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510A - 초음파 수술기 - Google Patents

초음파 수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510A
KR20130126510A KR1020130052513A KR20130052513A KR20130126510A KR 20130126510 A KR20130126510 A KR 20130126510A KR 1020130052513 A KR1020130052513 A KR 1020130052513A KR 20130052513 A KR20130052513 A KR 20130052513A KR 20130126510 A KR20130126510 A KR 20130126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cable
heat transfer
ultrasonic wave
transf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919B1 (ko
Inventor
김은정
이현주
이성관
Original Assignee
(주)메사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사메디칼 filed Critical (주)메사메디칼
Publication of KR2013012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17/2201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5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17/2201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 A61B2017/2202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with a part reflecting mechanical vibrations, e.g. for foc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2017/22027Features of transdu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3Sea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환부의 절개, 봉합 등의 시술을 지원하는 초음파 수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중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꼬여 시술에 불편이 없도록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방지커넥터를 구비하고, 수술 중에 시술 부위가 변화거나 시술 방식의 변경 등으로 수술기의 교체가 필요한 때에 간편한 탈부착으로 교체가 용이하도록 착탈수단을 구비하고, 교체를 위해 케이블을 분리하는 때에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무부하 구동에 의한 손상과 교체 작업 시에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도록 자동 전원 온오프수단을 구비하고, 초음파의 강도조절을 위해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장비를 조작할 필요 없이 초음파 수술기에서 직접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초음파출력조절수단을 구비하고, 다른 고주파 전기 수술기 등과 수술 시 혼용하여 사용할 때 메인 장비가 손상되거나 환자에게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초음파발생모듈에 절연디스크를 구비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출력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내부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시키는 방열수단을 구비하고, 환부의 시술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시술되도록 하는 시술유닛과, 시술자가 시술유닛을 보다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하는 조작유닛을 구비한 초음파 수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술기는 초음파발생모듈;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을 내장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초음파발생모듈로부터 초음파를 전달받으며, 환부를 시술하는 시술유닛;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꼬임을 방지하며 상기 바디의 후방에 연결시키는 꼬임방지커넥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초음파 니들 홀더를 포함하는 초음파 수술기용 핸드피스{Handpiece of ultrasound operating apparatus equipped with ultrasound needle holder}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환부의 절개, 봉합 등의 시술을 지원하는 초음파 수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중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꼬여 시술에 불편이 없도록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커넥터를 구비하고, 수술 중에 시술 부위가 변화거나 시술 방식의 변경 등으로 수술기의 교체가 필요한 때에 간편한 탈부착으로 교체가 용이하도록 착탈수단을 구비하고, 교체를 위해 케이블을 분리하는 때에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무부하 구동에 의한 손상과 교체 작업 시에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도록 자동 전원 온오프수단을 구비하고, 초음파의 강도조절을 위해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장비를 조작할 필요 없이 초음파 수술기에서 직접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초음파출력조절수단을 구비하고, 다른 고주파 전기 수술기 등과 수술 시 혼용하여 사용할 때 메인 장비가 손상되거나 환자에게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초음파발생모듈에 절연디스크를 구비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출력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시키는 방열수단을 구비하고, 환부의 시술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시술되도록 하는 시술유닛과 시술자가 시술유닛을 보다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하는 조작유닛을 구비한 초음파 수술기에 관한 것이다.
내과나 외과적인 수술 시 전체적인 시간은 절단과 절제, 적출, 고정 등 수술의 종류에 따라 분배되는 시간의 비율은 다르지만, 처치 완료 후 조직을 다시 봉합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절단된 사지를 접합하는 수술 같은 경우에는 뼈를 고정한 다음에는 대부분이 근육, 건, 신경, 혈과 등을 접합하기 위한 봉합에 대부분의 시간을 소요시킨다.
이러한 수술에는 기존의 봉합사와 바늘을 이용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봉합용 스테이플러를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생체조직에 따라서는 기존의 봉합사와 바늘을 이용 시 많은 노력이 필요하거나 봉합용 스테이플러의 적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관경이 가느다란 난관이나 혈과, 신경 같은 경우는 조직의 지지력이 약하고, 근육에 붙은 건과 같은 조직은 질겨서 일반적인 바늘로는 봉합에 힘이 든다.
이러한 다양한 수술 환경 하에서 봉합사와 바늘을 이용한 봉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늘을 초음파로 진동시켜 조직에 쉽게 파고들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음파 수술기가 사용된다.
