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658A - 다중 컵 - Google Patents

다중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658A
KR20130129658A KR1020120053690A KR20120053690A KR20130129658A KR 20130129658 A KR20130129658 A KR 20130129658A KR 1020120053690 A KR1020120053690 A KR 1020120053690A KR 20120053690 A KR20120053690 A KR 20120053690A KR 20130129658 A KR20130129658 A KR 20130129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nner cup
wall surface
outer cu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435B1 (ko
Inventor
문철호
Original Assignee
문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철호 filed Critical 문철호
Priority to KR1020120053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43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several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컵과 내컵이 결합되어 상기 외컵의 바닥면과 내컵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구조에서 외컵의 외측벽면과 내컵의 외측벽면 사이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외컵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과 내컵에 수용되어 있는 또 다른 음식물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다중 컵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외컵과 상기 외컵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내컵으로 구성되는 다중 컵에 있어서, 상기 외컵은 개방부에서 밀폐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내컵은 바닥면이 상기 외컵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컵의 수용부 내에 장착되되, 상기 내컵의 제1 외측벽면에는 둘레방향의 일부 구간이 상기 외컵의 제2 외측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컵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외측벽면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격부와 상기 외컵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컵{Multi-cup}
본 발명은 다중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컵과 내컵이 결합되어 상기 외컵의 바닥면과 내컵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구조에서 외컵의 외측벽면과 내컵의 외측벽면 사이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외컵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과 내컵에 수용되어 있는 또 다른 음식물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다중 컵에 관한 것이다.
컵은 음식이나 음료를 담아서 먹는데 사용되는 용기이다.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음료를 마실 때, 하나의 컵만 있으면 충분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지 이상의 음식을 동시에 담아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커피와 비스킷 또는 사과주스와 오렌지주스를 동시에 담아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두 가지 음식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면서 편리하게 마시거나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요구는 많았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컵이 고안되거나 발명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1329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 '2단 종이컵 및 빨대 통과 구멍을 가진 음식물 용기'가 있다. 선행기술1은 내컵(104)과 외컵(106)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컵(104)의 바닥면에 빨대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10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선행기술1의 경우 내컵(104)에 수용할 수 있는 음식은 건조한 다과류에 불과하고 액체상태의 음료는 내컵(10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08)을 통하여 외컵(106)으로 흘러들기 때문에 담을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내컵(104)에 다과류가 담긴 상태에서는 빨대 구멍(108)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쉽게 삽입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078호(이하 '선행기술2'라 함) '내용물 분할형 컵'이 있다. 선행기술2는 하나의 컵이 좌우방향으로 양분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를 위한 금형이 복잡해 지거나 반원형태의 두 개의 용기를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공정 또한 복잡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액체상태의 음료를 담기에는 적당하지만 다과류를 담기에는 수용부가 좁고 깊어서 사용이 불편해 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과류의 양이 적고 음료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많아지거나 컵의 분할면(40)이 한 쪽으로 치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각 공간에 채워지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수용공간의 크기를 쉽게 조정할 수 있고, 빨대를 통하여 쉽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낮은 구조의 다중 컵이 필요하다.
KR 20-0261329 A1 KR 20-0434078 A1 KR 10-0448863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컵과 상기 외컵의 수용부에 장착되는 내컵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두 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므로 두 가지 이상의 음식을 동시에 담을 수 있고, 내컵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각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내컵의 외측벽면과 외컵의 내측벽면 사이에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언제든지 빨디를 삽입할 수도 있는 다중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내컵 또는 외컵에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각 컵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이 흘러내릴 염려 없이 다른 컵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다중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컵과 상기 외컵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내컵으로 구성되는 다중 컵에 있어서, 기 외컵은 개방부에서 밀폐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기 내컵은 바닥면이 상기 외컵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컵의 수용부 내에 장착되되, 상기 내컵의 제1 외측벽면에는 둘레방향의 일부 구간이 상기 외컵의 제2 외측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컵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외측벽면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격부와 상기 외컵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1 외측벽면은 상기 이격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2 외측벽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컵의 상단은 상기 외컵의 상단 이하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내컵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거나 상기 제2 외측벽면에 평행하게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내컵에는 내컵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내컵커버는 상기 내컵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이격부에 대응되는 부위의 반대쪽 가장자리에는 식음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컵에는 외컵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외컵커버의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식음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식음홀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쪽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식음홀이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다른 하나의 식음홀은 상기 개구부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컵의 상단 테두리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링 구조이고, 상기 내컵의 상단 테두리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내컵의 링 구조는 상기 외컵의 링 구조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에 의하며,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종류의 외컵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상기 외컵에 적합한 내컵만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내컵과 외컵 사이에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내컵에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언제든지 빨대를 삽입하여 외컵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을 섭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빨대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양쪽 컵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컵의 크기나 형상만 조절하면 내컵과 외컵에 각각 형성되는 수용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내컵과 외컵의 개구부에는 링형 구조가 구비되어 컵을 기울이더라도 내컵이 외컵에 수용된 음료에 의하여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2개의 음식물을 동시에 두 사람 이상이 섭취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 및 수용되는 음식물의 조합을 다양하게 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성 컵이라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에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내컵 또는 외컵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내컵이 외컵의 수용부 내부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내컵과 외컵 사이에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다중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외컵(100)과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내컵(200)으로 구성된다. 외컵(100)은 개방부에서 밀폐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내컵(200)은 바닥면이 상기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 내에 장착되되, 상기 내컵(200)을 형성하는 제1 외측벽면(230)에는 둘레방향의 일부 구간이 상기 외컵(100)을 형성하는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250)가 구비되고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컵(200)과 상기 외컵(100)의 사이에 개구부(150)가 형성되될 수 있다.
