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765A -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765A
KR20130124765A KR1020120048146A KR20120048146A KR20130124765A KR 20130124765 A KR20130124765 A KR 20130124765A KR 1020120048146 A KR1020120048146 A KR 1020120048146A KR 20120048146 A KR20120048146 A KR 20120048146A KR 20130124765 A KR20130124765 A KR 2013012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ensing device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abnormal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991B1 (ko
Inventor
김석우
민경훈
정병호
최명구
허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48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99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2Confirmation of fault detection, e.g. extra checks to confirm that a failure has indeed occurr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특정 센서 장치의 오작동과 이상상황을 검증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에서,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은,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로부터 이상상황을 보고받는 보고 수신 단계; 상기 센싱 장치와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센싱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의 오작동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COLLECTING SENSING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특정 센서 장치의 오작동과 이상상황을 검증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특정 장소의 이상상황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장치가 보급되고, 각각의 센싱 장치는 설치 장소에서 온도, 연기,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을 측정한다. 예컨대, 상기 센싱 장치가 화재 센싱 장치인 경우, 주변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또 다른 예로서, 센싱 장치가 일산화탄소 센싱 장치 경우, 이 센싱 장치는 주변의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각각의 센싱 장치는 측정한 센싱 정보를 관제 센터를 전송하고, 관제 센터는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장소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즉, 각각의 센싱 장치는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서비스에 적용되어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관제 센터는 긴급한 상황을 보고한 센싱 장치로 처리전담 요원을 충돌시키는 서비스를 진행한다. 그런데 센싱 장치는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관제 센터는 오작동한 센싱 장치로부터 잘못된 센싱 정보를 수신하게 되어 상기 센싱 장치의 장소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오인하여 불필요하게 처리전담 요원을 충돌시킨다.
한편, 아래의 특허 문헌1은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에 따라, 해당 장소의 화재 발생 상황을 인지하고 온도 변화에 따라 2단계의 화재 방송을 출력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1에 따른 시스템도 화재 감지 센서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한 경우, 이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로 인하여 불필요한 화재 방송을 송출하여 사용자를 당황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1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628837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상상황을 보고한 센싱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 센싱 장치의 주변에 배치된 다른 센싱 장치를 통해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이렇게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을 보고한 센싱 장치의 정상 작동 유무를 판별하고 이상상황을 면밀하게 검증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에서,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은,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로부터 이상상황을 보고받는 보고 수신 단계; 상기 센싱 장치와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센싱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의 오작동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은, 설치 장소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를 일정 주기 간격으로 정보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의 센싱 장치; 및 각각의 센싱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센싱 정보를 저장하며, 이상 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와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주변 센싱 장치 각각으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의 오작동을 판단하는 정보분석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주변에 분포된 다른 센싱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각각의 주변 센싱 장치는, 실시간으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정보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정보분석 장치는, 각각의 센싱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보고받은 센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와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의 오작동을 판단하는 오작동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상황을 보고한 센싱 장치의 주변에 배치된 다른 센싱 장치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이렇게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을 보고한 센싱 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이상상황이 실제로 발생한 것인지 여부를 보다 면밀하게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검증된 이상상황을 통해서, 센싱 장치 오작동으로 인하여 처리전담 요원이 불필요하게 현장에 출동해야 되는 비정상 출동횟수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작동으로 판단된 센싱 장치의 오작동 추정 보고서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해당 센싱 장치를 사전에 점검하게 함으로써, 센싱 장치의 오작동 발생률을 현저하게 낮출 뿐만 아니라 센싱 장치로 하여금 실제 긴급한 상황을 정확하게 보고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에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에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분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은 복수의 센싱 장치(100-N), 관리자 단말(300) 및 정보분석 서버(400)를 포함한다. 센싱 장치(100-N), 관리자 단말(300), 정보분석 서버(400) 각각은 통신망(200)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통신망(200)은 이동통신망과 광대역 유선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지의 관용 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각의 센싱 장치(100-N)는 화재 센싱 장치, 가스 센싱 장치, 온도 센싱 장치 등으로서, 화재 감지 정보, 가스 농도, 온도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이 측정된 센싱 정보를 일정주기 간격(예컨대, 10분마다)으로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 즉, 센싱 장치(100-N)가 화재 센싱 장치인 경우, 이 센싱 장치(100-N)는 온도, 연기 농도 등의 화재와 관련된 센싱 정보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이 측정된 센싱 정보를 일정 주기로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센싱 장치(100-N)가 가스 센싱 장치인 경우, 이 센싱 장치(100-N)는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농도를 측정하여 지정된 주기에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센싱 장치(100-N)는 이상상황과 관련된 센싱 정보(예컨대, 화재 발생 센싱 정보, 임계값 이상의 가스 검출 등)를 수집한 경우, 즉시 정보분석 서버(400)로 이상상황을 보고한다.