초음파 수술기는 위와 같이 조직의 봉합뿐만 아니라, 초음파 진동으로 조직을 가열하여 생체 조직을 응고시키고, 응고된 생체 조직을 절단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초음파 수술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8-5083호 "수술 기구", 공개특허 제2007-100143호 "초음파 수술 장치" 등 다양하게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초음파 수술기는 초음파 발생을 위한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초음파 수술기의 바디에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또는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하는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다.
그래서 수술 중에 초음파 수술기를 이리저리 움직이다 보면 케이블이 꼬여 시술자에게 사용의 불편을 야기한다.
그리고 수술 중에 시술 환부가 바뀌거나 시술 종류가 바뀌는 때에는 수술에 적합하도록 시술유닛의 길이가 달라지거나 시술유닛의 종류가 바뀌어야, 즉, 케이블에 기 사용하던 수술기를 분리하고 다른 수술기를 연결하여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데, 케이블이 일체형 또는 스크류 방식의 커넥터로 바디에 연결되는 종래기술은 교체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초음파 수술기의 본체에서 케이블을 분리할 때에는 케이블을 통해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며 초음파 수술기를 제어하는 메인 장비에 케이블이 분리됨을 미리 알려, 케이블이 분리되었음에도 고주파 전원을 계속 공급, 즉 무부하 구동을 함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분리 작업 시 전기적 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초음파 수술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초음파발생모듈의 임피던스가 변화하여 초음파 출력이 저하되거나, 발진의 정지로 초음파가 발생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초음파 수술기 내부의 열을 외부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방출시켜, 장시간 사용에도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기술에서는 내부의 열을 외부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 방열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수술 중에 수시로 초음파의 세기를 조절하게 되는데, 종래기술에는 초음파 수술기와 케이블로 연결된 메인 장비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조절하거나, 메인 장비에 연결된 풋(FOOT)스위치를 밟아 조절하도록 한 것이 대부분인데, 메인 장비나 풋스위치는 초음파 수술기와 떨어져 있어 시술자가 수술 중에 이들을 조작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일부의 초음파 수술기에는 초음파 세기를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들은 기계적 스위치나 가변저항 형태의 구조여서 부식성 소독액의 침식에 취약하여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모듈은 압전세라믹판(PZT) 다수가 적층된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압전세라믹적층체에 생성된 초음파를 시술유닛로 전달하는 전달혼(Horn)으로 구성되는 데, 일반적으로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전달혼으로 절연이 되어 있지 않다. 보통은 전달혼이 그라운드 처리 되어서 큰 문제가 없지만, 수술 시에 다른 고주파 전기 수술기 등과 혼용하여 사용할 때에는 메인 장비가 손상 되거나 환자에게 누설전류를 인가시킬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초음파 수술기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수술 중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꼬여 시술에 불편이 없도록 하고, 초음파 수술기의 교체가 필요한 때에 간편한 탈부착으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교체를 위해 케이블을 분리하는 때에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무부하 구동에 의한 손상과 교체 작업 시에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고, 초음파의 강도조절을 초음파 수술기에서 직접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다른 고주파 전기 수술기 등과 수술 시 혼용하여 사용할 때 메인 장비가 손상되거나 환자에게 누설전류가 인가되는 사고를 예방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출력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내부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시키고, 환부의 시술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그리고 시술자가 시술유닛을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초음파 수술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술기는
초음파발생모듈;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을 내장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초음파발생모듈로부터 초음파를 전달받으며, 환부를 시술하는 시술유닛;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꼬임을 방지하며 상기 바디의 후방에 연결시키는 꼬임방지커넥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꼬임방지커넥터는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삽입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부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전극과,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내주면전극을 포함하는 소켓과,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고 전방은 상기 삽입부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전극에 접속되는 내부전극과,
상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내면전극에 접속되는 외부전극을 포함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케이블을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바디의 후방에 결합되며 중공을 갖는 홀더와,
상기 중공에 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관통되는 걸림볼과,