외컵(100)은 종이컵 또는 커피전문점이나 음료용 컵 등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지의 형상으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는 바닥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외컵(100)의 수용부 벽을 형성하는 제2 외측벽면(13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 이때, 외컵(100)의 형상은 그립(grip)의 편의성과 제조의 편의성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하부(도면을 기준으로 바닥면이 구비된 쪽을 말함, 이하 동일)가 좁고 상부(도면을 기준으로 개방부가 구비된 쪽을 말함, 이하 동일)가 넓은 원추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를 나타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컵(100)과 내컵(200)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내컵(200)은 바닥면이 전술하여 설명한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에 장착된다. 내컵(200)의 수용부 벽을 형성하는 제1 외측벽면(230)에는 둘레방향의 일부 구간에 이격부(250)가 구비되어 상기 내컵(200)이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이격부(250)가 상기 외컵(100)의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통공(이하 '개구부(150)'라 함)이 형성된다. 이격부(250)와 개구부(150)에 관하여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내컵(200)이 외컵(100)의 수용부에 장착될 때,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이 상기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먼저, 내컵(200)의 제1 외측벽면(230)의 형상이 외컵(100)의 수용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의 넓이가 상기 외컵(100)의 바닥면의 넓이보다 넓게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내컵(200)을 외컵(100)의 수용부에 장착하면 상기 내컵(200)은,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 내부면적이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과 일치하는 위치까지만 결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부의 지름이 10㎝이고 하부의 지름이 5㎝인 외컵(100)에 바닥면의 지름이 7㎝인 내컵(200)이 결합 되면, 상기 내컵(200)은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 지름이 7㎝인 위치까지만 삽입되면서 결합 된다. 따라서 외컵(100)의 바닥면과 내컵(200)의 바닥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이 동일한 경우에 내컵(200)의 상부 외경이 외컵(100)의 수용부 상단과 동일하면 상기 내컵(200)과 상기 외컵(100)의 상단은 거의 일치하게 결합 된다. 그러나 내컵(200)의 상부 외경이 외컵(100)의 수용부 상단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내컵(200)의 상단은 상기 외컵(100)의 상단보다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 되고, 상기 내컵(200)의 상부 외경이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 상단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외컵(100)이 상기 내컵(200)의 상단보다 돌출되면서 상기 외컵(100)이 상기 내컵(200)을 완전히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 된다.
