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486A - Device for closing open-close body - Google Patents

Device for closing open-close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486A
KR20130130486A KR1020120054332A KR20120054332A KR20130130486A KR 20130130486 A KR20130130486 A KR 20130130486A KR 1020120054332 A KR1020120054332 A KR 1020120054332A KR 20120054332 A KR20120054332 A KR 20120054332A KR 20130130486 A KR20130130486 A KR 20130130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ing
opening
closing
bloc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0318B1 (en
Inventor
쇼헤이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riority to KR102012005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318B1/en
Publication of KR2013013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n-close body closing device reducing a coupling sound generated when the locking member of a locking insertion unit locks a locked member. The device (10) for reducing the coupling sound comprises: the locked member (11) mounted on either an open-close body (2) or a fixed member (1); the locking member (120) mounted on the rest of the open-close body (2) or the fixed member (1) and locking the locked member (11); the locking insertion unit (20) having a contact block (110) which locks the locked member (11) by moving the locking member (120), wherein the contact block (110) is in contact with the locked member and is pressed on the locked member (11) by an opening-closing force moving the open-close body (2) along the fixed member (1) so that the locking member is moved; and a first elastic body (226) acting in a direction for forcibly closing the open-close body (2). When locking the locked member (11), the locking insertion unit (20) moves in a direction for pressing the contact block (110) on the locked member (11).

Description

개폐체 폐지 장치{DEVICE FOR CLOSING OPEN-CLOSE BOD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opening /

본 발명은 미닫이문이나 서랍 등의 개폐체를 강제적으로 폐지(閉止)시키기 위한 개폐체 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 closing body closure device for forcibly closing an opening / closing body such as a sliding door or a drawer.

종래, 미닫이문 등의 개폐체를 강제적으로 폐지시키는 것으로서, 개폐체 폐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개폐체 폐지 장치는 예를 들면, 미닫이문을 안내하기 위한 미닫이문 레일 측에 설치된 피포착(被捕捉)부재와 미닫이문 측에 장착된 포착인입기구로 구성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n opening / closing body closing device is known as forcibly closing an opening / closing body such as a sliding door. This opening / closing sifting device is constituted of, for example, a catching member provided on the sliding door rail side for guiding the sliding door and a catching / inserting mechanism mounted on the sliding door side.

이 포착인입기구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포착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포착부재는 회동한 소정 위치에서 돌기 형상의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또는 포착 해제한다.The catching-in mechanism has a catching member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 connecting shaft. The catching member catches or catches the catching member in the form of a proj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rotated.

또한, 포착인입기구는 미닫이문을 폐지하는 방향으로 가까이 끌어당기기 위한 스프링과, 이 스프링력을 완충하는 댐퍼(damper)를 구비하고 있다.Further, the take-in / take-in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spring for pulling it closer to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sliding door and a damper for buffering the spring force.

이 포착인입기구는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 내부의 스프링력이 작용하지 않도록(미닫이문을 폐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력이 작용하여 미닫이문을 폐지하는 방향으로 가까이 끌어당기도록 되어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catching member is not caught by the catching member, the catching-in / pulling-out mechanism prevents the spring force inside the catching member from acting (does not abolish the sliding door).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catching member catches the member to be captured, a spring force acts to pull the sliding door in a direction to close the sliding door.

이에 의해, 개폐체 폐지 장치는 미닫이문의 닫힘 시에, 포착인입기구의 포착부재가 피포착부재를 포착함으로써, 미닫이문이 강제적으로 닫힘 위치로 유도됨과 함께, 댐퍼에 의해 미닫이문이 느슨하게 폐지되도록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Thus, when the sliding door is closed,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closing device captures the member to be captured by the catching member of the catching and pulling-in mechanism, the sliding door is forcibly guided to the closed position and the sliding door is loosely closed by the damper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9-19146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9-191469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10-4347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2010-43472

상술한 개폐체 폐지 장치에서는, 미닫이문이 미닫이문 레일 위를 주행할 때에 소정 위치에서 피포착부재와 포착인입기구의 포착부재가 결합(닫을 때) 또는 결합 해제(열 때)하는 동작이 일어난다. 즉, 포착부재는 이 소정 위치에서의 미닫이문의 개폐력에 의해 회동하여 피포착부재를 포착한다. 그리고, 이 포착부재가 회동하는 속도는 이 소정 위치에 있어 미닫이문을 폐지시키는 속도와 거의 같은 속도로 된다. 그 때문에, 이 소정 위치에서 미닫이문을 힘차게 폐지시키려고 한 경우, 포착부재와 피포착부재가 힘차게 결합하여 버려, 결합음(結合音)이 발생하여 버린다. 이 결합음은 특히, 가정의 거실 등에 개폐체 폐지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귀에 거슬리는 소리로 들려 버리는 일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opening and closing member eliminating apparatus, when the sliding door runs on the sliding door rail, an operation of engaging (closing) or disengaging (opening) the member to be captured and the catching member of the catching and inserting mechanism occur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the catching member is rotated by the opening / closing force of the sliding door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to catch the member to be captured. The speed at which the catching member rotates is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speed is almost the same as the speed at which the sliding door is closed. Therefore, when the sliding door is attempted to be forcefully disengag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catching member and the member to be captured are vigorous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coupling sound is generated. This combined sound may be heard in a disgruntled sound especially when the opening / closing device is installed in a living room of a home.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피포착부재와 포착인입기구의 포착부재와의 포착시에 발생하는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개폐체 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opening / closing body closure device capable of reducing a coupling noise generated when a member to be captured and a catching member of a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are captur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된 피포착부재와, 상기 개폐체 또는 고정부재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갖는 포착인입기구와,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체를 강제적으로 닫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제1 탄성체를 구비한 개폐체 폐지 장치로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ember to be attracted which is attached to either one of the opening member or the holding member for movably guiding the opening member, A catching member for catching the catching member, and an abutting member for catching the catching member by moving the catching member by being pres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long the holding member, And a first elastic body for urg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a direction of forcibly closing the catch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catching member catches the catching member, And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butting block is pressed against the catching member when the catching member is caught It characterized.

또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 시키는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Further, the catching member may be moved at a speed later than the opening / closing speed of the opening / closing body.

또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상기 포착부재 및 상기 맞닿음 블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The catching-in / out mechanism may include a link mechanism for slidingly moving the catching member and the contact block by an opening /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 closing body along the holding member.

또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에 장착된 링크핀과,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誘導)구멍을 갖고, 상기 유도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內包)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 블록에는,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내포 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The link mechanism may include a link pin mounted on the catching member and an induction hole through which the link pin is inserted so that the catching membe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hole, And the abutting block is provided with a tilting hole through which the link pin is inserted so that when the pressing member is pushed by the member to be attracted, the catching member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tilting hole And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relative to the containing block along the inclined hole.

또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 사이에, 포착 해제시에 상기 맞닿음 블록을 앞방향으로 부세하고, 포착 해제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을 촉진하는 제2 탄성체를 설치하고 있어도 좋다.The link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second elastic body between the innocent block and the contact block for urging the contact block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e time of cancellation and promoting the movement of the link mechanism at the time of cancellation good.

또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탄성체의 부세력(付勢力)을 유지하는 로크(lock)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The catching-in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lock mechanism for holding the urg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when the catching member is slidably moved and released.

