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013A -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013A
KR20130126013A KR1020120049731A KR20120049731A KR20130126013A KR 20130126013 A KR20130126013 A KR 20130126013A KR 1020120049731 A KR1020120049731 A KR 1020120049731A KR 20120049731 A KR20120049731 A KR 20120049731A KR 20130126013 A KR20130126013 A KR 20130126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information
shopping information
receip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길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049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6013A/ko
Publication of KR2013012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쇼핑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기 구매한 물품의 영수증인 쇼핑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쇼핑영수증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쇼핑영수증의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문자로부터 상기 기 구매한 물품의 정보인 쇼핑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쇼핑정보를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HOPP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쇼핑 영수증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쇼핑 정보를 효과적으로 저장, 관리할 수 있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객의 생활 패턴이 변화됨에 따라 쇼핑몰을 통한 상품의 구매 활동이 소량/소품목 구매에서 다량/다품목 구매로 점차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영수증 발급이 일반적인 현재의 쇼핑 패턴에서, 이러한 영수증은 쇼핑 후 버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쇼핑 후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획득하는 쇼핑 영수증을 이용한 쇼핑 정보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쇼핑 영수증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쇼핑 정보를 효과적으로 저장, 관리할 수 있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쇼핑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기 구매한 물품의 영수증인 쇼핑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쇼핑영수증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쇼핑영수증의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문자로부터 상기 기 구매한 물품의 정보인 쇼핑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쇼핑정보를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쇼핑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목은 쇼핑일자, 쇼핑날짜, 사용된 카드번호 및 쇼핑물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목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별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저장된 쇼핑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된 쇼핑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쇼핑정보를 시간단위 및 쇼핑매장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기준으로 쇼핑 금액과 항목을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쇼핑물품 구매자 또는 쇼핑물품 판매자의 단말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기 구매한 물품의 영수증인 쇼핑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수신부(210); 상기 이미지수신부(210)에 의하여 수신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쇼핑영수증의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부(220); 상기 문자인식부(220)에 의하여 인식된 문자로부터 상기 기 구매한 물품의 정보인 쇼핑정보를 추출하는 쇼핑정보추출부(230); 및 상기 쇼핑정보추출부(230)에 의하여 추출된 쇼핑정보를 저장하는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상기 쇼핑 정보를 기설정된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설정된 항목은 쇼핑일자, 쇼핑날짜, 사용된 카드번호 및 쇼핑물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항목에 또 다른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사용자 별로 쇼핑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가 저장한 쇼핑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25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250)는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가 저장한 쇼핑 정보를, 시간단위 또는 쇼핑매장 단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쇼핑물품 구매자 또는 쇼핑물품 판매자의 단말이다.
본 발명은 쇼핑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기 구매한 물품의 영수증인 쇼핑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쇼핑영수증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쇼핑영수증의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문자로부터 상기 기 구매한 물품의 정보인 쇼핑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쇼핑정보를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쇼핑 영수증의 이미지를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이를 쇼핑 정보로 전환,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쇼핑영수증 정리, 분류의 어려움과 판매자가 구매자 쇼핑 정보를 정량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어려움 등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별로 구분되며, 이로써 사용자(구매자 또는 판매자)의 쇼핑패턴, 쇼핑금액, 쇼핑시간 등을 효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쇼핑 정보를 다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사용자의 쇼핑 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네트워크” “온라인”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쇼핑 정보 관리 서버” 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영수증을 처리하고, 이를 데이터화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쇼핑영수증 정리, 분류의 어려움과 판매자가 구매자 쇼핑 정보를 정량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어려움 등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쇼핑 정보를 관리하는 쇼핑 정보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기 구매한 물품의 영수증인 쇼핑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한다(S110). 즉, 휴대전화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쇼핑영수증의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컴퓨터로부터의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쇼핑이미지가 생성, 서버로 전성될 수 있다.
