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397A -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397A
KR20130120397A KR1020130044447A KR20130044447A KR20130120397A KR 20130120397 A KR20130120397 A KR 20130120397A KR 1020130044447 A KR1020130044447 A KR 1020130044447A KR 20130044447 A KR20130044447 A KR 20130044447A KR 20130120397 A KR20130120397 A KR 20130120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content
information
broadcas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범석
하정락
김순철
김정학
정영호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870,131 priority Critical patent/US8739223B2/en
Publication of KR2013012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증강 방송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은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은 방송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증강영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GMENTED BROADCASTING CONTENTS BY USING AUGMENTED REG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양방향 증강 방송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증강 방송이란 방송사에서 내보내는 방송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시청하는 종래의 디지털 TV방송 방식을 탈피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증강 콘텐츠(또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융화시켜 시청자의 현실감 및 생동감을 높이고 선택적 서비스 수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이다.
종래의 증강 방송 서비스는 방송에 적용되는 증강 콘텐츠가 방송 영상에 합성된 형태로 단방향으로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런데, 이는 증강 콘텐츠 선택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권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증강 방송 서비스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획득하고, 해당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런데, 이는 방송 수신 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든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 10-1159420호
본 발명은 증강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증강 콘텐츠 선택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용자 선택 정보에 기초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보다 간단한 구조의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한 증강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생성된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은 방송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증강영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은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증강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증강방송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증강영역 정보는 증강영역 정보는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관련 노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일 양상에 따른 증강영역 정보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방송 콘텐츠를 이용하여 생성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른 증강영역 정보는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증강영역의 위치 정보, 증강영역의 시간 정보 및 증강 콘텐츠 합성 방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른 증강영역 정보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인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증강영역 정보로부터 획득한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증강 콘텐츠 타입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증강영역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콘텐츠 수신부와,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선택 정보 수신부와,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부와,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증강 콘텐츠 수신부와,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는 증강 콘텐츠 합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증강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증강방송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알림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증강영역 정보는 증강영역 정보는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관련 노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일 양상에 따른 증강영역 정보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방송 콘텐츠를 이용하여 생성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른 증강영역 정보는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증강영역의 위치 정보, 증강영역의 시간 정보 및 증강 콘텐츠 합성 방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른 증강영역 정보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인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증강영역 정보로부터 획득한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증강 콘텐츠 타입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선택 정보에 기초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통해, 증강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증강 콘텐츠 선택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생성된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통해, 보다 간단한 구조의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한 증강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서비스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선택적으로 기재된 양상이나 선택적으로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들은 비록 도면에서 단일의 통합된 구성으로 도시되었다 하더라도 달리 기재가 없는 한 당업자에게 기술적으로 모순인 것이 명백하지 않다면 상호간에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강방송 서비스 시스템(1000)은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 사용자 입력 장치(30),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를 포함하는 증강방송 서비스 시스템(1000)을 도시하였으나, 증강방송 서비스 시스템(1000)은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들이 운영하는 복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서비스 시스템(1000)은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콘텐츠에 기초하여 교육, 광고, 게임, 지도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의 다양한 증강 현실 콘텐츠(augmented reality contents)를 양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우선,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방송 콘텐츠를 분석하여 방송 콘텐츠의 증강 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증강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방송 콘텐츠와 증강영역 정보를 다중화하여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 때,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서 방송 콘텐츠와 증강 콘텐츠가 동기화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스케줄링하여 송출한다.
