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506A - Electrical plug-type apparatus with leading contact - Google Patents

Electrical plug-type apparatus with leading cont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506A
KR20130127506A KR1020137023532A KR20137023532A KR20130127506A KR 20130127506 A KR20130127506 A KR 20130127506A KR 1020137023532 A KR1020137023532 A KR 1020137023532A KR 20137023532 A KR20137023532 A KR 20137023532A KR 20130127506 A KR20130127506 A KR 20130127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pluggable
plu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5876B1 (en
Inventor
아킴 푸에트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2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5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5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br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형 커넥터(2, 102)(plug-type connector) 및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로 이루어진 전기 플러그 형 장치로부터 출발하며, 이 경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에는 수형-접촉부(18, 118)(male-contact)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에는 암형-접촉부(34, 134)(female-contact)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가 플러그 방식으로 상호 삽입 결합 될 때에는 상기 수형-접촉부(18, 118)와 그에 대응하는 상기 암형-접촉부(34, 134)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지기 전에 제 1 접촉 형성 부재(20, 120)와 제 2 접촉 형성 부재(42, 142)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진다.The invention starts from an electrical plug type device consisting of a plug-type connector (2, 102) and a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28, 128), in which case the plug type connector (2, 102) is male. Male contacts are provided, and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28, 128 are provided with female-contacts 34,134. The pluggable connectors 2, 102 are complementary to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28, 12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g-type connector 2, 102 and the corresponding plug-type connector 28, 128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each other in a plug manner, the male-contacting portion 18, 118 and the corresponding female- An electrically conductive bond is made between th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20, 120 and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42, 142 before an electrically conductive bond is made between the contacts 34, 134.

Description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 {ELECTRICAL PLUG-TYPE APPARATUS WITH LEADING CONTACT}ELECTRICAL PLUG-TYPE APPARATUS WITH LEADING CONTACT

본 발명은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plug-type device in which contact formation is preceded.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는 플러그 방식의 전기 전도성 결합을 더 이상 별개로 생각할 수가 없다. 한 편으로 이와 같은 플러그 방식의 결합에 의해서는 액추에이터와 센서가 상호 결합 된다. 다른 한 편으로 액추에이터와 센서는 상기와 같은 플러그 방식 결합에 의해서 또한 제어 장치와도 결합 된다. 바로 오늘날에는 소형화(miniaturizing)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 그리고 점점 더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져야만 하는 점점 더 많은 스위칭 과정들에 대한 요구로 인해,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들이 없이는 상기와 같은 제어 장치들이 더 이상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 근래의 제어 장치들은 과전압에 대하여 민감한데, 그 이유는 제어 장치 내부에 있는 전자 부품들이 과전압에 의해서 손상되거나 또는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전압은 예를 들어 소정의 전위를 갖는 사람의 손이 제어 장치의 접촉부(contact)에 접촉할 때에 생성되며, 이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사람의 손과 상이한 전위를 갖는다. 이와 같은 효과들은, 예를 들어 차체(car body)가 제어 장치와 다른 전위를 가짐으로써 상기 차체와 상기 제어 장치 간에 전위 보상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같이, 조립 라인(assembly line)에서 제어 장치들을 자동차 내부에 조립할 때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위 보상은 접지 접속부(earth connection)를 통해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상호 전기 절연된 부재들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접촉 형성 순서들에 의해서도 제어 장치 내부에 있는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들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전에 이미 전압이 공급된 플러그 형 접촉부와 대응 플러그 형 접촉부를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들이 구비된 전자 장치의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전압이 접지 접속부를 통해서 차체로 방출될 수 있기 전에 먼저 상기 전자 장치에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In the automotive industry in particular, plug-in electrically conductive couplings can no longer be considered separately. On the one hand, this plug-in combination allows the actuator and sensor to be coupled together. On the other hand the actuator and sensor are also coupled to the control device by means of such a plug-in combination. Today, due to the continuing demand for miniaturizing and the need for more and more switching processes that must take place in less and less time, such control devices are no longer fully functional without static-sensitive components. Can't exert Therefore, modern control devices are sensitive to overvoltage, because electronic components inside the control device may be damaged or destroyed by overvoltage. This overvoltage is generated when, for example, the hand of a person having a predetermined potential contacts the contacts of the control device, in which case the control device has a different potential than the hand of the person. These effects can be achieved by incorporating control devices into an automobile in an assembly line, for example when potential compensation is made between the car body and the control device by having a car body having a different potential than the control device. This may also occur during assembly, in which case the potential compensation is not through earth connection, but rather through mutually insulated members. In addition, undesirable contact forming sequences can damage static-sensitive components inside the control device. Thus, for example, when inserting a plug type contact and a corresponding plug type contact previously supplied with voltage into a plug type connector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static-sensitive components, the voltage is discharg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ground connection. The electronic device can first be supplied with voltage before it can be.

상기 내용과 관련된 해결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자 제어 장치의 플러그 형 커넥터와 일반적으로 케이블에 연결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간에 플러그 방식의 삽입 결합이 이루어지는 동안 조기에 접지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서, 몇몇 제어 장치들에서는 연장된 "접지-핀"이 도입되었다. 이 경우에 상기 연장된 "접지-핀"이란,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 또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존재하는 추가 접촉부 위로 돌출하는 플러그 형 접촉부로 이해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구현 예의 단점은, 특히 상응하게 형성된 플러그 형 커넥터-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조합이 다수의 연결부를 구비하여 그에 상응하게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조합의 모든 허용 오차 위치들을 통해서는 상기 접지-핀의 최초 접촉 형성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수형-접촉부(male-contact)가 제공된 제어 장치의 플러그 형 커넥터들에서는 길이가 훨씬 더 긴 접촉부들이 필요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부들은 제조 원가가 비싸고 허용 오차 측면에서 제조하기가 어렵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핀이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위치가 고정적으로 규정되었다는 사실도 단점으로서 작용을 한다. 다른 제어 장치-회로 설계 방식에서는 길이가 긴 핀이 다른 한 장소에 제공된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필요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상응하게 설계도 새롭게 이루어져야만 한다.In order to propose a solution related to the above, in order to form a ground connection early during the plug-in insertion coupling between the pluggable connector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generally connected to the cable, In elongated an "ground-pin" was introduced. In this case, the elongated “ground-pin” should be understood as a plug-type contact projecting over an additional contact existing within the plug-in connector or the corresponding plug-in connector. A disadvantage of this embodiment is that all of the pluggable connector-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combinations are allowed, in particular if the correspondingly formed pluggable connector-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combination is formed correspondingly long with a number of connections. Through the error positions, the initial contact formation of the ground-pin is not assured. In addition, pluggable connectors of control devices provided with male-contacts require much longer lengths of contact, but such contacts have been found to be expensive and difficult to manufacture in terms of tolerance.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position where the relatively longer pin is arranged inside the plug-in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is fixedly serves as a disadvantage. Other control-circuit design approaches may require new interfaces provided with long pins in different locations, and must be redesigned to correspond with these new interfaces.