또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구멍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 구멍은, 상기 링크핀을 상기 제1 탄성체가 부세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 긴 구멍과, 상기 링크핀을 상기 제1 탄성체가 부세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하 긴 구멍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locking mechanism includes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link pin is inserted. The guide hole includes a front-back long hole for guiding the link pi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lastic body is biased, And upper and lower elongated holes gui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one elastic body is biased.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에서는,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된 피포착부재와, 상기 개폐체 또는 고정부재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갖는 포착인입기구와,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체를 강제적으로 닫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폐체를 힘차게 닫았더라도, 피포착부재에 맞닿는 기세를 완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맞닿음 블록과 피포착부재가 접촉할 때의 결합음(충돌음)을 억제하여,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In the opening / closing body clos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ning / closing body removing device comprising: a catching member mounted on either the opening / closing member or a holding member for movably guid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 catching member for catching the member, and an abutting member for abutting the catching member by an opening and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long the holding member, And a first elastic body for urg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a direction forcibly closing the catch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catching member catches the catching member, wherein the catching and inserting mechanism catches the catching member Since the contact block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block is pressed against the member to be captured, Also, it is possible to buffer the abutting force to avoid trapping member. Thus, a coupling sound (collision sound) when the abutment block and the member to be capture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time of acquisi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coupling sound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 시키는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포착부재가 이동하는 기세를 느슨하게, 포착부재를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포착부재가 상한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링크핀과 유도구멍의 상단부와의 충돌음을 억제하여, 동작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catching member is moved at a speed 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opened and closed, the catching member can be slowly moved with looseness of movement of the catching member. As a result, when the catching member is moved to the upper limit at the time of catching, the collision sound between the link pin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guide hole can be suppressed, and the operation sound can be further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문 상부의 정면도로서, (a)는 개폐체의 개방 시, (b)는 장치 작동 시, (c)는 개폐체의 닫힘 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a)의 포착인입기구의 확대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A-A선에서의 단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b)의 포착인입기구의 확대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B-B선에서의 단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c)의 포착인입기구의 확대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C-C선에서의 단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a)의 포착인입기구를 단체(單體)로 나타낸 것으로서,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c)의 포착인입기구를 단체로 나타낸 것으로서,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포착인입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캐치부를 분해한 상태의 확대도로서, (a)는 도 7의 D부의 확대도, (b)는 도 8의 E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매달림부와 인입부의 부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캐치부를 조립한 상태의 확대도로서, (a)는 도 2(b)의 F부 확대도, (b)는 도 3(b)의 G부 확대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n upper part of a sliding door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body disp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shows the open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of Fig. 1 (a), wherein (a) is a plan view, Fig. 2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Fig. 2 (c) is a front view.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of Fig. 1 (b). Fig. 3 (a) is a plan view, Fig. 3 (b) is a sectional view at the BB line and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of Fig. 1 (c), wherein (a) is a plan view, (b) is a cross-sectional view at the CC line, and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ke-in / take-in mechanism shown in Fig. 1 (a) as viewed from above, obliquely to the lef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ke-in device shown in Fig. 1 (c) as viewed from above, obliquely to the left.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pping inlet mechanism of FIG. 6;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view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to the right.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catch portion disassembled. Fig. 9A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D of Fig. 7, and Fig. 9B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E of Fig.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hanging part shown in Fig. 7 and an attachment part of the lead-in part.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catch portion is assembled. Fig. 11 (a)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F in Fig. 2 (b) and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10)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체 폐지 장치(10)를 미닫이문 장치에 사용한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 opening / closing body decant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 closing body closure device 10 is used for a sliding door device.

도 1(a), (b), (c)는 미닫이문 장치의 정면도로서, 미닫이문의 개폐 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도 4는 도 1에서 나타내는 포착인입기구(20)의 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a)의 상태에 대응하며, 도 3은 도 1(b), 도 4는 도 1(c)의 상태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도 2∼도 4에 있어서, (a)는 포착인입기구(20)의 평면도, (b)는 A-A(B-B, C-C)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c)는 정면도이다.Figs. 1 (a), 1 (b) and 1 (c) are front views of the sliding door device, showing the sliding door opening / closing state. 2 to 4 are enlarged views of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20 shown in Fig. 1, Fig. 2 corresponds to the state of Fig. 1 (a), Fig. 3 corresponds to Fig. 1 1 (c). 2 (A), 2 (B) and 3 (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and B-C, respectively.

도 1에 나타내는 미닫이문 장치는 건물의 개구부의 상연부(上緣部)를 따라 연재(延在)되는 가이드 레일(1)과, 이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개구부를 개폐하는 미닫이문(2)(개폐체)과, 미닫이문(2)의 닫힘 시에 제동하면서, 이 미닫이문(2)을 닫힘 위치에 유도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10)로 구성되어 있다.The sliding door device shown in Fig. 1 includes a guide rail 1 extending along the upper edge of an opening of a building, a sliding door 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by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 And an opening / closing body closure device 10 for braking the sliding door 2 when the sliding door 2 is closed and guiding the sliding door 2 to the closed position.

이 개폐체 폐지 장치(10)는 가이드 레일(1)의 문 버팀쇠(3) 근방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 설치된 피포착부재(11)와, 이 가이드 레일(1) 위를 도 1의 지면 횡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한 포착인입기구(20)로 구성되어 있다.This opening and closing sifting device 10 includes a member 11 to be fixed which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vicinity of the door striker 3 of the guide rail 1, And an acquisition / entry mechanism 20 capable of traveling along the lateral direction.

피포착부재(1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11a)를 갖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ember 11 to be captured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having a protruding portion 11a protruding downward.

한편, 포착인입기구(20)는 가이드 레일(1)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착인입기구(20)에는, 그 앞쪽부와 뒤쪽부의 각각에 가이드 롤러(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롤러(21)에 의해 가이드 레일(1)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20 is mounted so as to be movable inward of the guide rail 1. More specifically, a guide roller 21 is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take-in / take-in mechanism 20, and the guide roller 21 freely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 It is possible.

또한, 미닫이문(2)은 그 상단 모퉁이부(角部)(지면 왼쪽으로 비스듬한 위쪽의 모퉁이부)가 포착인입기구(20)(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포착인입기구(20)의 매달림부(300))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에 개폐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포착인입기구(20)의 가이드 롤러(21)가 가이드 레일(1) 위를 전동(轉動)하여, 미닫이문(2)이 개폐하게 된다.The upper door corne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edge of the catching and pulling-in mechanism 20 (specifically, the hanging portion of the catching- 300). As a result,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liding door 2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the guide roller 21 of the intake and withdrawal mechanism 20 is rotated on the guide rail 1 to open and close the sliding door 2 do.

이 포착인입기구(20)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캐치부(catch portion)(100)(도 2∼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이 캐치부(100)가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한다.2 to 4)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re provided in the catching-in mechanism 20, and the catch portion 100 is fixed to the catching member 11 Thereby capturing the protruding portion 11a.

포착인입기구(20)는 도 1(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의 개방 상태에서는,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즉, 이 상태에서는, 포착인입기구(20)는 기능하지 않고, 대기 상태이다.As shown in Fig. 1 (a) and Fig. 2 (b), when the sliding door 2 is in the open state,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20 moves the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11a of the captured member 11 is not caught That is, in this state,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20 does not function and is in the standby state.

이 대기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미닫이문(2)을 닫을 때의 닫힘 시에, 포착인입기구(20)가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한다. 또한, 상술한 캐치부(100)의 로크가 해제된다(해제 상태).When the sliding door 2 is moved to the left from this standby state, the catching / inserting mechanism 20 catches the member 11 to be captured when the sliding door 2 is closed when the door is closed. Also, the lock of the catch unit 100 described above is released (released state).

이 해제 상태에서는, 포착인입기구(20)는 포착한 피포착부재(11)를 미닫이문(2) 측(도 1의 예에서는, 우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은 도 1(b)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닫히는 방향(도 1의 예에서는, 좌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한다(이동 상태). 그리고, 도 1(c)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문(2)이 완전하게 닫히게 된다(폐지 상태).In this releasing state,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20 functions to pull the trapped catching member 11 closer to the sliding door 2 side (right side in the example of Fig. 1). Thereby, the sliding door 2 is forcibly moved (moving state) to the relatively closed direction (the left side in the example of Fig. 1) as shown in Figs. 1 (b) and 3 (b). Then, as shown in Fig. 1 (c) and Fig. 4 (b), the sliding door 2 is completely closed (closed state).

