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992A - 분리형 어항 - Google Patents

분리형 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992A
KR20130123992A KR1020120047558A KR20120047558A KR20130123992A KR 20130123992 A KR20130123992 A KR 20130123992A KR 1020120047558 A KR1020120047558 A KR 1020120047558A KR 20120047558 A KR20120047558 A KR 20120047558A KR 20130123992 A KR20130123992 A KR 20130123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proof
lower body
tank
fish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운
Original Assignee
정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운 filed Critical 정재운
Priority to KR102012004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992A/ko
Publication of KR2013012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도 하부몸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누적된 배설물 및 잔류먹이 등의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분리형 어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리형 어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 상측에 전면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몸체(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2) 상부 양 측벽에 전후방향의 방수레일(12)이 형성되는 수조본체(1); 상기 하부몸체(2) 후면으로부터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이동하여 상측과 하측을 수밀되도록 분리하되, 다수의 프레임(31)과 이를 연결하는 휘어지는 재질의 방수막(32)으로 구성되는 물막이판(3); 상기 수납공간(11)에 설치되며 상기 물막이판(3)을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도록 구성된 이송수단(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어항 {A SEPARATE TYPE FISH BASIN}
본 발명은 어항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내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도 하부몸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누적된 배설물 및 잔류먹이 등의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분리형 어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상어를 기르기 위한 어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상어의 배설물 및 잔류먹이 등의 오염물질이 바닥에 누적되며, 이는 수질악화와 더불어 결국 관상어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주기적인 물갈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관상어용 어항은 수밀(水密)을 위한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어항 바닥의 자갈, 모래 등의 틈에 누적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물고기와 물을 모두 다른 수조에 옮긴 후 어항 바닥의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물고기와 물을 옮기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관상어 사육에 있어서 번식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물의 PH, 경도, 암모니아와 아초산의 농도, 수온, 용존 산소량, 물의 양 등을 고려한 매우 까다로운 관리를 필요로 하므로 가능한 매일, 또는 2 ~ 3일 간격으로 청소가 이루어져야 하며, 작업의 편의를 위해 사이펀 등을 이용하여 수조 내의 오염물질을 흡입하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산란 준비중인 관상어들이 예민해져 산란을 중지하거나 산란한 알을 먹어치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오염물질 배출 후에 줄어든 물의 양을 다시 보충하는 등의 규칙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물갈이 및 청소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최근 스펀지 필터나 솜 등을 여과재로 하고 수중모터를 이용하여 내부의 물을 여과재에 통과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조내의 오염물이 걸러지도록 물을 순환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부유성 오염물질에만 일부 효과를 나타낼 뿐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많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항 내에 물고기와 물이 있는 상태에서도 바닥면의 하부몸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어항 바닥의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분리형 어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 분리형 어항은 분리형 어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 상측에 전면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몸체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 상부 양 측벽에 전후방향의 방수레일이 형성되는 수조본체; 상기 하부몸체 후면으로부터 상기 방수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측과 하측을 수밀되도록 분리하되, 다수의 프레임과 이를 연결하는 휘어지는 재질의 방수막으로 구성되는 물막이판;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물막이판을 상기 방수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도록 구성된 이송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물막이판이 롤 형태로 감기는 수납드럼과, 상기 물막이판 양 측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연성 재질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상기 수납드럼을 회전시켜줌으로 상기 물막이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막이판 전면부에는 상기 수조본체 전면부 내측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하로 확장 형성된 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본체 전면부 내측으로 상기 밀착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는 전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와, 전면부 하측에 설치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조본체 하측면으로 관통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방수모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관상어의 배설물 및 잔류먹이 등의 오염물질을 조기에 제거함으로 수조의 수질을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어항 내부의 물과 물고기를 옮기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쉽게 오염물질이 쌓인 바닥을 청소할 수 있어 어항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 시간, 비용 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분리형 어항의 구조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2는 물막이판의 세부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은 방수레일 및 물막이판의 절단면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분리형 어항의 구조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5는 회전손잡이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방수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작동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분리형 어항을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분리형 어항의 구조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분리형 어항의 구조를 나타낸 좌측면도로써, 본 발명은 수조본체(1)와, 물막이판(3)과, 이송수단(4)으로 주요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본체(1)는 어항으로 사용되는 투명한 재질의 수조로써, 최하측 바닥면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 상측으로 수조본체(1)와 분리가능한 하부몸체(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2)는 상기 수조본체(1) 전면으로 서랍형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자갈, 모래 등을 넣고 상기 수조본체(1)에 결합한 상태로 관상어가 활동하는 영역의 실질적인 바닥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2)가 상기 수조본체(1)와 완전히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몸체(2)의 하측 및 전면측으로 완전한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패킹이 설치된다.