상기 쇼핑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쇼핑영수증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쇼핑영수증의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한다(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문자는 글자나 숫자 등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인식한 문자로부터 상기 기 구매한 물품의 정보인 쇼핑정보를 추출한다(S130). 본 발명에서 쇼핑정보는 구매자-판매자로 이어지는 구입-판매로부터 획득되는 일련의 모든 정보를 다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간, 장소, 쇼핑물품, 판매자 상호, 결재 수단 등이 상기 쇼핑정보에 다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이후, 상기 추출한 쇼핑정보를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140)를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쇼핑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목은 쇼핑일자, 쇼핑날짜, 사용된 카드번호 및 쇼핑물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쇼핑정보로 판단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정보도 쇼핑 정보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항목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별로 구분되며, 이로써 사용자(구매자 또는 판매자)의 쇼핑패턴, 쇼핑금액, 쇼핑시간 등을 효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도 2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영수증(110)과 사용자 단말(120)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쇼핑 영수증(110)의 이미지(111)는 상기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생성되어, 쇼핑 정보 관리 서버(130)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은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 통신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송된 이미지(111)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서버에서 문자 정보가 인식된다. 도 4에서는 카드번호, 쇼핑 일자, 쇼핑 물품, 쇼핑 금액 등이 상기 영수증으로부터 문자로 인식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문자로부터 쇼핑정보가 분류되어, 추출된다. 본 발명에서 쇼핑정보는 구매자-판매자로 이어지는 구입-판매로부터 획득, 기록되는 일련의 모든 정보를 다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간, 장소, 쇼핑물품, 판매자 상호, 결재 수단 등이 상기 쇼핑정보에 다 포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쇼핑정보는 항목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도 6에서는 카드번호, 쇼핑 일자, 쇼핑 물품, 쇼핑 금액이 항목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쇼핑 정보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추가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판매장소라는 항목을 추가한다. 상기 선택항목 추가 정보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쇼핑 정보 관리 서버(130)로 전송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전송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쇼핑 정보는 기 설정된 쇼핑 정보 항목 이외에 상기 추가되는 항목으로 쇼핑 정보를 분류, 저장한다. 도 8에서 판매장소라는 항목으로 쇼핑 정보(기록)이 분류, 저장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9 및 10은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쇼핑 정보를 다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에서 쇼핑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쇼핑 정보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도 10에서는 쇼핑 정보 관리 서버(130)는 쇼핑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12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쇼핑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20)은 물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단말뿐만 아니라, 판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로써 구매자는 자신의 쇼핑 패턴과 쇼핑 금액 등을 알 수 있으며, 판매자는 시간별 판매액, 판매 패턴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이를 판매 방식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된 쇼핑정보를 시간단위 및 쇼핑매장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기준으로, 쇼핑 금액과 항목을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즉, 월별, 분기별과 같은 시간 단위별 쇼핑정보와, 어느 매장 또는 지역에서 쇼핑을 하였는지에 대한 쇼핑매장 단위별 쇼핑 정보가 분류되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사용자의 쇼핑 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A, 사용자 B의 쇼핑 정보는 사용자 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며, 각 사용자 별 쇼핑 정보 항목도 달리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쇼핑 정보 항목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기 구매한 물품의 영수증인 쇼핑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수신부(210); 상기 이미지수신부(210)에 의하여 수신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쇼핑영수증의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부(220); 상기 문자인식부(220)에 의하여 인식된 문자로부터 상기 기 구매한 물품의 정보인 쇼핑정보를 추출하는 쇼핑정보추출부(230); 및 상기 쇼핑정보추출부(230)에 의하여 추출된 쇼핑정보를 저장하는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상기 쇼핑 정보를 기설정된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상기 기설정된 항목은 쇼핑일자, 쇼핑날짜, 사용된 카드번호 및 쇼핑물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장치는 이미지 전송-문자 확인-쇼핑 정보 추출이라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통하여,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원하는 쇼핑 정보를 저장하고, 원하는 때에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항목에 또 다른 항목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별 맞춤형 쇼핑 정보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사용자 별로 쇼핑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별로 저장된 쇼핑 정보는 상기 장치에 포함된 통신부(25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250)는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240)가 저장한 쇼핑 정보를, 시간단위 또는 쇼핑매장 단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 단말의 요청 신호에 따라 월별, 분기별과 같은 시간 단위별 쇼핑정보와, 어느 매장 또는 지역에서 쇼핑을 하였는지에 대한 쇼핑매장 단위별 쇼핑 정보가 분류되어, 사용자 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쇼핑물품 구매자 또는 쇼핑물품 판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즉, 구매자는 자신의 쇼핑 패턴과 쇼핑 금액 등을 알 수 있으며, 판매자는 시간별 판매액, 판매 패턴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이를 판매 방식에 