이와 같이, 내컵(200)의 바닥면 크기에 따라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이 상기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내컵(200)의 상부 외경에 따라 상기 내컵(200)을 상기 외컵(1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내컵(200) 바닥면 외경의 크기에 따라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내컵(200)이 외컵(100)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내컵(200)의 상단이 돌출되는 것은 상기 내컵(200)에 수용될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함이고, 외컵(100)과 내컵(200)의 상단이 동일하면서 내컵(200)의 바닥면 외경을 변화시키는 것은 외컵(100) 전체 공간 내에서 내컵(200)의 수용공간과 이격공간의 비율을 조정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외컵(100)과 내컵(200)의 결합만으로 상하단으로 2개의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 음식물 수용공간과 외부로 연결되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하단의 음료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편리한 다중 컵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폭이 좁아지는 일반적인 컵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단가가 낮을 뿐만 아니라, 오컵(100)과 내컵(200)을 분리하여 각각 적재할 수 있으므로, 관리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더하여, 2개의 음식물을 수용할 때, 각 컵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그대로 내컵(200)을 외컵에 수용함으로써, 다양한 조합의 음식물을 편리하게 세팅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내컵(200) 및 외컵(100)에서 서로 다른 음료를 수용할 수도 있고, 외컵(100)의 하단에 음료(커피, 국물 등)를 수용하고, 내컵(200)에는 고형음식(머핀, 팝콘, 떡볶이 등)을 수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외컵(100) 하단에 따뜻한 음료가 수용된 경우, 개구부를 제외한 부분이 내컵(200) 바닥면으로 밀폐되어 단열효과를 얻을 수도 있고, 하단의 따뜻한 음료의 열로 인하여 상단의 내컵(200)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내컵(200)의 바닥면이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구조의 또 다른 방법으로, 내컵(200)의 제1 외측벽면(23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이 제2 외측벽면(130) 보다 큰 경사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내컵(200)의 상부 테두리가 외컵(100)의 제2 외측벽면(130)과 접촉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내컵(200)의 상부 테두리의 크기에 따라 내컵(200)의 결합위치 및 외컵(100)의 바닥면과 내컵(200)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결정되게 된다. 한편, 내컵(200)의 제1 외측벽면(230)은 경사각이 없이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제2 외측벽면(130)에 비하여 경사각이 작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내컵(200)의 하부 테두리가 제2 외측벽면(130)과 접촉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내컵(200)의 하부 테두리 크기에 따라 내컵(200)의 결합위치 및 외컵(100)의 바닥면과 내컵(200)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 차이에 따라 후술하여 설명할 이격부의 구조도 다소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경사각 차이에 따른 이격부의 구조에 관하여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내컵(200)의 바닥면이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면서 결합되는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 상기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 전체가 밀착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내컵(200)의 제1 외측벽면(230)은 이격부(25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형상이 제2 외측벽면(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형상이란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기울기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내컵(200)의 상단은 외컵(100)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내컵(200)과 외컵(100)의 상단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내컵(200)의 상부 외경과 내컵(200)의 수용부 상단 지름이 일치하거나 유사하게 하면 된다.
이격부(250)는, 내컵(200)과 외컵(100)이 결합되는 경우에, 제1 외측벽면(230)의 둘레방향의 일부가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을 말한다. 여기서 제1 외측벽면(230)의 '둘레방향의 일부'란 제2 외측벽면(130)과 접촉하는 제1 외측벽면(230)의 외주면의 일부구간을 말하며, 상하방향의 일부 구간을 포함하는 개념이 아니다. 따라서 제1 외측벽면(230)의 일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부(250)가 구비되어, 내컵(200)과 외컵(100)이 결합될 경우에, 상기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 사이에 소정의 틈이 생기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의 이격부(250)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부의 형상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외컵(100)의 제2 외측벽면(130)과 비교할 때, 내컵의 제1 외측벽면(230)의 경사각이 상기 제2 외측벽면(13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외측벽면(130)에 비하여 커거나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이 동일한 경우에는 제1 외측벽면(230)의 둘레방향 일부구간이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즉 내컵(200)의 수용부방향으로 절곡되거나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외측벽면(230)의 경사각이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의 둘레방향의 일부 중 상부의 일부 구간에만 이격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외측벽면(230)의 하부는 제2 외측벽면(130)에 비하여 경사각이 크기 때문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이 상기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별도의 이격부(250)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후술하여 설명할 빨대(170)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제1 외측벽면(230)의 경사각이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우(경사각이 없는 수직형태도 포함)에는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의 둘레방향의 일부 중 하부의 일부 구간에만 이격부(250)가 구비되어도 빨대(17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50)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제1 외측벽면(230)의 일부가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이 내컵(200)의 수용부방향으로 절곡되거나 