions overlapping each other with the ends interposed therebetween in an overlapping state; And a projection fastening hole into which a coupling protrusion of the opposite connection member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at the ends is inserted, and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wherein the side surface of the end of the O-ring body includes: It is preferable that a seating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inserted and moun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송롤러 유닛에 의하며, 종래와는 달리 보조 반송롤러 유닛을 지지축에서 분리하여 교환 장착할 경우, 지지축에 연결된 각종 부품 및 장치들을 분리할 필요 없이, 보조 반송롤러를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할 수 있게 된다.By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when the secondary conveying roller unit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shaft to replace the mounting,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the various components and devices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It can be easily removed and mounted.
따라서 교체작업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시스템의 가동중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the replacement work can be reduced, and the downtime of the system can be shortened, thereby reducing the replacement cost and preventing productivity loss.
또한, 새로 보조 반송롤러 유닛을 장착한 후에, 종래와 같이 장치 및 부품들을 세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is newly mounted, there is no need to set up the apparatus and parts as in the prior art, thereby saving time and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송롤러 유닛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반송롤러 유닛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송롤러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송롤러 유닛이 지지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송롤러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오링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송롤러 유닛이 지지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반송롤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반송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반송롤러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지지판부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판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송롤러 유닛을 지지축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지지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illustrated in FIG. 1.
3 is a sid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conveying roller shown in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ring shown in FIG. 5.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ort roller shown in FIG. 9;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conveying roller shown in FIG. 10.
1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ying roller shown in FIG. 10.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upport plate member illustrated in FIG. 9.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late member shown in FIG. 13.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on the support sha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plate member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송롤러 유닛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uxiliary conveying roll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송롤러 유닛(10)은, 지지축(1)의 외주에 결합되는 반송롤러(20)와, 반송롤러(20)의 외주에 결합되는 오링(30)을 구비한다.1 to 8, the auxiliary
상기 반송롤러(20)는 지지축(1)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롤러 몸체(21,22)와, 롤러몸체(21,2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23)를 구비한다. 한 쌍의 롤러몸체(21,22)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지지축(1)이 결합되는 중공부(20a)를 중심으로 1/2로 각각 대칭되도록 분리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롤러 몸체(21,22) 각각의 외주에는 체결부재(23)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21a,22a)가 형성된다. 결합부(21a,22a)는 롤러 몸체(21,22)에 한 쌍씩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23)에 의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3)는 결합부(21a,22a)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veying
또한, 상기 롤러 몸체(21,22)의 외주에는 오링(30)이 장착되는 오링 장착 홈(25)이 형성된다. 오링 장착 홈(25)은 롤러 몸체(21,22)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되게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상기 오링(3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 몸체(31)와, 오링 몸체(31)의 서로 단락된 단부들(31a,31b)에 형성된 결합면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들(33)을 구비한다. 오링 몸체(31)는 단락된 단부들(31a,31b)이 서로 소정 길이 겹쳐진 상태로 연결부재들(33)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단부들(31a,31b)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진 구성을 가진다. 또한, 단부들(31a,31b) 각각에는 연결부재들(33)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h1,h2)이 복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오링 몸체(31)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재들(33)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홈(h3)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6 to 8, the O-
