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703A -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영상화를 위한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영상화를 위한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703A
KR20130127703A KR1020120051415A KR20120051415A KR20130127703A KR 20130127703 A KR20130127703 A KR 20130127703A KR 1020120051415 A KR1020120051415 A KR 1020120051415A KR 20120051415 A KR20120051415 A KR 20120051415A KR 20130127703 A KR20130127703 A KR 20130127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ehole
data
receivers
virtual source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969B1 (ko
Inventor
변중무
탁희원
김명선
설순지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9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4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01V1/44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using generators and receivers in the same well
    • G01V1/48Processing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4Displaying seismic recordings or visualisation of seismic data or attributes
    • G01V1/345Visualisation of seismic data or attributes, e.g. in 3D c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4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01V1/44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using generators and receivers in the same we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70Other details related to processing
    • G01V2210/74Visualisation of seismic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영상화를 위한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개시되는 지하 탐사 장치는 시추공을 중심으로 지표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수신기들과 상기 시추공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신기들을 가상 송신원(virtual source)으로 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 및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를 영상화는 영상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파 자료는 상기 시추공 주변에서 일어난 미세지진(microseismic)으로부터 발생한 에너지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1 수신기들 및 상기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어 기록되는 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송신원을 사용하지 않고 수압 파쇄법 등으로 인해 시추공 주변에 발생하는 미세지진을 송신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지하 탐사의 비용절감 및 시간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영상화를 위한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APPATURUS AND METHOD OF SEISMIC EXPLORATION FOR IMAGING FRACTURED ZONE AROUND BOREHO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영상화를 위한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지진을 이용하여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를 영상화 하는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지하의 파쇄대를 영상화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지표 탄성파 탐사법을 이용하거나 지표에 송신원을 놓고 시추공에서 받는 수직탄성파탐사(vertical seismic profiling, 이하 VSP) 기법 또는 반대로 시추공에서 송신원을 발생시켜 지표의 수신기에서 받는 역 VSP 기법을 이용하여 파쇄대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통해 파쇄대를 영상화하였다.
지표에서 송신원을 발생시켜 파쇄대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지표에서 받는 지표 탄성파 탐사법의 경우 인공 송신원의 주 주파수가 낮기 때문에 해상도가 낮아 균열을 영상화하기엔 한계가 있었다.
시추공에 송신원 또는 수신기를 설치하는 VSP 기법 또는 역 VSP 기법의 경우 탐사자료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송신원을 통해 탄성파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탐사경비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역 VSP 기법의 경우 송신원이 시추공내에 존재하고 지표에 수신기를 배치하기 때문에 반사면의 기울기가 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송신원보다 위쪽에 존재하는 반사면의 영상화가 힘들다.
송신원보다 위쪽에 있는 반사면까지 영상화하기 위해서는 시추공 내에 송신원을 설치하고 시추공 내의 수신기에서 받아야 하지만 저류층 개발 시 시추공 내에서 송신원을 전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를 영상화 하기 위해 수압 파쇄법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지진을 송신원으로 이용하는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추공을 중심으로 지표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수신기들과 상기 시추공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신기들을 가상 송신원(virtual source)으로 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 및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를 영상화는 영상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파 자료는 상기 시추공 주변에서 발생한 미세지진(microseismic)의 에너지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1 수신기들 및 상기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어 기록되는 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탐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는 상기 제1 수신기들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와 상기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를 상호상관(cross correlation) 하여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는 역 VSP 자료 및 단일 시추공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화부는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에 포함된 반사파들에 중합전 구조보정(Prestack migration)을 적용하여 상기 파쇄대를 영상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기들 및 상기 제2 수신기들은 지오폰(geophone) 또는 하이드로폰(hydrophone)과 같은 음파 수신이 가능한 수신기일 수 있다.
상기 미세지진은 수압 파쇄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추공을 중심으로 지표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수신기들 및 상기 시추공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신기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기들과 상기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신기를 가상 송신원(virtual source)으로 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를 영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파 자료는 상기 시추공 주변에서 발생한 미세지진(microseismic)의 에너지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1 수신기들 및 상기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어 기록되는 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탐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송신원을 사용하지 않고 수압 파쇄법 등으로 인해 시추공 주변에 발생하는 미세지진을 송신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지하 탐사의 비용절감 및 시간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신원보다 상부에 존재하는 파쇄대의 영상화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탐사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신기의 반사파 자료와 제2 수신기의 반사파 자료를 이용하여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와 실제 송신원이 시추공에 존재할 때의 역 VSP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도 4의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 및 실제 송신원 자료의 중합전 구조보정을 통해 파쇄대를 영상화한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수신기들의 반사파 자료를 이용해서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와 실제 송신원이 시추공에 존재할 때의 단일 시추공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수신기들의 직접파와 반사파 자료를 이용해서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와 실제 송신원이 시추공에 존재할 때의 단일 시추공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탐사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다이너마이트, 바이브로사이즈(vibroseis) 등의 인공 송신원 대신 유가스전이나 지열지대에서 유체 투과도 향상을 위해 수압 파쇄법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미세지진(microseismic)을 송신원으로 사용한다. 여기에, 시추공에 설치된 지오폰(geophone) 또는 하이드로폰(hydrophone)과 같은 수신기를 가상 송신원(virtual source)으로 하여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또는 균열들을 영상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탐사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탐사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지하 탐사 모델은 시추공(101), 시추공(101)을 중심으로 지표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수신기들(103), 시추공(101)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신기들(10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지하 탐사 모델은 가로 1500m, 세로 700m의 크기의 2500m/s의 균질 등방성 매질로 설정하였으며, 우측 상향과 좌측 하향에 물로 채워진 것으로 가정된 제1 파쇄대(110) 및 제2 파쇄대(112)를 설정하였다.
