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071A - 대량 쿠폰 발행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대량 쿠폰 발행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071A
KR20130123071A KR1020120046206A KR20120046206A KR20130123071A KR 20130123071 A KR20130123071 A KR 20130123071A KR 1020120046206 A KR1020120046206 A KR 1020120046206A KR 20120046206 A KR20120046206 A KR 20120046206A KR 20130123071 A KR20130123071 A KR 20130123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issuing
coupon number
poo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712B1 (ko
Inventor
이이구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04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71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쿠폰 발급 시의 시스템의 로드를 줄이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은, 대량 쿠폰 발급 서버가, 온라인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계정에 네트워크를 통해 지급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판매하는 상품과 교환 가능한 쿠폰을,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쿠폰에 대응하는 일련 번호인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 온라인 서버에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의 쿠폰 검색 입력을 수신하면, 쿠폰 검색 입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 검색 조건을 이용하여, 쿠폰번호 풀을 검색하는 단계; 쿠폰번호 풀을 검색한 결과 쿠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쿠폰을 생성하여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량 쿠폰 발행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YSTEM FOR ISSUING MASS COUPON}
본 발명은, 대량으로 쿠폰을 발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우선 유효한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고, 쿠폰 발급 시에 이를 이용하여 쿠폰 발급 동작을 완료하도록 함으로써, 쿠폰 발행을 위한 리소스 사용량을 분산시키고 쿠폰 발급 시간을 줄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쿠폰 사업은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지속적인 경기 침체와 투자 위축으로 인하여 기업은 적은 투자비용으로 매출액과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판매촉진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으며, 이에 대한 투자도 꾸준히 늘려갔고, 소비자는 소비절약에 대한 인식이 사회 전반에 확산되어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소비자의 구매 행동은 '가격지향적 구매'로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기업과 소비자의 쿠폰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면서 우리나라 쿠폰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을 하여 2001년 1억장, 2002년에는 12억장을 넘어선 것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현재는 전체 쿠폰시장의 규모가 2000억 원대에 이른다.
기존에는 인쇄물로 발행되는 오프라인 쿠폰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오프라인상에서 수행되던 다양한 작업들이 온라인으로 이동함에 따라 온라인 쿠폰의 비중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온라임 게임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이 온라인 전용 상품의 경우에는 온라인 쿠폰의 비중이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바일 쿠폰이 활성화되면서 쿠폰 시장은 새로운 활기를 띠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온라인 쿠폰 사업에 있어서,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의 구현에 따른 리소스 사용량 분산 및 쿠폰 발행 시간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은, 대량 쿠폰 발급 서버가, 온라인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계정에 네트워크를 통해 지급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판매하는 상품과 교환 가능한 쿠폰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쿠폰에 대응하는 일련 번호인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서버에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의 쿠폰 검색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쿠폰 검색 입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 검색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 풀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쿠폰번호 풀을 검색한 결과 상기 쿠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쿠폰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는, 쿠폰번호 자리수 별로 다른 개수의 쿠폰번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쿠폰번호들 각각에 대한 유효성을 체크하는 단계; 및 유효성이 인정된 상기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효성을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유사한 쿠폰번호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쿠폰 번호를 구성하는 영문과 숫자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쿠폰번호의 유효성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의 자리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 번호를 그룹화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폰 검색 조건은 상기 쿠폰번호의 자리수 및 상기 쿠폰의 발급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쿠폰을 사용 가능한 장소 정보와 상기 쿠폰의 사용 방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 각각과 상기 수신한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폰번호의 자리수 별로 쿠폰 생성 내역과 쿠폰 발급 내역을 비교 분석하여 쿠폰번호 자리수별로 