상기 수조본체(1)의 외형은 제작의 편의와 수밀성 향상을 고려하였을 때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조본체(1) 내부에는 하부몸체(2)의 상측으로 물막이판(3)이 설치됨으로 상기 물막이판(3)의 상측과 하측이 수밀·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수조본체(1)의 양측 내벽에는 방수레일(12)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이동하며 다수의 프레임(31)과 이에 덧입혀지며 휘어지는 재질의 방수막(32)으로 이루어지는 물막이판(3)이 구성된다.
도 2는 물막이판의 세부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은 방수레일 및 물막이판의 절단면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물막이판(3)은 유연하게 휘어지는 특성이 있고 방수성능을 갖는 연질고무나 실리콘 재질 등의 방수막(32)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조본체(1) 내부를 상하로 수밀·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물막이판(3)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몸체(2)를 수조본체(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물막이판(3) 상측에 위치한 물의 압력으로 인해 물막이판(3)이 아래쪽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방수막 내부에는 다수의 프레임(31)이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31)은 가능한 얇으면서도 수압에도 큰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수레일(12)의 형성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물막이판(3)은 상기 수납공간(11)에 설치된 이송수단(4)을 통해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물막이판(3)은 양측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와이어(42)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42)를 전면측으로 당겨줌으로 상기 물막이판(3)이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방수레일(12)과 이에 물리는 물막이판(3)의 형상이 다단으로 꺾이도록 함으로 양호한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수조본체(1) 내부에는 상기 물막이판(3) 및 상기 와이어(42)의 원활한 이송과 이에 따른 수밀유지를 위한 이송롤러(R) 및 패킹이 적절하게 설치된다.
상기 물막이판(3)은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납공간(11)에 설치된 수납드럼(41)에 롤 형태로 일부가 감기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물막이판(3)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물막이판(3)은 상기 수납드럼(41)에 일부가 감긴 상태로, 상기 하부몸체(2)는 상측으로 수조본체(1)의 내부에서 개방된 형태가 되며, 상기 와이어(42)를 당겨줌으로 상기 물막이판(3)이 상기 수납드럼(41)으로부터 풀리면서 전면측으로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물막이판(3)의 전면부가 상기 수조본체(1)의 내벽에 닿음으로 상기 물막이판(3)을 기준으로 수조본체(1)의 내부가 상하로 분리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물막이판(3)을 제거하여 수조본체(1)의 내부가 분리된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 상기 와이어(42)를 느슨하게 한 상태로 상기 수납드럼(41)을 회전시켜 상기 물막이판(3)을 후면측으로 당겨주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42)를 당겨주거나, 상기 수납드럼(41)을 회전시키는 동작은 수동 또는 전동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43)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5는 회전손잡이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방수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이다.
도 5에서는 상기 구동부(43)를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키도록 하는 수동형식으로 이루어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수납공간(11)에 설치되는 상기 수납드럼(41)과 상기 와이어(42)가 감기는 와이어드럼(421)을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손잡이(431, 431')가 수조본체(1) 외측으로 돌출형성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와이어드럼(421)에 연결된 회전손잡이(431)를 돌려줌으로 상기 물막이판(3)이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드럼(41)에 연결된 회전손잡이(431')를 돌려줌으로 설치된 물막이판(3)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수납공간(11)에 별도의 방수모터부(432)를 설치하여 전동에 의해 상기 수납드럼(41) 및 와이어드럼(421)을 돌려주도록 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방수모터부(432)는 상기 수조본체(1) 외측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납드럼(41) 및 와이어드럼(42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2개의 방수모터부가 구비되거나, 별도의 기어박스를 통해 상기 수납드럼(41) 및 와이어드럼(421)을 모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납공간(11)은 상기 물막이판(3)이 제거되고 상기 하부몸체(2)가 수조본체(1)에 결합한 상태에서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나, 만약의 경우 물이 일부 새어 들어오더라도 기계적인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를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부(43)가 전동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경우 완전한 전기적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방수구조를 갖도록 하여 수납공간(11)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누전 등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물막이판(3)이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레일(12) 및 이에 물리는 물막이판(3)의 형상을 통해 측면에서의 누설이 방지되는 데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물막이판(3)의 전면부와 상기 수조본체의 전면부 내측과의 접촉부에서의 누설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물막이판(3) 전면부에는 상기 수조본체(1) 전면부 내측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하로 확장 형성된 밀착부(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본체(1) 전면부 내측으로 상기 밀착부(33)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부(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착부(33)는 전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상을 갖도록 함으로 내측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압이 상기 밀착부(33)를 상기 요홈부(13)에 더욱 밀착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작동도로서, 물막이판(3)의 설치 전·후의 모습을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 내지 8에서와 같이 상기 물막이판(3)이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설치된 후 상기 하부몸체(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하부몸체(2)의 전면부에 손잡이(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물막이판(3)이 설치되더라도 수조본체(1) 내부에 있던 물이 그대로 상기 하부몸체(2) 내부에 남아 있으므로, 상기 하부몸체(2)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상기 수납공간(11) 내부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몸체(2) 전면부 하측에 하부몸체(2)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밸브(2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막이판(3)을 설치한 후 사용자는 상기 배출밸브(22)를 통해 상기 하부몸체(2) 내부에 남아있는 물을 배출시킨 후 상기 하부몸체(2)를 수조본체(1)로부터 안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밸브는 또한 상기 수조본체의 하측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들어간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수조본체 11: 수납공간
12: 방수레일
13: 요홈부
2: 하부몸체 21: 손잡이
22: 배출밸브
3: 물막이판 31: 프레임
32: 방수막
33: 밀착부
4: 이송수단 41: 수납드럼
42: 와이어 421: 와이어드럼
43: 구동부 431, 431': 회전손잡이
432: 방수모터부
R: 이송롤러

