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939A - 스트레칭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939A
KR20130123939A KR1020120047478A KR20120047478A KR20130123939A KR 20130123939 A KR20130123939 A KR 20130123939A KR 1020120047478 A KR1020120047478 A KR 1020120047478A KR 20120047478 A KR20120047478 A KR 20120047478A KR 20130123939 A KR20130123939 A KR 2013012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support
stretching
backres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394B1 (ko
Inventor
신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싱귤러포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싱귤러포인트 filed Critical (주)싱귤러포인트
Priority to KR102012004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39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칭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진 등받이에 누워서 발을 발걸이에 고정 후 무릎을 굽히고 펴는 반복적인 운동과 함께 신체를 근육을 늘여주는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는 바닥에 수평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며 수직방향 일영역에 발걸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수직프레임 및 상단부에 등받이가 연결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 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트레칭 장치{Exercise device for stretching}
본 발명은 스트레칭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진 등받이에 누워서 발을 발걸이에 고정 후 무릎을 굽히고 펴는 반복적인 운동과 함께 신체를 근육을 늘여주는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칭의 일반적인 원리는 근육의 길이를 확장하여 자연 상태보다 근육을 늘여주는 것이며, 유연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근육을 정상의 길이보다 약 10% 이상 늘려야 한다.
이와 같이, 스트레칭 운동을 매일 일정시간 꾸준히 하게 되면, 신체 부위의 근육이나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 유연성 유지 및 향상, 상해 예방 등의 도움이 된다.
또한, 불균형된 체형도 바르게 교정될 수 있으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성장판을 자극하여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줌으로서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도와준다.
따라서, 스트레칭을 더욱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스트레칭을 위한 다양한 기구나 장치들이 개발된 바 있다.
일예로 종래의 척추 이완 기구인 거꾸리는 수직에 가깝도록 큰 기울로 매달려야만 하는 스트레칭 장치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피가 머리로 몰리며 고혈압의 위험이나 불쾌한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수직에 가까운 기울기에 발목을 걸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인체의 허리 및 척추 부분에 대한 유기적인 스트레칭 운동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목을 걸어 고정하는 발걸이대가 고장으로 인하여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발목에 힘이 없는 어린이나 노약자가 사용 중 낙하하게 되면 큰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장치가 아닌 탄성밴드나 스프링을 이용하여 스트레칭을 하는 탄성기구의 경우엔 일측의 고정구를 발에 걸고, 타측의 고정구를 손으로 당기며 탄성을 이용하여 스트레칭을 한다.
하지만, 탄성을 이용한 스트레칭 기구는 팔, 다리, 척추 등의 힘으로 스트레칭을 하게 함으로서 힘이 들어 쉽게 싫증이 나게 되고, 이로 인해 중도에 스트레칭 운동을 포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적절한 기울기로 누워서 용이하게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목이 이탈하여 사용자가 낙하여도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보다 용이하게 스트레칭을 함으로서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신체관리를 할 수 있는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는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세워지며, 길이방향 일영역에 발걸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수직프레임 및 상단부에 등받이가 연결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 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상기 지지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적어도 두 지점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는 상단부에 연결된 상기 등받이와 함께 회동하는 링크구조인 것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된 적어도 두개의 지점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기 등받이의 기울기가 조절이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한 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기 등받이는 고정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부가 회동하는 일측, 타측, 및 상기 등받이가 낙하하는 지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최적의 각도로 누워서 용이하게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에 가까운 경사가 아닌 최적의 각도로서, 발목이 이탈하여 사용자가 낙하여도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근력의 힘을 크게 들이지 않고 자신의 신체를 보다 용이하게 스트레칭을 함으로서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신체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100)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110), 수직프레임(120), 지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바닥에 배치되며, 베이스프레임(110)을 더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단부에서 교차되는 받침부(111)가 더 마련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수직 또는 소정의 각도로 연결되어 길이방향 일영역에 발걸이부(121)가 마련된 수직프레임(120)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에서 수직프레임(120)이 연결되는 부분은 연장된 하나의 프레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 가능한 접이식 구조가 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상기 발걸이부(121)를 길이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발걸이부(121)를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이면 그 형상과 크기 등이 자유롭게 변형하여 사용가능하다.
