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128A -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 Google Patents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128A
KR20130127128A KR1020120050820A KR20120050820A KR20130127128A KR 20130127128 A KR20130127128 A KR 20130127128A KR 1020120050820 A KR1020120050820 A KR 1020120050820A KR 20120050820 A KR20120050820 A KR 20120050820A KR 20130127128 A KR20130127128 A KR 20130127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lux
flux forming
forming element
pattern
polym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974B1 (ko
Inventor
권중학
김지훈
정승규
지용주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2005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974B1/ko
Priority to PCT/KR2013/003963 priority patent/WO2013172583A1/ko
Publication of KR2013012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01F13/003Methods and devices for magneti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7Suspension between moving magnetic core and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한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한 음향변환장치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부재로 고분자 필름 및 고분자 필름 상에 부착되며, 통전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며, 자속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부착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MAGNETIC FLUX INDUCING ELEMENT FOR SOUND TRANSDUCER}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이스 코일을 이용한 다이나믹 방식의 구동 원리가 아닌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하여 구동되는 음향변환장치에 구비되는 자속 형성 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이나믹 방식을 이용한 음향변화장치는 프레임, 요크, 영구자석, 진동판, 보이스 코일, 프로텍터 등 구비되는 부품의 수가 많고 그에 따라 조립 공정이 많고 조립에 의한 편차가 커져 음향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많다.
또한 솔레노이드 방식을 이용한 솔레노이드형 음향변환장치는 솔레노이드의 코어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코깅 토크를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한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하되, 코어를 구비하지 않아 자속을 형성하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코깅 토크를 유발하지 않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한 음향변환장치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부재로, 코어가 없이 통전 재질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한 음향변환장치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부재로 고분자 필름 및 고분자 필름 상에 부착되며, 통전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며, 자속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부착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은 고분자 필름의 양 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은 고분자 필름의 양 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은 양 면에 형성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을 연결하기 위해 고분자 필름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은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며, 두 층의 자속 형성 통전 사이에 고분자 필름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의 층의 개수보다 하나 작은 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은 고분자 필름의 중앙과 가장자리에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진동판의 진동을 잡아줄 수 있는 서스펜션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서스펜션은 프레임에 안착되는 안착부,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이 형성된 자속 형성 소자와 일체로 형성되며 진동판이 부착되는 내주부 및 안착부와 내주부를 연결하며 진동판의 진동판을 잡아주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서스펜션은 통전 패턴이 형성되어, 자속 형성 통전 패턴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안착부의 외부 터미널과 연결되어 통전 패턴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는,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함으로써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조립 시에 발생하는 제품 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는, 코어 상에 전선을 감는 대신 고분자 필름 상에 통전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자계 발생 부품(영구자석, 솔레노이드 등)과 자속 형성 소자 간의 코깅 토크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단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1 예를 도식화한 것,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2 예를 도식화한 것,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3 예를 도식화한 것,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4 예를 도식화한 것,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5 예를 도식화한 것,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6 예를 도식화한 것,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7 예를 도식화한 것,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400)는 고분자 필름(410)으로 제조되며, 고분자 필름(410) 상에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은, 음향변환장치의 자석(310, 320) 또는 솔레노이드(310', 320')에 의해 자속이 흐르는 자계 상에 위치된다.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은, 솔레노이드와 같이 자속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나선형의 패턴으로 형성된다.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속의 방향이 바뀌게 되며 그에 따라 요크(210, 220) 상에 설치된 자석(310, 320) 또는 솔레노이드(310', 320')와의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함으로써 자속 형성 소자(400)가 진동하게 된다.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은 고분자 필름(410)의 상면 또는 하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면 및 하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은 전류가 흐를 때 같은 방향의 자속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이 고분자 필름(41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형성된 경우, 상면에 형성된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과 하면에 형성된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을 연결하기 위해, 관통홀(425)이 형성된다. 관통홀(425)은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필름(410) 상의 양 면에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이 형성되는 실시예 외에,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이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고,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의 층 사이에 고분자 필름(410)이 개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고분자 필름(410)-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고분자 필름(410)-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의 식으로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과 고분자 필름이 교대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이 복수의 층으로 구비됨에 따라 자속의 세기를 강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는 관통홀(425)이 고분자 필름(41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에 교대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층의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또한 자속 형성 소자(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판(500)과 부착되는데, 진동판(500)의 분할 진동이나 편진동과 같은 이상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서스펜션(6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자속 형성 소자(400)는 서스펜션(6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서스펜션(600)은 일반적인 음향변환장치에 구비되는 서스펜션(600)과 같이 프레임에 안착되는 안착부(610), 진동판(500)이 부착되는 내주부(620), 안착부(610)와 내주부(620)를 연결하며 진동을 잡아주는 연결부(630)를 구비한다.