한편, 센싱 장치(100-N)는 다른 센싱 장치(100-N)와 M2M(Machine to Machine) 통신하여, 주변에 설치된 특정 센싱 장치(100-N)로부터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실시간으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센싱 장치(100-N)는 상기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에 상기 특정 센싱 장치(100-N)의 위치정보(즉, GPS 좌표)가 포함된 경우, 이 센싱 장치(100-N)와 자신의 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인 경우, 센싱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장치(100-N)는 통신망(200)과 유선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분석 서버(400)와 통신한다. 또한, 센싱 장치(100-N)는 GPS 수신기를 탑재하고, 자신의 GPS 좌표 정보를 정보분석 서버(400) 또는 주변에 배치된 다른 센싱 장치(100-N)로 전송할 수도 있다. 게다가, 각각의 센싱 장치(100-N)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이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간에 M2M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300)은 관리자가 소유한 통신단말로서 정보분석 서버(400)로부터 특정 장소에 대한 보고서를 수신한다. 즉, 관리자 단말(300)은 특정 장소의 이상상황 발생 보고서를 수신하거나 특정 센싱 장치(100-N)의 오작동 추정 보고서를 수신한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300)은 범용 컴퓨터, 이동통신단말, 태블릿 컴퓨터 등으로서, 정보분석 서버(400)와 통신 가능한 장치라면 제약되지 않고 채택 가능하다.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정보 수집주기에 각 센싱 장치(100-N)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저장하고, 더불어 센싱 장치(100-N)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예컨대, GPS 좌표정보)를 매핑된 위치정보 테이블을 저장한다.
특히, 정보분석 서버(400)는 특정 센싱 장치(100-N)가 이상상황을 감지하면, 이 센싱 장치(100-N) 주변에 배치된 다른 센싱 장치(100-N)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이 실시간 센싱 정보를 토대로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100-N)가 오작동을 일으킨 것인지 여부를 분석한 후, 이 분석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지정된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이때,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100-N)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이 센싱 장치(100-N)와 일정 반경(예컨대, 10m) 이내에 설치된 다른 센싱 장치(100-N)를 위치정보 테이블에서 확인한 후, 이렇게 확인된 각각의 센싱 장치(100-N)로 실시간 센싱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센싱 장치1(100-1)에서 이상상황과 관련된 센싱 정보가 수집된 것으로 가정하고, 더불어 센싱 장치2(100-2)와 센싱 장치3(100-3)이 상기 센싱 장치1(100-1)과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에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싱 장치1(100-1)은 화재 발생 여부, 온도, 가스 농도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지속적으로 계측하는 중에 이상상황 발생과 관련된 센싱 정보가 수집되면, 이 이상상황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S201). 이때, 센싱 장치1(100-1)은 상기 보고 메시지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기록한다. 예를 들어, 센싱 장치1(100-1)이 화재 센싱 장치이면, 센싱 장치1(100-1)은 대기 중에 연기를 감지하면 자신이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 보고 메시지를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서, 센싱 장치1(100-1)이 온도 센싱 장치이면, 센싱 장치1(100-1)은 측정한 주변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온도(예컨대, 45℃) 이상으로 측정되면, 온도 상승에 따른 이상상황 보고 메시지를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이상상황에 대한 보고 메시지에 기록된 센싱 장치1(100-1)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이 센싱 장치1(100-1)의 식별정보와 매핑된 위치정보를 자체 저장한 위치정보 테이블에서 확인한다(S203). 즉, 정보분석 서버(400)는 이상상황을 보고한 센싱 장치1(100-1)의 위치를 위치정보 테이블에서 확인한다.
이어서,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센싱 장치1(100-1)의 위치와 일정 반경(예컨대, 10m) 이내에 위치한 주변 센싱 장치(100-N)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위치정보 테이블에서 확인한다(S205). 즉,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센싱 장치1(100-1)과 일정 반경 이내에 배치된 주변 센싱 장치를 상기 위치정보 테이블에서 확인한다.
