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154A -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154A
KR20130125154A KR1020120048690A KR20120048690A KR20130125154A KR 20130125154 A KR20130125154 A KR 20130125154A KR 1020120048690 A KR1020120048690 A KR 1020120048690A KR 20120048690 A KR20120048690 A KR 20120048690A KR 20130125154 A KR20130125154 A KR 20130125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witch
output
power supply
flash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744B1 (ko
Inventor
홍정환
Original Assignee
홍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환 filed Critical 홍정환
Priority to KR102012004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7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2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the active medium, e.g. by controlling the 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 H01S3/1022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the active medium, e.g. by controlling the 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by controlling the optical pumping
    • H01S3/1024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the active medium, e.g. by controlling the 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by controlling the optical pumping for pulse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59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 H01L27/0262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including a PNP transistor and a NPN transistor, wherein each of said transistors has its base coupled to the collector of the other transistor, e.g.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2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the active medium, e.g. by controlling the 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 H01S3/1026Controlling the active medium by translation or rotation, e.g. to remove heat from that part of the active medium that is situated on the resonator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Laser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플래시 램프를 포함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램프 각각에 스위칭 회로를 병렬로 구성하여 플래시 램프의 펄스 진폭과 Q-switch 턴온을 제어하여 동일한 출력 값과 높은 첨두 출력 및 다양한 파장의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는 다수의 플래시 램프(Flash lamp)를 포함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레이저 매질을 여기 시키기 위한 다수의 플래시 램프, 상기 플래시 램프에서 조사되는 여기 빛을 수신하여 레이저로 변환하기 위한 레이저 매질, 상기 레이저 매질에서 방사되는 상기 레이저를 반사하고 증폭하는 리어 미러(rear mirror)와 출력 결합 거울(Output coupler), 상기 리어 미러와 출력 결합 거울에 의해 증폭된 빛의 첨두 출력을 얻기 위한 큐-스위치(Q-switch), 상기 플래시 램프 및 상기 큐-스위치의 on/off 딜레이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딜레이 시간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Power supply of medical laser therapy}
본 발명은 다수의 플래시 램프를 포함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램프 각각에 스위칭 회로를 병렬로 구성하여 플래시 램프와 Q-switch의 on/off를 제어하여 동일한 출력 파형 값과, 피크치가 아주 큰 펄스 레이저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치료기는 피부의 색소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색소 병변의 치료는 자연적이거나 정상적인 피부색 이외의 색소를 파괴 시키는 것이 주목적이며, 이러한 색소포(chromophore)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피부 내부의 멜라닌에 의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에서 주입된 색소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레이저의 펄스 폭이 색소포의 열 이완 시간(Thermal Relaxation Time : TRT)보다 짧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Q-switching방식의 레이저를 사용해야 한다. 현재 피부 내부의 멜라닌에 의한 색소 병변의 치료로는 3가지 종류의 레이저가 사용되고 있다.
첫 번째, Q-switched Ruby laser(발진 파장 : 694nm)는 3준위 에너지(three level energy system)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고체레이저와는 다르게 레이저 발진 시 플래시 램프(flashlamp)에 인가한 전기에너지가 레이저 빛 에너지로 전환되는 효율이 떨어진다. 발진된 레이저의 펄스 폭은 약 20 ~ 40㎱ 이며 고 반복으로 레이저가 발진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침투 깊이가 깊지 않아서 진피층에 있는 색소 병변을 치료하기가 어렵다.