여기서, 증강영역은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특정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증강영역 정보는 증강영역 정보는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관련 노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는 표 1 및 표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증강영역 정보는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특정영역인 증강영역의 위치 정보, 증강영역의 시간 정보 및 증강 콘텐츠 합성 방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증강영역 정보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방송 콘텐츠 및 증강영역 정보를 방송망 또는 하이브리드 방송망을 통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방송 콘텐츠는 방송망 또는 하이브리드 방송망을 통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 전송하고, 증강영역 정보는 별도로 인터넷망을 통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증강영역 정보를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에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방송 송신 시스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3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선택 정보를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30)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일부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30)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와 연동되는 리모트 콘트롤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장치(30)는 스마트 텔레비젼(Smart TV) 리모트 콘트롤러, 아이피 텔레비젼(IPTV) 리모트 콘트롤러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30)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와 연동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장치(30)는 스마트 폰, 모바일 폰, 피디에이(PDA)일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파싱(parsing)하여 이를 기초로 데이터 베이스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며, 검색한 증강 콘텐츠를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증강영역 정보로부터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획득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증강 콘텐츠 타입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부가적 양상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콘텐츠 검색에 앞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 또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검색한 증강 콘텐츠를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다양한 증강 콘텐츠를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방송 콘텐츠와 연동되는 관광과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방송 콘텐츠와 연동되는 지도 정보와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인터넷 포탈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콘텐츠 저장 서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증강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장치(30)로부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선택 정보를 수신하며,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에 전송하고,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로부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며,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한다. 여기서, 합성은 오버레이(overay)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부가적 양상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증강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증강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방송 콘텐츠 재생 기능을 가지는 방송 수신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젼(IPTV), 스마트 텔레비젼(Smart TV)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셋 톱 박스(Set Top Box)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젼(IPTV), 오티티(OTT), 스마트 텔레비젼(Smart TV)을 수신하기 위한 셋 톱 박스(Set Top Box)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텔레비전(TV), 디엠비(DMB)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디엠비(DMB) 폰,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은 방송 콘텐츠 수신 단계(210), 선택 정보 수신 단계(230), 증강 콘텐츠 요청 단계(250), 증강 콘텐츠 수신 단계(270), 증강 콘텐츠 합성 단계(290)를 포함한다.
우선, 방송 콘텐츠 수신 단계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증강영역 정보를 수신한다(210). 여기서, 증강영역은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특정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증강영역 정보는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관련 노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는 표 1 및 표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표 1은 증강영역 관련 노드의 XSD Desription이고, 표 2는 증강영역 관련 노드의 MPEG-4 BIFS Textual Description이다.
<ProtoDeclare name="AugmentationRegion" locations="org:mpeg:augmentationregion">
<field name="source" type="Strings" vrml97Hint="exposedField" stringArrayValue=""/>
<field name="region" type="Vector3Array" vrml97Hint="exposedField"
vector3ArrayValue=""/>
<field name="arProvider" type="Strings" vrml97Hint="exposedField" stringArrayValue=""/>
<field name="enabled" type="Boolean" vrml97Hint="exposedField" booleanValue="false"/>
<field name="translation" type="Vector3Array" vrml97Hint="exposedField" Vector3ArrayValue=""/>
<field name="rotation" type="Rotations" vrml97Hint="exposedField" rotationArrayValue=""/>
<field name="scale" type="Vector3" vrml97Hint="exposedField" Vector3Value="1 1 1"/>
<field name="onTranslationChanged" type="Boolean" vrml97Hint="eventOut"/>
<field name="onRotationChanged" type="Boolean" vrml97Hint="eventOut"/>
<field name="onScaleChanged" type="Boolean" vrml97Hint="eventOut"/>
<field name="onARProviderChanged" type="Boolean" vrml97Hint="eventOut"/>
<field name="onError" type="Integer" vrml97Hint="eventOut"/>
</ProtoDeclare>
EXTERNPROTO AugmentationRegion[
exposedField MFString source []
exposedField MFVec3f region []
exposedField MFString arProvider []
exposedField SFBool enabled FALSE
exposedField MFVec3f translation []
exposedField MFRotation rotation []
exposedField SFVec3f scale 1, 1, 1
eventOut SFBool onTranslationChanged
eventOut SFBool onRotationChanged
eventOut SFBool onScaleChanged
eventOut SFBool onARProviderChanged
eventOut SFInt32 onError
] "org:mpeg:AugmentationRegion"
표 1 및 2를 참조하여,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관련 노드의 정의를 설명하면, 우선 "AugmentationRegion" 프로토타입은 가공되지 않은 미디어와 관련된 정적이거나 동적인 2차원 또는 3차원 영역의 파라미터들을 제공한다.