다음으로,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1(100-1)의 위치와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센싱 장치(100-N)가 센싱 장치2(100-2)와 센싱 장치3(100-3)임을 확인하고, 이 센싱 장치2(100-2), 센싱 장치3(100-3) 각각으로 실시간 센싱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S207, S209).
그러면, 센싱 장치2(100-2), 센싱 장치3(100-3) 각각은 실시간으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S211, S213). 이어서,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2(100-2), 센싱 장치3(100-3)로부터 각각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와 최근의 정보 수집주기에서 수신하여 저장된 센싱 장치2(100-2)와 센싱 장치3(100-3)의 센싱 정보를 센싱 장치별로 비교하여,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한다(S215). 즉, 정보분석 서버(400)는 S211 단계에서 센싱 장치2(100-2)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와 가장 최근의 정보수집 주기에서 센싱 장치2(100-2)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센싱 장치2(100-2)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한다. 또한, 정보분석 서버(400)는 S213 단계에서 센싱 장치3(100-3)으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와 가장 최근의 정보 수집주기에서 센싱 장치3(100-3)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센싱 장치3(100-3)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확인된 센싱 장치2(100-2)와 센싱 장치3(100-3)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토대로, 센싱 장치1(100-1)에서 오작동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7). 구체적으로,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확인된 센싱 장치2(100-2)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 센싱 장치3(100-3)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 각각이 설정된 임계범위(예컨대, -5% ~ +5%)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탈하지 않은 경우, 이상상황을 보고한 센싱 장치1(100-1)에서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2(100-2)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과 센싱 장치3(100-3)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사전에 설정된 임계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센싱 장치1(100-1)에서 정상적으로 이상상황을 보고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1(100-1)의 주변에 위치한 센싱 장치2(100-2)와 센싱 장치3(100-3)의 센싱 정보 변화정도가 충분히 큰 경우에 센싱 장치1(100-1)에서 정확하게 이상상황을 보고한 것으로 판단하고, 센싱 장치2(100-2)와 센싱 장치3(100-3)의 센싱 정보 변화 정도가 미세하거나 같은 경우 센싱 장치1(100-1)에서 오작동이 발생하여 이상상황이 보고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센싱 장치1(100-1)의 오작동 추정 보고서 또는 이상상황 발생 보고서를 생성하여, 지정된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S219, S221). 즉,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1(100-1)에서 오작동을 일으킨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싱 장치1(100-1)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가 기록된 오작동 추정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반면에,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1(100-1)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 센싱 장치1(100-1)의 위치정보와 이상상황 유형 정보가 기록된 이상상황 발생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해당 관리자로 하여금 이상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방문하게 한다.
도 1에서 센싱 장치1(100-1)이 화재 센싱 장치, 센싱 장치2(100-2)가 온도 센싱 장치이고, 센싱 장치3(100-3)이 일산화탄소 센싱 장치인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화재감시 센싱 장치인 센싱 장치1(100-1)은 주변에 화재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감지되면 자신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화재발생 정보를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1(100-1)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 센싱 장치1(100-1)의 위치와 일정 반경(예컨대, 10m) 이내에 위치한 센싱 장치가 센싱 장치2(100-2)와 센싱 장치3(100-3)임을 위치정보 테이블에서 확인한 후, 센싱 장치2(100-2), 센싱 장치3(100-3) 각각으로 실시간 센싱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그러면, 센싱 장치2(100-2)는 주변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여 정보분석 서버(4000로 전송하고, 더불어 센싱 장치3(100-3)은 주변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정보분석 서버(400)는 온도 센싱 장치(100-N)와 대기 센싱 장치(100-2)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이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센싱 장치1(100-1)에서 오작동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정보분석 서버(400)는 온도 센싱 장치인 센싱 장치2(100-2)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온도 센싱 정보와 최근의 정보수집 주기에서 상기 센싱 장치2(100-2)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온도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실시간 온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한다. 예컨대,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센싱 장치2(100-2)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온도 센싱 정보 30℃이고 최근 정보수집 주기에서 센싱 장치2(100-2)로부터 수신한 온도 센싱 정보 25℃이면, 상기 실시간 온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20%인 것으로 확인한다.
