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815A -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815A
KR20130122815A KR1020120045885A KR20120045885A KR20130122815A KR 20130122815 A KR20130122815 A KR 20130122815A KR 1020120045885 A KR1020120045885 A KR 1020120045885A KR 20120045885 A KR20120045885 A KR 20120045885A KR 20130122815 A KR20130122815 A KR 20130122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cover
cylinder
dust collecto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562B1 (ko
Inventor
박종국
Original Assignee
대성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산기(주) filed Critical 대성산기(주)
Priority to KR102012004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56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해발생공기를 복수의 백필터에서 미세먼지 등을 걸러낸 다음에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부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부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마주하는 측벽 샤시에 제1 및 제2 실린더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의 대응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의 끝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으며, 후벽 샤시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커버의 후단이 경첩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을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구동부와, 상기 상부 커버의 개폐를 위한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실린더 구동부를 제어하기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집진장치 {Dus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소각시설과 같은 대기오염발생시설에 사용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 수질, 토양 오염 등으로 자연환경이나 생활환경을 손상시키는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제기된 이후 환경보호와 관련된 문제에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오염 중에서 대기오염은 그 오염 범위가 광범위하고 그 확산 속도가 크기 때문에 대기 오염 시설에 대한 공해 방지가 철저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을 효율적 그리고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소각처리는 뛰어난 방식이지만,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는 유해물질인 디옥신류, Hg 등의 중금속류 및 노내에서 생성 NOx가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각처리 등에 있어서는 소각시설 배출가스를 대기중에 방출하기 전에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필요가 있어, 그 때문에 소각로 배출가스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러한 소각 시설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각로(10)에서 소각에 의하여 발생되는 배출 가스 중에서 유해물질인 디옥신류, Hg 등의 중금속류 및 노내에서 생성 NOx 등을 화학처리설비(20)에서 화학적으로 처리한 후에 집진장치(30)에서 미세 먼지 등을 걸러내고 배기장치(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종래 집진장치(30)는 도 2에 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31)를 통하여 유입된 공해발생공기를 복수의 백필터(32)에서 미세먼지 등을 걸러낸 다음에 배출구(33)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와 하부는 격벽(34)에 의하여 막혀 있고, 이 격벽(34)에 백필터(32)가 끼워져 있다. 집진장치(30)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35)가 복수 개 설치되어 백필터(32)의 교체시에 개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커버(35)의 결합부분(B)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격벽(34)상에서 수직하게 설치된 지지대(36)상에 단면이 U자 형상의 브라켓(36C)가 고정설치되고, 그 브라켓(36C)의 중앙에 볼트(36A)가 고정설치되며, 브라켓(36C)의 상부 끝에는 실리콘 패킹(36D)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35)의 가장자리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오목한 부분에 예를 들면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패킹(35B)가 부착된 상태에서 그 EPDM 고무 패킹(35B)이 브라켓(36C) 상부 끝의 실리콘 패킹(36D)과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커버(35)의 가장자리의 EPDM 고무 패킹(35B)이 브라켓(36C) 상부 끝의 실리콘 패킹(36D)과 맞닿도록 위치잡은 상태에서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37)를 구멍에 볼트(36A)가 끼워지도록 한 다음에 너트(36B)로 조여서 고정플레이트(37)의 가장자리가 상부커버(35)의 가장자리 상부를 누르도록 하여 실리콘 패킹(36D)와 EPDM 고무 패킹(35B)이 서로 꽉 눌려지도록 하여 그 부분에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35)의 결합부분(A)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측벽 샤시(34)상의 중앙부분에 수직하게 볼트(38A)가 고정설치되고 측벽 샤시(34)상의 내측부분에 "┛"형상의 브라켓(38D)이 고정설치되며 브라켓(38C)의 상부 끝에 실리콘 패킹(38D)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35)의 가장자리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오목한 부분에 예를 들면 EPDM 고무 패킹(35B)가 부착된 상태에서 그 EPDM 고무 패킹(35B)이 브라켓(36C) 상부 끝의 실리콘 패킹(36D)과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커버(35)의 가장자리의 EPDM 고무 패킹(35B)이 브라켓(38C) 상부 끝의 실리콘 패킹(38D)과 맞닿도록 위치잡은 상태에서 상부에 구멍이 형성된 "┏" 형상의 고정플레이트(39)를 구멍에 볼트(38A)가 끼워지도록 한 다음에 너트(38B)로 조여서 고정플레이트(39)의 가장자리가 상부커버(35)의 가장자리 상부를 누르도록 하여 실리콘 패킹(38D)와 EPDM 고무 패킹(35B)이 서로 꽉 눌려지도록 하여 그 부분에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부 커버(35)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35A)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잡이(35A)를 잡고서 상부 커버(35)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커버를 구비하는 집진장치에서는 너트(36B,38B)를 볼트(36A,36B)에서 풀어낸 후에 고정플레이트(37,39)를 제거하고 나서 상부 커버(35)의 무게가 적게 나가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상부 커버(35)를 들어올리게 되고 상부 커버(35)의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상부 커버(35)를 들어올리게 된다. 