그리고, "source"는 증강이 현실화될 미디어 소스를 나타낸다. 이때, 미디어 소스는 2차원 또는 3차원일 수 있다.
그리고, "region"은 "source" 좌표 시스템과 관련한 x, y, z 좌표로 표현되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형태를 나타낸다. 유의할 점은 2차원 소스 미디어가 사용되는 경우, 3차원 벡터의 z 성분은 제거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arProvider"는 가상의 물체가 사용가능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나타낸다.
그리고, "enabled"는 증강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FALSE"로 설정되는 경우, 증강영역은 디스플레이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translation"는 "region"의 번역을 나타낸다. 이때, 유용한 값들은 "onTranslationChanged" 마스크에 의해 인에이블된 것들이다. 유의할 점은 2차원 소스 미디어가 사용된 경우, 3차원 벡터의 z 성분은 제거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rotation"은 "region"의 회전 움직임을 나타낸다. 이때, 유용한 값들은 "onRotationChanged" 마스크에 의해 인에이블된 것들이다. 유의할 점은 2차원 소스 미디어가 사용된 경우, 3차원 벡터의 z 성분은 제거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scale"은 "region"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다. 이때, 유용한 값들은 "onRotationChanged" 마스크에 의해 인에이블된 것들이다. 유의할 점은 2차원 소스 미디어가 사용된 경우, 3차원 벡터의 z 성분은 제거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onTranslationChanged"는 "region"의 번역이 수행되는 각 시간을 설정하고, "onRotationChanged"는 "region"의 회전 움직임이 수행되는 각 시간을 설정하며, "onRotationChanged"는 "region"의 크기 변화가 수행되는 각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onARProviderChanged"는 증강영역 제공자가 변화되는 각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onError"는 증강 프로세스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때를 설정한다. 현재 에러 코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0 : 에러 없음
1 : "arProvider"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유용한 가상 물체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
2 : 불특정 에러
또한, 증강영역 정보는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특정영역인 증강영역의 위치 정보, 증강영역의 시간 정보 및 증강 콘텐츠 합성 방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증강영역 정보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 정보 수신 단계는 사용자 입력장치(30)로부터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230).
다음으로, 증강 콘텐츠 요청 단계는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에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250). 여기서,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증강영역 정보로부터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획득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증강 콘텐츠 타입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 콘텐츠 수신 단계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로부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한다(270). 이 때,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증강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 콘텐츠 합성 단계는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한다(290). 즉, 증강영역 정보에 포함된 증강영역의 위치정보, 증강영역의 시간정보 및 증강 콘텐츠 표현 방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한다. 여기서, 합성은 오버레이(overay)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증강 콘텐츠 합성 단계에서는 증강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의 자연스러운 합성을 위해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간의 동기화와 2D/3D 랜더링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방송 콘텐츠 수신 단계(210), 알림 정보 생성 단계(220), 선택 정보 수신 단계(230), 증강 콘텐츠 요청 단계(250), 증강 콘텐츠 수신 단계(270), 증강 콘텐츠 합성 단계(290)를 포함한다. 즉, 알림 정보 생성 단계(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에서의 방송 콘텐츠 수신 단계(210), 선택 정보 수신 단계(230), 증강 콘텐츠 요청 단계(250), 증강 콘텐츠 수신 단계(270), 증강 콘텐츠 합성 단계(29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알림 정보 생성 단계(220)에 대하여만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알림 정보 생성 단계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증강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증강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220). 즉, 사용자에게 증강방송 서비스 접속 가능 여부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를 선택하여 증강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서비스 절차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증강방송 서비스 시스템(1000)에서 증강방송 서비스 절차에 대한 전체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방송 콘텐츠를 분석하여 방송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증강영역 정보를 생성한다(311). 여기서, 증강영역 정보는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관련 노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증강영역 정보는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특정영역인 증강영역의 위치 정보, 증강영역의 시간 정보 및 증강 콘텐츠 합성 방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증강영역 정보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방송 콘텐츠와 증강영역 정보를 다중화하여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전송한다(313).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방송 콘텐츠 및 증강영역 정보를 방송망 또는 하이브리드 방송망을 통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방송 콘텐츠는 방송망 또는 하이브리드 방송망을 통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 전송하고, 증강영역 정보는 별도로 인터넷망을 통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수신한 방송 콘텐츠에서 방송 프로그램과 증강영역 정보를 분리한다(321). 그리고,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방송 프로그램을 디코더를 이용하여 재생한다. 여기서,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해 사용하는 디코더는 공지된 것 일 수 있다.