도 5는 도 2 상태(대기 상태)에서의 포착인입기구(20)를 단체로 나타낸 것이며,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 상태(폐지 상태)에서의 포착인입기구(20)를 단체로 나타낸 것이며,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포착인입기구(20)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포착인입기구(20)를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9(a)는 도 7의 D부의 확대도, 도 9(b)는 도 8의 E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매달림부와 인입부의 부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ke-in device 20 in a state of Fig. 2 (standby state) as a unit and is view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diagonally to the lef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ke-in device 20 in a state shown in Fig. 4 (closed state) as a unit, and is view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bliquely to the left.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ture and insertion mechanism 20 of Fig. 6,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ture and insertion mechanism 20 of Fig. 7 obliquely viewed from above, Fig. 9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in Fig. 8.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hanging portion and an attachment portion of the lead-in portion shown in Fig.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전후방향은 미닫이문(2)을 개폐하는 방향을 말하며, 목질(2b) 측을 앞쪽으로 한다. 또한, 상하, 좌우 방향은 목질(2b) 측에서 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ing door 2 is opened and closed, with the woody material 2b side facing forward. The upper, lowe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refer to directions viewed from the woody material 2b side.

포착인입기구(20)는 도 5∼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는 캐치부(100)와, 이 캐치부(100)를 가이드 레일(1)의 연재 방향을 따라 가까이 끌어당기기 위한 인입부(200)와, 매달리는 형태로 미닫이문(2)이 장착되는 매달림부(300)를 구비하고 있다5 to 8, the catching / inserting mechanism 20 includes a catch part 100 for catching the protruding part 11a of the catching member 11 and a catch part 100 for catching the catch part 100 on the guide rail 1 And a hanging part 300 on which the sliding door 2 is mounted in the form of hanging

캐치부(100)는 도 2∼도 4 및 도 7, 도 8, 특히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링크핀(140)의 위치에 의해 동작하는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캐치부(100)는 도 7∼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1a)와 소정 위치에서 맞닿는 맞닿음 블록(110)과,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기 위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포착판(12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으로 포착판(120)을 내포하여 이들 전체로 이동하는 내포 블록(130)과, 이러한 맞닿음 블록(110), 포착판(120), 내포 블록(130)이 링크기구로서 동작하기 위한 링크핀(140)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and Figs. 7 and 8, particularly, Fig. 9, the catch portion 100 is constituted by a link mechanism operated by the position of a link pin 140 described later. 7 to 9, the catch portion 100 includes an abutting block 110 which abuts against the projecting portion 11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projecting portion 11a of the captured member 11, An inclusion block 130 that moves the encapsulation plate 120 in such a manner that the encapsulation plate 110 encapsulates the encapsulation plate 120, A catch plate 120, and a link pin 140 for the containment block 130 to operate as a link mechanism.

맞닿음 블록(110)은 도 7, 도 8, 특히 도 9(a),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11)와, 이 본체부(111)의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부가 본체부(111)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여 있는 받침부(112)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particularly Figs. 9 (a) and 9 (b), the abutment block 110 includes a main body 111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2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11. As shown in FIG.

본체부(111)는 그 내측이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고, 이 공동은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동 내에는, 그 하측의 개구로부터, 포착판(12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본체부(111)에는, 정면에서 보아, 왼쪽으로 비스듬하게 상측에서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향하여 뻗는 경사구멍(1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구멍(111a)은 본체부(111)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캐치부(100)가 조립될 때에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되게 된다.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1 is a cavity, and the cavity is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In this cavity, the trapping plate 120 is inserted and assembled from the lower opening thereof. The main body 111 is formed with an inclined hole 111a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to the right side obliquely to the left as viewed from the front. The inclined hole 111a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body portion 11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when the catch portion 100 is assembled.

받침부(112)의 앞쪽의 면에는, 도 7 및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1)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기립하는 맞닿음면(1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면(112a)은, 미닫이문(2)이 소정의 위치까지 닫혀졌을 때에,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와 맞닿아 압압되게 된다(도 3(b) 참조).7 and 9 (a), an abutment surface 112a ris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2. As shown in Fig. The abutment surface 112a abuts against the projection 11a of the member 11 to be attracted and is pressed when the sliding door 2 is clo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see Fig. 3 (b)).

또한, 받침부(112)의 뒤쪽의 면에는, 도 8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패인 형상의 스프링 베어링(spring bearing) 홈(1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베어링 홈(112b)에는, 압축 코일스프링(113)의 일단부가 지지된다.8 and 9 (b), spring bearing grooves 112b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2 in the shape of a depress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is spring bearing groove 112b, one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is supported.

포착판(120)은 도 7, 도 8, 특히 도 9(a),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포착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포착돌기(121)는, 포착판(120)이 윗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술한 받침부(112)와 이 포착돌기(121)으로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전후 방향에서 포착하도록 되어 있다(도 3(b) 참조).As shown in Figs. 7 and 8, particularly Figs. 9 (a) and 9 (b), the trapping plate 1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ncludes a catching protrusion 121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Respectively. The catching protrusion 121 is formed so that when the catching plate 120 moves upwardly, the catching portion 112 and the catching projection 121 of the catching member 11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See Fig. 3 (b)).

이 포착돌기(121)의 후면에는, 테이퍼(taper) 맞닿음면(121a)dl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 맞닿음면(121a)은 테이퍼의 하측에서 앞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즉, 미닫이문(2)을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 테이퍼 맞닿음면(121a)에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가 맞닿아, 포착돌기(121)를 이 테이퍼면과 수직한 방향인 앞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을 향하여 눌러 내리도록 된다(도 2(b) 참조).A taper abutment surface 121a dl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tching protrusion 121. The taper abutment surface 121a i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aper toward the upper side in an oblique direction. That is, when the sliding door 2 is moved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projection 11a of the member 11 to be attracted to the taper abutment surface 121a abuts against the taper abutment surface 121a, (See Fig. 2 (b)).

또한, 포착판(120)에는, 포착돌기(121)의 앞쪽에 위치하는 보조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돌기(122)는 상술한 포착돌기(121)와 받침부(112)에 의해 돌기부(11a)를 포착할 수 없었을 때에, 포착돌기(121)와 이 보조돌기(122)로 돌기부(11a)를 포착하는, 말하자면 보조적으로 설치된 것이다.The catching plate 120 is provided with auxiliary protrusions 122 positioned in front of the catching protrusions 121. [ The auxiliary protrusions 1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s 11a by the catching protrusions 121 and the auxiliary protrusions 122 when the protrusions 11a can not be caught by the catching protrusions 121 and the above- That is to say, supplementary.

이 보조돌기(122)는 포착돌기(121)와 보조돌기(122)로 피포착부재(11)를 포착한 경우라도, 개폐체 폐지 장치(10)가 미닫이문(2)을 폐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착돌기(122)는 미닫이문(2)을 열 때에 있어서 피포착부재(11)의 돌기(11a)에 의해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되었을 때에, 포착돌기(122)가 하측으로 휘어져 피포착부재(11)를 보조돌기(122)의 앞쪽으로 퇴피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착판(120)은, 이 보조돌기(122)가 압압되는 위치에서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가이드 구멍(211)(도 2∼도 4 참조)의 상하 긴 구멍(211b)의 위치에 도달하지 않음(포착돌기(121)와 받침부(112)로 포착한 위치가 상하 긴 구멍(211b)의 위치로 됨)으로써, 하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보조돌기(122)는 하측으로 휘어져 퇴피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포착판(120)이 상하 긴 구멍(211b)의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에, 맞닿음 블록(110)이 압축 코일스프링(113)의 부세력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The auxiliary protrusion 122 can close the sliding door 2 even when the attracting member 11 is caught by the catching protrusion 121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122 have. More specifically, when the sliding protrusion 122 is pressed forward by the protrusion 11a of the member 11 to be attracted when the sliding door 2 is opened, the catching protrusion 122 is bent downward, And the catching member 11 is retra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protrusion 122. [ In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projection 122 is pressed, the catching plate 120 reaches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1b of the guide hole 211 (see Figs. 2 to 4) (The position captured by the catching protrusion 121 and the catching portion 112 becomes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1b), so that it can not move downward. When the catching plate 120 reaches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1b, the contact block 110 is pressed against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And moves to the lower side as it moves forward.

또한, 포착판(120)에는, 포착돌기(121)의 하측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123)은 링크핀(14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큰 직경의 둥근 구멍이며, 이 장착구멍(123)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된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링크핀(140)의 이동에 따라 링크핀(14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A mounting hole 123 is formed in the catching plate 120 at a lower side of the catching protrusion 121 so as to pass throug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mount hole 123 is a round hole having a diameter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ink pin 140. The link pin 140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mount hole 123 in detail. Accordingly, the catch plate 120 moves along with the link pin 140 as the link pin 140 moves.

