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744A -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744A
KR20130123744A KR1020120047101A KR20120047101A KR20130123744A KR 20130123744 A KR20130123744 A KR 20130123744A KR 1020120047101 A KR1020120047101 A KR 1020120047101A KR 20120047101 A KR20120047101 A KR 20120047101A KR 20130123744 A KR20130123744 A KR 20130123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roll
porous separator
pattern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061B1 (ko
Inventor
김진우
이주성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12004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특히 고점도 바인더에 의해 전극과 분리막이 결합된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다수의 무기물 입자와 제1 바인더의 혼합물을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함으로써 다공성 코팅층이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다공성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제2 바인더를 패턴화 코팅법에 의해 전사시켜 전극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전극 접착층 상에 전극을 적층시키는(laminate)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점도 바인더에 의해 본래의 통기도가 유지된 분리막이 전극에 강력하게 결합된, 얇은 바인더 층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Electrode assembly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특히 고점도 바인더에 의해 전극과 분리막이 결합된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저장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휴대폰, 캠코더 및 노트북, 나아가 전기 자동차의 에너지까지 적용 분야가 확대되면서 전기화학 소자의 연구 및 개발에 대한 노력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전기화학 소자는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며, 그 중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개발은 관심의 촛점이 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해 충전과 방전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학 전지로서 납축 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및 리튬 이차전지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다른 전지들에 비하여 높은 전압 및 에너지 밀도 특성이 우수하여 이차전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구비한 전극 조립체를 갖는다. 즉, 이러한 전극 조립체는 분리막의 양면에 전극을 바인더에 의해 결착시킨 것인 데, 통상적으로 바인더는 얇은 층의 저점도 형태로 분리막 내로 침투하여 통기도의 상승 및 이온전도도의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졌다. 따라서, 분리막 내로의 침투가 되지 않으면서 결착력이 높은 고점도 바인더의 사용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점도 바인더를 소량의 얇은 층의 형태로 전극과 분리막 사이에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다수의 무기물 입자와 제1 바인더의 혼합물을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함으로써 다공성 코팅층이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다공성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제2 바인더를 패턴화 코팅법에 의해 전사시켜 전극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전극 접착층 상에 전극을 적층시키는(laminate)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전술된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 특히 리튬 이차전지와 같은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점도 바인더에 의해 본래의 통기도가 유지된 분리막이 전극에 강력하게 결합된, 얇은 바인더 층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잘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개략적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리버스 오프셋 코팅의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리버스 오프셋 코팅의 다른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그라비아 오프셋 코팅의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플레이트-플레이트 오프셋 코팅의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그라비아-하드 롤 코팅의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롤-플레이트 코팅의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전사 메커니즘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공정에 따라 변형되는 제2 바인더의 형태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적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개략적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S1) 분리막의 제조 단계(도 1a), (S2) 전극 접착층의 형성 단계(도 1b 및 도 1c), 및 (S3) 분리막과 전극의 적층 단계(도 1d)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1 단계에서, 다수의 무기물 입자를 제1 바인더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한다. 이러한 코팅에 의해 다공성 코팅층이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다공성 분리막이 제조된다(도 1a).