두 번째, Q-switched Alexandrite laser(발진 파장 : 755nm)는 레이저 발진 시 펄스 폭이 약 50 ~ 100㎱로써 루비레이저보다 침투 깊이가 깊다는 장점은 있으나 멜라닌에 의한 색소 병변의 치료에는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세 번째, Q-switched ND:YAG laser(발진 파장 : 1064/532nm)는 발진 시 펄스 폭이 약 5 ~ 12㎱ 이며 1064nm 파장에서는 침투 깊이가 의료용에 사용되고 있는 레이저 중 가장 깊기 때문에 오타모반과 같이 진피 깊숙이 있는 색소 병변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532nm의 파장에서는 침투 깊이가 작기 때문에 외피층에 있는 색소 병변을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멜라닌에 의해 진피 및 외피에 발생된 색소 병변의 치료에는 두 파장을 발진시킬 수 있는 엔디야그 레이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치료 효과 또한 우수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 하나를 사용하여 직렬로 연결한 전원장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출력을 얻기 위해 두 램프(31, 32)를 직렬로 연결하고 대용량 콘덴서(12)를 사용하여 딜레이 타임 컨트롤러(10)를 구성하였다. 딜레이 타임 컨트롤러(10)가 2개의 플래시 램프(31, 32)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한 번의 스위치(14) turn-on에 의해서 플래시 램프 1(31)이 turn-on/turn-off되고 플래시 램프 2(32)가 turn-on/turn-off 동작을 하게 된다. 한 번의 스위치(14) turn-on에 2번의 Q-switching이 발생하는데, 이때 플래시 램프 1(31)과 플래시 램프 2(32) 사이에 딜레이가 길어지면서, 플래시 램프 2(32)의 출력 파장이 낮아져 치료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롱펄스를 얻기 힘들고 출력의 딜레이 시간 제어가 힘들어 다양한 레이저 출력을 얻기 힘들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 두 개를 사용하여 직렬로 연결한 전원장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장치를 저가로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도 1의 방식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Q-switching laser 출력 파형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딜레이 시간 제어부(10)와 플래시 램프(31, 32)를 직렬로 연결했을 때, 한 번의 스위치(14) turn-on 동작에 의해 플래시 램프(31, 32)의 펄스 웨이브가 발생하게 되고 2번의 Q-switching Trigger 동작을 통해 Q-switching laser 출력 파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림에서와 같이 두 번째 파형이 낮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롱펄스를 얻기 힘들고 출력의 딜레이 시간을 제어하기 어려우며, 다양한 레이저 출력 파형을 얻기 힘들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Q-switching 동작으로 동일한 출력값을 얻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크치가 아주 큰 레이저 출력을 얻고 출력 딜레이 시간을 쉽게 제어하며 다양한 레이저 출력 파형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다수의 플래시 램프(Flash lamp)를 포함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레이저 매질을 여기 시키기 위한 다수의 플래시 램프, 상기 플래시 램프에서 조사되는 여기 빛을 수신하여 레이저로 변환하기 위한 레이저 매질, 상기 레이저 매질에서 방사되는 상기 레이저를 반사하고 증폭하는 리어 미러(rear mirror)와 출력 결합 거울(Output coupler), 상기 리어 미러와 출력 결합 거울에 의해 증폭된 빛의 첨두 출력을 얻기 위한 큐-스위치(Q-switch), 상기 플래시 램프 및 상기 큐-스위치의 on/off 딜레이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딜레이 시간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플래시 램프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어 플래시 램프와 Q-switch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딜레이 시간 제어부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는 동일한 출력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높은 첨두 출력 및 다양한 출력 파형을 얻을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출력의 딜레이 시간 제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 하나를 직렬로 연결한 전원장치 구성도 ,
도 2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치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한 전원장치 구성도,
도 3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Q-switching laser 출력 파형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1, S2가 동시에 turn-on 될 때 Q-switching laser 출력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1이 turn-on/turn-off되고 이어서 S2가 turn-on/turn-off 될 때 Q-switching laser 출력 파형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S1, S2가 순차적으로 turn-on되고 turn-off 될 때 laser 출력 파형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는 1064㎚ 파장에서 99.9%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는 Rear mirror(210),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직선 편광이 판을 통과했을 때, 그 사이에 소정의 위상차를 주는 Wave Plate(220),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레이저를 on/off 스위치로 짧은 펄스폭의 아주 높은 피크 레이저 출력을 만드는 EO Q-switch(230), 직선편광을 얻어내는 polarizer(240), 레이저 매질인 ND:YAG rod(330), 레이저 매질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Flashlamp(310, 320), 상기 Flashlamp(310, 320)에서 나오는 빛을 레이저 매질에 모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Reflector로 구성된 Pumping module(300), 1064㎚ 파장을 일부는 반사시키고 일부는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Output coupler(250), 1064㎚ 파장의 빛을 532nm 파장으로 변환시켜 주는 SHG(Second Hamrmonic Generator) Crystal(260), 532nm의 파장 빛만 통과시켜주는 필터 역할을 하는 Window(2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 매질의 종류는 기체(HeNe, Ar, Kr, CO2, H2O), 고체(루비, YAG, ND 글라스), 액체(옥시염화셀렌, 색소), 반도체(GaAs, CdS, PbTe) 등이 있다.