잔여 쿠폰번호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쿠폰번호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값에 미달되는 쿠폰번호 자리수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쿠폰번호 자리수에 대응하는 쿠폰번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폰번호의 자리수 별로 쿠폰 발급 내역을 수집 및 통계낸 후, 통계결과에 따라 쿠폰 생성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쿠폰 생성 조건에 따라 쿠폰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폰 생성 조건은 상기 쿠폰번호의 생성주기, 상기 쿠폰번호의 자리수 별 쿠폰번호 생성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폰번호의 자리수 별 쿠폰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기 발행된 쿠폰번호에 대응하는 쿠폰의 유효기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된 쿠폰에 대응하는 상기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번호 풀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쿠폰에 대응하는 일련 번호인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쿠폰번호 생성부; 및 상기 온라인 서버에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의 쿠폰 검색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쿠폰 검색 입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 검색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 풀을 검색하여, 상기 쿠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쿠폰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쿠폰 발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폰번호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쿠폰번호들 각각에 대한 유효성을 체크한 후, 유효성이 인정된 쿠폰번호만을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폰 발급부는 상기 획득된 쿠폰번호들 각각에 쿠폰의 사용처, 구체적인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가정보를 조합시켜, 상기 대량의 쿠폰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폰 발급 요청이 접수되기 이전에 상대적으로 많은 리소스와 시간을 소비하는 대량의 쿠폰번호 생성 과정이 미리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일시에 대량 쿠폰 발행 요청이 접수되면, 상대적으로 적은 리소스와 시간만을 소비하는 쿠폰번호 검색 과정만을 수행하여 쿠폰 발급에 필요한 쿠폰번호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쿠폰번호 생성을 위한 리소스와 쿠폰 발급을 위한 리소스가 분산되어 사용되므로, 리소스 사용량이 일시적으로 집중되어 시스템 부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쿠폰번호 생성 과정 대신에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만을 소요하는 쿠폰번호 검색 과정을 거친 후, 막바로 쿠폰 발급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쿠폰 발급 요청 접수 시간으로부터 실제 쿠폰이 발급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폰 인쇄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 및 유지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쿠폰 발행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대량 쿠폰 발급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여러가지 프로모션에 사용될 각종 쿠폰을 발급받기 위한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은 각종 프로모션에 사용될 대량의 쿠폰을 미리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230)에 저장하는 쿠폰번호 생성부(210), 쿠폰 요청자의 쿠폰 발급 권한을 인증하는 발급 권한 인증부(220), 쿠폰번호 풀(230)를 검색하여 쿠폰 요청자에 의해 설정된 쿠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쿠폰들만을 획득하고, 이를 획득하여 각종 프로모션에 사용될 대량의 쿠폰을 발급하는 쿠폰 발급부(240),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쿠폰 발급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5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5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보다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쿠폰번호 생성부(210)는 쿠폰 발급 요청이 접수되기 이전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쿠폰 생성 조건에 따라 쿠폰 발급시 사용될 대량의 쿠폰번호를 미리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230)에 저장해둔다.
본 발명의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에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쿠폰이 사용될 프로모션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쿠폰번호를 미리 생성해둔 후, 차후 쿠폰이 사용될 프로모션이 결정되면 미리 생성해둔 쿠폰번호 중 일부를 이용하여 쿠폰 발급을 진행하도록 한다. 한편, 프로모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게임 회사 또는 가맹점의 홍보를 위해 진행되며, 이들 프로모션은 서로 독립된 쿠폰번호 자리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쿠폰번호 생성부(210)는 다양한 프로모션을 최대한 지원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쿠폰번호 자리수를 가지는 쿠폰번호를 생성한 후, 이를 쿠폰번호 풀(230)에 저장해두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쿠폰번호 생성부(210)는 8자리, 10 자리, 12 자리의 자리수를 가지는 쿠폰번호를 각각 생성한 후, 쿠폰번호 자리수 별로 구분하여 쿠폰번호 풀(230)에 저장할 수 있다.
더하여, 쿠폰 발급 및 사용은 다양한 프린트 업체 및 제휴사의 협업을 통해 수행되므로, 모든 사람들이 쿠폰번호를 오해의 소지 없이 명확히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을 가진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쿠폰번호 생성부(21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쿠폰번호를 생성함으로써, 여러 사람들에 의해 쿠폰번호가 잘못 인식될 수 있는 소지를 사전에 없애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예를 들어, 출력 폰트와 상관없이 사람들이 인지하기 쉬운 문자로만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와 1, 5와 S의 병기를 금하고, 영문 대소문자의 혼용을 금하는 등의 기준을 따를 수 있다.