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에서, 상기 분리막의 다공성 기재 및 그의 코팅층을 구성하는 무기물 입자 및 제1 바인더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것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다공성 기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폴리아릴에테르케톤(polyaryletherketon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폴리벤지미다졸(polybenzimidazol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phenyleneoxide), 사이클릭 올레핀 고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polyethylenenaphtha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형성된 고분자막 또는 이들의 다중막, 직포 및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물 입자는 유전율 상수가 약 5 이상인 무기물 입자,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물 입자의 평균입경은 약 0.0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유전율 상수가 약 5 이상인 무기물 입자는 BaTiO3, Pb(Zrx,Ti1 -x)O3 (PZT, 0<x<1), Pb1 -xLaxZr1-yTiyO3(PLZT, 0<x<1, 0<y<1), (1-x)Pb(Mg1 /3Nb2 /3)O3-xPbTiO3(PMN-PT, 0<x<1), 하프니아(Hf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SiO2, Y2O3, Al2O3, SiC 및 Ti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는 리튬포스페이트(Li3PO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xTiy(PO4)3, 0 < x < 2, 0 < y < 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LixAlyTiz(PO4)3, 0 < x < 2, 0 < y < 1, 0 < z < 3), (LiAlTiP)xOy 계열 글래스(0 < x < 4, 0 < y < 13), 리튬란탄티타네이트(LixLayTiO3, 0 < x < 2, 0 < y < 3), 리튬게르마니움티오포스페이트(LixGeyPzSw, 0 < x < 4, 0 < y < 1, 0 < z < 1, 0 < w < 5), 리튬나이트라이드(LixNy, 0 < x < 4, 0 < y < 2), SiS2 (LixSiySz, 0 < x < 3, 0 < y < 2, 0 < z < 4) 계열 글래스 및 P2S5 (LixPySz, 0 < x < 3, 0 < y < 3, 0 < z < 7) 계열 글래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제1 바인더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 propylene, PVDF-co-HF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 eth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로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chlorotrifluoro ethylen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 풀루란(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 셀룰로오스(cyanoethyl cellulose), 시아노에틸 수크로오스(cyanoethyl sucrose), 풀루란(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공성 기재는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전술된 기재로부터 우수한 통기성 및 공극률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제1 바인더와 무기물의 혼합물, 필요하다면 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용매로는 사용하는 바인더와 용해도 지수가 유사하고 끓는점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분리막 이외의 양극, 음극 및 전해액도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거나,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공정 및/또는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S2 단계에서,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제2 바인더를 전사시킨다(도 1b). 이 전사 공정은 코팅법에 의한 패턴화된 제2 바인더의 전사이다. 이와 같은 전사 공정에 의해 전극 접착층이 형성하게 된다(도 1c). 제2 바인더는 후속적으로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을 전극, 즉 음극 또는 양극, 특히 전극 활물질과 결착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결착시 바인더의 점도가 낮으면, 이 바인더가 다공성 분리막의 공극 사이로 침투함으로써 목적하는 분리막의 통기도 및 공극률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낮은 점도로 인해 그 결착력이 또한 낮아 분리막으로부터 전극이 탈락됨으로써 여러가지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고점도 바인더(예컨대, 제2 바인더)는 그 자체의 높은 점도로 인하여 분리막과 전극의 결착이 매우 견실하며, 또한 분리막 내로의 바인더가 침투되지 않으므로 분리막의 목적하는 통기도 및 공극률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적은 양으로도 기존과 동일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제2 바인더로는 앞서 언급한 제1 바인더 중에서 25℃에서 점도 약 0.05 내지 약 100 poise 범위에 속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컨대 25℃에서 0.05 poise 미만의 점도를 나타내는 낮은 점도의 바인더도 이를 재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 조건 하에서 건조 가능하다면 상기 범위의 점도 범위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바인더는, 이것이 적용되는 전극 접착층으로부터 이탈해서 다공성 코팅층 내의 기공 등을 막지 않도록, 제1 바인더에서 사용된 용매에 대해 용해되지 않는 바인더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종류의 제2 바인더의 적용은 최종 분리막의 목적하는 특성을 저해시키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제2 바인더의 예로는 PVDF계 바인더, 수분산성 바인더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PVDF계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트라이클로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수분산성 바인더는 비수계(유기 용매계) 바인더에 비해 소량으로도 결착 효과가 크므로 경제적, 환경적 및 인체 건강 측면에서 유리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분산성 바인더라면 비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바인더로는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tyrene-butadiene rubber, 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러버(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ubber), 카복시 메틸 셀룰로스(carboxy methyl cellulose, CM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hydroxypropyl cellulose), 디아세틸 셀룰로오스(d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PVDF계 바인더 및 수분산성 바인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인더는 이후 기재되는 코팅 방법에 의해 오프셋(offset) 또는 직접적인 방식으로 분리막에 전사될 수 있다.