상기 연결부재(33)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은 오링 몸체(31)의 단부들(31a,31b)이 도 7과 같이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단부들(31a,31b)을 사이에 두고 반대 방향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단부들(31a,31b)의 결합공(h1,h2)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부재(33)는 상기 안착홈(h3)에 대응되는 형상 및 두께로 형성되는 안착부(33a)와, 안착부(33a)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h1,h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33b) 및 안착부(33a)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h1,h2)을 통과하여 반대편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돌기 체결공(33c)을 가진다.The connecting
따라서, 오링(30)을 원형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연결부재(33)를 이용하여 단부들(h1,h2)을 체결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부재(33)에 의해 단부들(h1,h2)이 감싸여진 상태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오링(30)을 도 1 및 도 2와 같이 반송롤러(20)의 외주에 형성된 오링장착홈(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부재(33)로 체결함으로써, 반송롤러(20)의 분리장착 없이도 용이하게 오링(30)을 교환 장착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ends h1 and h2 are fastened by using the connecting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보조 지지롤러 유닛(10)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의 외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하다가, 오랜 시간 사용하여 새것으로 교환해주어야 할 경우에는, 오링(30)을 연결부재(33)를 오링몸체(31)에서 분리하거나, 커터 등으로 절단함으로써 반송롤러(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반송롤러(20)는 상기 체결부재(23)를 풀어서 제거함으로써, 롤러 몸체들(21,22)을 지지축(1)에서 분리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uxiliary
그리고 새로운 보조 지지롤러 유닛(10)을 지지축(1)에 장착할 경우에는, 롤러 몸체(21,22)를 지지축(1)의 외측을 감싸도록 위치시켜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23)를 이용하여 지지축(1)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반송롤러(20)의 외주에 형성된 오링장착홈(25)에 오링(30)을 가 장착한 후에, 서로 단락된 단부들(h1,h2)을 연결부재(33)로 연결함으로써, 오링(30)이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 지지롤러 유닛(10)을 지지축(1)에서 분리 및 장착하는 동작은 종래와는 달리 지지축(1)의 양단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을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교환 장착에 따른 시간을 절약하고, 공장 가동중단 시간을 단축시켜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new auxiliary
또한, 보조 지지롤러 유닛(10)을 교환장착한 후에, 지지축(1)에 연결되고 구동하는 장치들을 새롭게 세팅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fter replacing the auxiliary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송롤러 유닛(100)은, 지지축(1)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판부재(110)와, 지지판부재(110)의 양측을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120)를 구비한다.9 to 15, the conveying
상기 지지판부재(11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넛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지지축(1)이 결합되는 중공(111)을 가진다. 이러한 지지판부재(110)는 서로 소위 원터치 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지지편(112,113)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편(112,113) 각각의 일단부(112a,113a)는 단차지게 형성되며,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로킹돌기(a1,a2)를 가진다. 상기 로킹돌기(a1,a2)는 서로 다른 크기(지름)를 가진다. 이와 같이 로킹돌기(a1,a2)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로킹홀(b1,b2)의 결합시 체결력을 다르게 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13 and 14, the
상기 지지편(112,113)의 타단부(112b,113b)는 일단부(112a,113a)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서로 대칭되게 단차진 형상을 가지며, 로킹돌기(a1,a2)가 로킹결합되는 로킹홀(b1,b2)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편(112,113)의 일단부(112a,113a)와 타단부(112b,113b)를 상호 접합시켜 결합하면, 도 13과 같이 도넛 형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지지축(1)의 외주에 설치되고, 양측이 상기 지지롤러(1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분리되지 않고 안정된 자세로 지지축(1)과 함께 회전되면서 기판의 이송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other ends 112b and 113b of the
상기 지지롤러(120)는 한 쌍이 지지판부재(110)의 양측을 각각 접촉지지하도록 지지축(1)에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롤러(120)는 한 쌍의 롤러 몸체(121,122)와, 롤러몸체들(121,122)을 원형 링 형상으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123) 및 롤러몸체(121,122)를 지지축(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24)를 구비한다.The
롤러 몸체(121,122) 각각은 서로 접하여 마주한 상태에서 체결부재(12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양단부 각각에 체결부재(123)가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121a,122a)가 형성된다. 결합부(121a,122a)에는 체결부재(123)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된다.Each of the
또한, 롤러 몸체(121,122)의 양단을 기준으로 대략 중앙부분에는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된 나사공(121b,122b)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 몸체(121,122)를 체결부재(123)를 이용하여 도 15와 같이 지지축(1)에 결합한 상태에서, 반송롤러(120)가 지지축(1)에 대해 헛돌지 않고 고정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롤러 몸체(121,122)를 지지축(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24)가 나사공(121b,122b)에 나사 결합되어 지지축(1)의 외주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반송롤러(120)가 지지판부재(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지지축(1)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123) 및 고정부재(124) 각각은 체결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crew holes 121b and 122b penetr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formed at approximately a center portion based on both ends of the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송롤러 유닛(100)은, 먼저 지지판부재(110)를 도 14와 같이 한 쌍의 지지편(112,113)을 지지축(1)을 감싸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원터치 식으로 결합하여, 도 12와 같은 도넛 형상으로 유지시킨다.Auxiliary conveying
