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849A - 음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음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849A
KR20130128849A KR1020120052952A KR20120052952A KR20130128849A KR 20130128849 A KR20130128849 A KR 20130128849A KR 1020120052952 A KR1020120052952 A KR 1020120052952A KR 20120052952 A KR20120052952 A KR 20120052952A KR 20130128849 A KR20130128849 A KR 20130128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conversion unit
energy conversion
acoustic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892B1 (ko
Inventor
김지훈
권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2005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892B1/ko
Priority to PCT/KR2013/003726 priority patent/WO2013172575A1/ko
Publication of KR2013012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생성된 자기장(자계)을 이용한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음향변환장치는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일정 공간 내에 자기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형성하는 제1에너지 변환부와,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며,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력을 형성하는 제2에너지 변환부, 및 제2에너지 변환부에 부착되어 제2에너지 변환부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변환장치{SOUND TRANSDUCER}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생성된 자기장(자계)을 이용한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이나믹 방식을 이용한 음향변화장치는 프레임, 요크, 영구자석, 진동판, 보이스 코일, 프로텍터 등 구비되는 부품의 수가 많고 그에 따라 조립 공정이 많고 조립에 의한 편차가 커져 음향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많다.
또한, 솔레노이드 방식을 이용한 솔레노이드형 음향변환장치는 솔레노이드의 코어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코깅 토크를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자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생성된 자기장(자계)을 이용한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에너지 변환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자기력과,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생성된 자기력 간의 상호작용으로 진동을 야기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신호(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에너지 변환소자가 위치되는 공간 내의 자기장(자계)의 세기를 가변시킴으로써, 진동판의 진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신호(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에너지 변환소자에 인가되는 음향 신호를,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에너지 변환부에도 인가하여 진동판의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성 음향 신호를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에너지 변환부에 인가하여, 진동판의 이상 진동 특성을 보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음향변환장치는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일정 공간 내에 자기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형성하는 제1에너지 변환부와,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며,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력을 형성하는 제2에너지 변환부, 및 제2에너지 변환부에 부착되어 제2에너지 변환부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한다.
또한, 제1에너지 변환부의 자기력과, 제2에너지 변환부의 자기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진동판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향변환장치는 자계 회로에 서로 다른 크기를 지닌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에너지 변환부는 제2에너지 변환부에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추가적으로 인가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에너지 변환부는 특성 음성 신호를 추가적으로 인가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향변환장치는 특성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제1에너지 변환부에 인가하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에너지 변환부의 일부는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에너지 변환부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일정 공간 내에 진동판을 위치시키는 상부 요크 및 하부 요크와, 상부 요크의 저면 또는 하부 요크의 상면 중의 적어도 한 면 이상에 장착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에너지 변환부는 고분자 필름 상에 음성 신호가 흐를 수 있는 통전 패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에너지 변환부는 일정 공간의 일측에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일정 공간의 마주하는 타측에는 강자성체 금속 코어 또는 영구자석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판의 이상 진동을 방지하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판의 이상 진동을 방지하며, 제2에너지 변환부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통전 패턴이 형성된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에너지 변환부와 서스펜션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는,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함으로써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조립 시에 발생하는 제품 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는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하였으나, 코어 상에 전선을 감는 대신 고분자 필름 상에 통전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1에너지 변환부와 제2에너지 변환부 간의 코깅 토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는 폐루프형 자계를 구성함으로써, 제1에너지 변환부와 제2에너지 변환부 간의 인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신호(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에너지 변환소자가 위치되는 공간 내의 자기장(자계)의 세기를 가변시킴으로써, 진동판의 진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신호(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에너지 변환소자에 인가되는 음향 신호를,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에너지 변환부에도 인가하여 진동판의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성 음향 신호를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에너지 변환부에 인가하여, 진동판의 이상 진동 특성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단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를 도식화한 것,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를 도식화한 것,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를 도식화한 것,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를 도식화한 것,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제2에너지 변환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사시도,
도 9a 및 9b는 제1에너지 변환부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 구성도들,
도 10a 및 10b는 음성 신호/특성 음성 신호를 제1에너지 변환부에 인가하는 회로 구성도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단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는 프레임(100)을 구비하며, 프레임(100)에 하부 요크(210)가 결합되어 있다. 하부 요크(210)의 상면(상측)에는 제1전자석(310)이 장착된다. 또한 상부에는 상부 요크(220)와, 상부 요크(220)의 저면(하측)에 제2전자석(320)이 형성된다. 즉, 자계의 구조(본 실시예에서는 ‘제1에너지 변환부’로 지칭됨)는 하부로부터 하부 요크(210), 제1전자석(310), 제2전자석(320), 상부 요크(220) 순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1전자석(310)과 제2전자석(320) 사이의 공간에서 형성되는 자기력 방향이 상방 또는 하방이 되도록 구성된다.