상기 홀더 외주연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전후진 상태에 따라 상기 걸림볼을 상기 중공측으로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전후진 가압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걸림볼이 삽입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디의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 마그넷과,
상기 케이블의 연장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온오프 구동되는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거나 분리되면 자동으로 케이블의 전원이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에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자동 전원 온오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가 회전 조작하는 파워 다이얼과,
상기 파워다이얼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마그넷와,
상기 마그네틱센서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디스크마그넷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초음파출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은
초음파를 생성하는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에 생성되는 초음파를 상기 시술유닛로 전달하는 전달혼과,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의 양측으로 적층되어,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상기 전달혼을 절연시키는 절연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전달혼의 주변을 각각 감싸는 제1열전달파이프와 제2열전달파이프,
상기 제1열전달파이프와 제2열전달파이프를 절연시키며 연결하는 열전도성 가스켓과,
상기 바디의 외주연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부열전달파이프와,
상기 제1열전달파이프 또는 제2열전달파이프와 상기 외부열전달파이프를 접촉연결하는 히팅파이프를 포함하는 방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고정손잡이와, 가동손잡이를 포함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가동손잡이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전후진함으로써 상기 시술유닛이 시술용 니들을 잡거나 놓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시술유닛이 회전하도록 하는 조작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외력이 소멸하면 상기 전후진로드를 복원시켜 상기 가동손잡이가 중립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중립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시술유닛은
상기 초음파발생모듈로부터 초음파를 전달받는 고정턱과,
바이트 방식으로 상기 고정턱과 함께 시술용 니들을 잡아주는 가동턱과,
전후진하여 상기 가동턱이 바이트 동작하도록 하는 전후진피스톤과,
외력이 소멸하면 상기 전후진피스톤을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술기는
수술과정에서 시술자가 초음파 수술기를 이리저리 움직여도 케이블이 꼬이지 않아 케이블에 의한 시술의 방해를 방지하고,
착탈수단을 통해 케이블과 본체의 분리와 결합이 신속 용이하여 수술기의 교체가 편리하고,
케이블의 분리 시에 메인 장비로 그 신호를 미리 전송하여 무부하 구동에 의한 손상과 전기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초음파 수술기에서 직접 초음파 출력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여, 출력 조절을 위해 시술자가 메인 장비나 풋스위치로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초음파발생모듈에 절연디스크를 구비하여 다른 고주파 전기 기구에 의한 영향으로 메인 장비가 손상되거나 환자에게 누설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예방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다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시켜 고온에 의해 출력이 저하되거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예방하고,
환부를 시술하는 시술유닛은 정밀하고 편리한 시술을 지원하고, 시술자가 조작하는 조작유닛은 시술자의 조작 편의성을 높여, 초음파 수술 효율을 극대화한,
초음파 수술기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술기의 전체 구조 단면도.
도 2 는 도1에서 바디의 구조 단면도.
도 3 은 도1에서 케이블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플러그, 걸림구,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 등의 구조 단면도.
도 4 는 도2의 소켓과 도2의 플러그 등을 분해한 구조 단면도.
도 5 는 소켓과 플러그의 분리와 접속, 그리고 착탈수단의 착탈 동작을 보여주는 구조 단면도.
도 6 은 도1에서 시술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유닛의 구조 단면도.
도 7 은 도6에서 요부의 분해 및 결합 단면도.
도 8 은 도1에서 시술유닛의 동작을 보여주는 구조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술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 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술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술기는 크게 바디(A1), 시술유닛, 조작유닛으로 구분되고,
그리고 바디(A1)에 내장되는 초음파발생모듈, 케이블(B11)을 바디(A1)에 연결하는 꼬임방지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수단, 케이블(B11)의 분리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 전원 온오프수단, 초음파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는 초음파출력조절수단,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수단의 또 다른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바디A1)는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을 내장하여 보호하고, 전방으로는 시술자가 파지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조작유닛이 연결되고, 후방으로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조작유닛의 전방으로는 초음파를 통해 환자의 환부를 시술하는 시술유닛이 연결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은