지표에서 제1 수신기들(103)을 오프셋 -500m 부터 500m 에서 20m 간격으로 총 51개 배치하였고, 시추공(101) 내에서는 제2 수신기들(105)을 심도 200m부터 440m에서 30m 간격으로 9개 배치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탐사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하 탐사 장치(200)는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201) 및 영상화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201)는 제1 수신기들(103)과 제2 수신기들(105)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제2 수신기들(105)을 가상 송신원으로 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한다.
여기서, 탄성파 자료는 시추공(101) 주변에서 발생한 미세지진의 에너지에 따른 신호가 제1 수신기들(103) 및 제2 수신기들(105)에 수신되어 기록되는 자료를 의미한다.
탄성파 자료는 제1 수신기들(103) 및 제2 수신기들(105)에 에너지가 직접 수신되는 제1 및 제2 수신기 직접파 자료, 에너지가 파쇄대에 반사된 후 수신되는 제1 및 제2 수신기 반사파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201)는 제1 수신기들(103)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 및 제2 수신기들(105)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를 탄성파 간섭이론을 이용하여 제2 수신기들(105)을 가상 송신원으로 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한다.
탄성파 간섭이론은 탄성파 자료들을 상호상관(crosscorrelation)하고 중합하여 가상 송신원에 대한 자료를 생성하는 기법으로서 하나의 탄성파 자료의 위상과 똑같은 위상을 가진 다른 탄성파 자료를 찾고, 두 개의 탄성파 기록이 동일한 지층 경계면에서 반사된 것인지 혹은 굴절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이론이다.
여기서, 가상 송신원 자료는 역 VSP 자료 및 단일 시추공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화부(203)는 가상 송신원 자료들을 이용하여 시추공(101) 주변의 파쇄대를 영상화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화부(203)는 가상 송신원 자료에 포함된 반사파들에 중합전 구조보정(prestack migration) 기법을 적용하여 파쇄대를 영상화할 수 있다.
상호상관을 이용하여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방법은 등록특허 "수평 시추공 수신기를 가상 송신원으로 이용하여 지하를 탐사하는 시스템 및 방법(10-1064333)에 개시되어 있으며, 탄성파 간섭 이론 및 중합전 구조보정 기법은 학술 논문 "탄성파 간섭파를 이용한 중합전 구조보정,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203~207"등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 기술로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신기의 반사파 자료와 제2 수신기의 반사파 자료를 이용하여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와 실제 송신원이 시추공에 존재할 때의 역 VSP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가상 송신원을 생성하기 전 미세지진으로부터 발생한 에너지가 파쇄대에 반사된 후 제1 수신기(103)와 제2 수신기(105)로 전파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의 제2 수신기(105) 반사파 자료와 도 3(b)의 제1 수신기(103) 반사파 자료에 탄성파 간섭을 적용하면 도 3(c)와 같이 제2 수신기(105)를 가상 송신원으로 하는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가 생성된다.