내포 블록(130)은 도 7∼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외곽부(131)과 이 외곽부(131)의 후단에서 후 측에 돌출하는 지지부(132)와 외곽부(131)의 좌우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좌우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안내 돌기부(133)로 구성되어 있다.7 to 9, the containment block 130 includes an outer shell 131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support 132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outer shell 131, 131 protruding from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외곽부(131)는 도 7∼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이 공동은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이 공동 내에는, 그 상측의 개구로부터, 맞닿음 블록(11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외곽부(131)에는,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재되는 유도구멍(1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구멍(131a)은 외곽부(131)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캐치부(100)가 조립될 때에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되게 된다.As shown in Figs. 7 to 9, the outer frame portion 131 has a cavity therein. The cavity is formed in a vertically penetrating shape, and the abutment block 110 is inserted and assembled from the upper opening in the cavity. The outer frame section 131 is formed with an induction hole 131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The guide hole 131a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outer frame part 13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when the catch part 100 is assembled.

또한, 외곽부(131)의 공동 내의 후단부에는, 상하로 기립하는 받침면(1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면(131b)에는, 내포 블록(130) 내에 맞닿음 블록(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술한 압축 코일스프링(113)의 타단부가 지지된다.Further, a support surface 131b rising up and down is formed at the rear end portion in the cavity of the outer frame portion 131. [ The other end of the above-described compression coil spring 113 is supported on the bearing surface 131b in a state in which the abutment block 110 is assembled in the inclusion block 130. [

또한, 외곽부(131)의 하측 후부(지지부(132)의 하측)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스프링 베어링(227)의 네크(neck)부(227a)를 수용하는 네크부 수용홈(13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네크부 수용홈(131c)은 스프링 베어링(227)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The neck portion 227a of the spring bearing 227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in the lower rear porti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32) of the outer frame portion 131, Receiving grooves 131c are formed. The neck portion receiving groove 131c regulates the position of the spring bearing 227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back-and-forth direction.

지지부(132)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후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뻗는 장착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홈(132a)에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댐퍼 유닛(221)의 출력축(221a)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이 출력축(221a)의 좌우 방향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upporting portion 132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132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thereof. The front end of the output shaft 221a of the damper unit 221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32a in detail to regulate a mounting position of the output shaft 221a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안내 돌기부(133)는 전후방향(미닫이문(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어, 인입부(200)의 가이드 구멍(211)(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7 및 도 8 참조)에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해, 캐치부(100)가 인입부(200)에 대하여, 이 가이드 구멍(2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guide protrusion 133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oor 2),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11 of the inlet portion 200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It is tailored. Thereby, the catch portion 100 is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211 with respect to the inlet portion 200. [

인입부(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치부(100)가 내측에 조립된 가이드부(210)와, 이 가이드부(210)의 뒤쪽에 장착되는 댐퍼 지지부(220)로 구성되어 있다.7 and 8, the inlet portion 200 includes a guide portion 210 having the catch portion 100 incorporated therein, a damper support portion 220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guide portion 210, .

가이드부(2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斷面) 형상은, 상측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210)에는, 이 상측의 개구로부터 캐치부(100)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guide portion 210 is exten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at the plane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is formed in a U-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is opened. That is, the catch portion 1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10 from the upper opening to be assembled.

또한, 가이드부(210)의 좌우의 각각의 측부에는, 역L자형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구멍(211)은 전후 방향으로 뻗는 전후 긴 구멍(211a)과 이 전후 긴 구멍(211a)의 전단부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뻗는 상하 긴 구멍(211b)으로 형성되어 있다.Guide holes 211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guide portion 210 to form inverted L-shaped portions. More specifically, the guide hole 211 is formed by a front-rear long hole 211a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n upper and lower long hole 211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front-rear long hole 211a.

이 가이드 구멍(211)에는, 상술한 링크핀(140)이 삽입된다. 즉, 링크핀(140)은 상술한 캐치부(100)를 가이드부(210) 내에 삽입한 후에, 가이드부(210)의 외측으로부터 가이드 구멍(211), 내포 블록(130)의 유도구멍(131a), 맞닿음 블록(110)의 경사구멍(111a), 포착판(120)의 장착구멍(123)의 순서대로 삽입 통과된다.In the guide hole 211, the above-described link pin 140 is inserted. That is, after the above-described catch portion 1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210,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11 of the guide block 210 from the outside of the guide portion 210, The inclined hole 111a of the abutment block 110 and the mounting hole 123 of the trapping plate 120 in this ord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구멍(211)의 전후 긴 구멍(211a)에는, 내포 블록(130)의 안내 돌기부(133)가 끼워 맞춰지고, 이 전후 긴 구멍(211a)을 따라 캐치부(100)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rotrusion 133 of the containment block 130 is fitted into the front and back long holes 211a of the guide hole 211, and the catch portion 1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가이드 구멍(211)의 상하 긴 구멍(211b)은 링크핀(140)을 이 상하 긴 구멍(211b)의 하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캐치부(1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한다. 즉, 가이드 구멍(211)은 캐치부(100)의 이동을 고정하기 위한 로크기구로서도 기능한다.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1b of the guide hole 211 prevent the catch portion 100 from mov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the link pin 140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1b . That is, the guide hole 211 also functions as a locking mechanism f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catch part 100. [

또한, 가이드부(210)에는, 장착을 위해, 가이드부(210)의 저면을 앞방향으로 연장하여, 이 연장한 저면에 장착구멍(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212)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부터 장착나사(213)가 삽입 통과되어, 장착블록(240)을 통하여 매달림부(300) 측에 장착된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210 has a mounting hole 212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10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10 extends forward. 7 and 8, a mounting screw 213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12 from the lower side and mounted on the side of the hanging part 300 through the mounting block 240.

이 장착블록(240)은 도 7 및 도 8, 특히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上)블록 241, 하(下)블록(242), 및 측(側)블록(2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블록(241) 및 하블록(242)에는, 장착나사(213)가 삽입 통과되는 장착구멍(241a, 242a)이 상하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블록(243)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구멍(243a)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and particularly in FIG. 10, the mounting block 240 has a substantially U-shap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includes an upper block 241, a lower block 242, (Side) block 243. The upper block 241 and the lower block 242 are provided with mounting holes 241a and 242a through which the mounting screws 213 are inserted so as to b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ide block 243, mounting holes 243a penetr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provided.

또한, 가이드부(210)의 후단부의 좌우의 하측에는, 댐퍼 지지부(220)에 조립되어 위치 결정하기 위한 연장부(214)가 형성되어 있다.An extension portion 214 is form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210 so as to be assembled with the damper support portion 220 and positioned thereon.

또한, 가이드부(210)의 좌우측부의 앞쪽에는, 장착블록(240)의 장착구멍(243a)에 장착핀(215)을 통하여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10)의 좌우측부의 뒤쪽에는, 댐퍼 지지부(220)의 장착구멍(219)에 장착핀(217)을 통하여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218)이 형성되어 있다.Mounting holes 216 are formed in front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guide portion 210 for mounting the mounting block 240 through the mounting pins 215 in the mounting holes 243a. A mounting hole 218 is formed in the mounting hole 219 of the damper supporting portion 220 through a mounting pin 217 at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guide portion 210.