상태에서, 지지축(1)의 외주에 한 쌍의 반송롤러(120)를 지지판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하여 가결합한다. 가결합은 한 쌍의 롤러 몸체(121,122)를 체결부재(123)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In the state, a pair of conveying
그런 다음에, 도 15 및 도 9와 같이, 반송롤러들(120)을 지지판부재(110) 쪽으로 밀착시켜 이동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124)를 반송롤러(120) 각각에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반송롤러(120)가 지지판부재(110)가 지지편들(112,113)로 분리되지 않도록 밀착시켜 견고하게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축(1)에 대해 반송롤러(1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S. 15 and 9, in a state in which the convey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반송롤러 유닛(100)에 따르면, 종래와는 달리 지지축(1)에 연결되는 여러 가지 장치(부품)들을 분리하는 작업 없이, 지지판부재(110)를 지지축(1)에 바로 결합하고, 그 지지판부재(110)를 지지하는 반송롤러(120)로 지지축(1)에 바로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 반송롤러 유닛(100)의 교환 장착이 용이하고, 교환 장착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시스템 가동을 중단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uxiliary conveying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부재(110')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부재(110')의 경우, 한 쌍의 지지편(112,113)의 일단부(112a,113a) 및 타단부(112b,113b) 각각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단부(112a,113a)에는 하나의 로킹돌기(a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타단부(112b,113b)에는 상기 하나의 로킹돌기(a1)가 로킹결합되는 하나의 로킹홀(b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상보적으로 로킹결합되는 로킹돌기(a1) 및 로킹홀(b1)은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고, 앞서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씩 형성될 수도 있다.
16 and 17, th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100..보조 반송롤러 유닛 20,120..반송롤러
23,123..체결부재 30..오링
110,110'..지지판부재 124..고정부재
123..체결부재10,100 .. Secondary conveying roller unit 20,120 .. Secondary conveying roller
23,123. Fastening
110,110 '..
123 .. Fastening member
Claims (6)
상기 지지판부재의 양측을 각각 밀착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반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롤러는,
상기 지지축을 감싸서 결합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반원형상을 가지며, 양단 각각에 결합부를 가지는 한 쌍의 롤러 몸체;
상기 한 쌍의 롤러 몸체의 서로 접하는 결합부들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 및
상기 롤러 몸체가 상기 지지축에 대해 위치고정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반송롤러 유닛.A support plate member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shaft, the support plate member having a pair of support pieces detachable and coupl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the support shaf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air of conveying roller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 to closely support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member.
The conveying roller,
A pair of roller bodies having semicircular shape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so as to be wrapped around the support shaft and having coupling portions at both ends thereof;
A fastening member for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pair of roller bodi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oller body to be fixed to the support shaft.
상기 롤러 몸체의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공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반송롤러 유닛.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ary conveying roll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hole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between the two ends of the roller body so that the fixing member is screwed.
상기 지지편 각각의 일단부는 단차지게 형성되며, 돌출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로킹돌기를 가지며,
상기 지지편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와 상보적으로 접합되어 결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돌기가 로킹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로킹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지지롤러 유닛.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ne end of each support piece is formed stepped, and has one or more locking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upporting pieces is formed stepwise to be joined to and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support piece, and at least one locking hole to which the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is locked is formed.
상기 로킹돌기 및 상기 로킹홀은 복수 형성되며, 복수의 로킹돌기 및 로킹홀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지지롤러 유닛.The method of claim 3,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locking hole is formed in a plurality, the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and the locking hole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ing roll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different size.
상기 반송롤러의 외주에 환형으로 인입 형성되는 오링장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지지롤러 유닛.A conveying roller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the conveying roller having a pair of roller bodies having a symmetrical shape so as to be separable and coupled to each other, and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pair of roller bodies;
And an O-ring detachably mounted in an O-ring mounting groove formed in an annular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veying roller.
