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771A -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771A
KR20130124771A KR1020120048160A KR20120048160A KR20130124771A KR 20130124771 A KR20130124771 A KR 20130124771A KR 1020120048160 A KR1020120048160 A KR 1020120048160A KR 20120048160 A KR20120048160 A KR 20120048160A KR 20130124771 A KR20130124771 A KR 20130124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processing
processing server
information
conn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657B1 (ko
Inventor
최회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48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6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63Application servers providing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Telephone n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기업용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호 처리 서버의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유출하지 않고 한 번의 입력만으로 그 접속 정보를 유무선 통합 단말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유무선 통합 단말 및 유무선 통합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서버의 접속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통신망 내의 관리 서버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단말 내에 저장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및 그 방법{FIXED MOBILE CONVERGENCE TERMINAL FOR AUTOMATICALLY SETTING ACCESS INFORMATION OF FIXED MOBILE CONVERGENCE SERVI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 서비스(FIXED MOBILE CONVERGENCE TERMINAL)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서비스와 유선통신서비스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즉, 이동통신서비스에서만 제공되던 문자 메시지 서비스가 유선 단말에서 구현될 뿐 아니라, 유선통신망에서만 제공되었던 온라인 게임, 웹 서핑 등의 인터넷 서비스가 이동통신단말에서도 제공되고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상기 두 통신서비스를 통합하여 하나의 단말에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 서비스가 출시되었다.
이러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가 실현됨에 따라, 가입자들은 하나의 유무선 통합 단말을 이용하여 외부에서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실내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전화 서비스(즉, VoIP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 분포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집 또는 사무실 등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 분포된 지역에 위치하면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에 대해 기업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용 유무선 통합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즉, 기업 종업원들은 유무선 통합 단말로 외부에서는 이동전화로 통화하고 무선 인프라가 구축된 사무실 등에서는 무선 인터넷 전화로 구내 전화나 고객과의 업무 전화를 하도록 하여 기업 통신 비용을 절감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업용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해서는 IP-PBX와 같은 호 처리 서버가 구비되어야 하고 기업 종업원들의 유무선 통합 단말에는 상기 호 처리 서버의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접속 정보는 그 종류가 많아 기업 종업원들이 직접 입력하기에는 다소 불편하고, 그 설정 정보가 제 3 자에게 유출될 경우 제 3 자가 부당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보안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업용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호 처리 서버의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유출하지 않고 한 번의 입력만으로 그 접속 정보를 유무선 통합 단말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유무선 통합 단말 및 유무선 통합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통신망 내의 관리 서버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접속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접속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단말 내에 저장하여 설정하는 접속 정보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 내선번호, VoIP 전화번호, VoIP 계정 정보, 호 처리 서버의 기종, 외부 발신 프리픽스, 네트워크 정보, DNS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 처리 서버는, SIP 프락시, IMS CSCF(IP Multimedia Subsystem Call State Conrol), 소프트 스위치(SSW), IP-PBX(Private Branch Exchang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서버의 접속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통신망 내의 관리 서버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단말 내에 저장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 종업원들이 기업용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손쉽게 개인별 접속 정보를 유무선 통합 단말에 설정할 수 있어 이용자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 종업원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정보를 최소화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고, 제 3 자의 부당한 사용을 원천 차단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서비스의 접속 정보 자동 설정을 위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C 단말 및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FMC 단말의 접속 정보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서비스의 접속 정보 자동 설정을 위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통합 단말(FMC:Fixed Mobile Convergence)(100), 액세스 포인트(110), 호 처리 서버(130), VoIP망(140), 유선전화망인 PSTN(Public Subscriber Telephone Network)(150), 이동통신망(160) 및 관리 서버(170)를 포함한다.
FMC 단말(100)은 종래 이동통신단말에 무선랜 접속 기능이 추가된 멀티모드 이동통신단말로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110)가 설치된 곳에서는 VoIP(Voice over IP)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무선랜 서비스 지역 외에서는 일반 이동통신망(160)을 통해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FMC 단말(100)은 기업용으로 사용될 경우 기업 내, 즉 구내 내선번호를 할당받고 이동통신망(160) 또는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110)를 통해 호 처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업무용의 VoIP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FMC 단말(100)은 기업용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해 전용 FMC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FMC 단말(100)은 기업용으로 사용될 경우 구내 내선번호, 호 처리 서버의 주소/기종, VoIP 계정 정보 등의 접속 정보를 단말 내에 설정해야 한다.
FMC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의 설정에 관한 자동 입력을 수신하면, 데이터망(이동통신망의 데이터망 또는 무선랜을 통한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서버(170)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내에 자동으로 설정한다. 물론 FMC 단말(100)은 상기 접속 정보를 수동으로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단말 내에 설정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좁은 커버리지 내에서 무선랜 신호를 송출하여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노드로서, FMC 단말(100)이 무선랜 서비스를 이용하여 호 처리 서버(130)와 통신하도록 중계한다.