댐퍼 지지부(2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로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고(좌측의 댐퍼 지지부를 220a, 우측의 댐퍼 지지부를 220b로 나타냄), 조합시킨 상태에서, 그 내부에 댐퍼 유닛(221)이 수용되어 있다. 이 댐퍼 유닛(221)은 출력축(221a)과, 이 출력축(221a)을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는 유닛 본체(221b)를 갖고 있다. 유닛 본체(221b) 내에는, 출력축(221a)의 축장(縮長) 방향으로의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오일 등의 저항 유체(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221a)의 선단부는 캐치부(100)와 인입부(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부(132)의 장착홈(132a)에 삽입되어, 댐퍼 유닛(221)이 캐치부(100)의 내포 블록(13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완충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damper supporting portion 22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the left damper supporting portion 220a and the right damper supporting portion 220b), and in the combined state, The damper unit 221 is accommodated. This damper unit 221 has an output shaft 221a and a unit main body 221b which keeps the output shaft 221a movably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unit main body 221b, a resistance fluid (not shown), such as oil, which acts on the braking force to move the output shaft 221a in the axial direction is accommodated. The tip end of the output shaft 221a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32a of the support portion 132 in a state where the catch portion 100 and the inlet portion 200 are assembled so that the damper unit 221 is inserted into the catch portion 100 Backward direction of the containment block 130 is buffered.

이 좌우의 댐퍼 지지부(220a, 220b)에는, 댐퍼 유닛 본체(221b)의 형상에 맞춘 댐퍼 수용홈(22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댐퍼 수용홈(224)에 댐퍼 유닛 본체(221b)를 집어넣는(수용하는) 형태로 좌우의 댐퍼 지지부(220a, 220b)를 조합시킴으로써, 댐퍼 유닛(221)이 조립된다.The left and right damper supporting portions 220a and 220b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damper receiving grooves 224 matching the shape of the damper unit main body 221b and the damper unit main body 221b is placed in the damper receiving groove 224 The damper unit 221 is assembled by combining the left and right damper supporting portions 220a and 220b in a receiving (accommodating) form.

또한, 좌측의 댐퍼 지지부(220a)의 상측 및 하측에는, 우측의 댐퍼 지지부(220b)를 향하여 돌출하는 결합돌기(222)가 각각 2개씩(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댐퍼 지지부(220b)에는, 이 결합돌기(222)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좌우의 댐퍼 지지부(220a, 220b)를 조합시켜, 결합돌기(222)를 걸림홈(223)에 걸리게 함으로써, 댐퍼 지지부(220)가 조립되게 된다.Two coupling protrusions 222 (four in total)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damper support portion 220a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right damper support portion 220b. On the other hand, the damper supporting portion 220b on the right side is provided with a latching groove 22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 222. [ The damper supporting portions 220 are assembled by combining the left and right damper supporting portions 220a and 220b to engage the coupling projections 222 with the coupling grooves 223.

또한, 댐퍼 지지부(220)에는, 댐퍼 유닛(221)의 하측에, 인장스프링 유닛(225)이 장착되어 있다. 이 인장스프링 유닛(225)은 인장스프링(226)과, 이 인장스프링(226)의 양단부에 장착된 2개의 스프링 베어링(227)으로 구성되어 있다.A tension spring unit 225 is attached to the damper supporting portion 220 below the damper unit 221. The tension spring unit 225 is composed of a tension spring 226 and two spring bearings 227 mounted on both ends of the tension spring 226.

인장스프링(226)은 코일스프링이며, 인장스프링 유닛(225)에서는, 인장스프링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2개의 스프링 베어링(227)은 그 선단 부분에 네크부(227a)가 형성되어 있다.The tension spring 226 is a coil spring, and in the tension spring unit 225, it is used as a tension spring. In addition, the two spring bearings 227 are provided with neck portions 227a at their tip portions.

앞쪽에 위치하는 스프링 베어링(227)은 좌우의 댐퍼 지지부(220a, 220b)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는 스프링 베어링 수용홈(228)에 조립되고, 스프링 베어링(227)의 네크부(227a)가 내포 블록(130)의 네크부 수용홈(131c)에 조립된다. 이에 의해, 앞쪽의 스프링 베어링부(227)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The spring bearings 227 located on the front side are assembled to the spring bearing receiving grooves 228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amper supporting portions 220a and 220b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neck portion 227a of the spring bearing 227 And is assembled in the neck portion receiving groove 131c of the containing block 130. [ Thereby, the position of the front spring bearing portion 227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regulated.

뒤쪽에 위치하는 스프링 베어링(227)은 앞쪽의 스프링 베어링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마찬가지로 스프링 베어링 수용홈(228)에 조립된다. 또한, 스프링 베어링(227)의 네크부(227a)는 이 스프링 베어링 수용홈(228)의 후단부에 형성된 네크부 수용홈(229)에 조립된다. 이에 의해, 뒤쪽의 스프링 베어링부(227)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The spring bearing 227 located at the rear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ront spring bearing portion and is similarly assembled to the spring bearing receiving groove 228. The neck portion 227a of the spring bearing 227 is assembled into the neck receiving groove 229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pring bearing receiving groove 228. [ Thus, the position of the rear spring bearing portion 227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regulated.

또한, 좌우의 댐퍼 지지부(220a, 220b)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퍼 지지부(220a, 220b)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뻗는 결합돌기(2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230)는 인입부(200)의 후부에 장착되는 뒤쪽 가이드 롤러부(400)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뒤쪽 가이드 롤러부(400)는 중앙에 위치하는 장착커버(401)와 좌우 방향으로 연재되는 회전축(402)과, 이 회전축(40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가이드 롤러(21)로 구성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damper supporting portions 220a and 220b are formed with coupling protrusions 230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damper supporting portions 220a and 220b,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The coupling protrusion 230 is detachably mounted to a rear guide roller unit 400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the inlet portion 200. More specifically, the rear guide roller unit 400 includes a mounting cover 401 positioned at the center, a rotation shaft 402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wo guide rollers (not shown)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tion shaft 402 21).

장착커버(401)에는, 상술한 결합돌기(230)와 결합 가능한 결합구멍(40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230) 및 결합구멍(401a)은 체결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결합돌기(230)의 탄성에 의해 결합구멍(401a)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mounting cover 401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hole 401a engageable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230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protrusion 230 and the coupling hole 401a are detachably mounted without using a coupling member or the like. That is, it is possible to engage or disengage with the engaging hole 401a by the elasticity of the engaging projection 230.

매달림부(300)는 도 7, 도 8, 특히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21)를 구비한 앞쪽 가이드 롤러부(310)와, 이 앞쪽 가이드 롤러부(310)의 하측에 장착되어, 미닫이문(2)을 고정함과 함께 그 장착 위치를 미세조정 가능한 고착유닛(320)을 구비하고 있다.The hanging part 300 includes a front guide roller part 310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21 and a second guide roller part 310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guide roller part 310 as shown in Figs. 7, 8, And a fixing unit 320 capable of fixing the sliding door 2 and finely adjusting its mounting position.

앞쪽 가이드 롤러부(310)에는, 그 중앙에 위치하는 본체부(311)에, 도시하지 않는 회전축을 통하여 4개의 가이드 롤러(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11)의 후단부에는, 이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연재되고,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협지부(3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협지부(311a)에는, 장착구멍(311b)이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front guide roller portion 310, four guide rollers 21 are rotatably mounted on a body portion 311 located at the center thereof via a rotation shaft (not show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1 is formed with a holding portion 311a extending in the rear direction from the rear end portion and formed at an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ounting hole 311b penetrates vertically through the holding portion 311a.

이 협지부(311a)에는, 전술한 장착블록(240)의 상블록(241)이 사이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어, 장착핀(213)이 각각 장착구멍(212, 242a, 242b, 311b)에 삽입 통과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210)가 장착블록(240)을 통하여, 매달림부(300)에 고정된다.The upper block 241 of the mounting block 240 described above is fitted in the holding portion 311a such that the mounting pins 213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s 212, 242a, 242b, and 311b, respectively Is passed. Thus, the guide portion 210 is fixed to the hanging portion 300 through the mounting block 240. [

고착유닛(320)은 그 전단에 표출되어 있는 조정부(321)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 고착유닛(320)에 장착된 미닫이문(2)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fixing unit 320 is capable of fin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liding door 2 mounted on the fixing unit 3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inserting a screwdriver into the adjustment unit 321 exposed at the front end thereof and rotating the screwdriver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도 2∼도 4 및 도 11(a),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body clos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nd Figs. 11 (a) and 11 (b).