그후, 백필터(32)를 교체하고 나서 다시 상부 커버(35)의 EPDM 고무 패킹(35B)와 브라켓(36C,38C)의 실리콘 패킹(36D,38D)가 정합되도록 상부 커버(35)를 위치시키고 고정플레이트(37,39)를 위치시키고 볼트(36A,36B)에 너트(36B,38B)를 조여서 실리콘 패킹(36D,38D)와 EPDM 고무 패킹(35B)이 서로 꽉 눌려지도록 하여 밀폐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상부 커버(35)의 밀폐구조에서는 상부 커버(35)를 브라켓(36C,38c)의 실리콘 패킹(36D,38D)와 정합하여 위치시킬 때 상부 커버(35)의 측단부가 실리콘 패킹(36D,38D)를 건드려서 실리콘 패킹(36D,38D)에 손상을 주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그 손상된 실리콘 패킹(36D,38D)으로 인하여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고정플레이트(37,39)로 상부 커버(35)를 눌러주기 위하여 볼트(36A,38A)에 너트(36B,38B)를 조이는 작업중에 볼트(36A,38A)가 휘어지거나 또는 고정플레이트(37,39)가 휘어지게 되는 경우 상부 커버(35)와 실리콘 패킹(36D,38D) 사이에서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커버(35)에서 완벽하게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그 불완전한 밀폐로 인하여 그 부분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그로 인하여 배기장치(40)에 설치된 배기 팬에 부하가 더 걸리게 되어 배기 장치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그만큼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집진장치의 내부온도가 180℃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상부 커버(35)의 불완전한 밀폐로 인하여 상온의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집진장치의 내부온도가 150℃ 이하로 되면 저온 부식이 발생하여 집진장치의 내부 구성이 빠르게 부식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상부 커버를 수작업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도록 되어 있어서 이러한 작업 도중에 상부 커버의 밀폐상태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와 함께 백필터의 교체작업의 전 처리와 후처리에 있어서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백필터의 교체작업의 전 처리와 후처리에 있어서 상부커버의 개폐 작업성을 현저히 높이면서 상부커버의 밀폐에 전혀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새로운 방식의 집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해발생공기를 복수의 백필터에서 미세먼지 등을 걸러낸 다음에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부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부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마주하는 측벽 샤시에 제1 및 제2 실린더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의 대응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의 끝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으며, 후벽 샤시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커버의 후단이 경첩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을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구동부와, 상기 상부 커버의 개폐를 위한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실린더 구동부를 제어하기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 외곽과 이 상부커버의 외곽과 마주하는 샤시의 상단은 서로 요철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상부 커버와 샤시의 요철 결합부분에 패킹을 설치하여 상기 상부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는, 상기 패킹은 실리콘 패킹과 EPDM 고무 패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커버를 실린더를 이용하여 개폐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백필터의 교체작업의 전 처리와 후처리에 있어서 상부커버의 개폐 작업성을 현저히 높이면서 상부커버의 밀폐에 전혀 손상을 일으키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온의 외부 공기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기 장치에서의 에너지 손실의 문제나 내부에서의 저온 부식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소각 시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집진장치의 일 예에 대한 단면 형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집진장치에서 상부 커버의 밀폐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회로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300)는 상기 집진장치(300)의 상부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부 커버(310)가 하나 설치되어 백필터(350)의 교체시에 개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마주하는 측벽 샤시(320)에 제1 및 제2 실린더(360)(380)를 각각 설치하고 상부 커버(310)의 대응하는 측면에 실린더 로드의 끝을 힌지(370)로 결합하고 후벽 샤시의 상단부와 상부 커버(310)의 후단을 미도시한 경첩으로 결합하였다. 여기서, 입구(330)를 통하여 유입된 공해발생공기를 복수의 백필터(350)에서 미세먼지 등을 걸러낸 다음에 배출구(340)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는 격벽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이 격벽에 백필터(350)가 끼워져 있는 점은 종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310)의 하면 외곽과 이 상부커버(310)의 외곽과 마주하는 샤시의 상단은 서로 요철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상부 커버와 샤시의 요철 결합부분에 실리콘 패킹과 EPDM 고무 패킹을 설치하여 상부 커버(310)가 닫힌 상태에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300)는 상기 제1실린더(36)와 제2실린더(380)을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구동부(394)와, 상기 상부 커버(310)의 개폐를 위한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390) 및, 상기 입력부(390)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실린더 구동부(394)를 제어하기 제어부(392)가 더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전기 실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백필터(350)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입력부(390)의 열림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제어부(390)의 제어에 의하여 실린더 구동부(394)가 작동하여 제1 및 제2실린더(360)(380)에서 실린더 로드가 신장되도록 작동하게 되어 상부 커버(310)가 경첩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열려지게 된다. 