또한 영문과 숫자 중 구분이 애매한 문자는 사용하지 않거나 하나의 문자셋트로 통일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와 S의 경우, 숫자셋트만 사용한다면 5는 사용하고, S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거나, 1와 I의 경우, 숫자셋트만 사용한다면 1은 사용하고, I는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쿠폰번호는 최대한 배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01, 100002, 100003과 같이 유사한 쿠폰번호가 동일한 쿠폰 사용 대상 프로모션에서 발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발급 권한 인증부(220)는 쿠폰 요청자의 등록과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쿠폰 발급 권한을 가지는 쿠폰 요청자만이 쿠폰 발급 요청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쿠폰 요청자의 최초 접근시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용자 등록이 완료된 쿠폰 요청자는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통해 쿠폰 발급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발급 권한 인증부(220)는 사용자 등록을 위해, 쿠폰 요청자에게 사용자 등록 정보(예를 들어, 로그인 정보 및 신상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쿠폰 요청자가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 등록 정보를 입력하면 이의 유효성을 체크한 후, 사용자 등록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등록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등록 정보를 쿠폰 발급 권한자 목록에 추가하거나,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인증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등록 작업을 완료하고, 사용자 등록 작업이 성공적으로 끝난 쿠폰 요청자에게 쿠폰 발급 권한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로그인 정보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공인인증서 또는 아이핀(I-PIN)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또 다른 로그인 수단이 존재한다면, 이 또한 로그인 정보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발급 권한 인증부(22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쿠폰 요청자에게 로그인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쿠폰 요청자가 입력한 로그인 정보를 쿠폰 발급 권한자 목록에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와 비교하거나,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인증 서버와의 상호 연동을 통해 쿠폰 요청자가 쿠폰 발급 권한을 가지는 지를 확인하여, 쿠폰 발급 권한을 가지는 쿠폰 요청자의 접근을 허용한다.
쿠폰 발급부(230)는 쿠폰 발급 권한이 부여받은 쿠폰 요청자가 쿠폰 발급을 요청하면, 쿠폰 요청자에게 요청하여 쿠폰 검색 조건과 쿠폰 생성에 필요한 부가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쿠폰 검색 조건에 따라 쿠폰번호 풀(230)을 검색하여 대량의 쿠폰번호들을 획득하고, 이들 각각과 부가정보를 조합하여 쿠폰 요청자에게 제공될 대량의 쿠폰을 최종 생성한다.
이때, 쿠폰 요청자로부터 입력되는 쿠폰 검색 조건은 미리 생성되어 쿠폰번호 풀(230)에 저장된 대량의 쿠폰 중에서 현재의 쿠폰 발급 동작에 사용될 쿠폰을 획득하는 데 정보이므로, 쿠폰번호 자리수, 쿠폰 발급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폰 생성에 필요한 부가정보는 쿠폰 이용자에게 쿠폰의 사용처, 구체적인 사용 방법을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므로, 쿠폰 사용처(프로모션 제목 및 설명, 프로모션 유효 기간, 쿠폰 사용처), 쿠폰 발급 형태(온라인, 오프라인), 쿠폰 지급 형태(즉시 지급, 일괄지급, 지급 필요없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쿠폰 발급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방식,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오프라인 방식으로 쿠폰 발급이 진행되는 경우, 쿠폰 요청자의 동의하에 쿠폰 발급부(230)은 획득 완료된 쿠폰번호와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쿠폰 인쇄 형태를 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에 연결된 쿠폰 프린팅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쿠폰 