제2 바인더는 일정한 두께와 간격의 패턴화 방식으로 상기 제2 바인더를 분리막에 코팅시킴으로써 상기 분리막 상에 전사된다. 여기서, "일정한 두께와 간격"이라 함은 후속적인 분리막과 전극의 압연에 의한 결착시 인접한 패턴화된 제2 바인더 덩어리들 사이가 상기 압연에 의해 최대로 얇으면서도 우수한 결착력을 유지하도록 압축되는 두께와 간격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께와 간격은 우선 제2 바인더의 점도(예컨대, 결착력)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그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인더가 결착하고자 하는 분리막과 전극, 구체적으로는 분리막의 코팅층(무기물과 제1 바인더의 혼합층)과 전극 활물질층의 종류에 따라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패턴은 그의 정밀도를 위해 제2 바인더의 물성을 고려하여 패턴화에 사용되는 롤, 플레이트 등의 종류에 따라 이들을 구성하는 물질(특히,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의 종류 및/또는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두께와 간격을 전술된 그리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여러 이유에 따라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두께와 간격을 제2 바인더의 점도, 분리막의 코팅층, 전극 활물질 층의 종류, 사용되는 롤 및 플레이트 표면의 구성 물질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양면에서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분리막의 양면에서 동시에 실시하는 것은 공정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패턴화 코팅법에 의해 전사된 제2 바인더는 도트형(dot), 스트립형(strip), 파형(wave) 및 랜덤형(rando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인더의 패턴화 형태는 제2 바인더의 두께와 간격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바인더의 점도, 분리막의 코팅층 및 전극 활물질 층의 종류 등에 의해 원하는 범위 내로 유지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패턴화 형태는 전사 매개자(롤 또는 플레이트)의 홈(groove) 모양, 전사 물질(예컨대, 제2 바인더)와의 결착성/이형성, 전사되는 대상물(예컨대, 분리막)과의 결착성 등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양태에 따른 코팅법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 및 두께의 패턴화 방식으로 제2 바인더가 전사 가능한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오프셋(offset) 코팅법, 하드 롤-그라비아(hard roll-gravure) 코팅법 또는 롤-플레이트(roll-plate) 코팅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프셋 코팅법은 리버스(reverse) 오프셋 코팅법, 그라비아(gravure) 오프셋 코팅법, 플레이트-플레이트(plate-plate) 오프셋 코팅법 등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팅법에는 다른 방법, 예컨대 패턴화된 양각을 이용하는 플렉소(flexo) 코팅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리버스 오프셋 코팅법은, 제2 바인더를 블랭킷 롤(blanket roll)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블랭킷 롤을 회전시키면서 역패턴화된(reverse patterned) 플레이트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블랭킷 롤 상에 도포된 제2 바인더를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에 의해 패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하는 제2 바인더-패턴화된 블랭킷 롤을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패턴화된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리버스 오프셋 코팅의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리버스 오프셋 코팅법은 크게 제2 바인더의 도포 단계(도 2a), 패턴화 단계(도 2b) 및 전사 단계(도 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포 단계(도 2a)에서, 주입부(500)를 통하여 제2 바인더(20)를 블랭킷 롤(100)에 도포한다. 여기서, 블랭킷 롤(100)은 제2 바인더(20)를 결착하고 탈락시키기 적합한 물질, 예컨대 예컨대 낮은 표면 에너지의 폴리디메틸 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PDMS)과 같은 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블랭킷 롤(100)은 그의 표면에 제2 바인더(20)의 결착 및 탈락을 촉진시키기 위한 탄성 물질의 둘레부(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착/탈락은 제2 바인더(20)의 표면 에너지가 블랭킷 롤 물질의 표면 에너지보다 높기 때문일 것이다.