압전세라믹판(PZT; 납(P), 지르콘(Z), 티타늄(T)을 주성분 함)(A10) 다수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입력되는 고주파 전원에 의해 발진 동작하여 초음파를 생성하는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적층된 압전세라믹판(A10) 사이사이에 개재되며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A12)이 연결되는 디스크 전극(A11)과,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의 전방으로 연결되어 생성된 초음파를 시술유닛으로 전달하는 전달혼(A2)과,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의 전후방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달혼(A2)과 압전세라믹적층제를 절연시키는 절연디스크(A9)와,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상기 전달혼(A2)을 체결시키는 체결메탈블럭(A13)과 체결볼트(A14), 그리고 체결을 위해 렌치로 조임 시에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홈(A7)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디스크(A9)는 세라믹판 또는 운오판을 사용하고, 상기 전달혼(A2)을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통전이 되더라고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즉, 절연)시켜 메인 장비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전달혼(A2)과 연결되는 시술유닛을 통해 환자에게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꼬임방지커넥터는 상기 바디의 후방으로 연결되고, 초음파 발생을 위한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면, 초음파 수술기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이 수술 중에 꼬이지 않도록 한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꼬임방지커넥터는
상기 바디의 후방에 결합하여 구비되는 소켓과,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는 플러그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켓은
상기 바디의 후방에 결합하고, 내부에 삽입부(A271)를 갖는 하우징(A27)과,
상기 하우징(A27)의 중앙을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하우징(A27) 외부로 노출되는 전방에는 전원 라인(A12)이 연결되고, 후방은 상기 삽입부(A271) 중앙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돌출전극(A15)과,
상기 하우징(A27)의 가장자리 측에서 전후방을 관통하여, 하우징(A27) 외부로 노출되는 전방에는 또 다른 전원라인(A12)이 연결되고, 후방은 상기 삽입부(A271)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내주면 전극(A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는
후방으로 케이블(B11)이 연결되고, 전방은 상기 소켓 하우징(A27)의 삽입부(A271)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하는 몸체(B5)와,
상기 몸체(B5)의 후방 중앙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돌출전극(A15)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접속되는 내부전극(B1)과,
상기몸체(B5)의 후방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내부전극(B1)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내주면전극(A16)에 접속되는 외부전극(B2)과,
상기 내부전극(B1)과 외부전극(B2)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절연체(B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소켓의 삽입부(A271)의 후방측 내면에는 상기 초음파출력조절수단의 디스크마그넷(A4)이 검출하는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센서 슬립링(A17)이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의 몸체(B5)의 외주면에는 상기 센서 슬립링(A17)에 접속되어 상기 디스크마그넷(A4)이 검출하는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를 메인 장비에 전송하는 센서전극(B4)이 구비된다.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케이블(B11)을 초음파 수술기의 바디(A1)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즉 착탈시킨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바디(A1)의 후방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전후방을 관통하는 중공(A191)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볼 홀더(A19)와,
상기 홀더(A19)의 후방측 외면에서 내면으로 관통되어, 일부가 중공(A19)으로 돌출되는 걸림볼(A22)과,
상기 홀더(A19)의 외주연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면, 상기 걸림볼(A22)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전후진 가압케이스(A20)와,
상기 홀더(A19)의 외주연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케이스(A20)가 후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락킹스프링(A18)과,
케이블(B11)이 연결되는 상기 플러그 몸체(B5)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A19)의 중공(A191)으로 삽입되며, 상기 걸림볼(A22)이 삽입 안착되는 걸리는 걸림홈(B81)이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B8)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착탈수단을 통해 케이블(B11)을 통해 바디(A1)에 연결 또는 분리하는 방법은 도5를 참조하면,
우선, 케이블의 연결은
상기 가압케이스(A20)를 전방측으로 잡아다니면, 걸림볼(A22)이 가압케이스 후방측의 확장부(A201)에 배치되어, 걸림볼(A22)은 중공(A191)에서 완전하게 벗어날 수 있는 상태(그러나 홀더(A19)에서 벗어나지는 않는 상태)가 되어 플러그 몸체(B5) 및 걸림구(B8)가 홀더(A19)의 중공(A191)으로 삽입 전진되는 것을 허용하고,
걸림구(B8)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가입케이스(A20)를 놓으면, 락킹스프링(A18)이 탄성력으로 가압케이스(A20)를 후진시키고,
후진하는 가압케이스(A20)는 내면이 걸림볼(A22)를 가압하여 걸림볼(A22)이 걸림구(B8)의 걸림홈(B81)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이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는 락킹스프링(A18)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므로 걸림구(B8)가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음으로, 케이블의 분리는
상기 가압케이스(A20)를 전방측으로 잡아다녀 걸림볼(A22)이 가압케이스 후방측의 확장부(A201)에 배치되어, 걸림볼(A22)이 중공(A191)에서 자유롭게 벗어날 수 있는 상태로 만든 후에,
상기 홀더(A19) 및 가압케이스(A20)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B11) 또는 케이블을 플러그 몸체(B5)에 조립 연결시키는 커버(B9)를 잡고 후방측으로 당기면 걸림구(8)는 걸림볼(A22)의 방해 없이 빠져나온다.