프린팅 장치가 도2와 같은 인쇄 포맷을 가지는 쿠폰을 프린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프린팅되는 쿠폰은 쿠폰번호뿐만 아니라 쿠폰의 사용처, 사용 가능 기간, 쿠폰 지급 형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쿠폰 이용자가 이를 읽어 해당 쿠폰의 사용법을 명확히 숙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온라인 방식으로 쿠폰 발급이 진행되는 경우, 쿠폰 발급부(230)은 쿠폰 요청자의 동의하에 해당 쿠폰을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예를 들어, 게임 서버) 등에 제공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일정 요건을 만족시키는 이용자에게 해당 쿠폰을 직접 발급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50)는 단순히 쿠폰번호 생성 내역, 쿠폰 발급 내역, 쿠폰 사용 내역 등을 모니터링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쿠폰 생성 내역 및 쿠폰 발급 내역을 비교 분석하여 쿠폰번호 생성부(210)에 쿠폰 추가 생성 명령을 내려줄 수도 있다. 즉, 쿠폰 생성 내역 및 쿠폰 발급 내역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특정 쿠폰번호 자리수를 가지는 쿠폰번호의 여유 개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에 미달되면, 쿠폰번호 생성부(210)이 해당 쿠폰번호 자리수를 가지는 쿠폰이 추가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쿠폰 발급 요청 접수되는 경우 별도의 지연 시간 없이 쿠폰 발급이 즉각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뿐 만 아니라, 쿠폰번호 자리수별로 쿠폰 발급량 및/또는 쿠폰 사용량을 일정 기간 동안 수집 및 통계 낸 후, 통계 결과에 따라 쿠폰 생성 조건(쿠폰번호 생성주기, 쿠폰번호 자리수별 쿠폰 생성량)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의 불필요한 낭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쿠폰 발급 내역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 후, 발행쿠폰 유효종료일시가 모니터링 시점 이전인 쿠폰번호들을 선택적으로 삭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쿠폰번호가 쿠폰번호 풀(230)에 잔존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그에 따라 쿠폰번호 풀(230)의 메모리 사용량이 최적화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쿠폰 발급 요청이 접수되기 이전에 쿠폰 발급이 필요한 대량의 쿠폰번호를 미리 생성해두는 특징을 가지므로, 쿠폰 발급 요청이 접수되는 경우, 생성된 쿠폰번호를 검색 및 선택하는 과정만을 통해 쿠폰 발급이 필요한 대량의 쿠폰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쿠폰 발행 요청 접수 시간으로부터 실제 쿠폰이 발행되기까지의 시간을 크게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쿠폰 생성 및 유효성 체크에 이용되는 리소스와 쿠폰 발급에 이용되는 리소스의 사용 시간에 시간차 둠으로써, 리소스 사용량이 특정 시간에 집중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의 부하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즉, 업무 생산성을 향상 할 수 있으며, 쿠폰 발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은 쿠폰 발급 요청이 접수되기에 앞서, 쿠폰번호 자리수별로 대량의 쿠폰번호를 생성한다(S10).
그리고, 생성된 대량의 쿠폰번호에 대한 유효성을 체크한 후, 유효성을 가지는 쿠폰번호만을 선택적으로 쿠폰번호 풀(230)에 저장하도록 한다(S11).
즉,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은 1) 출력 폰트와 상관없이 여러 사람들이 인지하기 쉬운 문자로만 구성되어야 하는 조건, 2) 영문 대소문자가 혼용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 3) 영문/숫자 중 구분이 애매한 문자는 사용하지 않거나 하나의 문자셋트로 통일되어야 하는 조건, 4)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쿠폰번호가 최대한 배제되어야 한다는 조건 등을 모두 만족시키는 쿠폰번호만을 선별하고, 이를 쿠폰번호 풀(230)에 저장함으로써, 차후 모든 사람이 쿠폰번호를 오해의 소지 없이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쿠폰번호 자리수별로 대량의 쿠폰번호가 미리 생성된 상태에서, 쿠폰 요청자가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에 접근하면, 쿠폰 요청자에게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요청한 후, 쿠폰 요청자에 의해 입력되는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12).