1064㎚의 Q-switching 발진 원리는 Flashlamp(310, 320)에 의해 ND:YAG rod(330)에 에너지가 공급되면 rod에서 빛이 방사되어 rear mirror(210)와 Output coupler(250)에 의해 증폭이 된다. 하지만 Q-switch(230)에 의해 문턱치(Threshold)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손실이 발생한 후 아주 짧은 시간에 Q-switch를 on 하면 피크치가 아주 큰 Giant펄스의 레이저 출력을 얻을 수 있다.
532㎚의 Q-switching 발진 원리는 상기 1064㎚의 Q-switch 에너지가 SHG Crystal(260)과 Window(270)를 통해 532㎚의 파장으로 가변되어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 딜레이 시간 제어부(100)가 플래시 램프(310, 320)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딜레이 타임 컨트롤러(110)에 의해 스위치(160, 170)와 Q-switch(230)가 turn-on/turn-off 되고 상기 스위치(160, 170)의 turn-on 동작에 의해 플래시 램프(310, 320)가 turn-on되고, ND:YAG rod(330)에서 방사된 빛이 Q-switch(230)의 turn-on 동작에 의해 아주 큰 펄스의 레이저로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 플래시 램프(310, 320) 각각에 스위치 회로가 연결되어 있어서 플래시 램프(310, 320)를 동시에 turn-on 시키거나 순차적으로 turn-on 시키는 등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작은 용량의 콘덴서(120, 130)를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플래시 램프 및 Q-switch의 turn-on/turn-off를 제어하여 높은 첨두 출력 및 다양한 출력을 얻을 수 있어 치료효과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1, S2가 동시에 turn-on 될 때 Q-switching laser 출력 파형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딜레이 타임 컨트롤러(11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치(160, 170)가 동시에 turn-on 될 때, 한 번의 Q-switching으로 2배 이상의 첨두치 레이저 출력이 발생 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1이 turn-on/turn-off되고 이어서 S2가 turn-on/turn-off 될 때 Q-switching laser 출력 파형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딜레이 타임 컨트롤러(11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치 1(160)이 on/off되고, 스위치 2(170)가 on/off 되는 동작을 반복할 때 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로서, 2번의 Q-switching Trigger pulse wave를 통해 동일한 높이의 출력 파형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S1, S2가 순차적으로 turn-on되고 turn-off 될 때 laser 출력 파형도 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딜레이 타임 컨트롤러(11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치 1(160), 스위치 2(170)가 turn-on되고 다시 스위치 1(160), 스위치 2(170)가 turn-off 되는 동작을 반복할 때 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로서, 2번의 SCR 스위치 Trigger pulse wave를 통해 두 램프(310, 320)의 레이저 출력파형이 중첩되어 1.5배 이상의 긴 펄스폭이 출력되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50, 100 : 스위칭 딜레이 시간 제어부
11, 51, 110 : Delay time control 12, 52, 53, 120, 130 : 콘덴서
13, 54, 55, 140, 150 : 인덕터 14, 56, 67, 160, 170 : 스위치
20, 60, 200 : High voltage generator 21, 61, 210 : Rear Mirror
22, 62, 220 : Wave Plate 23, 63, 230 : EO Q-switch
24, 64, 240 : Polaizer 25, 65, 250 : Output Coupler
26, 66, 260 : SHG Crystal 27, 67, 270 : Window
30, 70, 300 : Pumping Module 31, 71, 310 : Flash Lamp 1
32, 72, 320 : Flash Lamp 2 33, 73, 330 : ND:YAG

Claims (9)

  1. 다수의 플래시 램프(Flash lamp)를 포함하는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레이저 매질을 여기 시키기 위한 다수의 플래시 램프;