또한, 정보분석 서버(400)는 일산화탄소 센싱 장치인 센싱 장치3(100-3)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일산화탄소 센싱 정보와 최근의 정보수집 주기에서 수신하여 저장한 일산화탄소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실시간 일산화탄소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한다. 예컨대,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센싱 장치3(100-3)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일산화탄소 센싱 정보 0.90ppm고 최근 정보수집 주기에서 센싱 장치3(100-3)로부터 수신한 일산화탄소 센싱 정보 0.40ppm이면, 상기 실시간 일산화탄소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225%인 것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정보분석 서버(400)는 실시간 온도 센싱 정보의 변화율과 실시간 일산화탄소 센싱 정보의 변화율 모두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범위(예컨대, -5% ~ +5%)를 이탈하지 않은 경우, 화재 발생을 감지한 센싱 장치1(100-1)에서 비정상적인 동작을 일으킨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 장치1(100-1)의 오작동 추정 보고서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반면에, 정보분석 서버(400)는 실시간 온도 센싱 정보의 변화율과 실시간 일산화탄소 센싱 정보의 변화율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임계범위를 이탈한 경우 화재 발생을 감지한 센싱 장치1(100-1)이 정상적으로 동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300)로 화재발생 보고서를 전송한다.
한편, 이상상황 센싱 정보를 수집한 센싱 장치1(100-1)은 주변에 분포된 센싱 장치(100-N)로 센싱 정보 전송을 요청함으로써, 자신과 인접한 센싱 장치들(100-N)의 실시간 센싱 정보를 정보분석 서버(4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에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싱 장치1(100-1)은 화재 발생 여부, 온도, 가스 농도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지속적으로 계측하는 중에 이상상황 발생과 관련된 센싱 정보가 수집되면, 이 이상상황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S301). 이때, 센싱 장치1(100-1)은 상기 보고 메시지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기록한다. 그러면,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센싱 장치1(100-1)로부터 이상상황과 관련된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장치1(100-1)의 주변에 설치된 다른 센싱 장치(100-2, 100-3)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의 수신을 대기한다.
다음으로, 센싱 장치1(100-1)은 지그비, RFID, 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규약을 통해서,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주변에 분포된 센싱 장치(100-N)로 브로드캐스팅한다(S303, S305). 이때, 센싱 장치1(100-1)은 자신의 위치정보(즉, GPS 좌표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센싱 장치1(100-1)로부터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센싱 장치2(100-2), 센싱 장치3(100-3) 각각은, 자신이 설치된 장소에서의 센싱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이 수집된 실시간 센싱 정보를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S307, S309). 이때, 센싱 장치2(100-2), 센싱 장치3(100-3) 각각은, 상기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에 센싱 장치1(100-1)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경우,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센싱 장치1(100-1)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센싱 장치1(100-1)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이렇게 산출된 센싱 장치1(100-1)과의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거리(예컨대, 10m) 이하이면 센싱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정보분석 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2(100-2), 센싱 장치3(100-3)로부터 각각 수신한 센싱 정보와 최근의 정보 수집주기에서 수신하여 저장한 센싱 장치2(100-2)와 센싱 장치3(100-3)의 센싱 정보를 센싱 장치별로 비교하여,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한다(S311). 즉, 정보분석 서버(400)는 S307 단계에서 센싱 장치2(100-2)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와 가장 최근의 정보 수집주기에서 센싱 장치2(100-2)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센싱 장치2(100-2)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한다. 또한, 정보분석 서버(400)는 S309 단계에서 센싱 장치3(100-3)으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와 가장 최근의 정보 수집주기에서 센싱 장치3(100-3)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센싱 장치3(100-3)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수신된 센싱 장치2(100-2)와 센싱 장치3(100-3)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토대로, 센싱 장치1(100-1)에서 오작동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3). 구체적으로,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확인된 센싱 장치2(100-2)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 센싱 장치3(100-3)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 각각이 설정된 임계범위(예컨대, -5% ~ +5%)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탈하지 않은 경우, 이상상황을 보고한 센싱 장치1(100-1)에서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2(100-2)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과 센싱 장치3(100-3)의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사전에 설정된 임계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센싱 장치1(100-1)에서 정상적으로 이상상황을 보고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정보분석 서버(40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센싱 장치1(100-1)의 오작동 추정 보고서 또는 이상상황 발생 보고서를 생성하여, 지정된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S315, S317). 즉,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1(100-1)에서 오작동을 일으킨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싱 장치1(100-1)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가 기록된 오작동 추정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반면에, 정보분석 서버(400)는 센싱 장치1(100-1)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 센싱 장치1(100-1)의 위치정보와 이상상황 유형 정보가 기록된 이상상황 발생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오작동 확인 시스템은 이상상황을 보고한 센싱 장치(100-N)의 주변에 배치된 다른 센싱 장치(100-N)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이렇게 수신된 실시간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을 보고한 센싱 장치(100-N)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작동 확인 시스템은 오작동으로 판단된 센싱 장치(100-N)에 대한 오작동 추정 보고서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해당 센싱 장치(100-N)를 점검하게 함으로써, 센싱 장치(100-N)의 오작동 발생률을 떨어트린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분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분석 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저장부(420), 주변 장치 확인부(430), 오작동 검증부(440) 및 보고서 생성부(45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410)는 통신망(200)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특히, 송수신부(410)는 통신망(200)을 통해 센싱 장치(100-N), 관리자 단말(300)과 각각 통신한다.