상기 패턴화 단계(도 2b)에서, 상기 도포 단계에서 제2 바인더(20)가 도포된 블랭킷 롤(100) 또는 그의 둘레부는 회전하면서 역패턴화된(reverse patterned) 플레이트(200)와 접촉한다.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200)는 그의 표면, 예컨대 클리쉐(cliche) 등의 구조에 목적하는 패턴과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역패턴(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200)의 역패턴(210)은 접촉하는 제2 바인더(20)를 패턴화시키되, 제2 바인더(20)의 일부는 상기 역패턴(210)에 결착되고, 나머지 결착되지 않은 부분은 패턴으로서 남게 된다. 이는, 고점도의 제2 바인더(20)와 블랭킷 롤(100) 및 그의 역패턴(210) 사이의 접착력의 차이로 인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사 단계(도 2c)에서, 상기 패턴화 단계에서 패턴화된 블랭킷 롤(100)은 다공성 분리막(10)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며, 이때 블랭킷 롤(100) 상의 패턴이 탈락되어서 다공성 분리막(10)에 결착됨으로써 제2 바인더(20)의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리버스 오프셋 코팅법의 다른 예는, 역패턴화된 플레이트가 다공성 분리막과 평행하게 마주보고 이들의 마주보는 측면들을 접촉하면서 진행하도록 이들 사이에 블랭킷 롤을 배치하되, 상기 블랭킷 롤 상에서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와 최초로 접촉하는 지점이 후속적인 블랭킷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진행 방향의 선두 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분리막과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진행시키는 단계, 제2 바인더를 상기 블랭킷 롤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블랭킷 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블랭킷 롤 상에 도포된 제2 바인더를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에 의해 패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인더-패턴화된 블랭킷 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패턴화된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리버스 오프셋 코팅의 다른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역패턴화된 플레이트(200)와 다공성 분리막(10) 사이에 블랭킷 롤(10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블랭킷 롤(100)은, 역패턴화된 플레이트(200)와 접촉하고 그 블랭킷 롤(100) 상의 최초 접촉 지점이 후속적인 블랭킷 롤(100)의 회전에 의해 다공성 분리막(10)의 진행 방향의 선두 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다공성 분리막(10)은 역패턴화된 플레이트(200)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며, 이들은 또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진행한다. 제2 바인더(20)는 주입부(500)를 통하여 블랭킷 롤(100)의 표면에 도포된다. 제2 바인더(20)가 도포된 블랭킷 롤(100)은 회전하면서 역패턴화된 플레이트(200)에 접촉하며, 이로 인해 블랭킷 롤(100) 상의 제2 바인더(10)가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의 역패턴에 의해 패턴화된다. 이어서, 회전하는 블랭킷 롤(100) 상의 패턴화된 제2 바인더(20)는 다공성 분리막(10)에 접촉하여 전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그라비아 오프셋 코팅법은,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gravure roll)을 블랭킷 롤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제2 바인더를 상기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그라비아 롤의 홈(groove) 이외의 상기 제2 바인더를 독터 블레이드(doctor blade)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그라비아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바인더를 상기 블랭킷 롤 상에 패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인더-패턴화된 블랭킷 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패턴화된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그라비아 오프셋 코팅의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라비아 롤(300)은 블랭킷 롤(100)과 맞물려 있고, 상기 블랭킷 롤(100)은 다시 다공성 분리막(10)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도 4a). 우선, 제2 바인더(20)는 주입부(500)를 통하여 그라비아 롤(300)에 도포한다. 그라비아 롤(300)은 그의 표면에 독터 블레이드(51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독터 블레이드(510)는 그라비아 롤(300)의 홈(310) 이외의 부분에 존재하는 제2 바인더(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제거한다. 홈(310) 내에 충전된 제2 바인더(20)는 그라비아 롤(300)과 블랭킷 롤(100)이 맞닿는 부분에서 탈락되어서 패턴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블랭킷 롤(100) 상의 패턴은 다공성 분리막(10)과 맞닿아 회전하면서 탈락되며, 이어서 다공성 분리막(10) 상에 패턴을 형성한다(도 4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플레이트-플레이트 오프셋 코팅법은, 제2 바인더를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의 홈 이외의 상기 제2 바인더를 독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역패턴화된 플레이트를 회전하는 블랭킷 롤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바인더를 상기 블랭킷 롤 상에 패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인더-패턴화된 블랭킷 롤을 회전시키면서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패턴화된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플레이트-플레이트 오프셋 코팅의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바인더(20)는 주입부(500)를 통하여 역패턴화된 플레이트(200)에 도포한다. 