도 11(a)는, 캐치부(100)가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고 있지 않는 상태(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측부 단면도이며, 도 2(b)의 F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11(b)는, 캐치부(100)가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하고 있는 상태(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부 단면도이며, 도 3(b)의 G부 확대도이다.11A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tch portion 100 does not catch the protruding portion 11a of the member 11 to be captured (standby state), and FIG. to be. 11B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tch portion 100 catches the protruding portion 11a of the member 11 to be captured (moving state), and FIG. 11B is a cross- .

대기 상태(미닫이문(2)이 개방 상태. 도 2(a)∼도 2(c), 및 도 11(a) 상태)에서는, 피포착부재(11)는 포착인입기구(20)의 캐치부(100)보다 앞쪽(지면 좌측)이 멀어진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링크핀(140)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구멍(211)의 상하 긴 구멍(211b)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캐치부(100)를 전후 방향(지면 좌우)으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링크핀(140)이 고정되어 있, 캐치부(100)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In the standby state (the sliding door 2 is in the open state. Figs. 2A to 2C and 11A), the member 11 to be captured is held in the catching / (Left side in the drawing) is farther away from the main body 100 than the other side. In this state, the link pin 140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1b of the guide hole 211, as shown in Fig. 2 (c). Therefore, even if the catch part 100 is to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right and left in the drawing), the link pin 140 is fixed and the catch part 100 is not moved.

이때, 링크핀(140)은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포 블록(130)의 유도구멍(131a)의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맞닿음 블록(110)의 경사구멍(111a)의 비스듬한 하측의 위치에 있다. 즉, 포착판(120)은 포착인입기구(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측의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착돌기(121)가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보다 하측의 위치에 있어, 캐치부(100)가 돌기부(11a)를 포착하지 않는다.11 (a), the link pin 140 is positioned below the guide hole 131a of the inclusion block 130, and the inclined hole 111a of the abutment block 110 is inclined And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That is, the catch plate 120 is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20.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1 (a), the catching protrusion 121 is located below the protruding portion 11a of the catching member 11, and the catching portion 100 catches the protruding portion 11a Do not capture.

도 11(a)의 상태(대기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는 캐치부(100)의 맞닿음 블록(110)의 맞닿음면(112a)에 맞닿는다. 또한, 맞닿음면(112a)은 돌기부(11a)에 의해 후방(지면 우측)으로 압입되고, 맞닿음 블록(110)은 압축 코일스프링(11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후방(맞닿음 블록(110)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When the sliding door 2 is moved in the closing direction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1A (standby state), the protruding portion 11a of the catching member 11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tching block 110 of the catching portion 100 Abut the abutment surface 112a. The abutting surface 112a is pushed rearward (rightward in the drawing) by the protruding portion 11a and the abutment block 110 is pushed rearward (abutment block 110 ) Is pressed).

이 해제 상태에서는,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핀(140)은 맞닿음 블록(110)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경사구멍(111a)을 따라 위쪽으로 밀어 올려진다. 또한, 링크핀(140)은 내포 블록(130)의 유도구멍(131a)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된다. 즉, 이 링크기구에서는, 맞닿음 블록(110)이 내포 블록(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 링크기구에서는, 포착판(120)이 내포 블록(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맞닿음 블록(110)의 받침부(112)와 포착판(120)의 포착돌기(121)로 전후 방향에서 포착한다.11 (b), the link pin 140 is pushed upward along the inclined hole 111a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abutment block 110 toward the rear side. Further, the link pin 140 is moved upward along the guide hole 131a of the containment block 130. That is, in this link mechanism, the abutment block 110 is moved rearward relative to the containment block 130. [ Further, in this link mechanism, the trap plate 120 is moved upward relative to the containment block 130. The protruding portion 11a of the captured member 11 is captur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the catching portion 112 of the abutment block 110 and the catching protrusion 121 of the catching plate 120. [

여기서, 포착판(120)의 위쪽으로의 이동 속도는 경사구멍(111a)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면, 유도구멍(131a)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맞닿음 블록(110)의 이동 속도보다 늦게 할 수 있다. 즉, 포착판(120)은 미닫이문(2)을 개폐시키는 속도(맞닿음 블록(110)의 이동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이동되게 된다.Since the length of the guide hole 131a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inclined hole 111a, the moving speed of the catching plate 120 can be made lower than the moving speed of the contact block 110 have. That is, the catch plate 120 is moved at a speed 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sliding door 2 is opened and closed (the moving speed of the butting block 110).

또한, 링크핀(140)은 가이드부(210)의 상하 긴 구멍(211b)의 위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링크핀(140)의 고정이 해제되어, 캐치부(100)가 가이드부(210)의 전후 긴 구멍(211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해제 상태).Further, the link pin 140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1b of the guide portion 210. This fixes the link pin 140 so that the catch part 100 can be freely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ly long holes 211a of the guide part 210 (released state).

해제 상태에서는, 캐치부(100)는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인장스프링력에 의해, 후방(지면) 우측 방향으로 부세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캐치부(100)는 피포착부재(11)의 고정 위치에서 이동을 정지하고, 캐치부(100)를 제외한 다른 포착인입기구(20)의 부분이 가이드부(100)의 전후 긴 구멍(211a)을 따라, 상대적으로 앞 방향(지면 좌측 방향. 폐지 방향)으로 이동된다(이동 상태). 즉, 이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인장스프링력은 미닫이문(2)을 강제적으로 폐지하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에 의해, 미닫이문(2)은 반쯤 열려 있는 상태이라도, 이 스프링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닫혀져 미닫이문(2)이 완전하게 닫혀진다(폐지 상태).In the released state, the catch portion 100 is biased to the right (backward) direction by the tension sp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More specifically, the catch part 100 stops moving at the fixed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captured 11, and the other part of the catching and pulling-in mechanism 20 except for the catch part 10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moves along the long hole 211a in the relatively forward direction (the left-side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and the paper-closing direction) (moving state). In other words, the tension sp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biases the sliding door 2 in a direction for forcibly closing. Thus, even when the sliding door 2 is half opened, the sliding door 2 is forcibly closed by this spring force, and the sliding door 2 is completely closed (closed state).

한편, 상술한 이동 상태에서는,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스프링력에 의해, 미닫이문(2)이 힘차게 문 버팀쇠(3)에 충돌하지 않도록, 댐퍼 유닛(221)으로 스프링력을 완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moving state described above, the spring force of the damper unit 221 is buffer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so that the sliding door 2 does not vigorously hit the door striker 3 .

다른 한편, 미닫이문(2)을 닫혀진 상태로부터 여는 경우(폐지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도 11(b)에서 미닫이문(2)을 후방(지면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돌기부(11a)는 포착판(120)의 포착돌기(121)(상세하게는, 포착돌기(121)의 테이퍼 맞닿음면(121a))에 맞닿는다. 이 경우, 캐치부(100)는 피포착부재(11)의 고정 위치에서 정지하고, 캐치부(100)를 제외한 다른 포착인입기구(20)의 부분은 가이드부(100)의 전후 긴 구멍(211a)을 따라, 상대적으로 뒷 방향(지면 우측 방향. 열림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은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인장스프링(226)을 인장하는 방향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pening the sliding door 2 from the closed state (in the case of shifting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moving state), the sliding door 2 is moved rearward (right side in the drawing) in Fig. 11 (b).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ortion 11a abuts on the catching protrusion 121 (more specifically, the tapered contact surface 121a of the catching protrusion 121) of the catching plate 120. In this case, the catch part 100 stops at the fixed position of the member to be captured 11, and the part of the other catching / pulling-in mechanism 20 excluding the catch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long holes 211a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and the opening direction in the drawing). This movemen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on spring 226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is tensioned.

미닫이문(2)을 더 열면, 바로 링크핀(140)이 가이드부(210)의 전후 긴 구멍(211a)의 앞쪽 단부에 부딪친다(해제 상태). 이 상태로부터 미닫이문(2)을 더 열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가 포착돌기(121)의 테이퍼 맞닿음면(121a)을 강하게 압압한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테이퍼 맞닿음면(121a)의 테이퍼를 따라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하측으로 내려앉듯이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링크핀(140)을 하측으로 눌러 내린다.When the sliding door 2 is further opened, the link pin 140 immediate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front and rear long holes 211a of the guide portion 210 (released state). When the sliding door 2 is further opened from this state, the projecting portion 11a of the captured member 11 presses the tapered contact surface 121a of the catching protrusion 121 strongly. As a result, the catching plate 120 linearly slides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otruding portion 11a of the catching member 11, that is, downward, along the taper of the tapered contact surface 121a, (140) downward.