제1전자석(310)은 강자성체인 금속 코어(312)와, 금속 코어(312)의 주변에 권선된 코일부(314)로 구성되며, 제2전자석(320)은 강자성체인 금속 코어(322)와, 금속 코어(322)의 주변에 권선된 코일부(324)로 구성된다. 코일부(314)와 (324)는 자기력 방향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권선된다.
제1전자석(310)과, 제2전자석(320)은 각각 하부 요크(210)와 상부 요크(220)에 부착되므로, 그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자기력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자기력이 하방으로 형성될 경우, 상부 요크(220)에 부착된 제2전자석(320)으로부터의 자기력선은 제1전자석(310)의 상측으로 유도되며, 제1전자석(310)과 하부 요크(210)와 상부 요크(220)를 통하여 다시 제2전자석(320)으로 유도되는 방식으로 자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에너지 변환부는 폐루프형 자계를 구성하게 된다. 제1에너지 변환부는 하기의 제2 내지 제5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양한 자계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전자석(310)과, 제2전자석(320)은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고, 그 일정 공간에 음성 신호(음향신호)에 의해 자기력을 형성하는 제2에너지 변환부(400)와 진동판(500)이 위치한다. 진동판(500)의 중앙에 제2에너지 변환부(400)가 부착되며, 진동판(500)은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이며, 또한 상방으로 돌출된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2에너지 변환부(400)는 고분자 필름(410) 상에 솔레노이드와 같이 나선형으로 음성 신호 또는 전기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통전 패턴(4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진동판(400)의 진동을 안내하며, 분할진동이나 편진동과 같은 이상 진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서스펜션(600)이 부착될 수 있다. 서스펜션(600)은 프레임(100)에 안착되는 외주부와 제2에너지 변환부(400) 및 진동판(500)이 부착되는 내주부, 외주부와 내주부를 연결하며 제2에너지 변환부(400)의 상, 하 진동시에 불평형 진동을 억제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또한, 프레임(100)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음성 신호)를 받아들이는 부분인 터미널(700)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를 도식화한 것이다. 하부 요크(210) 상에 제1전자석(310) 대신에 하부 자석(310-1)(예를 들면, 영구 자석)이 설치되고, 상부 요크(220) 상에 제2전자석(320) 설치되며, 하부 자석(310-1)과 제2전자석(320) 사이에 제2에너지 변환부(400)와 진동판(500)이 설치된다. 하부 요크(210)와 상부 요크(220)의 가장자리는 절곡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어, 진동판(500)의 가장자리가 하부 요크(210)와 상부 요크(220) 사이에서 고정된다. 하부 자석(310-1)은 자기력이 하방으로 되도록 착자되어 있다. 물론 착자 방향은 예시이며, 자기력이 모두 상방을 향하도록 하부 자석(310-1)이 착자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진동판의 하부에 진동판(500)의 하부에 서스펜션(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는, 하부 요크(210) 상에 제1전자석(310)이, 상부 요크(220) 상에 제2전자석(320)이 설치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다르게, 진동판의 하부에 진동판(500)의 하부에 서스펜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는, 하부 요크(210) 상에 제1전자석(310)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전자석이 설치되지 않고 상부 요크(220)만 설치된다. 제1전자석(310)의 자기력 방향은,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하부에만 전자석이 설치되었으나, 반대로 상부에만 전자석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는, 하부 요크(210) 상에 제1전자석(310)이 설치된다. 상부 요크(220)에는 자석이나 전자석 대신 자성(강자성체)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코어(230)로 대체되었다. 역시 제1전자석(310)의 자기력 방향은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전자석이 상부에 코어가 설치되었으나, 반대로 하부에 코어가 설치되고 상부에 전자석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제2에너지 변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제2에너지 변환부(400)는 고분자 필름(410)으로 제조되며, 고분자 필름(410) 상에 통전 패턴(420)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통전 패턴(420)은, 음향변환장치의 제1 및 제2전자석(310, 320) 또는 자석(310-1)에 의한 자기력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향하는 자기장(자계) 내에 위치된다. 통전 패턴(420)은, 솔레노이드와 같이 자속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나선형의 패턴으로 형성된다. 통전 패턴(420)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속의 방향이 바뀌게 되며 그에 따라 요크(210, 220) 상에 설치된 제1 및 제2전자석(310, 320) 또는 자석(310-1)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함으로써 제2에너지 변환부(400)가 진동하게 된다.