반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은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장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쇼핑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기 구매한 물품의 영수증인 쇼핑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쇼핑영수증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쇼핑영수증의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문자로부터 상기 기 구매한 물품의 정보인 쇼핑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쇼핑정보를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쇼핑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은 쇼핑일자, 쇼핑날짜, 사용된 카드번호 및 쇼핑물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정보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 추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쇼핑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쇼핑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쇼핑정보를 시간단위 및 쇼핑매장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를 기준으로 쇼핑 금액과 항목을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쇼핑물품 구매자 또는 쇼핑물품 판매자의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
  9.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기 구매한 물품의 영수증인 쇼핑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수신부;
    상기 이미지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쇼핑영수증의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부;
    상기 문자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문자로부터 상기 기 구매한 물품의 정보인 쇼핑정보를 추출하는 쇼핑정보추출부; 및
    상기 쇼핑정보추출부에 의하여 추출된 쇼핑정보를 저장하는 쇼핑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쇼핑 정보를 기설정된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항목은 쇼핑일자, 쇼핑날짜, 사용된 카드번호 및 쇼핑물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항목에 또 다른 항목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 별로 쇼핑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가 저장한 쇼핑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쇼핑 데이터베이스부가 저장한 쇼핑 정보를, 시간단위 또는 쇼핑매장 단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쇼핑물품 구매자 또는 쇼핑물품 판매자의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장치.
  17. 쇼핑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기 구매한 물품의 영수증인 쇼핑영수증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쇼핑영수증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쇼핑영수증의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문자로부터 상기 기 구매한 물품의 정보인 쇼핑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쇼핑정보를 쇼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49731A 2012-05-10 2012-05-10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30126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731A KR20130126013A (ko) 2012-05-10 2012-05-10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731A KR20130126013A (ko) 2012-05-10 2012-05-10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013A true KR20130126013A (ko) 2013-11-20

Family

ID=4985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731A KR20130126013A (ko) 2012-05-10 2012-05-10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60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77B1 (ko) * 2015-07-16 2016-12-30 주용철 영수증 판독을 통한 구매정보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77B1 (ko) * 2015-07-16 2016-12-30 주용철 영수증 판독을 통한 구매정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5537A1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commodity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US11915222B2 (en) Receipt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receipt data
US20200364738A1 (en) Merchandis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US20190205860A1 (en) Merchandis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CN104346743B (zh) 电子票据系统及管理服务器、处理装置及控制方法
JP7295202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
US20140249909A1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US20150356835A1 (en) Point-of-sale terminal that sets a special display flag in electronic receipt data
US20210027268A1 (en) Commodity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odity sales data processing method
US20140307272A1 (en) Receipt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receipt data
WO2014106079A1 (en) Generating and reporting digital qr receipts
KR20140133620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실시간 매출정보트래킹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10561A1 (en) Asset management server, asset managing method, and asset management server program
US11132639B2 (en) System for bifurcated transaction for products at a brick-and-mortar store
US201500738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electronic receipt system
US20140249998A1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electronic receipt manag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852999B2 (ja) 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126013A (ko) 쇼핑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8364421B (zh) 商品销售数据处理装置、信息处理装置及方法、系统
EP3392821A1 (en) Server device and service method
JP2016162160A (ja) 出力制御装置、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販売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45722A (ja) 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19518A1 (en) Handheld computing device and electronic receipt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