저장부(420)는 센싱 장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가 매핑된 위치정보 테이블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420)는 정보 수집주기 동안에 센싱 장치(100-N)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저장한다.
주변 장치 확인부(430)는 상기 송수신부(410)를 통해 이상상황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 이상상황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센싱 장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이 센싱 장치 식별정보와 매핑된 위치정보(즉, 이상상황 보고 메시지를 송신한 센싱 장치의 위치정보)를 저장부(420)의 위치정보 테이블에서 확인한다. 아울러, 주변 장치 확인부(430)는 상기 확인한 센싱 장치(100-N)의 위치정보와 임계거리(예컨대, 10m) 이내에 위치한 다른 센싱 장치(100-N)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저장부(420)의 위치정보 테이블에서 확인한 후, 존재하면 이상상황 보고 메시지를 전송한 센싱 장치(100-N)와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각각의 주변 센싱 장치(100-N)로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수신부(410)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오작동 검증부(440)는 송수신부(410)를 통해, 이상상황 보고서를 전송한 센싱 장치(100-N)와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변 센싱 장치(100-N)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가 수신되면, 이 실시간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상황 보고 메시지를 전송한 센싱 장치(100-N)가 오작동을 일으킨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오작동 검증부(440)는 상기 주변 센싱 장치(100-N)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와 최근의 정보 수집주기에서 수신하여 저장부(420)에 저장된 상기 주변 센싱 장치(100-N)의 센싱 정보를 센싱 장치별로 비교하여,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센싱 장치(100-N)별로 확인한다. 아울러, 오작동 검증부(440)는 상기 확인된 센싱 장치(100-N)별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 중 어느 하나라도 설정된 임계범위(예컨대, -5% ~ +5%)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모두 이탈하지 않는 경우, 이상상황 보고 메시지를 전송한 센싱 장치(100-N)에서 오작동을 일으킨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오작동 검증부(440)는 상기 확인된 센싱 장치(100-N)별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 중 어느 하나라도 설정된 임계범위(예컨대, 0.95 ~ 1.05)를 이탈한 경우, 이상상황 보고 메시지를 전송한 센싱 장치(100-N)가 정상적으로 작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보고서 생성부(450)는 오작동 검증부(440)에서 판단된 결과를 토대로, 해당 센싱 장치(100-N)에 대한 오작동 추정 보고서 또는 이상상황 발생 보고서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보고서를 송수신부(410)를 통해 지정된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즉, 보고서 생성부(450)는 오작동 검증부(440)에서 이상상황 보고 메시지를 전송한 센싱 장치(100-N)에서 오작동을 일으킨 것으로 판단하면, 이 센싱 장치(100-N)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가 기록된 오작동 추정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반면에, 오작동 검증부(440)는 오작동 검증부(440)에서 이상상황 보고 메시지를 전송한 센싱 장치(100-N)가 정상적으로 작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 센싱 장치(100-N)의 위치정보와 이상상황 유형 정보가 기록된 이상상황 발생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센싱 장치 200 : 통신망
300 : 관리자 단말 400 : 정보분석 서버
410 : 송수신부 420 : 저장부
430 : 주변 장치 확인부 440 : 오작동 검증부
450 : 보고서 생성부

Claims (11)

  1.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에서,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로부터 이상상황을 보고받는 보고 수신 단계;
    상기 센싱 장치와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센싱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의 오작동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센싱 정보 수집주기 동안에 상기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와 상기 실시간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범위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임계범위를 이탈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에서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와 상기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 센싱 정보 전송을 요청하여, 각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에 대한 오작동 추정 보고서 또는 이상상황 발생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
  5.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장소에서 획득된 센싱 정보를 일정 주기 간격으로 정보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의 센싱 장치; 및
    각각의 센싱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한 센싱 정보를 저장하며, 이상 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와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주변 센싱 장치 각각으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의 오작동을 판단하는 정보분석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주변에 분포된 다른 센싱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각각의 주변 센싱 장치는, 실시간으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정보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 서버는,
