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421A - 기울기를 이용한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기울기를 이용한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421A
KR20130121421A KR1020120044599A KR20120044599A KR20130121421A KR 20130121421 A KR20130121421 A KR 20130121421A KR 1020120044599 A KR1020120044599 A KR 1020120044599A KR 20120044599 A KR20120044599 A KR 20120044599A KR 20130121421 A KR20130121421 A KR 2013012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uplink transmission
communication terminal
uplink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208B1 (ko
Inventor
조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20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기를 이용한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신 단말을 그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기울기를 이용한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LING METHOD USING GRADIENT OF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REOF AND DEDIUM STORING PROGRAM SOURCE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전자 기기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에, 전세계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규제가 생겨나게 되었으며, 이는 통신 영역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전세계적으로 통신 단말에 대한 적합성 평가의 요구 조건으로 전자파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SAR이란, 통신 단말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흡수되는 수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SAR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최근의 통신 단말은 사용자에 의한 사용을 인식하여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한편, 종래 통신 단말의 사용 형태는 주로 음성 통화 및 문자 메시지의 전송에 국한되었다. 이러한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는 통신 단말을 그립(grip)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 SAR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은, 통신 단말에 부착되는 그립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의 그립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그러나, 그립 센서가 사용자에 의한 그립을 인식할 수 있는 범위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유용하지 않다.
한편,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통신 단말이 출시되었다. 이에, 최근의 통신 단말의 사용 형태는 음성 통화 및 문자 메시지의 전송뿐만 아니라, 음악 감상 및 영화 감상 등의 다양한 사용 형태로 확장되고 있다.
사용자가 영화 감상을 하는 동안에 사용자는 통신 단말을 그립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떠한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 단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영화 감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그립 센서를 이용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가 없다. 즉, 그립 센서를 이용하는 종래의 방법은 최근의 통신 단말의 사용 형태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 단말의 다양한 사용 형태에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그 외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기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측정된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설정된 값만큼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통신 단말의 기울기가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감소된 값만큼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통신 단말이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감소된 값만큼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기지국으로 상향 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RF 모듈; 통신 상기 단말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의 전송에 사용할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제어부는, 측정된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한 이후에, 상기 통신 단말의 기울기가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되기 이전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한 이후에, 상기 통신 단말이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되기 이전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통신 단말에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단말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신 단말을 그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이용되는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영화를 감상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단말을 그립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없고, 또한, 그립 센서의 제한적 인식 범위로 인하여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통신 단말의 여러 사용 형태에서 SAR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러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IS(Interim Standard)-95에서 이용되는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 및 통화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 광 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에서 이용되는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공통 패킷 채널(Common Packet Channel; CPCH), 전용 물리 채널(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DPDCH) 및 전용 물리 제어 채널(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이용되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및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등과 같은 다양한 상향 링크 채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러한 상향 링크 채널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상향 링크 채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서, 통신 단말(Communication 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및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 B(Node B), 고도화 노드 B(evolved Node B; e-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및 이동 다중 홉 중계 기지국(Mobile Multi-hop Relay-Base Station; MMR-BS)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통신 단말(이하, 단말이라 함)은, 기지국으로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단말 자신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은,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기울기 측정을 위한 센서를 on(101) 시킨다. 이 후, 단말은 자신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의 값인지를 판단(103)한다. 만약, 측정된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단말은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105)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신 단말을 그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각 단계들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도 2의 (a)를 참조하여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단계(201a)에서, 단말은, 자신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지 판단하고, 활성 성태인 경우 단계(203a)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활성 상태는, 단말에 설치된 임의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프로그램의 종료로부터 설정된 시간 내인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이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깨어난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이 슬립 모드에서 깨어난 후 설정된 시간 내인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단계(201a)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단계(203a)에서, 단말은, 자신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단계(205a)로 진행한다. 여기서 기울기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중심을 통과하며 서로 직교하는 두 축(X, Y)을 포함하는 임의의 평면이 지면(Z)과 이루는 각도(θ)일 수 있다. 기울기 측정은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205a)에서, 단말은 측정된 자신의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판단한다. 만약, 측정된 자신의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라면 단계(207a)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201a)로 진행한다.
측정된 자신의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라고 판단하여 진행한 단계(207a)에서, 단말은,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설정 값만큼 감소시킨다.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킴에 있어서, 단말은 설정된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주파수별 상향 링크 전송 전력과 SAR 기준을 만족시키는 주파수별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이 정의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향 링크 전송 전력 감소 방법은, 단말의 활성 상태에서 단말의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킨다. 한편,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킨 후에,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다시 복원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도 2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201b)에서, 단말은, 자신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지 판단하고, 활성 상태인 경우 단계(203b)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207b)로 진행한다. 단계(201b)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자신의 상태가 활성 상태라고 판단되어 진행한 단계(203b)에서, 단말은, 자신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단계(205b)로 진행한다. 기울기 측정은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205b)에서, 단말은 측정된 자신의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판단한다. 만약, 측정된 자신의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라면 단계(201b)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207b)로 진행한다.
자신의 상태가 활성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진행한, 또는 측정된 자신의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진행한 단계(207b)에서, 단말은,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증가시킨다. 이때, 단말은, 도 2의 (a)의 단계(207a)에서 감소된 값만큼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증가시킨다. 즉, 원래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는, 제어부(410), 센서부(420), RF(Radio Frequency) 모듈(430) 및 메모리부(440)를 포함한다.
제어부(410)는, 센서부(420)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향 링크 채널의 전송에 사용할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RF 모듈(430)을 제어한다.
제어부(410)는, 센서부(420)에서 측정된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RF 모듈(430)을 제어한다.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RF 모듈(430)을 제어한 이후에, 통신 단말의 기울기가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410)는,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되기 이전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RF 모듈(4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RF 모듈(430)을 제어한 이후에, 통신 단말이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어부(410)는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되기 이전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RF 모듈(430)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420)는, 통신 단말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기울기 측정은 통신 단말이 활성 상태인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기울기 측정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420)는, 기울기 측정을 위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또는 기울기 센서(tilt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430)은,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RF 모듈(430)은 기지국으로 상향 링크 채널을 전송한다. RF 모듈(430)은 제어부(4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향 링크 채널 전송에 사용할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하고, 조절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향 링크 채널을 전송한다.
메모리부(440)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데 이용되는 값들을 저장한다. 즉, 메모리부(440)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조절의 기준이 되는 단말의 기울기 범위와,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어느 정도 조절할 것인지에 관한 설정 값을 저장한다. 상기 설정 값은 주파수별로 구분되는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되는 실행가능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3)