그리고,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증강영역 정보를 파싱(parsing)한다. 즉, 수신한 증강영역 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증강영역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및/또는 증강 콘텐츠 합성 방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325). 또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증강방송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327).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3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생성한다(331). 그리고, 사용자 입력 장치(30)는 생성한 선택 정보를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전송한다(333).
다음으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341). 여기서,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증강영역 정보로부터 획득한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증강 콘텐츠 타입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에 생성한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343).
다음으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파싱(parsing)한다(345). 즉, 수신한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획득한다(325). 이 때,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증강 콘텐츠 타입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347). 그리고,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검색한 증강 콘텐츠를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에 전송한다(349). 이 때,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는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의 파싱에 앞서,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즉, 수신한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콘텐츠 요청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 또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증강영역에 수신한 증강 콘텐츠를 합성한다(351). 즉, 증강영역 정보에 포함된 증강영역의 위치정보, 증강영역의 시간정보 및 증강 콘텐츠 표현 방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한다. 여기서, 합성은 오버레이(overay)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증강 콘텐츠 합성 단계에서는 증강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의 자연스러운 합성을 위해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간의 동기화와 2D/3D 랜더링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방송 콘텐츠 수신부(110), 선택 정보 수신부(130), 증강 콘텐츠 요청부(150), 증강 콘텐츠 수신부(170) 및 증강 콘텐츠 합성부(190)를 포함한다.
우선 방송 콘텐츠 수신부(110)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증강영역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증강영역은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특정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증강영역 정보는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관련 노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는 표 1 및 표 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증강영역 정보는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특정영역인 증강영역의 위치 정보, 증강영역의 시간 정보 및 증강 콘텐츠 합성 방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증강영역 정보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 정보 수신부(130)는 사용자 입력장치(30)로부터,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사용자 입력 장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 콘텐츠 요청부(150)는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50)에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증강영역 정보로부터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획득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증강 콘텐츠 타입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 콘텐츠 수신부(170)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한다. 이 때,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증강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 콘텐츠 합성부(190)는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증강영역에 상기 증강 콘텐츠를 합성한다. 즉, 증강영역 정보에 포함된 증강영역의 위치정보, 증강영역의 시간정보 및 증강 콘텐츠 표현 방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한다. 여기서, 합성은 오버레이(overay)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증강 콘텐츠 합성 단계에서는 증강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의 자연스러운 합성을 위해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간의 동기화와 2D/3D 랜더링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방송 콘텐츠 수신부(110), 알림 정보 생성부(120), 선택 정보 수신부(130), 증강 콘텐츠 요청부(150), 증강 콘텐츠 수신부(170) 및 증강 콘텐츠 합성부(190)를 포함한다. 즉, 알림 정보 생성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에서의 방송 콘텐츠 수신부(110), 선택 정보 수신부(130), 증강 콘텐츠 요청부(150), 증강 콘텐츠 수신부(170) 및 증강 콘텐츠 합성부(19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알림 정보 생성부(120)에 대하여만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알림 정보 생성부(120)는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증강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증강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즉, 사용자에게 증강방송 서비스 접속 가능 여부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를 선택하여 증강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
30 : 사용자 입력 장치
50 :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100: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

Claims (16)

  1.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콘텐츠 및 상기 방송 콘텐츠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증강영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의 증강영역에 상기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증강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증강방송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영역 정보는,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관련 노드에 대한 정보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영역 정보는,