통전 패턴(420)은 고분자 필름(410)의 상면 또는 하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면 및 하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통전 패턴(420)은 전류가 흐를 때 같은 방향의 자기력이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에너지 변환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판(500)과 부착되는데, 진동판(500)의 분할 진동이나 편진동과 같은 이상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서스펜션(6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제2에너지 변환부(400)는 서스펜션(6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서스펜션(600)은 일반적인 음향변환장치에 구비되는 서스펜션(600)과 같이 프레임에 안착되는 안착부(610), 진동판(500)이 부착되는 내주부(620), 안착부(610)와 내주부(620)를 연결하며 진동을 잡아주는 연결부(630)를 구비한다.
한편, 서스펜션(600)에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통전 패턴(420)으로 전달할 수 있는 통전 패턴(660)이 형성되어 있다. 서스펜션(600)의 안착부(610)의 모서리에 터미널(700)과 같은 외부 전원과 연결할 수 있는 납땜부(640)가 형성되며, 납땜부(640)로부터 통전 패턴(420)까지 연결하는 통전 패턴(660)이 형성된다. 또한 납땜부(640)는 하면에 형성된 통전 패턴(420)으로 전기적 신호(음성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관통홀(650)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전류는 상면에 형성된 납땜부(640)로부터 통전 패턴(660)을 거쳐 상면에 형성된 통전 패턴(420)을 거쳐 하면에 형성된 통전 패턴(420), 하면에 형성된 통전 패턴(660)을 거쳐 하면에 형성된 납땜부(640)로 흐르게 된다. 제2에너지 변환부(400)와 서스펜션(600)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통전 패턴(420)과 통전 패턴(660) 또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서스펜션(600) 상에서 납땜부(640)로부터 통전 패턴(420)을 잇는 부분 외에도 통전 패턴(660)이 형성된다. 이는 외주부에 형성된 통전 패턴(660)은 고분자 필름(410)의 강성을 높여줘 서스펜션(60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내주부(420) 둘레에 형성된 통전 패턴(660)은 진동판(50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연결부(630) 상에 형성된 통전 패턴(660)은, 실제로 통전을 위해 이용되는 것은 하나이나,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한 연결부(630) 간의 강성을 맞추고, 또한 연결부(630) 자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도 7에서는 제2에너지 변환부(400)가 서스펜션(600)과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에너지 변환부(400)와 서스펜션(600)이 별도로 제조된 다음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통전 패턴(420)과 통전 패턴(6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서스펜션(600)의 내주부(420)에 통전 패턴(42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납땜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요크(210)는 제1전자석(310)이 부착되는 바닥면(211)과, 바닥면(211)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측벽(212)을 구비한다. 또한 측벽(212)중 두 개의 모서리에는 측벽(212)의 일부가 삭제된 삭제부(214)가 존재하며, 삭제부(214)의 상부를 프레임(100)이 고정부(110)가 덮어 하부 요크(210)를 프레임(100)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프레임(100)의 고정부(110)에 터미널(700)을 부착하는 것이 공간활용 면에서 유리하다. 하부 요크(210)와 터미널(700)은 프레임(100)을 사출 성형할 때 인서트 사출하는 것이 별도의 부착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 조립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터미널(700)은 서스펜션(600)의 납땜부(640)와 납땜되는 상면(720)과 음성 신호를 인가받는 하면(730)을 구비한다. 상면(720)은 프레임(100)의 상부로 노출되고, 하면(730)은 프레임의 하부로 노출된다.