상기 자동 전원 온오프수단은 상기 착탈수단을 통해 케이블(B11)을 본체(A1)에서 분리 또는 본체(A1)에 연결할 때(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A1)에 결합된 소켓의 홀더(A19)에서 케이블(B11)이 연결된 플러그 몸체(5)를 분리 또는 연결시킬 때), 케이블(B11)을 통한 초음파발생모듈에의 전원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케이블을 분리시키는 때)하고, 케이블이 분리 또는 연결됨을 메인 장비에 알려, 무부하 구동에 의한 메인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분리 또는 연결 작업 시에 작업자의 전기적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상기 자동 전원 온오프수단은
상기 바디(A1)의 후방,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홀더(A19)의 후방측 외주연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구동 마그넷(A21)과,
상기 케이블(B11)의 연장라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러그 몸체(B5)에 내장되는 내부배선(B10)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마그넷(A21)의 자력에 의해 온오프 구동되는 제1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B6)와, 제2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B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B6)는 메인 장비가 케이블(B11)을 통해 공급하는 고주파 전원을 상기 초음파발생모듈로 공급 또는 차단하고, 상기 제2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B6)는 케이블이 본체에서 분리 또는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메인 장비로 알린다.
도5를 참조하면, 케이블(B11)이 연결된 플러그 몸체(B5)가 바디(A1) 후방의 홀더(A19)에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즉, 케이블을 바디에서 분리하는 때, 또는 케이블을 바디에 완전하게 연결하기 전)에서는 상기 제1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B6)와, 제2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B7)가 오프 상태에 있어 고주파 전원이 초음파발생모듈에 공급되지 아니하고, 메인 장비를 이를 파악하고, 케이블(B11)이 연결된 플러그 몸체(B5)가 바디(A1) 후바의 홀더(A19)에 완전하게 결합되면, 구동 마그넷(A21)에 의해 상기 제1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B6)와 제2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B7)가 온 상태로 되어 고주파 전원이 초음파발생모듈에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메인 장비도 이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초음파출력조절수단은 출력되는 초음파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메인 장비로 이동하거나 풋스위치로 이동할 필요 없이, 현장에서 즉시로 초음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방수구조의 도입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초음파출력조절수단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디(A1)의 외주연에 노출되어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표면에는 조절되는 초음파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눈금(미도시)이 표시되어 있는 파워 다이얼(A3)과,
상기 파워다이얼(A3)의 하부에 부착되어 함께 정역 회전하는 회전마그넷(A5)과,
상기 회전마그넷(A5)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마그넷(A5)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디스크마그넷(A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초음파출력조절수단은 자기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장기간 사용에도 잔고장 없이 파워 다이얼(A3)의 회전량을 정확하게 검출하고, 방수구조의 도입이 용이하다.
상기 디스크마그넷(A4)은 상기 회전마그넷(A5)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자력의 세기로부터 회전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디스크마그넷(A4)이 검출한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센서 슬립링(A17)을 통해 메인 장비로 전송되고,
상기 메인 장비는 상기 센서 슬립링(A17)이 전송한 정보에 따라 공급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종국적으로 출력되는 초음파의 세기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의 구동에 따라 상기 바디(A1)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시켜, 바디(A1) 내부의 온도 상승에 따라 초음파발생모듈의 출력이 저하되거나 출력이 정지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방열수단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의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전달혼(A2)의 주변을 각각 감싸는 제1열전달파이프(A24)와, 제2열전달파이프(A23)과,
상기 제1열전달파이프(A24)와 제2열전달파이프(A23)를 절연시키며 연결하는 열전도성 가스켓(A8)과,
상기 바디(A1)의 외주연으로 삽입되어 밀착되는 외부열전달파이프(A25)와,
양측이 각각 상기 제1연절달파이프(A24)(제2열전달파이프 포함할 수 있음)의 외주연과 상기 외부열전달파이프(A25)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접촉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열전달파이프(A24)와 제2열전달파이프(A23)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상기 외부열전달파이프(A25)로 전달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히팅파이프(A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열전달파이프(A24), 제2열전달파이프(A23), 외부열전달파이프(A25)는 열전도율이 뛰어나면서 가벼운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하여, 주변의 시술자와 피시술자 등이 전자파에 노출되어 피해를 입는 것을 예방한다.