본 발명의 과제는, 플러그 형 커넥터 및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접지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 전도성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plug type connector, which is composed of a plug type connector and a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and in which ground contact formation can be made in advance.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에 기재된 대상들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들로부터 드러난다.The problem can be solved by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in the independent claim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emerge from the subject matter of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플러그 형 커넥터는 전기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내부 공간은 한 측벽의 내벽 및 한 바닥 부재의 바닥 벽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이때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 부재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 벽에 마주 놓인 한 측에서는 에지(edge)에 의해 제한되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상기 바닥 벽에 마주 놓여 있는 그리고 하나의 플러그 형 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개구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 부재는 내부 공간 내부로 연장되는 수형-접촉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경우에 전기 전도성의 제 1 접촉 형성 부재는 제 1 접촉 부품 및 제 1 접속 부재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제 1 접촉 부품은 상기 측벽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제 1 접촉 부품은 내부 공간으로부터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속 부재는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type connector is made of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 The plug connector has an inner space, in which case the inner space is formed by an inner wall of one side wall and a bottom wall of a bottom member, wherein the side wall is tightly coupled to the bottom member. The side wall was limited by an edge on one side facing the bottom wall. The pluggable connector has an insertion opening facing the bottom wall and for inserting one pluggable connector. The bottom member is designed to receive a male-contacting portion extending into the interior space. In this cas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has a first contact part and a first contact member, wherein the first contact part is firmly coupled to the side wall. The first contact part may be contacted from an internal spac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

따라서, 상기 바닥 부재를 반드시 완전하게 둘러쌀 필요가 없는 단 하나의 측벽만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평면도 상으로 볼 때에 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외형, 원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기하학적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수형-접촉부가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와 사전에 미리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 방식은 예를 들어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수형-접촉부 및/또는 접속 부재가 분사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형-접촉부는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로킹(locking)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수형-접촉부 및/또는 접속 부재가 대응 플러그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바닥 부재 위로 돌출하여 상기 돌출하는 부분이 인쇄 회로와 직접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예를 들어 크림핑(crimping), 납땜 또는 용접 공정을 위해서 형성될 수 있다.Thus, only one side wall is needed which does not necessarily surround the bottom member completely. The plug connector may have,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a circular shape or other geometric shape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plug connector may be designed such that the male-contacting portion is previously unremovably coupled with the plug connector. Such a design scheme can be achieved, for example, by ejecting the male-contacting part and / or the connecting member when manufacturing the plug type connector. The male-contacting portion may be arranged to be lockable inside the pluggable connector. Further, the plug type connecto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male-contacting portion and / or the connecting member protrude over the bottom member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can be directly engaged with the printed circuit.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formed for example for crimping, soldering or welding processes.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제 1 접촉 부품은 실제로 측벽의 내벽을 따라서 에지로부터 바닥 벽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접속 부재에는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의 전기 전도성 접속을 목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contact component of the pluggable connector actually extends in the direction from the edge to the bottom wall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an be accessed for the purpose of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wit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접촉 부품은 측벽의 에지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상기 접촉 부품은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와 함께 제조될 수도 있다. 접촉 부품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접촉 부품은 플라스틱으로부터 플러그 형 커넥터를 사출 성형하는 동안 사출 성형 몰드 내부로 삽입되고, 플라스틱이 상기 접촉 부품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사된다. 접속 부재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접속 부재는 예를 들어 핀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핀은 바닥 부재로부터 출발하여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접속 부재는 또한 이 접속 부재가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 예컨대 제어 장치의 금속 하우징과 직접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Generally the first contact part does not protrude above the edge of the side wall. The contact part may be inserted inside the pluggable connector or may be manufactured with the pluggable connector. The contact part may for example be made of metal, in which case the contact part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molding mold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plugged connector from the plastic, and the plastic is at least partly sprayed around the contact part. In order to be able to access the connecting member freely,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formed, for example, as a pin, in which case the pin extends from the bottom member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corresponding plug-type connecto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may also be formed such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nected wit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 for example with the metal housing of th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측벽은 전기 전도성으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형성은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접촉 부품은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함께 분사되는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형성의 목적은 제 1 접촉 부품을 측벽과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시키거나 또는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조한 후에 제 1 접촉 부품을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에 단단히 결합시키기 위함이며, 이 경우 "단단히 결합 된"이라는 표현은 해체 가능하게 결합 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된 상태로도 이해될 수 있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idewalls are formed electrically conductive. Such formation may be made, for example, by electrically conductive plastic. The first contact component may also be formed from electrically conductive plastic that is sprayed together when manufacturing the pluggable connector, the purpose of which is to unremovably couple the first contact component to the sidewall or to provide a pluggable connector. To ensure that the first contact part is firmly coupled to the pluggable connector after manufacture, in which case the expression "tightly coupled" can be understood not only in a disassembled state but also in an unremovable state.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플러그 형 커넥터의 내부 공간 내부로는 그립(grip) 보호 부재가 돌출하며, 이 경우 상기 그립 보호 부재는 바닥 벽으로부터 삽입 개구의 방향으로 그리고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1 접촉 부품이 상기 그립 보호 부재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접촉 부품은 내부 공간으로부터 접촉될 수 있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grip protection member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lug-in connector, in which case the grip protection member is directed from the bottom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opening and of the corresponding plug-in connector.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Since the first contact part is disposed in the grip protection member, the first contact part can be contacted from the inner space.

상기 그립 보호 부재는 사람의 손 혹은 손가락이 접촉부에 접촉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해준다. 특히 2행 이상의 수형-접촉부와 플러그 방식으로 삽입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하나의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다수의 그립 보호 부재가 존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특히 평면도 상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플러그 형 커넥터의 경우에는, 상기 그립 보호 부재가 하나의 리브(rib)로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그립 보호 리브들은 코지리(Kojiri)-리브로서도 불린다. 평면도 상으로 볼 때에 대체로 원형으로 보이거나 또는 타원형으로 보이는 플러그 형 커넥터의 경우에는, 상기 그립 보호 소자가 못(spike) 형태의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The grip protection member prevents the possibility that a person's hand or finge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plug-in connection is made with two or more male-contact parts in a plug manner, it may be necessary to have a plurality of grip protection members inside one plug-type connecto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lug-shaped connector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the grip protection member is formed as one rib. Such grip protection ribs are also called Kojiri-ribs. In the case of a plug-type connector which looks generally circular or elliptical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grip protection element may be formed as a spike shaped protrusion.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플러그 형 커넥터는 수형-접촉부를 더 구비하며, 이 경우 암형-접촉부(female-contact)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계된 상기 수형-접촉부의 제 3 접촉 부품은 내부 공간 내에 있는 에지 아래에서 끝난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luggable connector further has a male-contact, in which case the third contact part of the male-contacted part designed to be received inside the female-contact is arranged in an interior space. Ends below the edge.