이때,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은 자신이 구비한 쿠폰 발급 권한자 목록에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와 쿠폰 요청자가 입력한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 한해 쿠폰 요청자에게 쿠폰 발급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인증 서버에 로그인 정보를 제공하고, 인증 서버로부터 쿠폰 발급 권한 부여 여부를 확인받는 방식 등을 통해 사용자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인증 절차를 통해 쿠폰 발급 권한을 부여받은 쿠폰 요청자가 쿠폰 발급을 요청하면(S13),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은 쿠폰 발급 조건 입력창을 화면 표시하여 쿠폰 요청자가 쿠폰 발급 조건을 상세히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S14).
이때, 쿠폰 발급 조건은 크게 쿠폰번호 검색 조건과 쿠폰 생성에 필요한 부가정보로 나뉠 수 있으며, 쿠폰번호 검색 조건으로는 쿠폰번호 자리수/쿠폰 발급 개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쿠폰 생성에 필요한 부가정보로는 쿠폰 사용처(프로모션 제목 및 설명, 프로모션 유효 기간, 쿠폰 사용처)/쿠폰 발급 형태(온라인, 오프라인)/쿠폰 지급 형태(즉시 지급, 일괄지급, 지급 필요없음) 등에 대한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단계 S14를 통해 쿠폰 발급 조건의 입력이 완료되면, 쿠폰 발급 조건 중 쿠폰번호 검색 조건을 고려하여 쿠폰번호 풀(230)을 검색하여, 쿠폰 요청자에 의해 요청된 쿠폰번호 자리수를 가지는 쿠폰번호를 쿠폰 요청자가 원하는 개수만큼 획득한다(S15).
단계 S14를 통해 대량의 쿠폰번호가 획득되면, 나머지 쿠폰번호 검색 조건(특히, 쿠폰 사용처, 쿠폰 발급 형태, 쿠폰 지급 형태)을 이용하여 쿠폰의 사용처, 구체적인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부가정보를 생성한 후, 부가정보와 각각의 쿠폰번호를 조합하여 쿠폰을 최종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쿠폰은 쿠폰 프린팅 장치에 제공되어 인쇄물 형태로 출력되거나,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제공되어 서비스 제공자 서버가 온라인 발급될 수 있다(S16).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쿠폰번호의 추가 생성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3의 대량 쿠폰 발급 방법 이후에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은 쿠폰 발급이 이루어지고 나면, 쿠폰 발급 내역을 쿠폰번호 자리수별로 모니터링하여 쿠폰번호 자리수별 쿠폰 발행 갯수를 파악한다(S20).
그리고 쿠폰번호 자리수별 쿠폰 발행 개수를 쿠폰번호 자리수별 쿠폰 생성 개수에서 차감하여, 쿠폰번호 자리수별 쿠폰번호 여유 개수를 확인한다(S21).
단계 S21의 확인 결과, 쿠폰번호 여유 개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에 미달되는 특정 쿠폰번호 자리수가 존재하면, 즉 쿠폰번호 추가 생성이 필요한 쿠폰번호 자리수가 존재하면(S22), 해당 자리수를 가지는 쿠폰번호를 추가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230)에 저장되는 쿠폰번호의 개수가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도록 한다 (S23).
이때, 쿠폰번호 추가 생성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값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도4의 방법은 쿠폰번호 풀(230)에 저장되는 쿠폰번호의 개수가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음의 쿠폰 발급 동작이 항상 안정적이고 신뢰성있게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도4의 방법은 쿠폰번호 풀의 메모리를 항상 최대치로 사용하여, 쿠폰번호 풀의 메모리의 사용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쿠폰번호 풀에 필요 개수만큼의 쿠폰번호만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쿠폰번호 풀의 메모리의 사용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도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쿠폰번호 생성 조건 조정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또한 도3의 대량 쿠폰 발급 방법 이후에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은 일정 기간 동안 쿠폰번호 자리수별 쿠폰 발급 내역을 수집한 후, 이의 통계치를 산출한다. 즉, 쿠폰 발급 빈도가 높은 쿠폰번호 자리수가 무엇인지 이의 사용량은 평균적으로 얼마인지를 파악한다(S30).