또한, 수직프레임(120)은 제작상 수직방향을 0°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110) 길이방향측과 타측으로 각각 30°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작을 고려할 때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발걸이부(121)는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발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각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발걸이부(121)는 사람이 발을 걸어 사용할 때 안정적으로 발을 보호하며 고정할 수 있도록 쿠션(123)으로 감싸진다.
상기 지지부(130)의 상단부는 사람이 누울 수 있는 등받이(131)가 저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적어도 두개의 지지부(130)가 일영역에 연결된다.
또한, 등받이(131)는 사람이 눕는 면에 머리를 받쳐주며 보호하는 헤드쿠션(133)과 사람이 경사면에 따라 미끄러워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135)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13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일 영역의 두 지점에서 각각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된 지지부(130)의 하단부에서 이격된 거리를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부이동부(132)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이동부(132)는 지지부(130)가 베이스프레임(110)에 이격하여 결합되는 지점들에 형성될 수 있으나,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사람이 등받이(131)에 누웠을 때 머리가 향하는 방향의 지지부(130)만 이동하도록 형성된 것이 작동이나 제작시 보다 편리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이동부(132)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지지부(130)가 이동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지지부가(130)가 이동함에 따라 상단부에 연결된 등받이(13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131)의 기울기는 크게 제한받지 아니하며,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수직프레임(120)을 향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0°내지 45°가 스트레칭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각도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내지 30°의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사람이 누웠을 때 안정되고 가장 편안한 자세로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100)는 상기 지지부(130)에 결합되는 결합부는 모두 회동가능하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130)가 결합된다.
적어도 두개의 지지부(1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두 지점에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지지부(130)는 하중으로부터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131)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가 보다 견고하게 등받이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3개 이상 배치되는 경우에는 평행하게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등받이(133)에서 사람이 누워 발걸이(121)에 발을 고정 후, 무릎을 굽히며 왕복운동을 하게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130)와 등받이(131)가 함께 회동하는 링크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부(130)는 지지부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회동되는 회동각을 제한하도록 스토퍼(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40)는 도 4(a)와 같이, 지지부(130)가 회동하는 회동부 주변에서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서 회동각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140), 도 4(b)와 같이, 등받이(131)가 낙하할 때 최초 바닥에 낙하하는 지점에 마련된 스토퍼(140)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는 도 4(a)와 같이, 단순화된 구조의 돌출부로 형성된 스토퍼(14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b)와 같은 스토퍼(140)를 사용했을 때, 등받이(131)의 낙하지점에서 충돌시 충격을 완화 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가 하나일 때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101)이다.
상기 지지부(13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한 지점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지부(130) 상단부에 연결된 등받이(131)는 고정된다.
이때, 하중으로부터 안정되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부(13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한 지점에서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스트레칭 장치(100)를 실내 또는 실외 일정 공간의 바닥에 배치하고, 경사지게 설치된 등받이(131)에 등을 기대며 눕는다.
다음, 상기 발걸이부(121)에 발을 삽입하고 발목부를 고정한다.
상기 발걸이부(121)에 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무릎을 서서히 굽히면서 상체를 들어올리듯 무릎을 굽힌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바닥에서 고정상태이며, 지지부(130)와 등받이(131)가 회동되는 링크구조로써, 상기 등받이(131)는 자연스럽게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리에 서서히 힘을 빼면 체중에 의해 등받이(131)가 낙하하면서 아래로 향하게 된다.