상기 실시 예에 의해서는 사람의 손가락이 수형-접촉부에 접촉할 수 없도록 안전하게 보호된다. 그러나 외부로 돌출하는 수형-접촉부들이 다른 대상물 내부로 휩쓸려 들어가서 눈에 띄지 않게 숨겨짐으로써, 결과적으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결점 없는 삽입 과정이 더 이상 보증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uman finger is securely protected from contacting the male-contacting part. However, the male-contacting parts protruding outward are swept into the inside of another object and hidden invisibly, so that the defect-free insertion of the corresponding plugged connector may no longer be guaranteed.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는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는 하우징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은 암형-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하나의 외벽 및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한 전면 벽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은 상기 외벽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은 하나의 수형-접촉부가 대응하는 암형-접촉부와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는 형성되었다. 이 경우에는 전기 전도성의 제 2 접촉 형성 부재가 제 2 접촉 부품 및 제 2 접속 부재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제 2 접촉 형성 부재는 하우징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촉 부품은 외부로부터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속 부재는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corresponding plugged connector is formed of a housing, in which case the housing has a chamber for receiving the female-contacting portion. The housing is formed by one outer wall and one front wall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in which case the front wall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is tightly coupled to the outer wall. The front wall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has been formed such that one male contact can be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nected with the corresponding female contact. In this cas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has a second contact component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is firmly coupled to the housing. The second contact part may be contacted from the outsid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

상기 비-전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는 플러그 형 커넥터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 부품의 외부로부터의 접촉 가능성"이라는 표현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인 플러그 형 커넥터가 하우징 내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접촉 부품의 한 부분 영역 내부로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접촉 부품이 전기 전도성으로 접촉될 수 있다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이 플러그 형 커넥터의 내벽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외벽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은 하나의 개구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개구를 통해서는 수형-접촉부의 제 3 접촉 부품이 암형-접촉부의 제 4 접촉 부품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 쪽을 향하고 있는 상기 제 4 접촉 부품의 단부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에 대하여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 있다. 하지만,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은 상기 암형-접촉부의 제 4 접촉 부품이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과 동일한 높이에서 끝나도록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암형-접촉부의 제 4 접촉 부품이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플라스틱이 암형-접촉부 둘레에 분사되도록 형성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에서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전면 벽 위로 돌출하는 제 4 접촉 부품이 공지되어 있다. 제 2 접속 부재는 하나의 케이블이 상기 제 2 접속 부재에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속 부재는 크림핑-접촉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As the non-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plastic can be used.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may have a complementary form to the pluggable connector. The expression "possibility of contact from outside of the second contact part" means that a plug-type connector complementary to the corresponding plug-in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referably into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contact part. In this cas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contact part can be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tacted. The plug connector can be formed such that the inner wall of the plug connector completely surrounds the outer wall of the corresponding plug connector. The front wall of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may have one opening through which the third contact part of the male contact may be inserted into the fourth contact part of the female contact. The end of the fourth contact part facing the pluggable connector is entered into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front wall of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However, the front wall of the mating plug-in connecto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ourth contact part of the female-contacting part ends at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wall of the mating plug-type connector or the fourth contact part of the female-contacting part is formed.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above the front wall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Particularly in a mating plug-type connector which is formed such that plastic is sprayed around the female-contacting portion when manufacturing the mating plug-type connector, a fourth contact part protruding above the mating plug-type connector-front wall is know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so that one cable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an be designed as a crimping-contacting part.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은 제 1 개구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제 1 개구는 챔버까지 연장된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ront wall of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has a first opening, in which case the first opening extends to the chamber.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하우징은 홈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홈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반대로 연장되고, 하나의 홈 벽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접촉 부품이 상기 홈 벽에 배치되어 있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housing of the mating plug type connector has a groove, in which case the groove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ating plug type connector and is limited by one groove wall. In this case, a second contact part is arranged on the groove wall.

특히 플러그 형 커넥터가 앞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그립 보호 리브를 구비하면, 상기 홈은 그루우브(groov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보호 부재가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서 못 형태의 돌출부로 구현되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상응하는 홈은 원형 실린더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f the pluggable connector has a grip protection rib as already described above, the groove can be embodied as a groove. If the grip protection member is embodied as a nail-shaped protrusion inside the plug-in connector, th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corresponding plug-in connector may be embodied as a circular cylinder.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제 2 접촉 부품은 이완된 제 1 위치로부터 탄성 복원력에 대항해서 긴장된 제 2 위치로 옮겨지며, 이 경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가 상호 보완적인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제 2 접촉 부품은 상기 제 2 위치를 취하게 된다. 외벽 및/또는 홈 벽은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며, 이 경우 제 2 접촉 부품은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외벽 위로 그리고/또는 홈 벽 위로 돌출한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cond contact part of the mating plug-in connector is moved from the relaxed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ich is tensioned agains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n which case the mating plug-type connector is complementary to the plug type. When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he second contact part assumes the second position. The outer wall and / or the groove wall have one opening, in which case the second contact part penetrates the opening and projects over the outer wall and / or over the groove wall at least in the first position.

상기 탄성 복원력은 한 편으로는 예를 들어 하나의 스프링이 제 2 접촉 부품을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밀어줌으로써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부품은 예를 들어 (탄력적인) 가압 부품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 부품은 또한 탄성 복원력이 상기 접촉 부품 자체에 내재 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복원력을 수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접촉 부품은 판금으로부터, 특히 냉간 압연 된(cold rolled) 판금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황동 또는 톰백(tombac)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복원력은 추가로, 플러그 형 커넥터-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조합이 진동하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제 2 접촉 부품이 제 1 접촉 부품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보증해준다. 상기 개구 또는 리세스는 제 2 접촉 부품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옮겨질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제 2 접촉 부품의 소정의 과도 행정(over stroke)이 추가로 고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도 행정은 예를 들어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제조 허용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n one side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by one spring pushing the second contact part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 contact part may also be embodied, for example, as a (elastic) press part. The contact part may also be formed such that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inherent in the contact part itself. In order to maintain this resilience over the years, the second contact part can be manufactured from sheet metal, in particular from cold rolled sheet metal, preferably from brass or tombac.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further ensures that the second contact part continues to press against the first contact part even when the pluggable connector-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combination vibrates. The opening or recess can b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contact part can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predetermined over stroke of the second contact part is further considered. The transient stroke can, for example, compensate for manufacturing tolerances of the pluggable connector.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제 2 접촉 부품, 다시 말하자면 예를 들어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접촉 부품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었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is formed with one or more second contact parts, ie two, three or four contact parts, for example.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제 2 접촉 부품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 근처에 배치되어 있지만, 실제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을 넘어서까지 돌출하지는 않는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act component of the mating plug-in connector is disposed near the front wall of the mating plug-type connector but does not actually protrude beyond the front wall of the mating plug-type connector.