그리고 단계 S30의 통계 결과를 고려하여 쿠폰 발급 빈도가 높은 쿠폰번호 자리수의 쿠폰번호 생성주기는 짧아지도록 하고, 쿠폰 발급 빈도가 낮은 쿠폰번호의 쿠폰번호 생성주기는 길어지도록 한다. 또한, 쿠폰번호 자리수 각각의 쿠폰번호 생성량이 “쿠폰발급량 평균치 + 기설정된 여유분” 또는 “쿠폰 최대 발급량”이 되도록 한다. 즉, 실제 쿠폰 발급량만큼만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230)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쿠폰번호 풀의 메모리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S31).
그러면,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은 단계 S31을 통해 변경된 쿠폰번호 생성기준에 따라 쿠폰번호 생성주기 및 쿠폰번호 생성량을 조절하면서, 쿠폰번호 생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S32).
더하여, 상기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단계 S30의 통계 결과에 따라 쿠폰번호 생성주기와 쿠폰번호 자리수별 쿠폰번호 생성량을 모두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둘 중 하나의 조건만을 변경해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장부(260)의 메모리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도6에서와 같이 불필요한 쿠폰, 즉 발행쿠폰 유효기간이 경과한 쿠폰들은 선택적으로 삭제시키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안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쿠폰번호 선택적 삭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또한 도3의 대량 쿠폰 발급 방법 이후에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대량 쿠폰 발급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쿠폰 발급 내역을 모니터링하여, 즉 저장부(260)에 저장된 프로모션별 쿠폰 발행 정보 DB을 읽어, 발급 완료된 쿠폰 각각의 발행쿠폰 유효기간을 확인한다(S40).
단계 S40의 확인 결과, 발행쿠폰 유효기간이 현재의 모니터링 시점 이전인 쿠폰들이 존재하면(S41), 해당 쿠폰들에 관련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삭제함으로써, 저장부(260)의 메모리 사용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S42).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소프트웨어(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소프트웨어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소프트웨어(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소프트웨어(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소프트웨어 제공 서버(sofeware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소프트웨어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쿠폰 발급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발급 타격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대량 쿠폰 발급 서버가, 온라인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계정에 네트워크를 통해 지급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판매하는 상품과 교환 가능한 쿠폰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쿠폰에 대응하는 일련 번호인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서버에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의 쿠폰 검색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쿠폰 검색 입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 검색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 풀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쿠폰번호 풀을 검색한 결과 상기 쿠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쿠폰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는
    쿠폰번호 자리수 별로 다른 개수의 쿠폰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쿠폰번호들 각각에 대한 유효성을 체크하는 단계; 및
    유효성이 인정된 상기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을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유사한 쿠폰번호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쿠폰 번호를 구성하는 영문과 숫자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쿠폰번호의 유효성을 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의 자리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 번호를 그룹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검색 조건은
    상기 쿠폰번호의 자리수 및 상기 쿠폰의 발급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쿠폰을 사용 가능한 장소 정보와 상기 쿠폰의 사용 방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 각각과 상기 수신한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번호의 자리수 별로 쿠폰 생성 내역과 쿠폰 발급 내역을 비교 분석하여 쿠폰번호 자리수별로 잔여 쿠폰번호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쿠폰번호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값에 미달되는 쿠폰번호 자리수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쿠폰번호 자리수에 대응하는 쿠폰번호를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번호의 자리수 별로 쿠폰 발급 내역을 수집 및 통계낸 후, 통계결과에 따라 쿠폰 생성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쿠폰 생성 조건에 따라 쿠폰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생성 조건은
    상기 쿠폰번호의 생성주기, 상기 쿠폰번호의 자리수 별 쿠폰번호 생성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번호의 자리수 별 쿠폰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기 발행된 쿠폰번호에 대응하는 쿠폰의 유효기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된 쿠폰에 대응하는 상기 쿠폰번호를 상기 쿠폰번호 풀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
  12. 적어도 하나의 쿠폰에 대응하는 일련 번호인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쿠폰번호 생성부; 및
    상기 온라인 서버에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의 쿠폰 검색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쿠폰 검색 입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 검색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 풀을 검색하여, 상기 쿠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쿠폰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쿠폰 발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번호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쿠폰번호들 각각에 대한 유효성을 체크한 후, 유효성이 인정된 쿠폰번호만을 상기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서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발급부는
    상기 획득된 쿠폰번호들 각각에 쿠폰의 사용처, 구체적인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가정보를 조합시켜, 상기 대량의 쿠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서버.
