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1137A - 착용식 소변장치 - Google Patents

착용식 소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1137A
KR20130131137A KR1020120054972A KR20120054972A KR20130131137A KR 20130131137 A KR20130131137 A KR 20130131137A KR 1020120054972 A KR1020120054972 A KR 1020120054972A KR 20120054972 A KR20120054972 A KR 20120054972A KR 20130131137 A KR20130131137 A KR 20130131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container
cleaning liquid
collecting member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386B1 (ko
Inventor
이준기
Original Assignee
이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기 filed Critical 이준기
Priority to KR102012005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386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4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착용식 소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소변장치는 사용자의 소변을 집뇨하기 위한 집뇨부재; 상기 집뇨부재에 연결된 배뇨관을 통해 상기 집뇨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수집하기 위한 소변용기; 및 상기 소변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용식 소변장치{WEARABLE URINAL APPARATUS}
본 발명을 소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환자나 스스로 거동이 어려워 침상에 누워 생활하는 사람의 소변을 받아내기 위한 착용식 소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힘들어 침대에서 누운 채로 생활하는 중환자나 장애인의 경우, 소변을 수거하기 위해 주로 성인용 기저귀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된 기저귀는 매번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데, 간병인이 기저귀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고, 간병인 혼자서 기저귀를 교체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비닐로 제작된 일회용 소변봉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상기 종래의 소변봉투는 구조 상 사용자의 몸에 안정적으로 착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자세를 변경할 경우, 소변봉투의 위치가 바뀌면서 기 수집된 소변이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변봉투의 경우 기저귀와 마찬가지로 1회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 매번 새것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심플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소변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세를 바꾸더라도 소변이 소변용기로부터 누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변의 역류나 정체 없이 원활하게 소변용기로 수집할 수 있는 착용식 소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에게서 배출되는 소변을 집료하여 소변용기로 안내하기 위한 집료(集尿)부재 내부를 세정 및 건조시킬 수 있는 착용식 소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소변을 집뇨하기 위한 집뇨부재; 상기 집뇨부재에 연결된 배뇨관을 통해 상기 집뇨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수집하기 위한 소변용기; 및 상기 소변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소변용기의 상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공기구멍의 개방 정도를 조절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소변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캡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의 내주면이 상기 몸체의 외주면와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착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일측에 의해 상기 몸체의 공기구멍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부 내측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하단부 외주면이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착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하단부에 의해 상기 공기구멍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집뇨부재는 일측에 사용자의 성기가 삽입되거나 사용자의 성기를 포함한 그 주변을 둘러싸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에는 사용자의 신체와 개구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뇨부재의 재질은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PE(고분자 합성수지) 및 천연 펄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집뇨부재 내부로 세정액을 주입시키기 위한 세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유닛은 내측에 세정액을 장입하기 위한 세정액 용기; 및 상기 세정액 용기와 상기 집뇨부재를 상호 연통하는 세정액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용기는 외압에 의해 눌릴 때 내부의 세정액을 배출하고 외압이 제거될 때 원형으로 복원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세정액 용기는 일측에 외부 공기가 상기 세정액 용기 내부로만 유입시키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용기가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소형 펌프 및 상기 소형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액 용기는 상기 소형 펌프의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뇨관은 가요성 투명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변용기는 상기 배뇨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소변을 상기 소변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U트랩 배관을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집뇨부재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팬티에 고정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변용기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를 통해 집뇨부재와 소변용기 간의 내부 압력 차를 적절히 조절함에 따라 집뇨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소변용기로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료부재 내부로 세정액을 주입할 수 있고 집료부재 내부를 건조 시킬 수 있는 세정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위생적이며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집뇨부재를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각각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집뇨부재가 세정액 이송관 및 배뇨관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소변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뇨부재에 연결되는 세정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세정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변용기에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압력조절밸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집뇨부재의 다른 예(여성용)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소변장치를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소변장치는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남성용 소변장치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소변장치는 남성용으로 집뇨부재(10), 세정유닛(30), 배뇨관(50), 소변용기(70) 및 압력조절밸브(90)를 포함한다.
집뇨부재(10)는 남성의 성기(1)에 착용 가능하도록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집뇨부재(10)로부터 소변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성기(1)가 삽입되는 개구(11)의 주변을 따라 기밀부재(13)가 결합된다.