상기와 같이 제 2 접촉 부품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을 초과해서 돌출하지 않는 상황은 상기 제 2 접촉 부품이 다른 대상물들과 상호 맞물릴(interlocking) 수 없도록 보증해준다. 따라서, 상기 제 2 접촉 부품은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에 최대한 가깝게 닿을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촉 부품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전면 벽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가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수형-접촉부의 제 3 접촉 부품이 암형-접촉부의 제 4 접촉 부품에 접촉하기 전에 먼저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제 2 접촉 부품이 제 1 접촉 부품에 접촉하게 된다.The situation in which the second contact part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front wall of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as above ensures that the second contact part cannot be interlocked with other objects. Thus, the second contact part is arranged inside the housing so as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ront wall of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The second contact part is disposed close to the corresponding plug-type connector-front wall such that when the corresponding plug-typ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plug-in connector, the third contact part of the male-contact part is connected to the fourth contact part of the female-contact part. Before contacting, the second contact part of the plug connector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art.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하나의 전기 플러그 형 접속부는 하나의 플러그 형 커넥터 및 하나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에는 수형-접촉부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에는 암형-접촉부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가 플러그 방식으로 상호 삽입 결합 될 때에는 상기 수형-접촉부와 그에 대응하는 상기 암형-접촉부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지기 전에 제 1 접촉 형성 부재와 제 2 접촉 형성 부재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진다.In one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e electrical plug type connection consists of one plug type connector and on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in which case the plug typ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male contact and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are provided with female contacts. The plug connector is complementary to the corresponding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g type connector and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are inserted into and interleaved with each other in a plug manner, th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and th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are formed before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male contact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female contact portion. An electrically conductive bond is made between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s.

상기 제 2 접촉 형성 부재의 제 2 접촉 부품이 슬라이딩 접촉부(sliding contact)로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가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제 2 접촉 부품이 제 1 접촉 부품으로부터 들어 올려지지(lifting) 않게 되어 전기 전도성이 끊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접촉 부품은 하나의 직선 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직선의 면은 볼 펀치(ball punch)로서 형성된 제 2 접촉 부품의 외벽과 전기 전도성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벽은 단지 라운딩 처리만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운딩 부분은 제 1 접촉 부품에서 지지가 된다.The second contact part of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can be formed as a sliding contact, so that when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plug type connector, the second contact part is first contact part. Lifting away from it may cause electrical conductivity to be broken. Thus, for example, the first contact part can be formed as one straight face, in which case the straight face is electrically conductively coupled with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contact part formed as a ball punch. In addition, the outer wall may only be rounded, in which case the rounded part is supported in the first contact part.

상기와 같은 전기 플러그 형 접속부는 자동차 산업에서 제기되는 여러 가지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켜야만 된다. 구조적인 특징들로서는 단지 몇 가지 주요 특징들만 언급된다: 플러그 형 장치는 먼지에 대하여 보호되어야만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형 장치는 진동으로 인해 느슨하게 풀어져서도 안 되며, 상황에 따라서는 로킹 기구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형 장치는 특히 이 플러그 형 장치가 모터 공간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분사되는 물에 대하여 보호된 형태로 구현되어야만 한다. 자동차 산업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가격 경쟁으로 인해 상기 전기 플러그 형 장치는 제조시에 비싸지 않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부로서 구현되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형 장치는 특히 모터 공간 내부에서는 약 120 °K의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적이어야만 한다.Such electrical pluggable connections must meet various requirements in the automotive industry. As structural features only a few key features are mentioned: Pluggable devices must be protected against dust. In addition, the plug type device should not be loosened due to vibration, and locking mechanisms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addition, the pluggable device must be embodied in a protected form against water sprayed, especially if the pluggable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motor space. Due to the price competition that is common in the automotive industry, the electric plug type device is implemented inexpensively and preferably as a plastic injection molded part in manufacturing. In addition, the plug-in device must be stable against sudden temperature changes of about 120 ° K, especially inside the motor space.

본 발명에 대한 사상은 플러그 형 커넥터와 관련해서뿐만 아니라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와 관련해서도 그리고 상기 두 가지 커넥터로 이루어진 전기 플러그 형 장치와 관련해서도 기술된다. 이와 관련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된 개별 특징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조합시킬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e idea of the invention is described not only in connection with pluggable connectors, but also with respect to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and with regard to an electrical pluggable device consisting of the two connectors. In this regar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ndividual features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one another in various ways to implement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플러그 형 커넥터 및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전기 전도성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공하여, 접지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pluggable connector consisting of a pluggable connector and a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the ground contact formation being preced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각의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었기 때문에 척도에 맞지 않는다:
도 1은 세 개의 수형-접촉부를 구비한 1행의 플러그 형 커넥터를 3D-단면도로 보여주고 있으며;
도 2는 도 1의 플러그 형 커넥터에 대응하는 1행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를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고;
도 3은 1행의 플러그 형 커넥터-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조합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4는 각 행당 네 개의 수형-접촉부를 구비한 2행 플러그 형 커넥터를 3D-단면도로 보여주고 있고;
도 5는 도 4의 플러그 형 커넥터에 대응하는 2행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를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그리고
도 6은 2행의 플러그 형 커넥터-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조합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ach of the figures does not fit the scale because it is shown only schematically:
1 shows a row of pluggable connectors with three male contacts in a 3D cross-sectional view;
FIG. 2 shows, in 3D-drawing, a row of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corresponding to the pluggable connector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row of pluggable connector-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combination;
4 shows a two-row pluggable connector with four male contacts in each row in a 3D cross-sectional view;
FIG. 5 shows, in 3D-drawing, two rows of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corresponding to the pluggable connector of FIG. 4; FIG. And
Fig. 6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wo rows of pluggable connector-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combinations.