호 처리 서버(130)는 기업 내 종업원들이 업무용 VoIP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호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는 SIP 프락시, IMS CSCF(IP Multimedia Subsystem Call State Conrol), 소프트 스위치(SSW), IP-PBX(Private Branch Exchange) 등으로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100)와 IP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유선 전화망인 PSTN(150) 및 이동통신망(160)과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된다.
도 1에 있어서 VoIP망(140), 유선 전화망(PSTN)(150), 이동통신망(160) 등은 공지의 요소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이러한 네트워크는 공지의 요소일 수 있으나 차세대 네트워크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FMC 단말(100)에서 발신된 VoIP 호는 호 처리 서버(130)에서 중계되어 VoIP망(140)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넷 전화기로 착신되거나, 또는 유선 전화망(150)에 설치되어 있는 유선 전화기로 착신되고, 또는 이동통신망(160)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로 착신될 수 있다.
그 반대로, 인터넷 전화기 또는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발신된 발신 호는 VoIP망(140), 유선 전화망(PSTN)(150) 또는 이동통신망(160)을 통해 호 처리 서버(130)로 인입되고 호 처리 서버(130)에서 중계되어 FMC 단말(100)로 착신 처리될 수 있다.
관리 서버(170)는 기업 내 종원들이 보유한 FMC 단말(100)의 식별정보, 대표적으로 MAC 주소를 기준으로 호 처리 서버(130)의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개인별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접속 정보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 내선번호, VoIP 전화번호, VoIP 계정 정보(아이디/비밀번호), 호 처리 서버의 기종, 외부 발신 프리픽스, 네트워크 정보, DNS IP 주소, TLS/sRTP 사용 유무, 로컬 포트, 코덱 우선 순위 등이다. FMC 단말(100)의 식별정보로서 MAC 주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외 이동전화번호, IMSI 등이 활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인별 접속 정보는 기업 내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로 관리 서버(170)에 접속하여 등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70)는 FMC 단말(100)로부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종업원의 접속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접속 정보를 상기 FMC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C 단말 및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FMC 단말(100)은 호 처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VoIP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FMC 모듈(200)을 포함하고, FMC 모듈(200)은 환경 설정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수동 입력 모듈(210)과 자동 입력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MC 모듈(200)은 단말 제조시 단말 플랫폼에 임베디드 형태로 구축될 수도 있고,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작되어 단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FMC 모듈(200)의 구성요소로서 수동 입력 모듈(210) 및 자동 입력 모듈(230)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FMC 모듈(200)에는 호 발신 및 착신 처리를 위한 호 처리 모듈이 포함된다. 이러한 호 처리 모듈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수동 입력 모듈(210)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호 처리 서버(130)의 접속에 필요한 호 처리 서버의 주소, 내선번호, VoIP 계정 정보(아이디/비밀번호), 호 처리 서버의 기종 등의 접속 정보를 입력받아 단말 내에 등록한다.
자동 입력 모듈(230)은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FMC 모듈(200)의 통신 기능을 통해 관리 서버(170)로부터 호 처리 서버(130)의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내에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자동 입력 모듈(230)은 접속 정보 수신부(231) 및 접속 정보 설정부(233)를 포함한다.
접속 정보 수신부(23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동통신망(160) 등을 통해 관리 서버(170)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호 처리 서버(130)의 접속에 필요한 호 처리 서버의 주소, 내선번호, VoIP 계정 정보(아이디/비밀번호), 호 처리 서버의 기종 등의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FMC 단말(100)의 MAC 주소 또는 이동전화번호일 수 있다.
접속 정보 설정부(233)는 상기 접속 정보 수신부(231)에서 수신된 접속 정보를 FMC 모듈(220)의 호 처리 모듈에서 참조될 수 있도록 저장하여 등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70)는 접속 정보 관리부(171), 저장부(173) 및 접속 정보 전송부(175)를 포함한다.
접속 정보 관리부(171)는 기업 내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기업 내 종업원들에게 할당된 호 처리 서버(130)에 접속하기 위한 호 처리 서버의 주소, 내선번호, VoIP 계정 정보(아이디/비밀번호), 호 처리 서버의 기종 등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73)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한다.
접속 정보 전송부(175)는 FMC 단말(100)로부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접속 정보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173)에서 해당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호 처리 서버(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접속 정보를 FMC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FMC 단말의 접속 정보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70)는 유무선 통합 서비스에 가입한 기업의 호 처리 서버의 접속을 위한 접속 정보를 기업 종업원별로 저장한다(S301). 관리 서버(170)는 개별 기업별로 운용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관리 서버(170)가 유무선 통합 서비스에 가입한 기업들의 접속 정보를 모두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170)는 기업 종업원들의 단말 식별정보를 키 값으로 하여 개인별 접속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복수의 기업들을 통합 관리하는 경우 기업별로 나누어 상기 개인별 접속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170)는 기업 내 관리자가 접속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운영하여 기업 내 관리자가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기업 종업원들의 접속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유무선 통합 서비스에 가입한 기업의 종업원이 자신의 FMC 단말(100)로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FMC 단말(100)에 접속 정보의 자동 설정을 위한 입력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FMC 단말(100)은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요청을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S303). 여기서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MAC 주소이다.