도 4(a)는 도 3(c)의 가상 송신원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시추공에 송신원이 있을 때의 실제 송신원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비교하면,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에서도 직접파와 반사파가 실제 송신원 자료와 같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가상 송신원 자료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반사경로가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파쇄대의 위치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 송신원의 자료가 다르다. 도 1의 지하 탐사 모델의 경우 왼쪽 아래에 반사면인 제2 파쇄대(112)가 위치하기 때문에 직접파는 시추공(101)을 기준으로 오른쪽에서, 반사파는 시추공(101)을 기준으로 왼쪽에서 보다 선명하고 정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도 4의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 및 실제 송신원 자료의 중합전 구조보정을 통해 파쇄대를 영상화한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실제 송신원 자료에 중합전 구조보정을 적용하여 얻은 탄성파 단면도이며, 도 5(b)는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 중 파쇄대에 전파하였다가 반사되어 돌아온 반사파만을 추출하여 중합전 구조보정을 적용하여 얻은 탄성파 단면도이다.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의 경우 그 경로상 송신원보다 하부에 존재하는 반사면만을 영상화할 수 있기 때문에 왼쪽 하부의 제2 파쇄대(112)만이 점선 영역과 같이 영상화되었지만, 실제 송신원 자료와 비교했을 때 동일하고 정확하게 영상화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수신기들의 반사파 자료를 이용해서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와 실제 송신원이 시추공에 존재할 때의 단일 시추공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가상 송신원을 생성하기 전 미세지진으로부터 발생한 에너지가 파쇄대에 반사된 후 제2 수신기 A(105-A) 및 제 2 수신기 B(105-B)로 전파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2 수신기 A(105-A) 및 제2 수신기 B(105-B)의 반사파 자료에 탄성파 간섭법을 적용하면 도 6(c)와 같이 제2 수신기 B(105-B)를 가상 송신원으로 하는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가 생성된다.
도 7(a)는 도6(c)의 가상 송신원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b)는 시추공에 송신원이 있을 때의 실제 송신원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살펴보면 파쇄대 영상화에 필요한 반사파가 실제 송신원 자료와 같은 시간에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송신원 보다 하부에 존재하는 제2 파쇄대(112)뿐만 아니라 상부에 존재하는 제1 파쇄대(110)의 반사파도 나타나기 때문에, 상부에서 들어온 반사파에 중합전 구조보정을 적용하여 제1 파쇄대(110)를 영상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수신기들의 직접파와 반사파 자료를 이용해서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와 실제 송신원이 시추공에 존재할 때의 단일 시추공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와 도 8(b)는 가상 송신원을 생성하기 전 미세지진으로부터 발생한 에너지가 파쇄대에 반사된 후 제2 수신기 A(105-A) 및 제 2 수신기 B(105-B)로 전파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2 수신기 A(105-A)의 직접파 자료 및 제2 수신기(105-B)의 반사파 자료에 탄성파 간섭법을 적용하면 도 8(c)와 같이 제2 수신기 A(105-A)를 가상 송신원으로 하는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가 생성된다.
도 9(a)는 도8(c)의 가상 송신원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b)는 시추공에 송신원이 있을 때의 실제 송신원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살펴보면 파쇄대 영상화에 필요한 반사파가 실제 송신원 자료와 같은 시간에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송신원보다 하부에 존재하는 제2 파쇄대(112)뿐만 아니라 상부에 존재하는 제1 파쇄대(110)의 반사파도 나타나기 때문에, 상부에서 들어온 반사파에 중합전 구조보정을 적용하여 가상 송신원 상부에 존재하는 제1 파쇄대(110)를 영상화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201)는 제1 수신기들(103) 및 제2 수신기들(105)의 반사파 자료 또는 직접파 자료 중 어느 자료에 탄성파 간섭법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 및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송신원을 사용하지 않고 수압 파쇄법 등으로 인해 시추공 주변에 발생하는 미세지진을 송신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지하 탐사의 비용절감 및 시간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신원보다 상부에 존재하는 파쇄대의 영상화도 가능하다. 그리고, 파쇄대로부터 반사된 파를 이용하여 영상화하기 때문에 시추공을 관통하지 않는 파쇄대까지도 영상화가 가능하다. 시추공을 지나지 않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파쇄대의 영상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압 파쇄법에 의해 생성된 수압 파쇄대를 목적에 따라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파쇄대와 연결 또는 단절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탐사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단계(S1000)에서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201)는 제1 수신기들(103) 및 제2 수신기들(105)에 수신된 탄성파 자료를 획득한다.
이어서, 단계(S1005)에서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201)는 제1 수신기들(103) 및 제2 수신기들(105)에 수신된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제2 수신기를 가상 송신원으로 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한다.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201)는 탄성파 자료들에 탄성파 간섭법을 적용하여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생성되는 가상 송신원 자료는 탄성파 자료의 반사파 자료 또는 직접파 자료 중 어느 자료에 탄성파 간섭법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역 VSP 가상 송신원 자료 또는 단일 시추공 가상 송신원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S1010)에서 영상화부(203)는 가상 송신원 자료의 반사파에 중합전 구조보정을 적용하여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를 영상화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 시추공 103: 제1 수신기
105: 제2 수신기 110: 제1 파쇄대
112: 제2 파쇄대
200: 지하 탐사 장치 201: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
203: 영상화부
105-A: 제2 수신기 A 105-B: 제2 수신기 B

Claims (7)

  1. 시추공을 중심으로 지표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수신기들과 상기 시추공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신기들을 가상 송신원(virtual source)으로 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 및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를 영상화는 영상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파 자료는 상기 시추공 주변에서 발생한 미세지진(microseismic)의 에너지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1 수신기들 및 상기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어 기록되는 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탐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 생성부는 상기 제1 수신기들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와 상기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를 상호상관(cross correlation) 하여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탐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는 역 VSP 자료 및 단일 시추공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탐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화부는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에 포함된 반사파들에 중합전 구조보정(prestack migration)을 적용하여 상기 파쇄대를 영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탐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기들 및 상기 제2 수신기들은 지오폰(geophone) 또는 하이드로폰(hydrophone)과 같은 음파 수신이 가능한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탐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지진은 수압 파쇄법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탐사 장치.