    상기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이용하여 생성한 정보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영역 정보는,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증강영역의 위치 정보, 상기 증강영역의 시간 정보 및 증강 콘텐츠 합성 방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영역 정보는,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인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더 포함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상기 증강영역 정보로부터 획득한 상기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증강 콘텐츠 타입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9.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콘텐츠 및 상기 방송 콘텐츠의 증강영역에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증강영역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콘텐츠 수신부;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선택 정보 수신부;
    상기 증강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된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증강 콘텐츠 요청부;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증강 콘텐츠 수신부; 및
    상기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의 증강영역에 상기 증강 콘텐츠를 합성하는 증강 콘텐츠 합성부를 포함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증강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증강방송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알림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영역 정보는,
    MPEG-4 BIFS에 기반한 증강영역 관련 노드에 대한 정보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영역 정보는,
    상기 방송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이용하여 생성한 정보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영역 정보는,
    방송 콘텐츠에 증강 콘텐츠가 합성되는 증강영역의 위치 정보, 상기 증강영역의 시간 정보 및 증강 콘텐츠 합성 방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영역 정보는,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증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더 포함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상기 증강영역 정보로부터 획득한 상기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검색 정보는 증강 콘텐츠 타입 및 속성에 대한 정보인,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장치.
KR1020130044447A 2012-04-25 2013-04-22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30120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70,131 US8739223B2 (en) 2012-04-25 2013-04-2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gmented broadcast content using augmentation reg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3445 2012-04-25
KR1020120043445 2012-04-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397A true KR20130120397A (ko) 2013-11-04

Family

ID=4985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447A KR20130120397A (ko) 2012-04-25 2013-04-22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03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800A (ko) * 2014-04-18 2015-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사업자 장치, 콘텐츠 사업자 장치, 수신 단말 및 증강방송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800A (ko) * 2014-04-18 2015-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사업자 장치, 콘텐츠 사업자 장치, 수신 단말 및 증강방송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55874B (zh) 虚拟现实媒体内容的自适应流传输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
KR102628139B1 (ko) 멀티-디바이스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맞춤형 비디오 스트리밍
CN111937397B (zh) 媒体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9644292A (zh) 用于混合式媒体内容分发的设备、系统和方法
US20200145736A1 (en) Media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914729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data to support augmented reality
JP2012134954A (ja) メディアid整合に基づいた放送ar広告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955723B1 (ko) 증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WO201309910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テーブル供給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テーブル供給方法
EP15035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on digital tv
KR20150008739A (ko) 개인화된 비디오 기반의 화면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CN111919452A (zh) 用于发送信号通知相机参数信息的系统和方法
US87392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gmented broadcast content using augmentation region information
Choi et al. A metadata design for augmented broadcasting and testbed system implementation
US20130117798A1 (en) Augmenting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augmented broadcasting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ugmented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20913A (ko) 미디어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89358A (ko) 방송 시스템에서 콘텐츠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091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broadcast content and metadata for augmented broadcasting,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ugmenting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augmented broadcast content
KR20100084115A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120397A (ko) 증강영역 정보를 이용한 증강방송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70130883A (ko) 하이브리드 망 기반의 가상 현실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30103931A (ko) 메타데이터 우선제공 증강방송 장치 및 방법
KR20140004341A (ko) 시청자 선택형 증강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839323B2 (en) Random backoff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ugmented content
KR101587442B1 (ko) 타겟팅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등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