그 다음, 상기 주입부(50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독터 블레이드(201)는 역패턴화된 플레이트(200)의 홈(210) 이외의 부분에 존재는 제2 바인더(20)를 제거한다(도 5a).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200) 상에 블랭킷 롤(100)을 접촉하여 회전시킨다. 제2 바인더(20)는 블랭킷 롤(100)과 접촉하면, 이들의 접착력 차이에 의해 블랭킷 롤(100) 상에 결착되어서 패턴을 형성한다(도 5b). 이어서, 블랭킷 롤(100)은 다공성 분리막(10)과 맞닿아 회전하며, 이때 블랭킷 롤(100)의 상의 상기 패턴이 탈락되어서 다공성 분리막(10) 상에 다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도 5c).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하드 롤-그라비아 코팅법은, 회전하는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과 하드 롤(hard roll) 사이에 상기 다공성 분리막을 진행시키도록 상기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 상기 하드 롤 및 상기 다공성 분리막을 배치하는 단계, 제2 바인더를 상기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그라비아 롤의 홈 이외의 상기 제2 바인더를 독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그라비아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하드 롤-그라비아 코팅의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오프셋 코팅법 등에서는 블랭킷 롤로서 통상적으로 그 표면의 이형 및 연질 특성에 의해 바인더의 전사성이 뛰어난 소프트 롤(soft roll)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하드 롤(hard roll)을 사용할 수 있는 데, 그 예를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원하는 패턴과 반대로 맞물리는 형상인 역패턴을 음각으로 롤의 표면에 조각함으로써 제조된 그라비아 롤(300)을 제공하고, 상기 롤(300)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블랭킷 롤로서 하드 롤(110)을 배치한다. 그 다음, 이들 롤(300,110)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10)을 진행시키며, 전술된 바와 같은 제2 바인더(20)를 회전하는 그라비아 롤(300)의 표면에 도포한다. 그리고, 그라비아 롤(300)의 홈(310) 이외의 제2 바인더(20)를 예컨대 독터 블레이드(510)와 같은 수단에 의해 제거한다. 이러한 공정에 따르면,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그라비아 롤(300)은 그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상기 하드 롤(110)과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그라비아 롤(300)의 홈(310) 내의 패턴화된 제2 바인더(20)가 상기 다공성 분리막(10)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롤-플레이트 코팅법은, 제2 바인더를 회전하는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그라비아 롤의 홈 이외의 상기 제2 바인더를 독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하는 그라비아 롤을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패턴화를 위한 롤-플레이트 코팅의 개략적 공정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주입부(500)를 통하여 제2 바인더(20)를 그라비아 롤(300)에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롤(300)은 원하는 패턴과 반대로 맞물리는 형상인 역패턴을 음각으로 그의 표면에 조각되어 있다. 상기 그라비아 롤(300)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그의 표면에 도포된 제2 바인더(20) 중 롤(300) 내 홈(310) 이외의 부분에 존재하는 제2 바인더(20)를 롤(300) 상에 설치되어 있는 독터 블레이드(510)에 의해 제거한다. 그 다음, 패턴화된 제2 바인더(20)는 상기 회전하는 롤(300)과 맞물려 진행하는 다공성 분리막(10)에 순차적으로 전사하게 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제2 바인더의 전사 메커니즘을 개략적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라비아 롤의 홈 표면 또는 블랭킷 롤 표면으로부터 전사 목적물(예컨대, 다공성 분리막)에 원하는 패턴의 전사물(예컨대, 제2 바인더)을 전사시키는 메커니즘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라비아 롤 홈(310) 또는 블랭킷 롤(100)의 표면(400)에 제2 바인더(20)가 부착된다(도 8a). 예컨대 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는 상기 표면(400)은 제2 바인더(20) 중에 존재할 수 있는 용매(solvent)(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흡수한다. 따라서, 그라비아 롤의 홈(310) 또는 블랭킷 롤(100)의 표면(400) 상에 부착되는 제2 바인더(20)에는 용매가 없는 고체 상태의 부분(21)이 생성될 수 있다(도 8b). 이러한 용매가 없는 부분으로 인하여 나머지 제2 바인더 부분과 상기 표면(400)은 서로에 대한 접착력이 약화되며, 이러한 약화된 접착력에 의하여, 나머지 제2 바인더 부분은 다공성 분리막(10)과 접촉되면 상기 분리막과의 접착력이 더 강하게 되므로 상기 표면(400)으로부터 탈착되고 이어서 다공성 분리막(10)에 부착된다(도 8c).