함몰되면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벽면(230)의 일부가 내컵(20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의 일부가 제2 외측벽면(130)에 평행하기 절곡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외측벽면(230)의 일부가 원형 또는 호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내컵(200)의 수용부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내컵(200)을 외컵(100)의 수용부에 삽입하면, 이격부(250)에 의하여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 사이에 개구부(1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컵(100)에는 음료를 채우고, 외컵(100)에는 다른 음료 또는 간단한 다과류를 채워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컵(200)에 채워지 다과를 먹다가 음료가 먹고 싶은 경우에는 개구부(150)에 삽입되어 있는 빨대(170)를 통하여 외컵(100)에 있는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이때, 외컵(100)과 내컵(200)에 채워지는 음식의 종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50)는 빨대(170)를 삽입하여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빨대없이 직접 입으로 컵을 기울여서 음료를 마시는 통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외컵(100)과 내컵(200)의 형상은 삼각형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외컵(100)과 내컵(200)이 결합되는 원리와 개구부(150)를 형성하는 원리는 전술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만, 외컵(100)과 내컵(2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삼각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다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에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내컵 또는 외컵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내컵(200)의 개방부에 내컵커버(2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내컵커버(290)는 내컵(200)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하여 설명한 이격부(250)에 대응되는 부위의 반대쪽 가장자리에는 식음홀(30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외컵(100)에는 음료가 내컵(200)에는 다과류가 담겨져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외컵(100)과 내컵(200) 모두에 음료가 담겨져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컵(200)의 개방부에 내컵커버(290)를 채우고, 상기 내컵커버(290) 중 개구부(150)의 반대쪽에 식음홀(300)을 구비하면, 내컵(200)에 채워진 음료와 외컵(100)에 채워진 음료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다. 즉, 내컵(200)에 구비된 음료는 내컵커버(290)에 구비된 식음홀(300)을 통하여 마실 수 있는데, 이 경우 외컵(100)에 구비된 음료는 내컵(200)에 막혀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외컵(100)에 구비된 음료는 개구부(150)를 통하여 빨대(170)를 이용하여 마시거나 빨대(170) 없이 컵을 기울여서 마실 수도 있다. 컵을 기울여서 마시는 경우에 내컵(200)에 구비된 음료는 내컵커버(290)에 의하여 흘러내리지 않게 되고, 외컵(100)에 구비된 음료는 개구부(150)를 통하여 쉽게 흘러나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외컵(100)에는 외컵커버(19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외컵커버(190)의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식음홀(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식음홀(300)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쪽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식음홀(300)이 개구부(150)에 위치되는 경우에 다른 하나의 식음홀(300)은 상기 개구부(150)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외컵(100)에 구비된 음료는 개구부(150)와 상기 개구부(150)에 구비된 식음홀(300)을 통하여 마시고, 내컵(200)에 구비된 음료는 개구부(150)의 반대쪽에 구비된 식음홀(300)을 통하여 마실 수 있게 된다.
도 6은 내컵이 외컵의 수용부 내부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내컵(200)의 상단이 외컵(100)의 수용부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면서 장착되되, 상기 내컵(200)의 상단이 외컵(100)의 상단 이하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외컵(100)을 기울이는 경우에도 외컵(100)에 수용된 음료에 의해 내컵(200)이 부상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루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외컵(100) 및 내컵(200)의 상단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형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링형 구조는 내컵(200)의 개방부에 구비되는 제1 결합링(240)과 외컵(100)의 개방부에 구비되는 제2 결합링(140)이 있다. 제1 결합링(240)은 내컵(200)의 개방부 바깥쪽으로 말려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링(140)은 외컵(100)의 개방부 안쪽으로 말려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내컵(200)이 외컵(100)의 수용부 내측에 삽입되면 제1 결합링(240)이 제2 결합링(140)에 걸리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
제1 결합링(240)과 제2 결합링(140)은 제1,2 외측벽면(130, 230)의 끝단보다 두꺼우면서 둥그런 형상을 가지게 되어, 사용자가 입을 접촉하여 음료 등을 섭취하더라도 상해를 입지않게 되고, 각각의 컵을 적재하는 경우 쉽게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컵(100)에 음료를 수용하여 기울이더라도 내컵(200)이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컵(200)이 외컵(100)에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하단의 음료로 인하여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컵(200)의 상단이 외컵(100)의 상단 이하로 수용되면서 결합되고(Hout>Hin), 각각의 컵 테두리는 링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외컵(100)의 테두리 구조는 내측으로 돌출한 링형 구조이고, 내컵(200)의 테두리는 외측으로 돌출한 링형 구조로서, 내컵(200)의 링형 구조가 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내컵(200)의 제1 결합링(140)이 두꺼워 외컵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후, 외컵(100)의 제2 결합링( 내측 방향이어서 내컵(200)의 돌출 구조가 더 두껍기 때문에, 외컵(100)과 내컵(200)의 분리도 용이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내컵과 외컵 사이에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다중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외측벽면(130)과 이격부(250) 사이에 2개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내컵 하부에 적재된 음료수를 식음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외컵(100)에 내컵(200)의 수용하여 안착시킴으로써, 내컵(200)에 수용된 음식물과 함께, 내컵(200) 하단에 수용된 음료수를 두 사람이 동시에 빨대 등을 이용해 식음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실시예는 영화관 등에서 팝콘 등 고형 음식물을 내컵(200)에 수용하고, 콜라와 같은 음료수를 외컵(100) 하단에 수용하여 내컵(200)을 외컵에 수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연인 등 2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상기 팝콘이나 콜라를 취식할 수 있는 간단한 다중 컵을 제안하는 것이다. 내컵(200)과 외컵(100)의 상단 테두리의 체결구조는 도 6에 설명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외컵