상기 조작유닛은 환부를 시술하는 시술자(사용자)가 상기 시술유닛을 간편하고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작유닛은 도1, 도6 및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C11, C12, C13), 회전암(C9), 롤러핀(C10), 조작로드(C1), 회전체(C2), 중립스프링(C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은 핸들몸체(C11)와, 상기 핸들몸체(C11) 하부로 고정 연결되는 고정손잡이(C12)와, 상기 핸들몸체(C11) 하부로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작로드를 전후진시키는 가동손잡이(C13)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암(C9)은 회전축핀(C8)을 통해 상기 핸들몸체(C11) 내부에서 전후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조작로드(C1)의 외주연의 반을 감싼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핀(C8)에는 상기 가동손잡이(C13)도 결합되어, 가동손잡이(C13)가 전후진하여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핀(C8)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핀(C8)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암(C9)이 회전하여 전후진한다. 즉, 상기 가동손잡이(C13)이 전후진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암(C9)이 전후진한다.
상기 롤러핀(C10)은 상기 회전암(C9)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작로드(C1)의 후방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핀홈(C16)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롤러핀(C10)은 상기 회전암(C9)의 회전력을 상기 조작로드(C1)로 전달하여 조작로드(C1)가 전후진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로드(C1)는 전후진 가능하게 상기 핸들몸체(C11) 내부로 삽입 관통되고, 상기 핸들몸체(C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조작로드(C1-1)와, 상기 제1조자로드(C1-1) 전방으로 조립 연결되어 핸들몸체(C1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조작로드(C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조작로드(C1-1)의 후방 외주연에는 상기 롤러핀(C1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핀홈(C16)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 외면에는 상기 핸들몸체(C1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일정범위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홈(C17)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에는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C2)와 함께 상기 조작로드(C1)가 회전하도록 하며 조작로드(C1)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길게 키홈(C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조작로드(C1-2)의 외주연에는 상기 중립스프링(C3)의 전단을 걸어주는 걸림돌기(C18)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C2)는 상기 핸들몸체(C1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키핀(C141)을 통해 상기 조작로드(C1)의 키홈(C14)에 결합되고, 회전시에 상기 조작로드(C1)을 함께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체(C2)의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미끄러짐 없이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C21)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는 상기 핸들몸체(C11)의 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C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C22)의 외주연에는 상기 핸들몸체(C11)와의 결합틈새를 밀폐하는 방수링(C4)과, 상기 핸들몸체(C11)와의 결합력을 높이는 'C'링(C6)과, 내부로 관통된 상기 조작로드(C1)의 외면을 지지하여 잡아주는 볼플런저(C5)가 구비된다.
상기 중립스프링(C3)은 상기 조작로드(C1)의 외주연으로 삽입되고, 전단은 상기 제2조작로드(C1-2)에 구비되는 걸림돌기에 걸려 지지되고, 후단은 상기 회전체(C2) 내부에 결합되는 걸림링(C19)에 걸려 지지된다.
그리하여 상기 중립스프링(C3)은 상기 조작로드(C1)가 전진 또는 후진한 때에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축적되고, 상기 조작로드(C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외력이 소멸한 때에는 압축되거나 인장되어 축적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발호되어 복원하려는 힘이 작용하고, 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작로드(C1)를 후진 또는 전진시켜, 전진과 후진이 모두 가능한 중립 위치로 복원시킨다.
상기 시술유닛은 상기 조작유닛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환부를 물어 잡거나, 봉합을 위한 니들을 물어잡고,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이 전달하는 초음파를 출력하여 환부를 가열하여 응고시키거나 니들에 진동을 주어 봉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등의 시술을 수행한다.
상기 시술유닛은 도1 및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턱(D1), 가동턱(D2), 전후진피스톤(D7), 크랭크바(D6), 복원스프링(D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턱(D1)은 상기 전달혼(A2)에 연결된 샤프트(D11)에 연결되어 초음파를 출력하고,
상기 가동턱(D2)은 축핀(D3)을 통해 상기 고정턱(D1)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바이트 방식으로 시술용 니들을 물어 고정한다.
상기 전후진피스톤(D7)은 상기 샤프트(D11)의 외주연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가동손잡이(C13)의 전후진에 따라 전후진하는 상기 조작로드(C1)에 연결되어 전후진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D11)에는 상기 전후진피스톤(D7)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면 그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홈(D111)이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바(D6)는 전단과 후단이 각각 상기 가동턱(D2)의 후방과 상기 전후진피스톤(D7)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전후진피스톤(D7)이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가동턱(D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상기 복원스프링(D5)은 상기 고정턱(D1) 후방에 구비되는 조우케이스(D4)와 상기 전후진피스톤(D7)을 연결하여, 상기 전후진피스톤(D7)이 전진하면 압축력을 축적하고, 전후진피스톤(D7)을 전진시키는 힘이 소멸되면 복원력으로 전후진피스톤(D7)을 복원시킨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조작유닛과 시술유닛의 동작 관계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즉,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상기 중립스프링(C3)에 의해 상기 가동손잡이(C13)는 전진과 후진이 가능한 상태에 있고, 상기 가동턱(D2)은 상기 복원스프링(D5)에 의해 상기 고정턱(1)과 맞물려 다물어진 상태에 있다.