도 1은 1행의 플러그 형 커넥터(2)를 내부 공간(4)의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3D-단면도이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전기 비-전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었다. 상기 내부 공간(4)은 내벽(6), 측벽(8) 그리고 바닥 부재(12)의 바닥 벽(10)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바닥 부재(12)에는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챔버를 제한하는 벽들과 상호 결합 된다. 측벽(8)은 바닥 부재(12)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측벽(8)은 상기 바닥 벽(10)에 마주 놓인 한 측에서 에지(14)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의 한 가지 삽입 방향은 도면 부호 (E)로 표기된 화살표에 의해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바닥 부재(12)는 내부 공간 내부로 연장되는 수형-접촉부(18), 본 경우에는 세 개의 접촉 부품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플러그 형 커넥터(2)에 수형-접촉부(18)가 사전에 미리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는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전기 전도성의 제 1 접촉 형성 부재(20)는 하나의 제 1 접촉 부품(22) 그리고 도 3에서 더 잘 볼 수 있는 하나의 제 1 접속 부재(24)를 구비한다. 제 1 접촉 부품(22)은 측벽(8)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접촉 부품(22)은 황동 판금으로부터 제조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접촉 부품(22)은 상기 측벽(8)의 내벽(6)과 동일한 높이에서 끝나도록 구현되었다. 상기 제 1 접촉 부품(22)은 실제로 상기 측벽(8)의 내벽(6)을 따라서 상기 에지(14)로부터 바닥 벽(10)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접촉 부품(22)은 내부 공간(4)으로부터 접촉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수형-접촉부(18) 중에서 단지 상기 수형-접촉부의 제 3 접촉 부품(26)만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3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lug connector 2 in a row cut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4. The pluggable connector was made from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plastic. The interior space 4 is formed by an inner wall 6, a side wall 8 and a bottom wall 10 of the bottom member 12. The bottom member 12 may also be provided with a chamber for receiving a contact, in which case the contact is interlocked with the walls limiting the chamber. The side wall 8 is tightly coupled to the bottom member 12. The side wall 8 is limited by an edge 14 on one side facing the bottom wall 10. On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28 shown in FIG. 2 is indicated by an arrow designated by reference numeral (E). The bottom member 12 is designed to receive a male-contacting portion 18, in this case three contact parts, extending into the interior sp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le contact portion 18 is provided in advance in the plug type connector 2, in which case the plug type connector 2 is implemented in one piec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20 has one first contact piece 22 and one first connecting piece 24 which is better seen in FIG. The first contact part 22 is firmly coupled to the side wall 8,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part 22 is made from brass sheet metal, in which case the first contact part 22 is the side wall. It is implemented to en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wall 6 of (8). The first contact part 22 actually extends along the inner wall 6 of the side wall 8 in the direction from the edge 14 to the bottom wall 10. The first contact part 22 can be contacted from the internal space 4. In this figure only the third contact part 26 of the male-contacting part is shown among the male-contacting parts 18.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형 커넥터(2)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인 1행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를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에 대한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다.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는 비-전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는 하우징(30)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30)은 외벽(36) 및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은 외벽(36)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은 세 개의 제 1 개구(40)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를 통해서는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의 수형-접촉부(18)의 제 3 접촉 부품(26)이 도 3에서 볼 수 있는 암형-접촉부(34)의 (마찬가지로 도 3에서 볼 수 있는) 제 4 접촉 부품(35)에 도달하게 된다. 도 3에서는 또한 상기 암형-접촉부(34)가 하우징(30)의 한 챔버(32)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전기 전도성의 제 2 접촉 형성 부재(42)는 자신의 제 1 단부에 제 2 접촉 부품(44)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단부에 마주 놓인 자신의 제 2 단부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제 2 접속 부재(46)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접촉 형성 부재(42)는 하우징(30)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은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은 판금으로부터 제조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판금은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을 형성하기 위하여 후크 형태로 유연하게(plastically) 구부러져 있으며, 이때 하나의 휘어진 외벽은 상기 외벽(3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은 이완된 제 1 위치(50)에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접촉 부품은 상기 제 2 접촉 형성 부재(42)에 내재 된 탄성력에 대항해서 도 3에 도시된 긴장된 제 2 위치로 옮겨진다.FIG. 2 shows, in 3D-drawings, the front wall 38 of the corresponding plug-in connector in a row of corresponding plug-in connectors 28 complementary to the plug-in connector 2 shown in FIG. 1. .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28 was made from non-conductive plastic.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28 is formed of a housing 30, in which case the housing 30 is formed by an outer wall 36 and a front wall 38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The front wall 38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is firmly coupled to the outer wall 36. The front wall 38 of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has three first openings 40 through which the third contact part 26 of the male-contacting portion 18 of the pluggable connector 2 is opened. ) Reaches the fourth contact part 35 (similarly seen in FIG. 3) of the female-contacting part 34 seen in FIG. 3. It can also be seen in FIG. 3 that the female-contacting part 34 is inserted into one chamber 32 of the housing 30. The electrically conductiv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42 has a second contact component 44 at its first end, and at its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a second as seen in FIG. 3. The connecting member 46 is provided.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42 is firmly coupled to the housing 30, in which case the second contact component 44 may be electrically contacted from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ntact part 44 is made from sheet metal, in which case the sheet metal is plastically bent in the form of a hook to form the second contact part 44, wherein one bent The outer wall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wall 36. The second contact component 44 is in a relaxed first position 50, in which case the second contact component is tensioned as shown in FIG. 3 against the elastic force inherent in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42. Is moved to position 2.

도 3은 플러그 형 커넥터(2)-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조합의 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 1 접속 부재(24)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의 삽입 방향을 상징적으로 지시하는 화살표(E)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측면에서는 측벽(8)을 넘어서까지 돌출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암형-접촉부(34)의 제 4 접촉 부품(35)의 전방 단부(37)가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 뒤에서 하우징(30) 내부로 들어가 있다는 것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상기 암형-접촉부(34)는 상기 전방 단부(37)에 마주 놓인 후방 단부(53)에서는 크림핑 연결부(54)로서 설계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크림핑 연결부는 케이블(56)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본 도면은, 수형-접촉부(18)의 제 3 접촉 부품(26)이 암형-접촉부(34)의 제 4 접촉 부품(35)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수형-접촉부(18)와 암형-접촉부(34)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가 플러그 형 커넥터(2)의 삽입 개구(16)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 제 2 접촉 부품(44)이 긴장된 제 2 위치(52)로 옮겨져서 제 1 접촉 형성 부재(20)의 제 1 접촉 부품(22)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플러그 형 커넥터(2)-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조합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위차로 인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전자 제어 장치 - 이 전자 제어 장치의 경우에는 접지가 제 1 접속 부재(24)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음 - 사이에서 발생하는 과전압은 상기 제어 장치의 수형-접촉부(18)가 암형-접촉부(34)에 접촉하기 전에 제 1 접촉 부품(22)을 통해서는 제 2 접촉 부품(44)으로 그리고 계속해서 제 2 접속 부재(46)를 통해서는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차체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암형-접촉부(34)는 결국에는 케이블(56)에 의해서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센서에 결합 된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상기 수형-접촉부(18)의 제 3 접촉 부품(26)이 내부 공간(4) 내에 있는 에지(14) 아래에서 끝난다는 것도 잘 알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이 슬라이딩 접촉부로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가 플러그 형 커넥터(2)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이 제 1 접촉 부품(22)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없어서 전기 전도성이 끊어질 가능성이 있다.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uggable connector 2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28 -combination. In this figur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4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symbolically indicati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plug-type connector 28, and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side wall 8 from the side. You can see clearly. It can also be clearly seen that the front end 37 of the fourth contact part 35 of the female-contacting part 34 enters into the housing 30 behind the front wall 38 of the corresponding plugged connector. The female contact 34 is designed as a crimping connection 54 at the rear end 53 opposite the front end 37, in which case the crimping connection is tightly coupled to the cable 56. The figure shows, in more detail, the male-contacting part 18 in a state where the third contacting part 26 of the male-contacting part 18 does not contact the fourth contacting part 35 of the female-contacting part 34. Befor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female contact and the female contact 34 is made, the second contact part 44 is removed while the corresponding plugged connector 2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16 of the plugged connector 2. Pluggable connector 2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28 -combined in a state in which it is moved to the second tensioned position 52 and is in electrical conductive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component 22 of th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20 Is showing. Thus, for example, the overvoltage occurring between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not shown in the figure)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in which case the ground is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4, Before the male-contacting part 18 of the control device contacts the female-contacting part 34, through the first contact part 22 to the second contact part 44 and subsequently to the second contact member 46. It can be transferred to a vehicle body not shown in this figure, in which case the female contact 34 is eventually coupled to a sensor not shown in this figure by a cable 56. It can also be seen in this figure that the third contact part 26 of the male-contacting part 18 ends below the edge 14 in the interior space 4. The second contact part 44 is formed as a sliding contact, so that the second contact part 44 is the first contact part while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28 is inserted into the plug type connector 2.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broken because it cannot be lifted from (22).