  15. 대량 쿠폰 발급 서버가, 온라인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계정에 네트워크를 통해 지급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판매하는 상품과 교환 가능한 쿠폰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쿠폰에 대응하는 일련 번호인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쿠폰번호 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서버에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의 쿠폰 검색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쿠폰 검색 입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 검색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쿠폰번호 풀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푸콘번호 풀을 검색한 결과 상기 쿠폰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쿠폰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 쿠폰 발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46206A 2012-05-02 2012-05-02 대량 쿠폰 발행 방법 및 서버 KR101374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206A KR101374712B1 (ko) 2012-05-02 2012-05-02 대량 쿠폰 발행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206A KR101374712B1 (ko) 2012-05-02 2012-05-02 대량 쿠폰 발행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071A true KR20130123071A (ko) 2013-11-12
KR101374712B1 KR101374712B1 (ko) 2014-03-17

Family

ID=4985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206A KR101374712B1 (ko) 2012-05-02 2012-05-02 대량 쿠폰 발행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7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0295A (zh) * 2017-01-04 2018-02-23 北京奥斯达兴业科技有限公司 停车场电子优惠券发放方法和装置
CN110188975A (zh) * 2019-04-02 2019-08-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资源获取方法及装置
CN112883409A (zh) * 2019-11-29 2021-06-01 顺丰科技有限公司 业务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812A (ko) * 2000-11-01 2002-05-09 황경호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제공하는 온라인 쿠폰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1065A (ko) * 2002-06-26 2004-01-07 김경성 유료 디지털 컨텐츠 판매촉진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쿠폰의 운영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100785275B1 (ko) * 2004-03-10 2007-12-12 주식회사 넥슨 쿠폰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11225B1 (ko) * 2009-08-13 2012-02-1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쿠폰 발행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0295A (zh) * 2017-01-04 2018-02-23 北京奥斯达兴业科技有限公司 停车场电子优惠券发放方法和装置
CN110188975A (zh) * 2019-04-02 2019-08-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资源获取方法及装置
CN110188975B (zh) * 2019-04-02 2023-08-04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获取方法及装置
CN112883409A (zh) * 2019-11-29 2021-06-01 顺丰科技有限公司 业务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712B1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0467B2 (en) System and methods for secure firmware validation
US10790965B1 (en) Tiere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in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core network
US201800123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action locations based on geocoded information
US108855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ssociation relationship
CN110599276B (zh) 票据报销方法、装置和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0911455B2 (en) Using third party information to improve predictive strength for authentications
CN103544074A (zh) 一种业务的校验方法及装置
CN102422315A (zh) 基于策略的媒体联合和货币化
US20210326886A1 (en) Blockchain-based resource transactio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CN108112038B (zh) 一种控制访问流量的方法及装置
US103253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pend memory record
US20120272326A1 (en) Tokenization system
Kuah et al. Fast‐Expanding “Online” Markets in South Korea and China: Are They Worth Pursuing?
KR101374712B1 (ko) 대량 쿠폰 발행 방법 및 서버
CN111144889A (zh) 基于区块链的积分结算方法及区块链记账系统
CN112200595A (zh) 优惠券校验方法、支付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039658B1 (ko) 문자화폐 플랫폼 시스템
EP3532922B1 (en) Process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queries based on variable schemas
KR20200095900A (ko) 블록체인 기반 노드 리소스 대여를 이용한 리워드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070383B (zh) 基于大数据分析的异常用户识别方法及装置
KR20140010295A (ko)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CN105654628A (zh) 一种自助式终端设备及自助服务方法
KR101623322B1 (ko) 전자세금계산서 정보 자동 수집과 기업 내부 erp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44057A (ko) 타깃 마케팅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타깃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67842B1 (ko) 경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비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