접속 정보 요청을 수신한 관리 서버(170)는 그 접속 정보 요청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종업원에 할당된 호 처리 서버의 접속을 위한 접속 정보를 검색한다(S305). 접속 정보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 내선번호, VoIP 계정 정보(아이디/비밀번호), 호 처리 서버의 기종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70)는 상기 검색된 접속 정보를 상기 FMC 단말(100)에 전송하고(S307), FMC 단말(100)은 관리 서버(170)로부터 전송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내에 저장 등록한다(S309). 그리고 FMC 단말(100)은 단말 내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호 처리 서버(130)에 등록(Registration)을 수행한다(S311).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유무선 통합 단말 110 : 액세스 포인트
130 : 호 처리 서버 140 : VoIP망
150 : PSTN망 160 : 이동통신망
170 : 관리 서버 120 : FMC 모듈
210 : 수동 입력 모듈 230 : 자동 입력 모듈

Claims (8)

  1.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통신망 내의 관리 서버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접속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접속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단말 내에 저장하여 설정하는 접속 정보 설정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 내선번호, VoIP 전화번호, VoIP 계정 정보, 호 처리 서버의 기종, 외부 발신 프리픽스, 네트워크 정보, DNS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SIP 프락시, IMS CSCF(IP Multimedia Subsystem Call State Conrol), 소프트 스위치(SSW), IP-PBX(Private Branch Exchang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5. 유무선 통합 단말에서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서버의 접속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통신망 내의 관리 서버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단말 내에 저장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 설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정보 설정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서버로의 접속 정보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 내선번호, VoIP 전화번호, VoIP 계정 정보, 호 처리 서버의 기종, 외부 발신 프리픽스, 네트워크 정보, DNS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정보 설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SIP 프락시, IMS CSCF(IP Multimedia Subsystem Call State Conrol), 소프트 스위치(SSW), IP-PBX(Private Branch Exchang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정보 설정 방법.
KR1020120048160A 2012-05-07 2012-05-07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및 그 방법 KR101388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60A KR101388657B1 (ko) 2012-05-07 2012-05-07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60A KR101388657B1 (ko) 2012-05-07 2012-05-07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71A true KR20130124771A (ko) 2013-11-15
KR101388657B1 KR101388657B1 (ko) 2014-04-24

Family

ID=4985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160A KR101388657B1 (ko) 2012-05-07 2012-05-07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6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01B1 (ko) * 2014-07-16 2016-01-22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6677A (ko) * 2019-04-30 2020-11-09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Sip 단말의 내선번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16B1 (ko) * 2006-06-30 2008-07-31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
KR101015665B1 (ko) 2009-03-16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 간에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1147808B1 (ko) * 2009-08-28 2012-05-18 주식회사 케이티 유무선 통합 기업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12554B1 (ko) * 2009-11-16 2016-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로그인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01B1 (ko) * 2014-07-16 2016-01-22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6677A (ko) * 2019-04-30 2020-11-09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Sip 단말의 내선번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657B1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4875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updat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nternet protocol devices for E-911 emergency services
US7330464B2 (en) Location identification for IP telephony to support emergency services
US101718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nternal and external calls for a group of communication clients sharing a common customer identifier
KR100809419B1 (ko) HSS를 이용한 위치기반 VoIP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60153172A1 (en) Emergency call system and emergency call method
US20060116113A1 (en) Hybrid call log
US10027620B2 (en) Call processing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of in a WiFi network
US20090286506A1 (en) Fixed Mobile Convergent Service in Enterprise Environments
CN101123653A (zh) 企业移动性用户
US8180045B2 (en) Method for selection and routing of an inbound voice call to an appropriate network for completion
US9596592B2 (en)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multiple identities of a mobile device
CN101569163A (zh) 用于将标识数据链接到网络之间的呼叫的方法和设备
US2010015186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CA3013012A1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communication app on user device upon arrival at hospitality establishment
CN101548557A (zh) 有条件路由对固定电话号码进行的呼叫的方法
WO2015161494A1 (en) A household system of a door entry system, the door entry system and an integrated indoor station
US9667802B2 (en) Methods of assigning, recording and using a location routing number
KR101388657B1 (ko)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유무선 통합 단말 및 그 방법
US201000744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a communication device
CN104469034A (zh) 一种电话转接的方法及系统
US9788256B2 (en) Redu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costs in enterprises
CN102340604A (zh) 用于通信转发的方法和系统
US8259922B2 (en) Emulation of private branch exchange behavior
US8275113B2 (en) Shared mapping of a station extension within a distributed, enterprise telecommunications system, to an associated telephone number
KR20210133820A (ko) 분산형 인터넷전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