상부 요크(220) 또한 제2전자석(320)이 부착되는 상면(221)과, 상면(221)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벽(222)을 구비한다. 또한 음향변환장치가 별도의 프로텍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부 요크(220)가 프로텍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요크(220)의 상면(221)에는 음향을 방출하기 위한 음향방출공(223)이 형성된다. 음향방출공(223)은 제2전자석(320)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면(221)에서 제2전자석(320)이 부착된 중앙부의 바깥쪽, 즉,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이때, 음향방출공(223)은 측벽(222)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진동판(500)이 원활하게 진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하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풍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하부 요크(210)의 바닥면(211)에는 통풍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통풍홀(213) 또한 바닥면(211)에서 제1전자석(310)이 부착된 중앙부가 아닌 바깥 측에 형성되어야 한다. 하부 요크(210)의 바닥면(211)이 프레임(100)에 의해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경우, 프레임(100)에도 통풍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9a 및 9b는 제1에너지 변환부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 구성도들이다.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음향 변환 장치는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부(800)로부터 예를 들면 5V와 같은 직류전압(전원)을 인가받아 제1 및 제2전자석(310, 320)에 공급한다. 전원공급부(800)와 제1 및 제2 전자석(310, 320) 사이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선(PL)이 배치되며, 이 전원공급선(PL)은 하부요크(220)와 상부 요크(220)의 사이로, 또는 하부 요크(220)과 상부 요크(220)를 관통하여 제1 및 제2전자석(310), 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9a에서의 직류 전압의 공급은 전기 기기의 제어에 의해 조절되거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전자석(310)과 제2전자석(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전자석(310)과 제2전자석(320)의 코일 권선 방향과, 병렬/직렬 연결 방향은 자기력 방향을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유지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전압 공급 회로의 경우, 자기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음향 변환 장치는 전기 기기의 전원공급부(800)로부터 예를 들면 5V와 같은 직류전압(전원)을 인가받는 전원 공급부(820)를 구비하고, 전원공급부(820)는 설정된 전압 크기로 또는 별도의 입력 수단(미도시)에 의해 설정된 전압 크기로 공급된 직류 전압을 감압/승압시켜 제1 및 제2전자석(310, 320)에 공급한다. 제1 및 제2전자석(310, 320)으로의 직류 전압의 공급은 전기 기기의 제어에 의해 조절되거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전자석(310)과 제2전자석(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전자석(310)과 제2전자석(320)의 코일 권선 방향과, 병렬/직렬 연결 방향은 자기력 방향을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유지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820)와 제1 및 제2 전자석(310, 320) 사이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선(PL)이 배치되며, 이 전원공급선(PL)은 하부요크(220)와 상부 요크(220)의 사이로, 또는 하부 요크(220)과 상부 요크(220)를 관통하여 제1 및 제2전자석(310, 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조절 회로의 경우, 제2에너지 변환부(400)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력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a 및 10b는 음성 신호/특성 음성 신호를 제1에너지 변환부에 인가하는 회로 구성도들이다.