도 4는 각 행당 네 개의 수형-접촉부(118)를 구비한 2행 플러그 형 커넥터(102)를 내부 공간(104)에 대한 3D-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내부 공간(104)은 한 측벽(108)의 내벽(106) 그리고 한 바닥 부재(112)의 바닥 벽(110)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102)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부로서 구현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은 전기 비-전도성이며, 이때 상기 측벽(108)은 상기 바닥 부재(112)에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측벽(108)은 상기 바닥 벽(110)에 마주 놓인 한 측에서는 에지(114)에 의해 제한되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를 화살표로 표시된 삽입 방향(E)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개구(116)가 상기 바닥 벽(110)에 마주 놓여 있다. 상기 바닥 부재(112)는 내부 공간(104) 내부로 연장되는 수형-접촉부(118)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형-접촉부(118)는 상기 바닥 부재(112)에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102)는 각각 네 개의 수형-접촉부(118)를 구비한 두 개의 행이 리브로서 형성된 그립 보호 부재(119)에 의해 상호 분리되었다는 점에서 도 1에 공지된 플러그 형 커넥터(2)와 실질적으로 구별된다. 상기 그립 보호 부재(119)는 상기 바닥 부재(112)에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지만, 자신의 좁은 측(121)에서는 내벽(106)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있다. 상기 그립 보호 부재(119)는 상기 에지(114)에 대하여 내부 공간(104) 내부로 들어가 있는 수형-접촉부(118)의 제 3 접촉 부품(126)에 사람의 손가락이 실수로 접촉할 수 없게끔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형-접촉부(118)의 한 행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그립 보호 부재 벽(123) 내부에는 제 1 접촉 형성 부재(120)의 제 1 접촉 부품이 동일한 높이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접촉 부품(122)은 상기 그립 보호 부재(119)에 대하여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접촉 형성 부재(120)의 제 1 접촉 부품(122) 내부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제 1 접속 부재(124)가 마주 놓여 있고, 상기 제 1 접속 부재는 삽입 방향(E)으로 상기 바닥 부재(112) 위로 돌출한다. 4 shows a two-row pluggable connector 102 with four male-contacts 118 in each row in a 3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ior space 104. The interior space 104 is formed by the inner wall 106 of one sidewall 108 and the bottom wall 110 of one bottom member 112. The pluggable connector 102 was embodied as an integral plastic injection molded part, in which case the plastic is electrically non-conductive, wherein the sidewall 108 is unremovably coupled to the bottom member 112. The sidewall 108 was limited by an edge 114 on one side opposite the bottom wall 110. An insertion opening 116 for facing the bottom wall 110 for inserting the corresponding plugged connector 128 shown in FIG. 5 in the insertion direction E indicated by the arrow is placed. The bottom member 112 is designed to receive a male-contacting portion 118 extending into the interior space 104, and in this embodiment the male-contacting portion 118 is inseparably attached to the bottom member 112. Are combined. The pluggable connector 102 is known from FIG. 1 in that two rows each having four male-contactings 118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grip protection member 119 formed as a rib. ) Is substantially distinguished. The grip protection member 119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member 112,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106 on its narrow side 121. The grip protection member 119 prevents a human finger from accidentally touching the third contact part 126 of the male-contacting portion 118 which enters the interior space 104 with respect to the edge 114. It works. In the grip protection member wall 123 extending parallel to one row of the male-contacting portion 118, the first contact component of th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120 is fixedly arranged at the same height. In this case, the first contact part 122 does not protrude upward with respect to the grip protection member 119. Inside the first contact part 122 of th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120, a first connecting member 124 as shown in FIG. 3 is faced,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E. It protrudes above the bottom member 112.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러그 형 커넥터(102)에 대응하는 2행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를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에 대한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다.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도 비-전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는 하나의 하우징(130)을 형성하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130)은 도 6에서 볼 수 있는, 암형-접촉부(134)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132)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30)은 한 외벽(136) 및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은 상기 외벽(136)에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 내부에는 챔버(132)까지 뻗는 제 1 개구(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개구(140)를 통해서는 플러그 형 커넥터(102)의 제 3 접촉 부품(126)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의 제 4 접촉 형성 부재(135)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촉될 수 있다. 하우징(130) 내부에는 그립 보호 부재(119)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홈(158)이 존재하며, 이 경우 상기 홈은 제 1 개구(140)의 두 개의 행 사이에 하나의 그루우브의 형태로 형성되었으며, 이때 상기 홈(158)은 하나의 홈 벽(160)에 의해서 제한되었다. 상기 세로 측 홈 벽(160)의 대략 중앙에서는 제 2 개구(148)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에 대하여 홈(158) 내부로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개구(148)를 통해서는 제 2 접촉 형성 부재(142)의 제 2 접촉 부품(144)이 상기 홈(158) 내부로 돌출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6에 더 잘 볼 수 있다. 제 2 접촉 부품(144)은 이완된 제 1 위치(150)에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접촉 부품(144)은 제 2 접촉 형성 부재(14)에 내재 된 탄성 복원력에 대항해서 도 6에 도시된 긴장된 제 2 위치(152)로 옮겨진다.FIG. 5 shows two rows of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128 corresponding to the pluggable connector 102 shown in FIG. 4 in a 3D-view of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front wall 138.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128 were also made by injection molding from non-conductive plastics.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128 forms a housing 130, in which case the housing 130 includes a chamber 132 for receiving the female-contacting portion 134, which can be seen in FIG. 6. do. The housing 130 is formed by one outer wall 136 and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front wall 138, in which case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front wall 138 is irremovably coupled to the outer wall 136. It is. A first opening 140 is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lug-type connector front wall 138 that extends to the chamber 132. Through the first opening 140, the third contact part 126 of the plug type connector 102 may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ourth contact forming member 135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128. Inside the housing 130 there is a groove 158 complementary to the grip protection member 119, in which case the groove is in the form of a groove between two rows of the first opening 140. In this case, the groove 158 is limited by one groove wall 160.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side groove wall 160, a second opening 148 is formed in the groove 158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plug-in connector front wall 138. The second contact part 144 of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142 protrudes into the groove 158 through the second opening 148. This state is better seen in FIG. 6. The second contact part 144 is in a relaxed first position 150, in which case the second contact part 144 is shown in FIG. 6 agains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nherent in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14. Is moved to a tense second position 152.