서로 단절되고 단차진 형상의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양단부들의 결합면들이 서로 상보적으로 마주하여 결합 가능한 오링 몸체와;
상기 오링 몸체의 양단부 각각의 결합면들이 상보적으로 마주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양단부를 체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은 상기 오링 몸체의 단부들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단부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에서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부들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와;
상기 단부들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과한 반대편 연결부재의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돌기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링 몸체의 단부의 측면에는 상기 안착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반송롤러 유닛.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ring,
An O-ring body which is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nd has stepped shapes, and coupling surfaces of the both end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coupled;
And a connecting member configured to fasten the both ends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f the engaging surfaces of each of both ends of the O-ring body complementarily facing each other.
The connec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pair,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nds of the O-ring body overlap with each other with the end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rotrusion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opposite connection member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at the ends is inserted, and the se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Secondary conveying roll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end of the O-r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6896A KR20130133551A (en) | 2012-05-29 | 2012-05-29 | A feeding roller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6896A KR20130133551A (en) | 2012-05-29 | 2012-05-29 | A feeding roller un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3551A true KR20130133551A (en) | 2013-12-09 |
Family
ID=4998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6896A KR20130133551A (en) | 2012-05-29 | 2012-05-29 | A feeding roller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3355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86646A1 (en) * | 2014-12-04 | 2016-06-0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Roller assembly and transmission device |
CN108656154A (en) * | 2018-06-26 | 2018-10-16 | 埃夫特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 The protective device of anti-corrosion at a kind of industrial robot joint rotation |
KR20230061108A (en) | 2021-10-28 | 2023-05-08 | 피에스테크놀러지(주) | A Conveyor Roller Used to Transport the Transporting Objects in Processes of the Semiconductor, LCD, and OLED |
-
2012
- 2012-05-29 KR KR1020120056896A patent/KR2013013355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86646A1 (en) * | 2014-12-04 | 2016-06-0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Roller assembly and transmission device |
US10087015B2 (en) | 2014-12-04 | 2018-10-02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Roller assembly and transmission device |
CN108656154A (en) * | 2018-06-26 | 2018-10-16 | 埃夫特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 The protective device of anti-corrosion at a kind of industrial robot joint rotation |
KR20230061108A (en) | 2021-10-28 | 2023-05-08 | 피에스테크놀러지(주) | A Conveyor Roller Used to Transport the Transporting Objects in Processes of the Semiconductor, LCD, and OL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5557B1 (en) | A o-ring of feed roller | |
KR20130133551A (en) | A feeding roller unit | |
JP4974053B2 (en) | Forming roller and glass plate forming apparatus | |
US10201965B2 (en) | Transfer device and coating machine | |
KR101380163B1 (en) | Elastic o-ring | |
KR101967932B1 (en) | Substrate transporting apparatus and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 |
US8851264B2 (en) | Roller for conveying glass substrate and roller axle assembly | |
KR101145862B1 (en) | A o-ring of feed roller | |
US10087015B2 (en) | Roller assembly and transmission device | |
KR101226101B1 (en) | Feeding roller for transported substrate | |
KR101350474B1 (en) | A O-Ring For Feed Roller Of Enhanced Performances And Handlde Easily | |
KR101282661B1 (en) | Curve belt conveyor | |
KR101558551B1 (en) | Feeding roller unit | |
KR20160083507A (en) | Roller for substrate transport | |
KR101145863B1 (en) | A o-ring of feed roller | |
JP2006089148A (en) | Roller for transporting base board | |
KR101226295B1 (en) | Elastic o-ring installed in glass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it | |
KR20190106272A (en) | A one touch driving shaft assembly for feeding glass | |
TWI386561B (en) | Retaining structure having locking apparatus | |
US10287103B2 (en) | Quick disconnect roller assembly | |
US7246694B2 (en) | Friction roller in conveyor | |
KR20160146005A (en) | Apparatus for feed | |
KR20150099101A (en) | Lifting apparatus with electromagnet and methode using the same | |
KR20140090473A (en) | Wide type tension pulley | |
CN104495459A (en) | Integral type tra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