Claims (6)

  1. 분리형 어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 상측에 전면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몸체(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2) 상부 양 측벽에 전후방향의 방수레일(12)이 형성되는 수조본체(1);
    상기 하부몸체(2) 후면으로부터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이동하여 상측과 하측을 수밀되도록 분리하되, 다수의 프레임(31)과 이를 연결하는 휘어지는 재질의 방수막(32)으로 구성되는 물막이판(3);
    상기 수납공간(11)에 설치되며 상기 물막이판(3)을 상기 방수레일(12)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도록 구성된 이송수단(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어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은 상기 물막이판(3)이 롤 형태로 감기는 수납드럼(41)과,
    상기 물막이판(3) 양 측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연성 재질의 와이어(42)와,
    상기 와이어(42)를 당기거나 상기 수납드럼(41)을 회전시켜줌으로 상기 물막이판(3)을 이동시키는 구동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어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판(3) 전면부에는 상기 수조본체(1) 전면부 내측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하로 확장 형성된 밀착부(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본체(1) 전면부 내측으로 상기 밀착부(33)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어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는 전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21)와, 전면부 하측에 설치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밸브(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어항.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3)는 상기 수조본체 하측면으로 관통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손잡이(431, 43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어항.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3)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방수모터부(4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어항.
KR1020120047558A 2012-05-04 2012-05-04 분리형 어항 KR20130123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558A KR20130123992A (ko) 2012-05-04 2012-05-04 분리형 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558A KR20130123992A (ko) 2012-05-04 2012-05-04 분리형 어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92A true KR20130123992A (ko) 2013-11-13

Family

ID=4985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558A KR20130123992A (ko) 2012-05-04 2012-05-04 분리형 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9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60A (ko) * 2021-07-27 2023-02-0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수조 칸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60A (ko) * 2021-07-27 2023-02-0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수조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17572B (zh) 一种具有自动打捞功能的养殖池
KR100875803B1 (ko) 순환 유수식 양어장
JP2016082960A (ja) 魚の養殖装置システム
CN110447591A (zh) 一种快速排污鱼苗育苗器
KR20130123992A (ko) 분리형 어항
CN217564616U (zh) 一种快速清理水池底部杂质的循环水养殖设备
JP2014176332A (ja) 光によって水槽底部に集まる性質を持つ仔魚の飼育方法及び装置
JP2009050249A (ja) 底面に傾斜を付け、排水装置を設けた水槽。
KR200438712Y1 (ko) 수조용 해수 정수장치
CA3035181C (en) System and method for aquarium water removal
CN211896345U (zh) 一种水族箱底滤板
CN210202952U (zh) 便于隔离鱼排泄物的养殖装置
JP2009060892A (ja) 水生生物の幼生飼育器
CN210642005U (zh) 一种便于清理的水产品养殖设备
KR101777765B1 (ko) 세척 모듈을 갖는 해삼 양식 장치
CN220831416U (zh) 一种自动喂料的鸭笼
CN217038517U (zh) 一种适用于上层投喂和底层清粪的蚯蚓饲养装置
CN210746751U (zh) 鱼缸
JPH11113442A (ja) 魚類用大型水槽の清掃システム
KR101484004B1 (ko) 수족관용 스키머
CN212877245U (zh) 一种鱼类养殖池排污装置
JPH08214726A (ja) 魚介類飼育用水槽装置
TWM458093U (zh) 養殖池排污器
CN216088340U (zh) 一种多功能的水族箱
JP2019170165A (ja) 魚類養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