상기 가동손잡이(C13)를 상기 고정손잡이(C12) 쪽으로 누르면, 즉, 가동손잡이(C13)를 전진시키면, 그 힘이 회전축(C8)을 통해 회전암(C9)으로 전달되어, 상기 조작로드(C1)가 전진을 하게 되고, 전진하는 조작로드(C1)는 상기 전후진피스톤(D7)을 전진시키고, 전후진피스톤(D7)의 전진에 따라 크랭크바(D6)는 가동턱(D2)의 후방을 들어 올려 입을 다물고 있던 가동턱(D2)이 고정턱(D1)과 멀어져 입을 벌리게 된다.
입을 벌린 가동턱(D2)과 고정턱(D1) 안으로 시술용 니들을 집어 넣고, 가동손잡이(C13)을 놓으면, 복원스프링(D5)에 의해 전후진피스톤(D7)이 후진하면서 크랭크바(D6)가 가동턱(D2)의 후방을 당겨 내려 벌리고 있던 입을 다물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중립스프링(C3)에 의해 상기 전후진로드(C1)과 후진하여 상기 가동손잡이(C13)를 중립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가동턱(D2)과 고정턱(D1)이 니들을 보다 강하게 물기를 원하는 때에는, 상기 가동손잡이(C13)를 후진시키면, 위의 반대 동작으로 전후진로드(C1)가 후진하고, 그에 따라 전후진피스톤(D7)이 후진하여 가동턱(D2)이 고정턱(D1)쪽으로 더 이동하여 보다 강력하게 니들을 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초음파 수술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1 : 바디 A2 : 전달혼
A3 : 파워다이얼 A4 : 디스크마그넷
A5 : 회전마그넷 A10 : PZT(압전세라믹판)
A15 : 돌출전극 A16 : 내주면전극
A17 : 슬립링 A18 : 락킹스프링
A19 : 홀더 A20 : 가압케이스
A21 : 구동마그넷 A22 : 걸림볼
A23, 24 : 제1,2 열전달파이프 A25 : 외부열전달파이프
A26 : 히팅파이프 A27 : 하우징
B1 : 내부전극 B2 : 외부전극
B4 : 센서전극 B5 : 플러그 몸체
B6,7 : 제1,2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 B8 : 걸림구
C1 : 조작로드 C2 : 회전체
C3 : 중립스프링 C8 : 회전축
C9 : 회전암 C10 : 롤러핀
C11 : 핸들몸체 C12 : 고정손잡이
C13 : 가동손잡이 C14 : 키홈
D1 : 고정턱 D2 : 가동턱
D5 : 복원스프링 D6 : 크랭크바
D7 : 전후진피스톤 D11 : 샤프트

Claims (11)

  1. 초음파발생모듈;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을 내장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초음파발생모듈로부터 초음파를 전달받으며, 환부를 시술하는 시술유닛;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꼬임을 방지하며 상기 바디의 후방에 연결시키는 꼬임방지커넥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음파 수술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방지커넥터는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삽입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부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전극과,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내주면전극을 포함하는 소켓과,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고 전방은 상기 삽입부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전극에 접속되는 내부전극과,
    상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내면전극에 접속되는 외부전극을 포함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수술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수술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바디의 후방에 결합되며 중공을 갖는 홀더와,
    상기 중공에 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관통되는 걸림볼과,
    상기 홀더 외주연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전후진 상태에 따라 상기 걸림볼을 상기 중공측으로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전후진 가압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걸림볼이 삽입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수술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 마그넷과,
    상기 케이블의 연장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온오프 구동되는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거나 분리되면 자동으로 케이블의 전원이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에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자동 전원 온오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수술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회전 조작하는 파워 다이얼과
    상기 파워다이얼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마그넷과
    상기 마그네틱센서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디스크마그넷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초음파출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수술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모듈은
    초음파를 생성하는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에 생성되는 초음파를 상기 시술유닛로 전달하는 전달혼과,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의 양측으로 적층되어,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상기 전달혼을 절연시키는 절연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수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세라믹적층체와 전달혼의 주변을 각각 감싸는 제1열전달파이프와 제2열전달파이프,
    상기 제1열전달파이프와 제2열전달파이프를 절연시키며 연결하는 열전도성 가스켓과,
    상기 바디의 외주연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부열전달파이프와,
    상기 제1열전달파이프 또는 제2열전달파이프와 상기 외부열전달파이프를 접촉연결하는 히팅파이프를 포함하는 방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수술기.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손잡이와, 가동손잡이를 포함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가동손잡이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전후진함으로써 상기 시술유닛이 시술용 니들을 잡거나 놓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시술유닛이 회전하도록 하는 조작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수술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외력이 소멸하면 상기 전후진로드를 복원시켜 상기 가동손잡이가 중립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중립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수술기.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유닛은
    상기 초음파발생모듈로부터 초음파를 전달받는 고정턱과,
    바이트 방식으로 상기 고정턱과 함께 시술용 니들을 잡아주는 가동턱과,
    전후진하여 상기 가동턱이 바이트 동작하도록 하는 전후진피스톤과,
    외력이 소멸하면 상기 전후진피스톤을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수술기.