도 6은 2행의 플러그 형 커넥터(102)-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조합을 횡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본 도면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제 1 접촉 형성 부재(120)의 제 1 접속 부재(124)가 바닥 부재(112)로부터 출발하여 화살표(E)에 의해서 지시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의 삽입 방향의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이다. 또한, 제 2 접속 부재(146)가 상기 제 2 접촉 부품(144)에 마주 놓이도록 형성되었다는 것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접속 부재(146)는 크림핑 연결부(162)로서 형성되었다. 상기 제 2 접속 부재(146)에는 케이블(164) 그리고 그와 더불어 제 2 접촉 형성 부재(142)가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암형-접촉부(134)의 제 4 접촉 형성 부재(135)의 한 전방 단부(137)가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138)에 대하여 챔버(132) 내부로 들어가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 2 접촉 부품(144)은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wo rows of pluggable connector 102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128 -combination. It is clearly seen in this figure that the first plug-in connector 124 of th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120 starts from the bottom member 112 and is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128 indicated by the arrow E. FIG. )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6 is formed to face the second contact part 144, in which cas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6 is formed as a crimping connection 162. A cable 164 and a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1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6. It can also be seen that one front end 137 of the fourth contact forming member 135 of the female-contacting portion 134 enters the chamber 132 with respect to the front wall 138 of the corresponding plugged connector.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ntact component 144 is disposed close to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front wall 138.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는 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의 제 2 접촉 형성 부재(142)의 제 2 접촉 부품(144)이 플러그 형 커넥터(102)의 제 1 접촉 형성 부재(120)의 제 1 접촉 부품(122)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촉할 정도까지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개구(116)를 통해서 삽입 방향(E)을 따라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의 내부 공간(104)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형-접촉부(128)의 제 3 접촉 부품(126)은 - 이때 상기 제 3 접촉 부품(126)은 에지(144)에 대하여 내부 공간(104) 내부로 들어가 있음 - 전기 전도성 접속이 불가능할 정도로 암형-접촉부(134)의 제 4 접촉 형성 부재(135)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또한, 도 3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이 제공된 제어 장치의 금속 하우징과 자동차 차체 간의 전위 차로 인해 발생하는 전압 피크가 상기 금속 하우징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된 제 1 접속 부재(124)에 의해 상기 제 1 접촉 부품(122)을 거쳐서 제 2 접촉 부품(144)으로 그리고 그와 더불어 케이블(164)로 방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케이블(164)은 자동차 차체에 결합 되어 있다.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128 has a second contact part 144 of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142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128 having a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120 of the plug type connector 102.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04 of the plug-type connector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E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116 of the plug-type connector to the extent that it is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tacted with the first contact part 122 of the plug-type connector. Further, in such a state, the third contact part 126 of the male-contact part 128-wherein the third contact part 126 enters the interior space 104 with respect to the edge 144-is electric It is arranged at intervals from the fourth contact forming member 135 of the female-contacting portion 134 so that conductive connection is impossible. In this embodiment, as already described in FIG. 3, for example, a voltage peak generated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a metal housing of a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a static-sensitive part and an automobile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al housing. The first contact member 124 can be discharged via the first contact component 122 to the second contact component 144 and with it to the cable 164, in which case the cable 164 is a motor vehicle. Coupled to the body.

Claims (9)

전기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플러그 형 커넥터(2, 102)로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는 내부 공간(4, 104)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4, 104)은 한 측벽(8, 108)의 내벽(6, 106) 및 한 바닥 부재(12, 112)의 바닥 벽(10, 110)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측벽(8, 108)은 상기 바닥 부재(12, 112)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8, 108)은 상기 바닥 벽(10, 110)에 마주 놓인 한 측에서는 에지(14, 114)에 의해 제한되었으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는 상기 바닥 벽(10, 110)에 마주 놓여 있는 그리고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개구(16, 116)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바닥 부재(12, 112)는 상기 내부 공간(4, 104) 내부로 연장되는 수형-접촉부(18, 118)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플러그 형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의 제 1 접촉 형성 부재(20, 120)가 제 1 접촉 부품(22, 122) 및 제 1 접속 부재(24, 124)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접촉 부품(22, 122)은 상기 측벽(8, 108)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접촉 부품(22, 122)은 내부 공간(4, 104)으로부터 접촉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1 접속 부재(24, 124)는 전기 전도성 대상물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형 커넥터.
As a pluggable connector 2, 102 made of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
The plug connector 2, 102 has an interior space 4, 104,
The interior spaces 4, 104 are formed by the inner walls 6, 106 of one sidewall 8, 108 and the bottom walls 10, 110 of one bottom member 12, 112,
The side walls 8 and 108 are firmly coupled to the bottom members 12 and 112,
The sidewalls 8, 108 were limited by edges 14, 114 on one side opposite the bottom wall 10, 110,
The pluggable connectors 2, 102 have insertion openings 16, 116 facing the bottom walls 10, 110 and for inserting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28, 128, and
The bottom members 12, 112 are designed to receive male-contacting portions 18, 118 extending into the interior spaces 4, 104,
In the plug type connecto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20, 120 has a first contact part 22, 122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24, 124,
The first contact parts 22, 122 are tightly coupled to the side walls 8, 108,
The first contact parts 22, 122 can be contacted from the interior spaces 4, 104,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4, 12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nected to the object,
Pluggable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 부품(22, 122)이 실제로 상기 측벽(8, 108)의 내벽(6, 106)을 따라서 상기 에지(14, 114)로부터 상기 바닥 벽(10, 110)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때 상기 제 1 접속 부재(24, 124)에는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의 전기 전도성 접속을 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형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tact parts 22, 122 actually extend along the inner walls 6, 106 of the sidewalls 8, 108 in the direction from the edges 14, 114 to the bottom walls 10, 110.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4, 124),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for the purpose of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wit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object,
Pluggable connect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4, 104) 내부로 그립 보호 부재(119)가 돌출하며, 이때 상기 그립 보호 부재(119)는 바닥 벽(110)으로부터 삽입 개구(116)의 방향으로 그리고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의 삽입 방향(E)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때 상기 제 1 접촉 부품(122)이 상기 그립 보호 부재(119)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접촉 부품(122)은 내부 공간(104)으로부터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형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grip protection member 119 protrudes into the interior spaces 4, 104, wherein the grip protection member 119 extends from the bottom wall 110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opening 116 and to the corresponding plugged connector 128. The first contact part 122 is disposed in the grip protection member 119 by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E) of ().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tacted from
Pluggable connecto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가 수형-접촉부(18, 118)를 더 구비하며, 이때 암형-접촉부(34, 134)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계된 상기 수형-접촉부(18, 118)의 제 3 접촉 부품(26, 126)은 내부 공간(4, 104) 내에 있는 에지(14, 114) 아래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형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luggable connector 2, 102 further comprises male-contacting portions 18, 118, wherein a third contact of the male-contacting portion 18, 118 is designed to be received inside the female-contacting portion 34, 134.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s 26, 126 end below the edges 14, 114 in the interior space 4, 104,
Pluggable connector.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로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는 하우징(30, 130)으로 형성되었으며,
상기 하우징(30, 130)은 암형-접촉부(34, 134)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32, 132)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30, 130)은 한 외벽(36, 136) 및 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38, 138)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38, 138)은 상기 외벽(36, 136)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38, 138)은 하나의 수형-접촉부(18, 118)가 대응하는 암형-접촉부(34, 134)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의 제 2 접촉 형성 부재(42, 142)가 제 2 접촉 부품(44, 144) 및 제 2 접속 부재(46, 146)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접촉 형성 부재(42, 142)가 상기 하우징(30, 130)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접촉 부품(44, 144)이 외부로부터 접촉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2 접속 부재(46, 146)가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28 and 128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28, 128 is formed of a housing 30, 130,
The housings 30, 130 have chambers 32, 132 for receiving female-contacts 34, 134,
The housings 30, 130 are formed by one outer wall 36, 136 and on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front wall 38, 138,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front wall 38, 138 is firmly coupled to the outer wall 36, 136, and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front wall 38, 138 is formed such that one male-contact 18, 118 can be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female-contact 34, 134.
In the mating plug type connecto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s 42, 142 have second contact parts 44, 144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46, 146,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s 42 and 142 are firmly coupled to the housings 30 and 130,
The second contact parts 44, 144 may be contacted from the outside,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6, 146 can be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nected to the object,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0)이 홈(158)을 가지며, 이때 상기 홈(158)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의 삽입 방향(E)과 반대로 연장되고, 하나의 홈 벽(160)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제 2 접촉 부품(144)이 상기 홈 벽(16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ousing 130 has a groove 158, in which the groove 158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E of the corresponding plug type connector 128 and is limited by one groove wall 160. In this case, the second contact component 144 is disposed on the groove wall 160,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 부품(44, 144)이 이완된 제 1 위치(50, 150)로부터 탄성 복원력에 대항해서 긴장된 제 2 위치(52, 152)로 옮겨지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가 상호 보완적인 플러그 형 커넥터(2, 102)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제 2 접촉 부품(44, 144)이 상기 제 2 위치(52, 152)를 취하게 되며,
상기 외벽(36, 136) 및/또는 상기 홈 벽(160)이 하나의 개구(48, 148)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접촉 부품(44, 144)이 상기 개구(48, 148)를 관통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위치(50, 150)에서는 상기 외벽(36, 136) 위로 그리고/또는 상기 홈 벽(160) 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second contact parts 44, 144 are moved from the relaxed first positions 50, 150 to the second positions 52, 152 tensioned agains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28 and 128 are inserted into the complementary pluggable connectors 2 and 102, the second contact parts 44 and 144 take the second positions 52 and 152. ,
The outer wall 36, 136 and / or the groove wall 160 has one opening 48, 148, and
The second contact parts 44, 144 pass through the openings 48, 148 and at least in the first positions 50, 150 above the outer walls 36, 136 and / or above the groove walls 160. Characterized by protruding,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 부품(44, 144)이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 138) 근처에 배치되어 있지만, 실제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 138)을 넘어서까지 돌출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The second contact parts 44, 144 are arranged near the front walls 38, 138 of the mating plug type connector, but do not actually protrude beyond the front walls 38, 138 of the mating plug ty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형 커넥터(2, 102) 그리고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로 이루어진 전기 플러그 형 장치로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에는 수형-접촉부(18, 118)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에는 암형-접촉부(34, 134)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전기 플러그 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가 플러그 방식으로 상호 삽입 결합 될 때에는 상기 수형-접촉부(18, 118)와 그에 대응하는 상기 암형-접촉부(34, 134)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지기 전에 제 1 접촉 형성 부재(20, 120)와 제 2 접촉 형성 부재(42, 142)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
Electrically pluggable device comprising a pluggable connector (2, 102)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 (28, 128)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8. as,
The plug-in connectors 2, 102 are provided with male-contacts 18, 118,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28 and 128 are provided with female-contacts 34 and 134, and
The pluggable connectors 2, 102 are formed complementary to the corresponding pluggable connectors 28, 128,
In the electric plug type device,
When the plug-in connector 2, 102 and the corresponding plug-in connector 28, 128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in a plug manner, the male contact 18, 118 and the corresponding female contact 34, 134.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ically conductive bond is made between the first contact forming member 20, 120 and the second contact forming member 42, 142 befor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bond is made between
Electrical pluggable device.
KR1020137023532A 2011-04-07 2012-03-09 Electrical plug-type apparatus with leading contact KR1014858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6934A DE102011006934A1 (en) 2011-04-07 2011-04-07 Electrical plug-in device with leading contact
DE102011006934.8 2011-04-07
PCT/EP2012/054068 WO2012136441A1 (en) 2011-04-07 2012-03-09 Electrical plug-type apparatus with leading conta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506A true KR20130127506A (en) 2013-11-22
KR101485876B1 KR101485876B1 (en) 2015-01-26