  7. 시추공을 중심으로 지표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수신기들 및 상기 시추공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신기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기들과 상기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는 탄성파 자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수신기를 가상 송신원(virtual source)으로 하는 가상 송신원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송신원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를 영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파 자료는 상기 시추공 주변에서 일어난 미세지진(microseismic)으로부터 발생한 에너지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1 수신기들 및 상기 제2 수신기들에 수신되어 기록되는 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탐사 방법.
KR1020120051415A 2012-05-15 2012-05-15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영상화를 위한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 KR10134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15A KR101347969B1 (ko) 2012-05-15 2012-05-15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영상화를 위한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15A KR101347969B1 (ko) 2012-05-15 2012-05-15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영상화를 위한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03A true KR20130127703A (ko) 2013-11-25
KR101347969B1 KR101347969B1 (ko) 2014-01-15

Family

ID=4985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415A KR101347969B1 (ko) 2012-05-15 2012-05-15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영상화를 위한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3410A (zh) * 2015-12-10 2016-02-24 北京中矿大地地球探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煤矿井下二分量槽波地震勘探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84B1 (ko) * 2016-09-29 2017-12-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소진동 이벤트 위치 결정 장치 및 미소진동 이벤트 위치 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4126B2 (ja) * 2005-03-24 2009-09-02 株式会社地球科学総合研究所 地中内観測システムおよび地中内観測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3410A (zh) * 2015-12-10 2016-02-24 北京中矿大地地球探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煤矿井下二分量槽波地震勘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969B1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aerbout Synthesis of a layered medium from its acoustic transmission response
Nakata et al. Shear wave imaging from traffic noise using seismic interferometry by cross-coherence
CN103109207B (zh) 用于在垂直横向各向同性介质中检测地面下地震事件的方法
Nakanishi et al. Detailed structural image around splay‐fault branching in the Nankai subduction seismogenic zone: Results from a high‐density ocean bottom seismic survey
Frankel Rupture process of the M 7.9 Denali fault, Alaska, earthquake: subevents, directivity, and scaling of high-frequency ground motions
SA07280631B1 (ar) طريقة لتصوير بيانات زلزالية تتضمن مصدراً افتراضيًا، وطرق لإنتاج مائع هيدروكربوني، ووسط قابل للقراءة بواسطة الكمبيوتر
Cultrera et al. Azimuth‐dependent amplification of weak and strong ground motions within a fault zone (Nocera Umbra, central Italy)
EP2923222B1 (en) Processing microseismic data
US9429670B2 (en) Plural-depth buried seismic sensors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Avallone et al. Waveguide effects in very high rate GPS record of the 6 April 2009, Mw 6.1 L'Aquila, central Italy earthquake
KR101347969B1 (ko) 시추공 주변의 파쇄대 영상화를 위한 지하 탐사 장치 및 방법
Iwata et al. Basin and crustal velocity structure models for the simulation of strong ground motions in the Kinki area, Japan
Leighton et al. Least squares method for improving rock noise source location techniques
Kasahara et al. Possibility of high Vp/Vs zone in the geothermal field suggested by the P-to-S conversion
Mavroeidis et al. Revisiting the 1995 MW 6.4 Aigion, Greece, earthquake: Simulation of broadband strong ground motion and site response analysis
Martin et al. Geophysical characterization of seismic station sites in the United States—the importance of a flexible, multi-method approach
Cheng et al. Experimental and finite difference modelling of borehole Mach waves1
Yang et al. Revealing the shallow soil structure of the Yigong Lake in the Tibetan Plateau using a portable distributed acoustic sensing interrogator
Butler et al. A borehole seismic reflection survey in support of seepage surveillance at the abutment of a large embankment dam
O'Connell Concrete dams as seismic imaging sources
Brückl et al. Continuous exploration ahead of the tunnel face by TSWD-Tunnel seismic while drilling
Mari et al. Active and Passive acoustic logging applied to the detection of preferential flow in a sedimentary aquifer
Greenwood Application of Vertical Seismic Profiling for the characterisation of hard rock
Ragozin et al. Complex of high-frequency well seismic methods for detailed study of rock mass
Nalonnil et al. Next Generation Borehole Seismic: Dual-Wavefield Vibr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