또한, 집뇨부재(10)는 신축성이 뛰어나면서 인체 무해한 천연 고무 또는 살균 처리된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질 외에도 상기 집뇨부재(10)는 살균 처리된 PE(고분자 합성수지)나 천연 펄프 등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집뇨부재(10)는 폐쇄된 일측(15)으로 세정액 이송관(39) 및 배뇨관(50)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통 결합된다. 이 경우, 세정액 이송관(39)은 중력에 의해 집뇨부재(10)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집뇨부재(10)의 상측에 연통되고, 반대로 배뇨관(50)은 집뇨부재(10) 내의 소변이 중력에 의해 소변용기(70)로 원활하게 흘러 들어 가도록 집뇨부재(10)의 상측에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뇨부재(10)는 세정액 이송관(39) 및 배뇨관(50)을 분리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집뇨부재(1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의 허리나 다리 등을 감을 수 있는 밴드(미도시)를 구비하거나 집뇨부재(10)를 팬티(미도시)에 고정하는 팬티 타입으로 제작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집뇨부재(10)의 착용성을 증진시켜 집뇨부재(10)가 사용자의 성기(1)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세정유닛(30)은 집뇨부재(10) 내부로 세정액을 주입시켜 집뇨부재(10) 내부의 오염 및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정유닛(30)은 세정액 용기(31), 공기조절밸브(35) 및 세정액 이송관(39)을 포함한다.
세정액 용기(31)는 내부에 장입된 세정액이 배출포트(37)로 배출될 수 있도록 손으로 쥐고 쉽게 누를 수 있도록 대략 손아귀에 들어가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동시에 고무재와 같이 탄력을 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액 용기(31)는 상측에 세정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2)가 관통 형성되며 주입구(32)에 분리 가능하게 마개(33)가 결합된다.
공기조절밸브(35)는 주입구(32) 주변에 설치되며, 세정액 용기(31)를 손으로 잡고 가압한 후 손을 펴서 가압력을 해제했을 때 세정액 용기(31) 내부로 소정량의 공기를 유입시켜 줌으로써 세정액 용기(31)가 자체 탄력에 의해 쉽게 복원될 수 있도록 돕는다. 상기 공기조절밸브(35)는 통상의 체크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정유닛(30)은 세정액을 주입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건조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기능은 세정액 용기(31)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반복 적으로 세정액 용기(31)를 누르면 세정액 용기(31)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집뇨부재(10) 내부로 분사되면서 집뇨부재(10)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건조 기능은 착용자에게 쾌적한 느끼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세정유닛(30)은 사람이 직접 세정액 용기(31)를 눌러 세정액을 집뇨부재(10) 내로 주입하는 수동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수동형 세정유닛(30) 외에 하기에서 설명하는 전동형 세정유닛(130)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세정유닛(30,130)을 구비함에 따라, 집뇨부재(10)의 세적을 위해 매번 탈착하여 세정 및 소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위생적이며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전동형 세정유닛(130)은 소정 형상을 유지하는 세정액 용기(131)와, 소형 펌프(미도시) 및 상기 소형 펌프(미도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함께 내장된 구동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액 용기(131)는 구동부(134)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부(134)에 장착 시 세정액 용기(131)의 하측 일부와 상기 구동부(134)에 내장된 소형 펌프와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액 용기(131)는 상측에 세정액을 보급할 수 있는 세정액 주입구(132)가 관통 형성되고, 주입구(132)에는 마개(13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부(134)는 전원코드(135)를 통해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하며, 외측에는 소정의 작동버튼(136)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34)의 제어부는 작동버튼(136)을 통해 세정액을 일정한 시간마다 집뇨부재(10)로 주입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구동부(134)는 간호사나 간병인이 세정액의 주입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138)를 구비한다. 또한, 구동부(134)는 세정액 이송관(139)의 일측에 연통 결합되는 배출포트(137)를 일측에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전동형 세정유닛(130)의 경우에도 수동형 세정유닛(30)과 같이 건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세정액 용기(131)로부터 소형 펌프로 유입되는 세정액을 차단한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소형 펌프로 유입되도록 제어한 후, 소형 펌프를 가동시키면 집뇨부재(10)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소형 펌프의 유입구에는 통상의 3웨이 밸브를 설치하여 세정액 용기(131)와의 연결 및 차단(차단하는 경우 외부공기와 연통된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배뇨관(50)은 집뇨부재(10)에서 배출되는 소변을 소변용기(70)로 안내하도록 집뇨부재(10)와 소변용기(7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배뇨관(50)은 소변의 배출 정도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뇨관(50)은 소변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접히거나 꺽이지 않으면서 가요성을 갖는 재질(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PE(고분자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소변용기(70)는 내부에 소변을 수집하기 위한 투명 용기로 이루어지며, 소변용기(7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변용기(70)는 수집된 소변을 버릴 수 있도록 상측에 개구(7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71)에는 개폐캡(72)이 결합된다. 상기 소변용기(70)는 외주에 계량 눈금(74)이 형성되어 환자의 1회 소변량 또는 1일 소변량 등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소변용기(70)는 첨대 아래에 놓는 경우 소변용기(70)가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소변용기(70)의 저면에 고정흡착판(74)이 설치된다. 아울러 소변용기(70)는 침대에 걸어 놓을 수 있도록 일측에 후크(76)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76)는 소변용기(70)를 이송할 때 손잡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변용기(70)는 소변용기(70) 내에 수거된 소변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U트랩 배관(78)을 구비한다. 상기 U트랩 배관(78)은 상단부가 개폐캡(72)을 관통하여 외부로 일부 돌출되며, 배뇨관(50)의 일단에 연통 결합된다.