  1. 통신 단말에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측정된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설정된 값만큼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통신 단말의 기울기가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감소된 값만큼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통신 단말이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감소된 값만큼 상기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이 활성 상태인 경우에 상기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이 활성 상태인 경우에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7. 통신 단말에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상향 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RF 모듈;
    상기 통신 단말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의 전송에 사용할 상향 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한 이후에, 상기 통신 단말의 기울기가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되기 이전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한 이후에, 상기 통신 단말이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되기 이전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으로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RF 모듈을 제어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이 활성 상태인 경우에 기울기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이 활성 상태인 경우에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기울기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44599A 2012-04-27 2012-04-27 기울기를 이용한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94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599A KR101941208B1 (ko) 2012-04-27 2012-04-27 기울기를 이용한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599A KR101941208B1 (ko) 2012-04-27 2012-04-27 기울기를 이용한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421A true KR20130121421A (ko) 2013-11-06
KR101941208B1 KR101941208B1 (ko) 2019-01-23

Family

ID=4985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599A KR101941208B1 (ko) 2012-04-27 2012-04-27 기울기를 이용한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2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019A1 (en) * 2004-10-01 2009-0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a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using the antenna device
JP2009232437A (ja) * 2008-02-28 2009-10-08 Kyocera Corp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090295648A1 (en) * 2008-06-03 2009-12-03 Dorsey John G Antenna diversity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019A1 (en) * 2004-10-01 2009-0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a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using the antenna device
JP2009232437A (ja) * 2008-02-28 2009-10-08 Kyocera Corp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090295648A1 (en) * 2008-06-03 2009-12-03 Dorsey John G Antenna diversity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208B1 (ko)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007B2 (en) Dynamic power reduction request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9200613A1 (zh) 一种降低电磁辐射比吸收率的方法及设备
JP5635140B2 (ja) 不連続な送信及び/または受信を伴う圧縮モード(compressedmode)動作及び電力制御
US8532693B2 (en) Power control for combined dynamically and persistently scheduled PUSCH in E-UTRA
US8422446B2 (en) Controlling power for contention based uplink transmissions
TWI524689B (zh) 支援上鏈功率位準決定發信及過程方法及裝置
EP37994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100955440B1 (ko) 상태 천이 동안의 전력 제어
US20190223108A1 (en) Uplink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5180170A1 (zh) 一种d2d通信中发射功率的控制方法及设备
CN112867129B (zh) 功率余量上报发送方法和装置
WO2016007472A1 (en) Drx power usage by dynamically adjusting a warmup period
US20230164818A1 (en) Enabling aperiodic csi and srs transmissions for scell dormancy
US20230354208A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KR101050647B1 (ko) 랜덤 엑세스 채널 신호를 다양한 송신 파워 레벨로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941208B1 (ko) 기울기를 이용한 통신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EP2912900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at a wireless access terminal
WO2023184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ower headroom report (phr) reporting
EP415261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output power, medium and device
WO202409263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or discontinuous reception
CN113395758B (zh) 一种功率余量上报方法和设备
WO2024093932A1 (zh) 配置调整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070678A1 (en) Power management in dual-connectivity
KR20230158121A (ko) 구성된 승인 송신을 위한 메커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