    상기 플래시 램프에서 조사되는 여기 빛을 수신하여 레이저로 변환하기 위한 레이저 매질;
    상기 레이저 매질에서 방사되는 상기 레이저를 반사하고 증폭하는 리어 미러(rear mirror)와 출력 결합 거울(Output coupler);
    상기 리어 미러와 출력 결합 거울에 의해 증폭된 빛의 첨두 출력을 얻기 위한 큐-스위치(Q-switch); 및
    상기 플래시 램프 및 상기 큐-스위치의 on/off 딜레이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딜레이 시간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딜레이 시간 제어부는 다수의 플래시 램프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딜레이 시간 제어부는 콘덴서와 인덕터와 스위치 그리고 딜레이 시간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큐-스위치는 레이저 매질에서 방사되는 빛에 온/오프 스위치 동작을 통해 전압을 가하여 5~10us 펄스폭의 피크치 레이저 출력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전력이 1,000W일 때, 레이저 출력 파형의 피크값은 350MW/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제1, 제2 플래시 램프가 동시에 턴온되고 턴오프 될 때, 한 번의 큐-스위칭 트리거(Q-switching trigger)로 2배 이상의 첨두치 레이저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제1 플래시 램프가 턴온/턴오프 되고, 제2 플래시 램프가 턴온/턴오프 될 때, 두 번의 큐-스위칭 트리거로 동일한 두 개의 레이저 출력 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제1 플래시 램프가 턴온되고, 제2 플래시 램프가 턴온되고 다시 제1 플래시 램프가 턴오프, 제2 플래시 램프가 턴오프 되는 동작을 반복할 때, 두 번의 SCR 스위치 트리거로 제1, 제2 플래시 램프의 출력 파형이 중첩되어 상기 출력 파형의 펄스폭이 1.5배 이상으로 증가되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KR1020120048690A 2012-05-08 2012-05-08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 KR101341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90A KR101341744B1 (ko) 2012-05-08 2012-05-08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90A KR101341744B1 (ko) 2012-05-08 2012-05-08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154A true KR20130125154A (ko) 2013-11-18
KR101341744B1 KR101341744B1 (ko) 2013-12-16

Family

ID=4985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690A KR101341744B1 (ko) 2012-05-08 2012-05-08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74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870B1 (ko) * 2014-06-25 2015-12-21 주식회사 루트로닉 피부용 레이저 장치
KR20160033585A (ko) 2014-09-18 2016-03-28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의료기 레이저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WO2017026599A1 (ko) * 2015-08-11 2017-02-16 김유인 레이저 펄스파의 첨두치를 이용한 의료용 피부주름 개선장치
CN109260604A (zh) * 2018-12-05 2019-01-25 深圳市吉斯迪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光调q激光皮肤治疗仪
KR20190063327A (ko) * 2017-11-29 2019-06-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장 및 파형이 가변될 수 있는 광학 의료기기용 오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0036351A1 (ko) * 2018-08-13 2020-02-20 (주) 내츄럴웰테크 파동 중첩형 생체자극용 미세전류 생성방법
WO2023003174A1 (ko) * 2021-07-19 2023-01-26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복합 다중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46B1 (ko) * 2015-06-12 2016-07-29 예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피부 치료를 위한 레이저 펄스 제어 방법
KR20170123859A (ko) * 2016-04-29 2017-11-09 주식회사 루트로닉 레이저 빔 장치 및 레이저 빔 핸드피스