KR1020130052513A 2012-05-10 2013-05-09 초음파 수술기 KR101365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485 2012-05-10
KR20120049485 2012-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510A true KR20130126510A (ko) 2013-11-20
KR101365919B1 KR101365919B1 (ko) 2014-02-20

Family

ID=4985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513A KR101365919B1 (ko) 2012-05-10 2013-05-09 초음파 수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9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088A1 (ko) * 2014-04-17 2015-10-22 주식회사 힐세리온 휴대용 초음파 진단장치의 방열구조
KR20210023786A (ko) * 2019-08-20 2021-03-04 대화기기주식회사 초음파 에너지 디바이스
US11700718B2 (en) 2020-08-25 2023-07-11 Hyundai Motor Company Particles for absorbing GHz-band electromagnetic wave and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including same
US11702349B2 (en) 2020-08-25 2023-07-18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magnetic-wave-absorbing particle for GHz band and electromagnetic-wave-absorbing material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300917B9 (en) * 2002-12-12 2008-06-19 Discus Dental Impressions, Inc. Ultrasonic dental handpiece having a rotatable head
KR20090049674A (ko) * 2007-11-14 2009-05-19 차수호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는 의료수술용 핸드피스를 갖는의료용 초음파 수술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088A1 (ko) * 2014-04-17 2015-10-22 주식회사 힐세리온 휴대용 초음파 진단장치의 방열구조
KR20210023786A (ko) * 2019-08-20 2021-03-04 대화기기주식회사 초음파 에너지 디바이스
KR20210023800A (ko) * 2019-08-20 2021-03-04 대화기기주식회사 시저 타입 초음파 에너지 디바이스
US11700718B2 (en) 2020-08-25 2023-07-11 Hyundai Motor Company Particles for absorbing GHz-band electromagnetic wave and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including same
US11702349B2 (en) 2020-08-25 2023-07-18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magnetic-wave-absorbing particle for GHz band and electromagnetic-wave-absorbing material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919B1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6280B2 (en) Clamp arm comprising a circuit
US20210100579A1 (en) Modular battery powered handheld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s therefor
US11848093B2 (en) Surgical instrument usage data management
US20210393319A1 (en) Modular battery powered handheld surgical instrument with selective application of energy based on button displacement, intensity, or local tissue characterization
US10716615B2 (en) Modular battery powered handheld surgical instrument with curved end effectors having asymmetric engagement between jaw and blade
CN104363841B (zh) 用于外科器械端部执行器的加载仓
KR102583376B1 (ko) 기구 본체와 초음파 트랜스듀서 사이의 일체형 슬립 로크를 갖는 초음파 수술 기구
KR101365919B1 (ko) 초음파 수술기
WO2005076968A3 (en) Ultrasonic probe with detachable slidable cauterization forceps
US20150051599A1 (en) Limited-use medical device
KR20190095383A (ko) 트랜스듀서 로킹 특징부를 갖는 초음파 수술 기구
WO2015009345A2 (en) Limited-use surgical devices
RU2663487C2 (ru) Многопроцессорный контроль двигателей для модульных хирургиче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US20220079651A1 (en) Electrosurgical system
JP2004049554A (ja) 超音波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