S3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전극 접착층 상에 전극을 적층시킨다(laminate)(도 1d). 이 적층 단계는, 상기 전극 접착층이 접촉하는 대상(즉, 전극 및 분리막)과 제2 바인더의 접착력이 최대로 발현될 수 있는 적절한 온도 및 압력 하에서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절한 범위의 온도와 압력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전극 접착층 상에 전극이 적층되면, 생성된 전극 조립체의 접착력은 그의 높은 고유 접착력이 그대로 발현되며, 이러한 높은 접착력은 분리막의 우수한 통기도 유지 및 전극 접착층의 얇은 두께와 더불어 전지의 성능 및 내구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공정에 따라 변형되는 제2 바인더의 형태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적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적층 단계에서, 상기 S2 단계에서 전사된 제2 바인더(20)는, 전극(30)과 다공성 분리막(10) 사이의 수직적 공간(예컨대, 두께)이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압축시키면, 제2 바인더(20) 사이(즉, 제2 바인더(20) 패턴들 사이)의 수평적 공간(예컨대, 간격)이 최대로 가까워지도록 얇게 펼쳐진다(도 9a, 도 9b 및 도 9c). 이론적으로는 제2 바인더(20)가 수평적 공간에서 서로 간의 빈 공간 없이 채워진다. 다만, 전극(30)과 다공성 분리막(10) 사이의 결착력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수직적 빈 공간과 수평적 빈 공간을 최대로 없앨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인더(20) 패턴의 두께와 간격에 대한 조정은 당업자라면 쉽게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예컨대 리튬 이차전지와 같은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Claims (19)

  1. 다수의 무기물 입자와 제1 바인더의 혼합물을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함으로써 다공성 코팅층이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다공성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제2 바인더를 패턴화 코팅법에 의해 전사시켜 전극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전극 접착층 상에 전극을 적층시키는(laminate) 단계
    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양면에서 동시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 코팅법에 의해 전사된 제2 바인더가 도트형(dot), 스트립형(strip), 파형(wave) 및 랜덤형(rando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되는 제2 바인더의 패턴의 두께와 간격은 상기 제2 바인더의 점도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인더의 점도는 25℃에서 0.05 내지 100 poi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법이 오프셋(offset) 코팅법, 하드 롤-그라비아(hard roll-gravure) 코팅법 및 롤-플레이트(roll-plate) 코팅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코팅법이 리버스(reverse) 오프셋 코팅법, 그라비아(gravure) 오프셋 코팅법 및 플레이트-플레이트(plate-plate) 오프셋 코팅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오프셋 코팅법이,
    제2 바인더를 블랭킷 롤(blanket roll)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블랭킷 롤을 회전시키면서 역패턴화된(reverse patterned) 플레이트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블랭킷 롤 상에 도포된 제2 바인더를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에 의해 패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하는 제2 바인더-패턴화된 블랭킷 롤을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패턴화된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오프셋 코팅법이,
    역패턴화된 플레이트가 다공성 분리막과 평행하게 마주보고 이들의 마주보는 측면들을 접촉하면서 진행하도록 이들 사이에 블랭킷 롤을 배치하되, 상기 블랭킷 롤 상에서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와 최초로 접촉하는 지점이 후속적인 블랭킷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진행 방향의 선두 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분리막과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진행시키는 단계,
    제2 바인더를 상기 블랭킷 롤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블랭킷 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블랭킷 롤 상에 도포된 제2 바인더를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에 의해 패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인더-패턴화된 블랭킷 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패턴화된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아 오프셋 코팅법이,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gravure roll)을 블랭킷 롤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제2 바인더를 상기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그라비아 롤의 홈(groove) 이외의 상기 제2 바인더를 독터 블레이드(doctor blade)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그라비아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바인더를 상기 블랭킷 롤 상에 패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인더-패턴화된 블랭킷 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패턴화된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플레이트 오프셋 코팅법이,
    제2 바인더를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역패턴화된 플레이트의 홈 이외의 상기 제2 바인더를 독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역패턴화된 플레이트를 회전하는 블랭킷 롤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바인더를 상기 블랭킷 롤 상에 패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인더-패턴화된 블랭킷 롤을 회전시키면서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패턴화된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롤-그라비아 코팅법이,
    회전하는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과 하드 롤(hard roll)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을 진행시키도록 상기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 상기 하드 롤 및 상기 다공성 분리막을 배치하는 단계,
    제2 바인더를 상기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그라비아 롤의 홈 이외의 상기 제2 바인더를 독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인더-도포된 그라비아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에 전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플레이트 코팅법이,
    제2 바인더를 회전하는 역패턴화된 그라비아 롤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그라비아 롤의 홈 이외의 상기 제2 바인더를 독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하는 그라비아 롤을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바인더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전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인더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 propylene, PVDF-co-HF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 eth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로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chlorotrifluoro ethylen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 풀루란(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 셀룰로오스(cyanoethyl cellulose), 시아노에틸 수크로오스(cyanoethyl sucrose), 풀루란(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인더가 PVDF계 바인더 및 수분산성 바인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상기 제2 바인더의 전사 후, 전사된 제2 바인더를 급속하게 건조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18. 전해액이 주입된 제17항의 전극 조립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소자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소자.