KR20170137406A (ko) * 2016-06-03 2017-12-13 원텍 주식회사 의료용 피코초 펄스 레이저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70137415A (ko) * 2016-06-03 2017-12-13 원텍 주식회사 피코초 펄스 레이저 장치 및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976Y1 (ko) 2001-11-21 2002-05-30 정종한 고차원적 펄스중첩기법을 적용한 펄스형 레이저 전원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870B1 (ko) * 2014-06-25 2015-12-21 주식회사 루트로닉 피부용 레이저 장치
KR20160033585A (ko) 2014-09-18 2016-03-28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의료기 레이저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WO2017026599A1 (ko) * 2015-08-11 2017-02-16 김유인 레이저 펄스파의 첨두치를 이용한 의료용 피부주름 개선장치
CN107690342A (zh) * 2015-08-11 2018-02-13 金裕仁 利用激光脉冲波的峰值的医用皮肤皱纹改善装置
CN107690342B (zh) * 2015-08-11 2018-08-31 金裕仁 利用激光脉冲波的峰值的医用皮肤皱纹改善装置
US10893907B2 (en) 2015-08-11 2021-01-19 You In KIM Medical skin wrinkle improvement device using peak of laser pulse wave
KR20190063327A (ko) * 2017-11-29 2019-06-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장 및 파형이 가변될 수 있는 광학 의료기기용 오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0036351A1 (ko) * 2018-08-13 2020-02-20 (주) 내츄럴웰테크 파동 중첩형 생체자극용 미세전류 생성방법
CN109260604A (zh) * 2018-12-05 2019-01-25 深圳市吉斯迪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光调q激光皮肤治疗仪
CN109260604B (zh) * 2018-12-05 2024-03-15 深圳市吉斯迪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光调q激光皮肤治疗仪
WO2023003174A1 (ko) * 2021-07-19 2023-01-26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복합 다중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744B1 (ko)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744B1 (ko)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의 전원장치
KR100989100B1 (ko) 모드 잠금 레이저용 오실레이터 기동 장치 및 방법
CN109512576B (zh) 电光q开关双频双脉冲激光碎石系统
KR101797118B1 (ko) 단일 펄스 레이저 장치
KR101682593B1 (ko) 단일 펄스 레이저 장치
US20200203913A1 (en) Handpiece with a microchip laser
JP6238468B2 (ja) キャビティダンピングおよび強制モード同期を使用するレーザ装置
WO2008016714A2 (en) Picosecond laser apparatus and methods for its operation and use
KR101487271B1 (ko) 펄스 레이저 장치
US6631153B2 (en) Light generating device and laser device using said light generating device
CN107834350B (zh) 一种多模式的翠绿宝石医用激光器
CN111564752A (zh) 一种755纳米皮秒脉冲固体激光器
KR101386496B1 (ko) 멀티 레이저 발진장치
US20140269786A1 (en) Continuously variable pulse-width, high-speed laser
KR102044857B1 (ko) 레이저 발생장치
WO2016167604A1 (ko) 큐스위치 nd:yag 레이저 발생 장치 및 발생 방법
JP2022539447A (ja) 多重qスイッチを利用した多重レーザーパルス発振方法及び多重レーザーパルス発振装置
KR101746906B1 (ko) 멀티 레이저 발진장치
KR102044860B1 (ko) 레이저 발생장치
WO2017209355A1 (ko) 피코초 펄스 레이저 장치 및 구동 방법
Navitskaya et al. Cavity dumping by the second harmonic generation in Nd: YAG laser
KR20170137406A (ko) 의료용 피코초 펄스 레이저 구동 장치 및 방법
WO2022016224A1 (en) Pulsed laser for dermatology treatments
CN117651531A (zh) 利用复合多重激光脉冲的皮肤治疗装置及方法
CN100367919C (zh) 激光祛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