이에 따른, 운동을 반복적으로 하면서 신체의 근육을 늘이거나 줄이며 스트레칭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을 하는 중에 발걸이부(121)가 고장이 생기거나, 발이 이탈했을 때 상기 등받이(131)의 경사 각도가 완만하므로 사람의 등과 등받이(131)의 마찰에 의해 서서히 흘러내려 사고로부터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100)는 접이식 구조를 가지며, 보관시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고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최적의 각도로 누워서 용이하게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수직에 가까운 경사가 아닌 최적의 각도로서, 발목이 이탈하여 사용자가 낙하여도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근력의 힘을 크게 들이지 않고 자신의 신체를 보다 용이하게 스트레칭을 함으로서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신체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트레칭 운동을 매일 일정시간 꾸준히 하게 되면, 신체 부위의 근육이나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 유연성 유지 및 향상, 상해 예방 등의 효과가 있으며, 불균형된 체형도 바르게 교정될 수 있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성장판을 자극하여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줌으로서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장치(100)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술한 실시예 외에도 베이스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 지지부(130)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스트레칭 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받침부 120 : 수직프레임
121 : 발걸이부 123 : 쿠션
130 : 지지부 131 : 등받이
132 : 지지부이동부 133 : 헤드쿠션
135 : 미끄럼방지부 140 : 스토퍼

Claims (5)

  1.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세워지며, 길이방향 일영역에 발걸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수직프레임; 및
    상단부에 등받이가 연결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 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레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상기 지지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적어도 두 지점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는 상단부에 연결된 상기 등받이와 함께 회동하는 링크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된 적어도 두개의 지점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기 등받이의 기울기가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한 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기 등받이는 고정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부가 회동하는 일측, 타측, 및 상기 등받이가 낙하하는 지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장치.
KR1020120047478A 2012-05-04 2012-05-04 스트레칭 장치 KR10134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78A KR101347394B1 (ko) 2012-05-04 2012-05-04 스트레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78A KR101347394B1 (ko) 2012-05-04 2012-05-04 스트레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39A true KR20130123939A (ko) 2013-11-13
KR101347394B1 KR101347394B1 (ko) 2014-01-03

Family

ID=4985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478A KR101347394B1 (ko) 2012-05-04 2012-05-04 스트레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21171A1 (de) 2013-10-17 2015-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Beleucht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644A (ja) * 1994-01-18 1995-08-15 Jerry L Wilson フリーウェートスクワット反復をシミュレートするための訓練装置
IT1274170B (it) * 1994-05-04 1997-07-15 Fabio Marchesi Apparecchiatura per la riduzione di specifiche zone adipose mediante la concomitanza dell'apporto di calore e d'attivita' muscolare.
KR200302525Y1 (ko) 2002-10-31 2003-01-29 유이현 복근 단련 운동기구
KR100909449B1 (ko) 2007-08-31 2009-07-28 신동수 복근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21171A1 (de) 2013-10-17 2015-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Beleucht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394B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67560B (en) Portable therapeutic strengthening apparatus using adjustable resistance
JP5314596B2 (ja) 腹部運動装置
JP3180637U (ja) ストレッチャー
US6231489B1 (en) Device for multiple torso exercises
JP2010511425A5 (ko)
US20080119338A1 (en) Body posture and physical fitness exercise device
KR101086029B1 (ko) 스트레칭기구
KR101921218B1 (ko) 스쿼트 운동장치
CN102284178A (zh) 倒立健身装置
EP2537564A2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KR101946783B1 (ko) 수동식 스트레칭 운동기구
US4739749A (en) Orthospinal chair
KR101875338B1 (ko)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US20050003935A1 (en) Leg stretching apparatus
KR102532823B1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US8328702B2 (en) Lower back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KR101347394B1 (ko) 스트레칭 장치
US11395755B2 (en) Method for applying spinal traction
KR20080000998U (ko) 실내용 평행봉 운동기구
KR100953220B1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US20150231017A1 (en) Equipment for treating and caring for the spinal column
JP7385411B2 (ja) 腰痛治療器
KR101570229B1 (ko) 뜀뛰기 운동기구
KR101265244B1 (ko) 허리 운동기구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