이때, 링크핀(140)은 포착판(120)과 함께, 내포 블록(130)의 유도구멍(131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포착판(120)은 내포 블록(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대기 상태).At this time, the link pin 140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hole 131a of the containment block 130 together with the trapping plate 120. As a result, the trap plate 120 is moved downward relative to the containment block 130 (standby state).

또한, 맞닿음 블록(110)은 링크핀(140)이 경사구멍(111a)을 따라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맞닿음 블록(110)은 내포 블록(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그 경사분만큼 앞쪽으로 이동된다.Also, the abutment block 110 moves the link pin 140 obliquely downward to the right along the inclined hole 111a. As a result, the abutment block 110 is moved forward relative to the inclusion block 130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또한, 이 맞닿음 블록(110)은 압축 코일스프링(113)의 부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힘이 촉진(보조)되게 된다. 이에 의해, 포착 해제시(해제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의 이행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rging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causes the abutment block 110 to be accelerated (assisted) by the force of forward movement. Thereby, the movement of the link mechanism during the cancellation of release (in the transition from the released state to the standby state) becomes more smooth.

이에 의해, 링크핀(140)은 가이드부(210)의 상하 긴 구멍(211b)으로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링크핀(140)은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고정되어 대기 상태로 된다. 또한,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인장스프링(226)은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Thereby, the link pin 140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1b of the guide portion 210. In this state, the movement of the link pin 1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fixed and becomes a standby state. Also, the tension spring 226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is held in a tensioned stat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에 의하면, 포착인입기구(20)는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를 포착할 때에,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에 대하여 맞닿음 블록(110)이 뒤쪽으로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닫이문(2)을 힘차게 닫았더라도, 피포착부재(11)에 맞닿는 기세를 완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맞닿음 블록(110)과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가 접촉할 때의 결합음(충돌음)을 억제하여, 결합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body closu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trusion portion 11a of the member 11 to be captured is captured, the catching / inserting mechanism 20 moves the protrusion portion 11a of the member 11 to be captured Since the abutment block 110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utment block 110 is pushed backward, even if the sliding door 2 is vigorously closed, the urging force against the abutting member 11 can be buffered.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the coupling sound (collision sound) when the abutment block 1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11a of the member 1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time of acquisition, and the coupling sound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포착판(120)의 포착돌기(121)가 미닫이문(2)을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포착판(120)이 위쪽으로 이동하는 기세를 느슨하게, 포착판(120)을 천천히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착시에 포착판(120)이 상한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링크핀(140)과 유도구멍(131a)의 상단부와의 충돌음을 억제하여, 동작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Since the catching protrusion 121 of the catching plate 120 is moved upward at a speed low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sliding door 2 is opened and closed, the force of the catching plate 120 moving upward is loosened, (120) can be slowly raised.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a collision sound between the link pin 140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guide hole 131a when the catch plate 120 moves to the upper limit at the time of catching,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operation noise.

또한, 포착인입기구(20)는 미닫이문(2)을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포착판(120) 및 맞닿음 블록(11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포착판(120) 및 맞닿음 블록(110)을 함께 이동시키는 동작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The catching / inserting mechanism 20 is constituted by a link mechanism that slides the catching plate 120 and the abutment block 110 by an opening /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sliding door 2 along the guide rail 1 The trapping plate 120, and the abutment block 110 together can be easily realized.

또한, 이 링크기구는 포착판(120)에 장착된 링크핀(140)과,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구멍(131a)을 갖고, 유도구멍(131a)을 따라 포착판(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 블록(130)과 맞닿음 블록(110)으로 구성되고, 맞닿음 블록(110)에는,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111a)이 형성되어, 피포착부재(11)의 돌기부(11a)에 압압되었을 때에, 경사구멍(111a)을 따라 포착판(1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경사구멍(111a)을 따라 내포 블록(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포착판(120) 및 맞닿음 블록(110)을 함께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link mechanism has a link pin 140 mounted on the trapping plate 120 and an induction hole 131a through which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The link mechanism 140 guides the trapping plate 120 along the guide hole 131a. The inclined hole 111a through which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abutment block 110. The inclined hole 111a is formed in the abutment block 110. The inclined hole 111a, The trapping plate 12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hole 111a and the inclined hole 111a is moved along the inclined hole 111a relative to the containing block 130 It is possible to move the catch plate 120 and the abutment block 110 together easily.

또한, 이 링크기구는 내포 블록(130)과 맞닿음 블록(110) 사이에, 포착 해제시에 맞닿음 블록(110)을 앞 방향으로 부세하고, 포착 해제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을 촉진하는 압축 코일스프링(113)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포착 해제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을 가볍게 할 수 있다.The link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inment block 130 and the abutment block 110 to urge the abutment block 110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e time of cancellation and to accelerate the movement of the link mechanism at the time of cancellation Since the coil spring 113 is provided, the movement of the link mechanism at the time of cancellation can be lightened.

또한, 포착인입기구(20)는 포착판(12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인장스프링(226)의 부세력을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로크기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20 is provided with the lock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ias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226 when the trapping plate 120 is slidably moved and released, the above- The mechanism can be easily configured.

또한, 로크기구는 링크핀(140)이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 구멍(211)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 구멍(211)은 링크핀(140)을 인장스프링(226)이 부세하는 방향(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 긴 구멍(211a)으로 링크핀(140)을 인장스프링(226)이 부세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하 긴 구멍(211b)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닫이문(2)을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포착판(120) 및 맞닿음 블록(110)을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상술한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로크기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로크기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다.The lock mechanism has a guide hole 211 through which the link pin 140 is inserted and the guide pin 211 is engaged with the link pin 14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on spring 226 is biased And 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1b for guiding the link pin 140 in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on spring 226 is biased by the guiding forward and back long holes 211a, Not only the catching plate 120 and the abutment block 110 are mov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guide rail 1 along the guide rail 1 but also the lock mechanism can be easily configured by using the link mechanism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lock mechanism separately,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decan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문(2)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랍이나 좌우 여닫이문의 문 등을 개폐하는 경우이어도, 문을 강제적으로 닫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장치이면,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the sliding door 2 is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opening or closing a drawer, a door of a sliding door on the left or right side,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a device for urging the door in the direction of forcibly closing.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문의 상부에 개폐체 폐지 장치(10)를 설치하고 있지만,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레일(1)을 개구부의 하연부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이어도,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폐지 장치(10)를 그 하부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 closing body closure device 1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iding door, but it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That is, even when the guide rail 1 is attached to the lower edge of the opening, the opening / closing body closur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장스프링(226) 및 압축 코일스프링(113)을, 탄성체인 스프링로서 기재하였지만,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탄성에 의해 부세력을 생기게 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tension spring 226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13 are described as a spring which is an elastic body, it is not limited to a spring. That is, any material that generates an attractive force due to elasticity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21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11)(전후 긴 구멍(211a), 상하 긴 구멍(211b))이 역L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링크기구에서의 링크핀(140)의 이동 방향과 인장스프링 유닛(225)의 인장스프링(226)의 부세방향에 기초하여,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인장스프링(226)의 부세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뻗는 전후 긴 구멍(211a)에 대하여, 상하 긴 구멍은 인장스프링(226)의 부세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면, 인장스프링(226)의 부세력을 유지할 수 있어, 로크기구가 기능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guide holes 211 (front and rear long holes 211a,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1b) formed in the guide portion 210 are formed in an inverted L-shape, But may be formed in other forms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pring 140 and the urging direction of the tension spring 226 of the tension spring unit 225. That is, with respect to the forward and backward long holes 211a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rging direction of the tension spring 226, if 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are direct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urging direction of the tension spring 226, So that the locking mechanism can function.