Family

ID=4581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532A KR101485876B1 (en) 2011-04-07 2012-03-09 Electrical plug-type apparatus with leading contact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95250B1 (en)
JP (1) JP6049689B2 (en)
KR (1) KR101485876B1 (en)
CN (1) CN103460523B (en)
DE (1) DE102011006934A1 (en)
WO (1) WO2012136441A1 (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936A (en) * 1983-12-19 1986-08-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for a shielded cable
US4917616A (en) * 1988-07-15 1990-04-17 Amp Incorporated Backplane signal connector with controlled impedance
DE69114094T2 (en) * 1990-09-21 1996-05-30 Whitaker Corp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567168A (en) * 1990-09-27 1996-10-2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JP3049766B2 (en) * 1990-11-28 2000-06-05 富士通株式会社 connector
JPH088545Y2 (en) * 1992-02-25 1996-03-06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Car plug
GB0104860D0 (en) 2000-03-02 2001-04-18 Yazaki Corp Connector assembly
US6682356B2 (en) * 2002-03-14 2004-01-27 Wingcast, Llc Peripheral device port for motor vehicles
ES2354636T3 (en) * 2006-04-13 2011-03-16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FLAT DRIVERS.
JP5029232B2 (en) * 2007-08-31 2012-09-19 富士通株式会社 Connect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60523A (en) 2013-12-18
DE102011006934A1 (en) 2012-10-11
EP2695250B1 (en) 2015-11-25
JP2014510382A (en) 2014-04-24
EP2695250A1 (en) 2014-02-12
JP6049689B2 (en) 2016-12-21
CN103460523B (en) 2016-04-13
WO2012136441A1 (en) 2012-10-11
KR101485876B1 (en)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24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006618B2 (en) connector
US9431746B2 (en) USB connector assembly
US892018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deformable lock arm
JP5006610B2 (en) connector
CN101667694B (en) Connector assembly wit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ontacts
JP6097072B2 (en) connector
WO2013047178A1 (en) Joint connector
US958387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ecting structure
US10290966B2 (en) Joint connector
CN111146606A (en)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set
US10014635B2 (en) Grounding clip for an airbag ignition system
US20080261458A1 (en) Housing and Electrical Plug for Transmitting Electrical Drive Power
JP2008108560A (en) Connector
US8721366B2 (en) Connector
KR20130067308A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having an upstream contact terminal
JP5720518B2 (en) Joint connector
JP5821754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O2021112258A1 (en) Connector
KR20130127506A (en) Electrical plug-type apparatus with leading contact
JP5691982B2 (en) Electronic circuit unit with external connection
TWI401844B (en) Connector
KR101239463B1 (en) Connector
JP2008041257A (en) Electric connector with earth plate
KR20170025128A (en) Receptacle connecter, plug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