한편 서스펜션(600)에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으로 전달할 수 있는 통전 패턴(660)이 형성되어 있다. 서스펜션(600)의 안착부(610)의 모서리에 터미널과 같은 외부 전원과 연결할 수 있는 납땜부(640)가 형성되며, 납땜부(640)로부터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까지 연결하는 통전 패턴(660)이 형성된다. 또한 나땜부(640)는 하면에 형성된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으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관통홀(650)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전류는 상면에 형성된 납땜부(640)로부터 통전 패턴(660)을 거쳐 상면에 형성된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을 거쳐 하면에 형성된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 하면에 형성된 통전 패턴(660)을 거쳐 하면에 형성된 납땜부(640)로 흐르게 된다. 자속 형성 소자(400)와 서스펜션(600)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과 통전 패턴(660) 또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서스펜션(600) 상에서 납땜부(640)로부터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을 잇는 부분 외에도 통전 패턴(660)이 형성된다. 이는 외주부에 형성된 통전 패턴(660)은 고분자 필름(410)의 강성을 높여줘 서스펜션(60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내주부(420) 둘레에 형성된 통전 패턴(660)은 진동판(500; 도 1 참조)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연결부(630) 상에 형성된 통전 패턴(660)은, 실제로 통전을 위해 이용되는 것은 하나이나,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한 연결부(630) 간의 강성을 맞추고, 또한 연결부(630) 자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도 1에서는 자속 형성 소자(400)가 서스펜션(600)과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자속 형성 소자(400)와 서스펜션(600)이 별도로 제조된 다음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과 통전 패턴(6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서스펜션(600)의 내주부(420)에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납땜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단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는 프레임(100)을 구비하며, 프레임(100)에 하부 요크(210)가 결합되어 있다. 하부 요크(210) 상에는 하부 자석(310)이 설치되며, 하부 자석(310)의 상부에는 하부 플레이트(330)가 부착된다. 또한 상부에는 상부 요크(220)와 상부 요크(220)에 설치되는 상부 자석(320) 및 상부 자석(320)에는 상부 플레이트(340)가 부착된다. 즉, 자계의 구조는 하부로부터 하부 요크(210), 하부 자석(310), 하부 플레이트(330), 상부 플레이트(340), 상부 자석(320), 상부 요크(220) 순으로 배치된다. 이때, 하부 자석(310)과 상부 자석(320)은 같은 방향으로 착자되어 있다. 즉, 자속이 상방으로 형성되거나 하방으로 형성된다.