    센싱 정보 수집주기 동안에 상기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와 상기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 사전이 설정된 임계범위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탈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에서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에 위치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각각의 주변 센싱 장치는,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하인 경우 실시간으로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정보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8. 각각의 센싱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보고받은 센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와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실시간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의 오작동을 판단하는 오작동 검증부;를 포함하는 정보분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작동 검증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센싱 정보와 상기 실시간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실시간 센싱 정보의 변화율을 확인하고, 이 변화율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범위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탈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에서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 센싱 장치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와 상기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를 상기 저장부에서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한 하나 이상의 주변 센싱 장치로 실시간 센싱 정보 전송을 지시하는 주변 장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석 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작동 검증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상상황을 감지한 센싱 장치에 대한 오작동 추정 보고서 또는 이상상황 발생 보고서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보고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석 장치.
KR1020120048146A 2012-05-07 2012-05-07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78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46A KR101878991B1 (ko) 2012-05-07 2012-05-07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46A KR101878991B1 (ko) 2012-05-07 2012-05-07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65A true KR20130124765A (ko) 2013-11-15
KR101878991B1 KR101878991B1 (ko) 2018-08-17

Family

ID=4985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146A KR101878991B1 (ko) 2012-05-07 2012-05-07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235B1 (ko) * 2017-01-16 2017-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8230A (ja) * 2004-05-13 2005-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センサ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及び監視サーバ
JP2006277138A (ja) * 2005-03-28 2006-10-12 Tokyo Gas Co Ltd 火災警報器又は火災検知装置
KR20070033492A (ko) * 2005-09-21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이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92142B1 (ko) * 2007-01-31 2008-01-0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센싱 데이터 검증방법
KR20100076400A (ko) * 2008-12-26 2010-07-06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8230A (ja) * 2004-05-13 2005-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センサ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及び監視サーバ
JP2006277138A (ja) * 2005-03-28 2006-10-12 Tokyo Gas Co Ltd 火災警報器又は火災検知装置
KR20070033492A (ko) * 2005-09-21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이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92142B1 (ko) * 2007-01-31 2008-01-0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센싱 데이터 검증방법
KR20100076400A (ko) * 2008-12-26 2010-07-06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센서노드 고장 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235B1 (ko) * 2017-01-16 2017-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991B1 (ko)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1575983B1 (ko)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5152671B2 (ja) 端末位置特定方法、端末位置特定システム、測位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11047843B2 (en) Atmospheric environment monitoring apparatus detecting failure of atmospheric environment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atmospheric environment sensor
KR100979783B1 (ko) Wsn 기반 상황인지 엔진
CN104635706A (zh) 基于信息源检测的群集人员监测及预警的方法及系统
CN109831742B (zh) 基于终端检测的监控方法及系统
US20040148518A1 (en) Distributed surveillance system
WO2017199427A1 (ja) 設備監視装置、無線センサ、および、収集局
KR101950093B1 (ko) 비콘을 이용한 화재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
KR102231183B1 (ko)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CN101521928A (zh) 一种基于移动网络的定位式移动报警方法及系统
KR101878991B1 (ko) 센싱 정보 수집분석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306826B1 (ko) 전관방송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US10614695B2 (en) Gas-measuring device with personnel locator
US20220207982A1 (en) Gas and earthquake detector, gas and earthquake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130037902A (ko) 다중 센서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9774B1 (ko)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864221B1 (ko) 보행자 통행량 검지 시스템 및 방법
CN102982659A (zh) 一种煤气泄漏的报警方法及系统
KR101773834B1 (ko)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5353B1 (ko) 환경 감시 기능이 통합된 재난 통신망 스마트 중계 장치
KR102177747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
KR102295589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CN106230931A (zh) 防排烟物联智能网络监控数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