130: 제2 외측벽면
150: 개구부
190: 외컵커버
200: 내컵
230: 제1 외측벽면
250: 이격부
290: 내컵커버
300: 식음홀

Claims (7)

  1. 외컵과 상기 외컵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내컵으로 구성되는 다중 컵에 있어서,
    상기 외컵은 개방부에서 밀폐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내컵은 바닥면이 상기 외컵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컵의 수용부 내에 장착되되, 상기 내컵의 제1 외측벽면에는 둘레방향의 일부 구간이 상기 외컵의 제2 외측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컵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외측벽면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격부와 상기 외컵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벽면은,
    상기 이격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2 외측벽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컵의 상단은 상기 외컵의 상단 이하 높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내컵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거나 상기 제2 외측벽면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컵에는 내컵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내컵커버는 상기 내컵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이격부에 대응되는 부위의 반대쪽 가장자리에는 식음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컵에는 외컵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외컵커버의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식음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식음홀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쪽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식음홀이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다른 하나의 식음홀은 상기 개구부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컵의 상단 테두리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링 구조이고, 상기 내컵의 상단 테두리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컵의 링 구조는 상기 외컵의 링 구조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KR1020120053690A 2012-05-21 2012-05-21 다중 컵 KR101349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90A KR101349435B1 (ko) 2012-05-21 2012-05-21 다중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90A KR101349435B1 (ko) 2012-05-21 2012-05-21 다중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658A true KR20130129658A (ko) 2013-11-29
KR101349435B1 KR101349435B1 (ko) 2014-01-08

Family

ID=4985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690A KR101349435B1 (ko) 2012-05-21 2012-05-21 다중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4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08Y1 (ko) * 2014-06-16 2014-11-07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KR20180001244U (ko) * 2016-10-24 2018-05-03 유승석 다목적 결합 용기
CN110584426A (zh) * 2019-10-30 2019-12-20 褚小双 一种多功能液体容器及控制饮用流量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50Y1 (ko) * 2014-06-05 2014-10-13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636Y2 (ja) * 1992-05-20 1995-10-11 ジョン、イェン 複合カップ
JP2001002052A (ja) 1999-06-22 2001-0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性紙カップ
KR200282144Y1 (ko) 2002-04-17 2002-07-22 하상철 컵 삽입용 이중용기
KR200288316Y1 (ko) * 2002-05-22 2002-09-10 강성모 식품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08Y1 (ko) * 2014-06-16 2014-11-07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WO2015194715A1 (ko) * 2014-06-16 2015-12-23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KR20180001244U (ko) * 2016-10-24 2018-05-03 유승석 다목적 결합 용기
CN110584426A (zh) * 2019-10-30 2019-12-20 褚小双 一种多功能液体容器及控制饮用流量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435B1 (ko)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368B2 (en) Multifunctional mug cap with a sipper and straw
US8973776B1 (en) Cup with nestable food container and cover
US20160150902A1 (en) Multipurpose drink and snack container set
US20130334166A1 (en) Two piece beverage/drinking or food container
WO2006060691A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KR101349435B1 (ko) 다중 컵
US20150114963A1 (en) Combination Beverage Cup and Lid or Base
CN211066041U (zh) 一种内杯结构及双层杯结构
US11779156B2 (en) Reusabl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US20140082914A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US20160015198A1 (en) Can type container changeable to type of cup or glass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0491426Y1 (ko) 테이크아웃 용기
KR20180001412U (ko)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101683560B1 (ko) 이중컵
JP3117225U (ja) 脱着式ボトル
KR200274344Y1 (ko) 식품용기
KR20170031354A (ko) 결로 방지용 음료용기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101391783B1 (ko) 이중 컵
US20050045791A1 (en) Cupholding plate
US20190118990A1 (en) Dual chamber drinking vessel
KR20170046283A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음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