압력조절밸브(90)는 집뇨부재(10) 및 소변용기(70) 간의 내부 압력 차에 의해 소변이 집뇨부재(10)로부터 소변용기(70)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문제는 소변용기(70)에 수집되는 소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소변용기(70) 내부의 유효공간(소변용기의 공간부 중 수거된 소변이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공간)이 점차 줄어 들면서 소변용기(7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변용기(70)의 내부 압력이 집뇨부재(10)의 내부 압력보다 높아져 이 압력 차에 의해 소변이 집뇨부재(10)로부터 소변용기(70)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력조절밸브(90)는 도 1과 같이 소변용기(70) 상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설치위치는 압력조절밸브(90)로 소변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압력조절밸브(90)는 몸체(91)와 조절부재(97)를 구비한다.
몸체(91)는 하단부(93)가 소변용기(70)에 결합되며 소변용기(70) 내부와 연통되고, 상단부에는 개구(9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몸체(91)는 대략 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91)는 내부에 몸체(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된다.
조절부재(97)는 대략 캡(cap)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몸체(9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몸체(91)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조절부재(97)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구멍(99)을 형성하며, 조절부재(97)를 승강 시킴에 따라 공기구멍(99)의 개방 정도가 조절된다. 이 경우 조절부재(97)는 내면이 몸체(91)의 외면과 기밀이 가능한 정도로 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조절부재(97)와 몸체(91) 사이에 씨일링(미도시)과 같은 수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구멍(99)은 도 4와 같이 조절부재(97)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공기구멍(99)이 몸체(9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조절부재(97)의 승강에 따라 조절부재(97)의 일측에 의해 공기구멍(99)의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압력조절밸브(90)는 상술한 푸시-풀 타입(push-pull type) 외에도 나사타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5를 참고하면, 이와 같은 나사타입 압력조절밸브(190)는 몸체(191) 및 나사형상의 조절부재(197)을 구비한다.
몸체(191)는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되며 하단부(193)가 소변용기(70)에 결합된다. 상기 몸체(191)는 일측에 공기가 유출이되는 공기구멍(199)이 형성되고, 상부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조절부재(197)는 헤드(197a), 몸체(191) 상부에 결합되는 나사부(197b) 및 나사부(197b)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97c)를 포함한다. 연장부(197c)는 조절부재(197)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따라 승강하면서 공기구멍(199)의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장치는 남성용으로 설명하였으며, 여성용일 경우에는 상술한 남성용 소변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집뇨부재(200)의 형상이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6을 참고하면, 여성용으로 사용 시 적용되는 집뇨부재(200)는 대략 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201)에 패킹(203)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집뇨부재(200)는 팬티(미도시)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집뇨부재(200)가 인체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력을 갖는 팬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팬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남성용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허리나 다리 등을 감을 수 있는 밴드(미도시)를 집뇨부재(20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욱이 집뇨부재(200)를 인체에 고정하기 위해, 패킹(203)의 외측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착재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변용기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90,190)를 통해 집뇨부재(10)와 소변용기(70) 간의 내부 압력 차를 적절히 조절함에 따라 집뇨부재(10)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소변용기(70)로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료부재(10) 내부로 세정액을 주입할 수 있고 집료부재(10) 내부를 건조 시킬 수 있는 세정유닛(30,130)을 구비함에 따라, 위생적이며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집뇨부재(10,200)를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각각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집뇨부재(10,200)가 세정액 이송관(39) 및 배뇨관(5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교체가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200: 집뇨부재 30,130: 세정유닛
50: 배뇨관 70: 소변용기
90,190: 압력조절밸브

Claims (13)

  1. 사용자의 소변을 집뇨하기 위한 집뇨부재;
    상기 집뇨부재에 연결된 배뇨관을 통해 상기 집뇨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수집하기 위한 소변용기; 및