하부 플레이트(330)와 상부 플레이트(340) 사이에는 간격이 있으며, 그 간격부에 전기에 의해 자속을 형성하는 자속 형성 소자(400)와 진동판(500)이 위치한다. 진동판(500)의 중앙에 자속 형성 소자(400)가 부착되며, 진동판(500)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이며, 또한 상방으로 돌출된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자속 형성 소자(400)는 고분자 필름(410) 상에 솔레노이드와 같이 나선형으로 전기에 의해 자속을 형성할 수 있는 자속 형성 통전 패턴(4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진동판(400)의 진동을 안내하며, 분할진동이나 편진동과 같은 이상 진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서스펜션(600)이 부착될 수 있다. 서스펜션(600)은 프레임(100)에 안착되는 외주부와 자속 형성 소자(400) 및 진동판(500)이 부착되는 내주부, 외주부와 내주부를 연결하며 자속 형성 소자(400)의 상, 하 진동시에 불평형 진동을 억제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또한 프레임(100)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들이는 부분인 터미널(70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자계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상, 하로 배치된 영구자석이나, 영구자석 대신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석이나 금속 코어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1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하부 요크(210) 상에 하부 자석(310)이 설치되고, 상부 요크(220) 상에 상부 자석이(320) 설치되며, 하부 자석(310)과 상부 자석(320) 사이에 자속 형성 소자(400)와 진동판(500)이 설치된다. 하부 요크(210)와 상부 요크(220)의 가장자리는 절곡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어, 진동판(500)의 가장자리가 하부 요크(210)와 상부 요크(220) 사이에서 고정된다. 또한 진동판의 하부에 진동판(500)의 하부에 서스펜션(600)이 부착된다. 하부 자석(310)과 상부 자석(320)은 모두 자속이 하방을 향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착자되어 있다. 물론 착자 방향은 예시이며, 자속이 모두 상방을 향하도록 착자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2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는 제1 실시예의 자계 회로와 동일하나, 진동판(500)의 하부에 서스펜션(600)이 없다는 차이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3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는, 하부 요크(210) 상에 하부 자석(310)이 설치되며, 상부 요크(220) 상에는 영구 자석을 대신해 상부 솔레노이드(320')가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도 하부 자석(310)의 착자 방향이 하방을 향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방을 향하도록 착자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4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는, 하부 요크(210) 상에 하부 솔레노이드(310')가 설치되고, 상부 요크(220) 상에는 상부 자석(320)이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서도 상부 자석(320)의 착자 방향이 하방을 향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방을 향하도록 착자되어도 무방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5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는, 하부 요크(210) 상에 하부 솔레노이드(310')가, 상부 요크(220) 상에 상부 솔레노이드(320')가 설치된다. 하부 솔레노이드(310')와 상부 솔레노이드(320')의 착자 방향은, 하부 솔레노이드(310')와 상부 솔레노이드(320')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바뀌게 된다. (제어 방법 추가 부탁드립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6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는, 하부 요크(210) 상에 하부 자석(310)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자석이 설치되지 않고 상부 요크(220)만 설치된다. 하부 자석(310)의 착자 방향은,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착자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하부에만 자석이 설치되었으나, 반대로 상부에만 자석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속 형성 소자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자계 회로의 제7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자계 회로는, 하부 요크(210) 상에 하부 자석(310)이 설치된다. 상부 요크(220)에는 자석이나 솔레노이드 대신 자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코어(230)로 대체되었다. 역시 하부 자석(310)의 착자 방향은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착자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자석이 상부에 코어가 설치되었으나, 반대로 하부에 코어가 설치되고 상부에 자석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 요크(210)는 하부 자석(310)이 부착되는 바닥면(211)과, 바닥면(211)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측벽(212)을 구비한다. 또한 측벽(212)중 두 개의 모서리에는 측벽(212)의 일부가 삭제된 삭제부(213)가 존재하며, 삭제부(213)의 상부를 프레임(100)이 고정부(110)가 덮어 하부 요크(210)를 프레임(100)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프레임(100)의 고정부(110)에 터미널(700)을 부착하는 것이 공간활용면에서 유리하다. 하부 요크(210)와 터미널(700)은 프레임(100)을 사출 성형할 때 인서트 사출하는 것이 별도의 부착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 조립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터미널(700)은 서스펜션(600)의 납땜부(640)와 납땜되는 상면(720)과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하면(730)을 구비한다. 상면(720)은 프레임(100)의 상부로 노출되고, 하면(730)은 프레임의 하부로 노출된다.