도 10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음향 변환 장치가 전기 기기의 음성 신호 처리부(900)로부터 음성 신호를 음성신호선(SL)을 통하여 인가받아 제2에너지 변환부(400)에 인가하고, 추가적으로 음성 신호를 제1 또는 제2전자석(310, 320)에도 함께 인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1에너지 변환부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도 음성 신호의 변화에 대응하여 자기장도 가변하게 되어, 자기력도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된 자기력에 의해, 제2에너지 변환부(400)에 의한 자기력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 진동판(500)에 전달되는 진동량이 증폭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음향 변환 장치가 전기 기기의 음성 신호 처리부(900)로부터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제2에너지 변환부(400)에 인가하고, 특성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92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이 신호 생성부(920)에 의해 생성된 특성 음성 신호를 제1 또는 제2전자석(310, 320)에 인가하는 구성이다. 신호 생성부(920)가 생성하는 특성 음성 신호는 진동판(500)의 물성적 특성에 의한 이상 진동 특성을 상쇄시키기 위한 신호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 음성 신호의 인가는 진동판(500)의 이상 진동 특성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Claims (13)

  1.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일정 공간 내에 자기력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형성하는 제1에너지 변환부;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며,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력을 형성하는 제2에너지 변환부; 및
    제2에너지 변환부에 부착되어 제2에너지 변환부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에너지 변환부의 자기력과, 제2에너지 변환부의 자기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진동판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음향변환장치는 자계 회로에 서로 다른 크기를 지닌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에너지 변환부는 제2에너지 변환부에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추가적으로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에너지 변환부는 특성 음성 신호를 추가적으로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음향변환장치는 특성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제1에너지 변환부에 인가하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에너지 변환부의 일부는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에너지 변환부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일정 공간 내에 진동판을 위치시키는 상부 요크 및 하부 요크와, 상부 요크의 저면 또는 하부 요크의 상면 중의 적어도 한 면 이상에 장착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2에너지 변환부는 고분자 필름 상에 음성 신호가 흐를 수 있는 통전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1에너지 변환부는 일정 공간의 일측에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일정 공간의 마주하는 타측에는 강자성체 금속 코어 또는 영구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진동판의 이상 진동을 방지하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진동판의 이상 진동을 방지하며, 제2에너지 변환부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통전 패턴이 형성된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제2에너지 변환부와 서스펜션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KR1020120052952A 2012-05-18 2012-05-18 음향변환장치 KR10135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952A KR101351892B1 (ko) 2012-05-18 2012-05-18 음향변환장치
PCT/KR2013/003726 WO2013172575A1 (ko) 2012-05-18 2013-04-30 음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952A KR101351892B1 (ko) 2012-05-18 2012-05-18 음향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849A true KR20130128849A (ko) 2013-11-27
KR101351892B1 KR101351892B1 (ko) 2014-01-22

Family

ID=4958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952A KR101351892B1 (ko) 2012-05-18 2012-05-18 음향변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1892B1 (ko)
WO (1) WO2013172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4957B2 (en) * 2015-07-22 2019-05-07 Google Llc Devices and methods for a high performance electromagnetic speaker based on monolayers
CN107613442B (zh) * 2017-07-28 2024-05-28 苏州逸巛科技有限公司 一种受话器及其装配方法
PL3603110T3 (pl) 2017-10-25 2021-04-06 Ps Audio Design Oy Układ przetwornika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9647B2 (ja) * 1997-03-31 2002-11-25 日本碍子株式会社 スピーカ
KR100547357B1 (ko) * 2004-03-30 2006-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100687208B1 (ko) * 2006-01-17 2007-02-26 주식회사 벨류텔 음향 및 진동발생용 마이크로스피커
KR100963559B1 (ko) * 2009-07-20 2010-06-15 범진아이엔디(주) 슬림형 스피커
KR100930537B1 (ko) * 2009-09-03 2009-12-09 주식회사 블루콤 고출력 진동판 결합 구조를 갖춘 마이크로 스피커
KR20110051642A (ko) * 2009-11-10 2011-05-18 주식회사 비에스이 리본형 스피커
KR101109101B1 (ko) * 2010-01-08 2012-01-31 주식회사 비에스이 사각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892B1 (ko) 2014-01-22
WO2013172575A1 (ko)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765B1 (ko) 스피커장치
KR101596891B1 (ko) 전자기적 구동형 슬림 스피커
US20130272550A1 (en) Vibration generator
KR20140125476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JP3213521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
CN109640232A (zh) 扬声器
KR101351892B1 (ko) 음향변환장치
CN209017311U (zh) 扬声器
WO2020248216A1 (zh) 屏幕发声装置
KR101134612B1 (ko) 장방형 스피커 모듈
CN209017298U (zh) 扬声器
CN209017297U (zh) 扬声器
KR101052825B1 (ko) 초슬림형 스피커
CN208590108U (zh) 扬声器
JP2001259525A (ja)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1340974B1 (ko)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JP2014033328A (ja) スピーカ
KR102228315B1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KR100488654B1 (ko) 두개의 자기회로부를 가지는 스피커
WO2018170946A1 (zh) 动磁式扬声器
CN209017296U (zh) 扬声器
KR20080034365A (ko) 마그넷 무빙형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
KR101340973B1 (ko) 음향변환장치
KR101339868B1 (ko) 음향변환장치
JP2019055364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