    상기 소변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소변용기의 상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공기구멍의 개방 정도를 조절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소변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캡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의 내주면이 상기 몸체의 외주면와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착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일측에 의해 상기 몸체의 공기구멍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부 내측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하단부 외주면이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착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하단부에 의해 상기 공기구멍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뇨부재는 일측에 사용자의 성기가 삽입되거나 사용자의 성기를 포함한 그 주변을 둘러싸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에는 사용자의 신체와 개구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뇨부재의 재질은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PE(고분자 합성수지) 및 천연 펄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뇨부재 내부로 세정액을 주입시키기 위한 세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유닛은 내측에 세정액을 장입하기 위한 세정액 용기; 및
    상기 세정액 용기와 상기 집뇨부재를 상호 연통하는 세정액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용기는 외압에 의해 눌릴 때 내부의 세정액을 배출하고 외압이 제거될 때 원형으로 복원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용기는 일측에 외부 공기가 상기 세정액 용기 내부로만 유입시키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용기가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소형 펌프 및 상기 소형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정액 용기는 상기 소형 펌프의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관은 가요성 투명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용기는 상기 배뇨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소변을 상기 소변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U트랩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뇨부재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팬티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장치.
KR1020120054972A 2012-05-23 2012-05-23 착용식 소변장치 KR101392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972A KR101392386B1 (ko) 2012-05-23 2012-05-23 착용식 소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972A KR101392386B1 (ko) 2012-05-23 2012-05-23 착용식 소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137A true KR20130131137A (ko) 2013-12-03
KR101392386B1 KR101392386B1 (ko) 2014-05-08

Family

ID=4998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972A KR101392386B1 (ko) 2012-05-23 2012-05-23 착용식 소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3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887B1 (ko) * 2012-10-16 2014-10-13 박택주 소변배뇨고정기구
WO2017014525A1 (ko) * 2015-07-20 2017-01-26 박헌규 이동가능한 배뇨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03B1 (ko) 2017-08-07 2019-03-13 김도헌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4755B2 (ja) 2003-08-06 2010-07-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自動収尿処理装置
KR100757213B1 (ko) * 2006-04-17 2007-09-13 이평호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887B1 (ko) * 2012-10-16 2014-10-13 박택주 소변배뇨고정기구
WO2017014525A1 (ko) * 2015-07-20 2017-01-26 박헌규 이동가능한 배뇨처리장치
CN107847384A (zh) * 2015-07-20 2018-03-27 朴宪奎 便携式排尿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386B1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7845B2 (en) Trans anal irrigation platform with bed module
US4592750A (en) Ostomy appliance
US20150135423A1 (en) External Voiding Apparatus and System
US20110238023A1 (en) Female external catheter
KR20100030352A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US20230225897A1 (en) Fec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1392386B1 (ko) 착용식 소변장치
US11938054B2 (en) Bodily waste and fluid collection with sacral pad
CN102551977A (zh) 非介入式男用导尿器具
EP3281611B1 (en) Urine collector device
CN208525187U (zh) 一种失禁病人用的尿裤结构
EP0267902A1 (en) Ostomy appliance
CN1171571C (zh) 大小便随身接便器
CN207152694U (zh) 一种医用护理男性接尿器
CN208319476U (zh) 一种眼科手术护理包
CN202409352U (zh) 非介入式男用导尿器具
CN204121341U (zh) 一种简易女性集尿袋
CN212490950U (zh) 一种大便安全收纳器
CN203841884U (zh) 男士接尿器和尿便器
CN201290796Y (zh) 男用穿戴式接尿器
CN211271538U (zh) 一种灌肠用排泄物收集袋
CN208660011U (zh) 一种男性导尿袋
CN219307101U (zh) 一次性人工肛门灌洗排泄物收集装置
CN218515955U (zh) 一种引流管周渗液收集袋
CN213312827U (zh) 一种安全直肠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