1 : 가이드 레일(고정부재)
2 : 미닫이문(개폐체)
3 : 문 버팀쇠
10 : 개폐체 폐지 장치
11 : 피포착부재
11a : 돌기부
20 : 포착인입기구
21 : 가이드 롤러
100 : 캐치부
110 : 맞닿음 블록
111 : 본체부
111a : 경사구멍
112 : 받이부
112a : 맞닿음면
113 : 압축 코일스프링(제2 탄성체)
120 : 포착판(포착부재)
121 : 포착돌기
121a : 테이퍼 맞닿음면
122 : 보조돌기
130 : 내포 블록
131 : 외곽부
131a : 유도구멍
131b : 받침면
132 : 지지부
132a : 장착홈
133 : 안내 돌기부
140 : 링크핀
200 : 인입부
210 : 가이드부
211 : 가이드 구멍
211a : 전후 긴 구멍
211b : 상하 긴 구멍
213 : 장착나사
214 : 연장부
215, 217 : 장착핀
220(220a, 220b) : 댐퍼 지지부
221 : 댐퍼유닛
222 : 결합돌기
225 : 인장스프링 유닛
226 : 인장스프링(제1 탄성체)
227 : 스프링 베어링
228 : 스프링 베어링 수용홈
229 : 네크부 수용홈
230 : 결합돌기
240 : 장착 블록
241 : 상블록
242 : 하블록
243 : 측블록
300 : 매달림부
310 : 앞쪽 가이드 롤러부
311 : 본체부
311a : 협지부
320 : 고착유닛
321 : 조정부
400 : 뒤쪽 가이드롤러부
401 : 장착커버
402 : 회전축
1: Guide rail (fixing member)
2: Sliding door (opening / closing body)
3: Door staple
10: Opening / closing device
11:
11a: protrusion
20: Capture entrance device
21: guide roller
100: catch part
110: abutment block
111:
111a: inclined hole
112:
112a: abutment surface
113: compression coil spring (second elastic member)
120: Capture plate (capturing member)
121: Capture projection
121a: taper abutment surface
122: auxiliary projection
130:
131:
131a: Induction hole
131b:
132:
132a: mounting groove
133: guide projection
140: Link pin
200: inlet
210: guide portion
211: Guide hole
211a: long front and rear holes
211b: upper and lower long holes
213: Mounting screw
214: Extension
215, 217: mounting pin
220 (220a, 220b): The damper support
221: Damper unit
222: engaging projection
225: Tension spring unit
226: Tension spring (first elastic body)
227: Spring bearing
228: Spring bearing receiving groove
229: Neck accommodating groove
230: engaging projection
240: mounting block
241:
242:
243: Side block
300: hanging part
310: front guide roller portion
311:
311a:
320: Fixing unit
321:
400: rear guide roller portion
401: Mounting cover
402:

Claims (7)

개폐체 또는 상기 개폐체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고정부재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된 피(被)포착부재와,
상기 개폐체 또는 고정부재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기 위한 포착부재, 및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상기 피포착부재와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상기 포착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하는 맞닿음 블록을 갖는 포착인입기구와,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체를 강제적으로 닫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제1 탄성체를 구비한 개폐체 폐지 장치로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피포착부재를 포착할 때에, 상기 피포착부재에 대하여 상기 맞닿음 블록이 압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A catching member attached to either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or the holding member for movably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 catching member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or the fixing member for catching the member to be captured, and an opening /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long the fixing member, A catching / inserting mechanism having a catching block for catching the catching member by moving the member;
And a first elastic body for urg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a direction for forcibly closing the catching member while the catching member catches the catching member,
Wherein the trapping / insert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butment block is pressed against the member to be trapped when capturing the member to be tra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부재가 상기 개폐체를 개폐시키는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atching member is moved at a speed lower than a speed at which the catching member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개폐체를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력에 의해 상기 포착부재 및 상기 맞닿음 블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atching / inserting mechanism includes a link mechanism for slidably moving the catching member and the contact block by an opening / clos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 / closing body along the holding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포착부재에 장착된 링크핀과,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유도구멍을 갖고, 상기 유도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 블록에는,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경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피포착부재에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포착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경사구멍을 따라 상기 내포 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ink mechanism includes:
A link pin mounted on the catching member,
An inclusion block having an induction hole through which the link pin is inserted and which moves the catching member up and down along the induction hole,
And an abutment block,
Wherein the engagement block is provided with a tilted hole through which the link pin is inserted so that when the tilted hole is pressed by the member to be captured, the catching member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tilted hole, Wherein the inclusion block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relative to the inclusion block.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내포 블록과 상기 맞닿음 블록 사이에, 포착 해제시에 상기 맞닿음 블록을 앞 방향으로 부세하고, 포착 해제시의 링크기구의 움직임을 촉진하는 제2 탄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nd the link mechanism includes a second elastic body between the innocent block and the contact block for urging the contact block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e time of disengagement and promoting the movement of the link mechanism at the time of disengagement Closing devic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인입기구는 상기 포착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착 해제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탄성체의 부세력을 유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atching / inserting mechanism includes a lock mechanism that holds the bias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when the catching member is slidably moved and releas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링크핀이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구멍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구멍은 상기 링크핀을 상기 제1 탄성체가 부세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 긴 구멍과, 상기 링크핀을 상기 제1 탄성체가 부세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하 긴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ck mechanism includes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link pin is inserted, the guide hole including a front-back long hole for guiding the link pi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lastic body is biased, And the upper and lower elongated hole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biased.
KR1020120054332A 2012-05-22 2012-05-22 Device for closing open-close body KR1019403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332A KR101940318B1 (en) 2012-05-22 2012-05-22 Device for closing open-close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332A KR101940318B1 (en) 2012-05-22 2012-05-22 Device for closing open-close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486A true KR20130130486A (en) 2013-12-02
KR101940318B1 KR101940318B1 (en) 2019-01-18

Family

ID=4998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332A KR101940318B1 (en) 2012-05-22 2012-05-22 Device for closing open-close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31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557A (en) * 2004-08-30 2007-04-23 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이라 Door 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KR20080056383A (en) * 2006-12-18 2008-06-23 강인식 Apparatus for damping for sliding doors
JP2009191469A (en) 2008-02-12 2009-08-27 Isokawa Sangyo Slide assisting device for sliding door
JP2010043472A (en) 2008-08-13 2010-02-25 Atom Livin Tech Co Ltd Slide assisting device
JP2010112012A (en) * 2008-11-04 2010-05-20 Nifco Inc One-way movement mechanism of movable bod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557A (en) * 2004-08-30 2007-04-23 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이라 Door 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KR20080056383A (en) * 2006-12-18 2008-06-23 강인식 Apparatus for damping for sliding doors
JP2009191469A (en) 2008-02-12 2009-08-27 Isokawa Sangyo Slide assisting device for sliding door
JP2010043472A (en) 2008-08-13 2010-02-25 Atom Livin Tech Co Ltd Slide assisting device
JP2010112012A (en) * 2008-11-04 2010-05-20 Nifco Inc One-way movement mechanism of movabl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318B1 (en)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569B1 (en) Adjusting device for auto-closed
JP5726556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closing device
JP4524135B2 (en) Pachinko machine
KR101172134B1 (en) Self-propelling mechanism of movable structure
KR101233874B1 (en) One-way movement mechanism of turning body
KR101955887B1 (en) Self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JP4291427B2 (en) Sliding door structure and sliding door closing device
KR101810445B1 (en) Push open slide apparatus
KR102012983B1 (en) Dam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JP2015083769A (en) Sliding door braking device
KR101254436B1 (en) Assist mechanism for pivoting body
CN110886562A (en) Sliding door device
KR101940318B1 (en) Device for closing open-close body
KR100833322B1 (en) Rail apparatus of drawer type storeroom
JP4553786B2 (en) Lid opening / closing device
JP6729874B2 (en) Sliding type automatic closing device
JP2005254027A (en) Storing apparatus
JP2008261131A (en) Push latch device
KR20140032780A (en) Door lock
JP2012122292A (en) Shutt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KR100809810B1 (en) Door Lock
JP2010101075A (en) Door stop
KR200479064Y1 (en) Locking link
JP5107739B2 (en) Locking device
KR200488112Y1 (en) Door lock device for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