이렇게 상부 커버(310)가 열려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백필터(350)를 교체를 완료한 후에 입력부(390)의 닫힘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제어부(390)의 제어에 의하여 실린더 구동부(394)가 작동하여 제1 및 제2실린더(360)(380)에서 실린더 로덮 수축되도록 작동하게 되어 상부 커버(310)가 경첩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닫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실린더(360)(380)가 일정한 경로를 가지고 신장 및 수축함에 따라 상부 커버와 샤시의 요철 결합부분에 설치된 실리콘 패킹과 EPDM 고무 패킹이 손상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패킹과 EPDM 고무 패킹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상부 커버의 완벽한 밀폐가 지속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커버로부터 외부 공기의 유입은 발생하기 않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배기 장치에 설치된 배기 팬의 동력손실의 문제나 집진장치 내부의 저온 부식의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동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집진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백필터의 교체작업을 위하여 상부 커버를 수작업으로 갸폐하지 않고 실린더를 이용하여 전동식으로 개폐하므로 백필터 교체작업의 전 처리와 후처리에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300 : 집진장치 310 : 상부커버
320 : 측벽 샤시 330 : 입구
340 : 배출구 350 : 백필터
360,380 : 실린더 370 : 힌지
390 : 입력부 392 : 제어부
394 : 실린더 구동부

Claims (3)

  1.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해발생공기를 복수의 백필터에서 미세먼지 등을 걸러낸 다음에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부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부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마주하는 측벽 샤시에 제1 및 제2 실린더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의 대응하는 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의 끝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으며, 후벽 샤시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커버의 후단이 경첩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을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구동부와, 상기 상부 커버의 개폐를 위한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실린더 구동부를 제어하기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 외곽과 이 상부커버의 외곽과 마주하는 샤시의 상단은 서로 요철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상부 커버와 샤시의 요철 결합부분에 패킹을 설치하여 상기 상부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실리콘 패킹과 EPDM 고무 패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KR1020120045885A 2012-05-01 2012-05-01 집진장치 KR101353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885A KR101353562B1 (ko) 2012-05-01 2012-05-01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885A KR101353562B1 (ko) 2012-05-01 2012-05-01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815A true KR20130122815A (ko) 2013-11-11
KR101353562B1 KR101353562B1 (ko) 2014-02-04

Family

ID=4985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885A KR101353562B1 (ko) 2012-05-01 2012-05-01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20B1 (ko) * 2020-03-10 2020-11-13 김부길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KR102186424B1 (ko) * 2019-11-11 2020-12-03 윤희만 롤 필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132Y1 (ko) 1999-09-13 2000-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030033760A (ko) * 2001-10-25 2003-05-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백 필터 하우징의 잠금장치
KR100870721B1 (ko) 2007-07-10 2008-11-27 (주)창영엔지니어링 폐기용 고철의 유압식 압축 및 자동 절단장치
KR200452546Y1 (ko) 2010-09-13 2011-03-07 우천용 폐유통 보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424B1 (ko) * 2019-11-11 2020-12-03 윤희만 롤 필터 장치
KR102178420B1 (ko) * 2020-03-10 2020-11-13 김부길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562B1 (ko) 201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562B1 (ko) 집진장치
CN108854372A (zh) 一种用于工业环保的废气处理设备
CN215570503U (zh) 一种用于voc处理的移动式循环净气装置
CN211921062U (zh) 一种污水过滤环保装置
CN112061645A (zh) 一种环保科技智能回收箱
CN210171222U (zh) 一种处理废气用uv光触设备
CN103962361A (zh) 扫描检漏高效负压排风罩
CN115671911A (zh) 一种有害烟气吸附净化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0711768B1 (ko) Ecs와 cdq 겸용 집진기의 방폭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1413106U (zh) 一种实验室用有害物质处理的防爆通风柜
CN210385391U (zh) 多腔室低温等离子体烟气净化装置
CN207076305U (zh) 焊接烟尘净化器
CN206980441U (zh) Uv光催化有机废气处理设备
CN217646048U (zh) 一种危废处置过程中废气处理设备
CN203220837U (zh) 废气回收利用装置
CN210965306U (zh) 一种建筑垃圾快速粉碎装置
CN213610537U (zh) 一种废气处理用多级过滤装置
CN215539571U (zh) 一种用于大气污染治理的废气净化装置
CN104548730B (zh) 一种危废油路过滤装置
KR20170005552A (ko) 오염공간의 내부 정화장치
CN207941375U (zh) 一种废气净化装置
CN210814391U (zh) 一种新型废气处理装置
CN218692450U (zh) 一种UV油墨VOCs气体收集处置的装置
CN218501692U (zh) 一种污泥处理厂的低温等离子除臭设备
CN210448448U (zh) 一种工业粉尘净化用初级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