KR20120047101A 2012-05-03 2012-05-03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1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7101A KR101491061B1 (ko) 2012-05-03 2012-05-03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7101A KR101491061B1 (ko) 2012-05-03 2012-05-03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744A true KR20130123744A (ko) 2013-11-13
KR101491061B1 KR101491061B1 (ko) 2015-02-10

Family

ID=4985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7101A KR101491061B1 (ko) 2012-05-03 2012-05-03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06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5159A1 (ko) * 2013-11-04 2015-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접착층 형성 방법
KR20150062890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로우 배터리의 제조방법
KR20160057345A (ko) * 2014-11-13 2016-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16140508A1 (ko) * 2015-03-02 2016-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 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70038295A (ko) *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7105156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KR20190112520A (ko) *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탑앤씨 이차전지 셀 파우치용 시트 제조장치
US11967732B2 (en) 2018-04-27 2024-04-23 Lg Energy Solution, Ltd. Separation membran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30136B (en) 2005-11-28 2010-09-11 Lg Chemical Ltd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membrane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he same
WO2008004430A1 (en) * 2006-07-06 2008-01-10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tion of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apparatus for production of the member,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member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5159A1 (ko) * 2013-11-04 2015-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접착층 형성 방법
US10193120B2 (en) 2013-11-04 2019-01-29 Lg Chem, Ltd. Method for forming adhesion layer for secondary battery
KR20150062890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로우 배터리의 제조방법
KR20160057345A (ko) * 2014-11-13 2016-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N107534116A (zh) * 2015-03-02 2018-01-02 株式会社Lg化学 用于电化学装置的分隔膜的制备方法和制备设备
KR20160106521A (ko) * 2015-03-02 2016-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 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O2016140508A1 (ko) * 2015-03-02 2016-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 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10741811B2 (en) 2015-03-02 2020-08-11 Lg Chem, Ltd. Preparation method and preparation apparatus of separation membrane for electrochemical device
KR20170038295A (ko) *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7105156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KR20170073539A (ko)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CN108431992A (zh) * 2015-12-18 2018-08-21 株式会社Lg化学 隔膜和包含其的电池
JP2018535534A (ja) * 2015-12-18 2018-11-2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分離膜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池
US10804559B2 (en) 2015-12-18 2020-10-13 Lg Chem, Ltd. Patterned separator and battery comprising same
KR20190112520A (ko) *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탑앤씨 이차전지 셀 파우치용 시트 제조장치
US11967732B2 (en) 2018-04-27 2024-04-23 Lg Energy Solution, Ltd. Separation membran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061B1 (ko)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061B1 (ko)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81313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9752B1 (ko) 분리막-접착층 및 전극-접착층을 갖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137533B1 (ko) 기능성 바인더가 적용된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적용한 전기화학 소자
CN107534116B (zh) 用于电化学装置的分隔膜的制备方法和制备设备
CN112055899B (zh) 包含图案化电极粘附层的电化学装置用隔膜及制造该隔膜的方法
RU2007128001A (ru) Органическая/неорган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тная микропористая мембрана и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лученное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KR101686599B1 (ko) 패턴화된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525542A5 (ko)
KR20120114142A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112194B1 (ko) 이차전지 셀 파우치용 시트 제조장치
RU2009143342A (ru)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различные типы сепараторов
RU2009133291A (ru) Органический/неорганический композитный разделитель, имеющий пористый активный покрывающий слой, и содержащее его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5684190A (zh) 用于在分离膜上涂覆粘性粘结剂的方法
EP2916373B1 (en) Method for forming adhesive layer for secondary battery
KR101047243B1 (ko)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이를 구비한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20108212A (ko)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040756A (zh) 制备用于锂二次电池的隔膜的方法、通过该方法制备的隔膜以及包含其的锂二次电池
US10804560B2 (en) Unit cell for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wett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63460B1 (ko) 유리전이온도가 다른 바인더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521915A5 (ko)
KR20170068979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45601A (ko)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650449B1 (ko) 바인더 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21177A (ko) 전극접착층을 갖는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