상부 요크(220) 또한 상부 자석(320)이 부착되는 상면(221)과, 상면(221)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벽(222)을 구비한다. 또한 음향변환장치가 별도의 프로텍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부 요크(220)가 프로텍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요크(220)의 상면(221)에는 음향을 방출하기 위한 음향방출공(223)이 형성된다. 음향방출공(223)은 상부 자석(320)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면(221)에서 상부 자석(320)이 부착된 중앙부의 바깥쪽, 즉,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이때, 음향방출공(223)은 측벽(222)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진동판(500)이 원활하게 진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하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풍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하부 요크(210)의 바닥면(211)에는 통풍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통풍홀(213) 또한 바닥면(211)에서 하부 자석(310)이 부착된 중앙부가 아닌 바깥 측에 형성되어야 한다. 하부 요크(210)의 바닥면(211)이 프레임(100)에 의해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경우, 프레임(100)에도 통풍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한 음향변환장치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부재로,
    코어가 없이 통전 재질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
  2. 솔레노이드 방식을 응용한 음향변환장치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부재로,
    고분자 필름; 및
    고분자 필름 상에 부착되며, 통전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며, 자속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부착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은 고분자 필름의 양 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은, 양 면에 형성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을 연결하기 위해 고분자 필름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
  5. 제2항에 있어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은,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며, 두 층의 자속 형성 통전 사이에 고분자 필름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의 층의 개수보다 하나 작은 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은 고분자 필름의 중앙과 가장자리에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
  7. 제2항에 있어서,
    진동판의 진동을 잡아줄 수 있는 서스펜션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프레임에 안착되는 안착부, 자속 형성 통전 패턴이 형성된 자속 형성 소자와 일체로 형성되며 진동판이 부착되는 내주부 및 안착부와 내주부를 연결하며 진동판의 진동판을 잡아주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
  9. 제7항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통전 패턴이 형성되어, 자속 형성 통전 패턴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안착부의 외부 터미널과 연결되어 통전 패턴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납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속 형성 소자.


KR1020120050820A 2012-05-14 2012-05-14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KR10134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20A KR101340974B1 (ko) 2012-05-14 2012-05-14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PCT/KR2013/003963 WO2013172583A1 (ko) 2012-05-14 2013-05-07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20A KR101340974B1 (ko) 2012-05-14 2012-05-14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128A true KR20130127128A (ko) 2013-11-22
KR101340974B1 KR101340974B1 (ko) 2013-12-12

Family

ID=4985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820A KR101340974B1 (ko) 2012-05-14 2012-05-14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428B1 (ko) * 2016-03-16 2017-04-14 주식회사 수콘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KR101727429B1 (ko) * 2016-03-16 2017-04-14 주식회사 수콘 휴대단말기 스피커용 인쇄회로기판형 진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7130A1 (ja) * 2005-06-22 2006-12-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電磁変換器
KR100963559B1 (ko) * 2009-07-20 2010-06-15 범진아이엔디(주) 슬림형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428B1 (ko) * 2016-03-16 2017-04-14 주식회사 수콘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KR101727429B1 (ko) * 2016-03-16 2017-04-14 주식회사 수콘 휴대단말기 스피커용 인쇄회로기판형 진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974B1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8536B2 (en) Voice coil assembly, loudspeak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43765B1 (ko) 스피커장치
JP2011071681A (ja) スピーカ用ダンパおよびスピーカ
CN109040917A (zh) 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TWI430673B (zh) 平面式音響轉換裝置
CN109040916A (zh) 用于激励器的振子组件、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CN108966093A (zh) 用于激励器的弹片、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JP2009118020A (ja) スピーカー用磁気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ー
CN109640232A (zh) 扬声器
JP4845677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
KR101340974B1 (ko)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JP2001259525A (ja)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1420320B1 (ko) 초박형 진동판 전면 구동 스피커
US20150280634A1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and vibration control system
KR101351892B1 (ko) 음향변환장치
KR101339868B1 (ko) 음향변환장치
KR20080034365A (ko) 마그넷 무빙형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
KR101340973B1 (ko) 음향변환장치
JP2014033328A (ja) スピーカ
JP2009049762A (ja) スピーカ用磁気回路、およびスピーカ装置
JP4450088B2 (ja) ボイスコイル組立体を用いたスピーカ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172583A1 (ko)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JP3841157B2 (ja) スピーカ
JP2002271895A (ja) 電磁発音体用磁石
WO2011122528A1 (ja) 電気音響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