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93A -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93A
KR20130120293A KR1020120043438A KR20120043438A KR20130120293A KR 20130120293 A KR20130120293 A KR 20130120293A KR 1020120043438 A KR1020120043438 A KR 1020120043438A KR 20120043438 A KR20120043438 A KR 20120043438A KR 20130120293 A KR20130120293 A KR 20130120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fire extinguishing
clean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티
Priority to KR102012004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293A/ko
Publication of KR2013012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조문화재의 바닥면에 화재시에만 작동하도록 소화설비를 매립설치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함은 물론 활용가능한 공간을 넓히고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근접한 소화설비만이 작동하여 소화제의 사용량은 줄이면서 정확한 분사에 의한 효과적인 소화효율을 제공하도록, 목조문화재를 이루는 구조물의 하부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청정소화제를 저장하는 약제저장부와; 상기 약제저장부에 한쪽이 연결 설치되고 구조물의 곳곳을 향해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청정소화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며 공급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약제공급배관과; 상기 약제공급배관의 연장된 한쪽 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청정소화제가 공급되고 구조물의 바닥면에 복수로 매립 설치되며 한쪽으로 세워지도록 기립구동한 후 구조물을 향해 청정소화제를 분사시키는 소화부와; 상기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화재 발생에 의한 열이나 연기로부터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재에 근접한 위치의 상기 소화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Proximity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Wooden Cultural Assets}
본 발명은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조문화재의 바닥면에 화재시에만 작동하도록 소화설비를 매립설치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함은 물론 활용가능한 공간을 넓히고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근접한 소화설비만이 작동하여 소화제의 사용량은 줄이면서 정확한 분사에 의한 효과적인 소화효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양문화권에 속하며 오랜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에는 목재를 재료로 사용하여 일정한 형태로 만들어진 사찰이나 궁궐, 민속도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목조문화재가 많이 보존되고 있다. 나아가 우리나라는 우리 겨레 삶의 예지와 숨결이 깃들어 있고 민족문화의 정수이자 인류의 자산인 문화재를 보호해야할 의무가 있음을 헌법 제9조와 문화재보호법 제1조를 통해 분명히 하고 있다.
하지만 목조문화재는 나무 등의 가연재료인 목재를 이루어 연소성이 높기 때문에 화재 저항성에 대하여 매우 취약하다. 즉, 목조문화재는 오랜 세월이 경과되어 건조된 상태에 있으므로 작은 화원에 의하여 착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착화 후에는 매우 빠른 속도로 화재성장과 화염이 전파되기 때문에 진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목조문화재에는 화재시 외부에서 소화할 수 있는 소화기나 옥외 소화전 등의 소화설비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화설비의 경우 목조문화재의 미관이나 훼손을 우려해 문화재의 내부에는 화재를 감지하고 소화할 수 있는 경보나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오직 외부에서 소화할 수 있도록 대부분이 옥외에 설치되고 있으므로 화재를 진압하기에는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예를 들면, 2005년 4월에 발생된 강원도 양양지역의 산불로 인해 낙산사에 소재하고 있는 약 20여 점의 문화재가 소실되었으며, 2008년에는 방화로 인해 국보 1호인 숭례문에 화재가 발생하여 문화재가 훼손되었다. 이처럼 종래 소화설비는 외부의 불길만을 잡을 뿐 내부의 불길은 잡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목조문화재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소화설비를 설치하고 화재시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자동식 소화설비를 구축하여 사용 중에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소화설비의 경우 문화재의 내부에 무분별하게 설치하기 때문에 문화재 특유의 미려한 외관을 해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극히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문화재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내부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설비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소화설비는 화재발생시 목조문화재의 내부에서 물이나 소화제를 무작위로 분사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위치에도 물이나 소화제가 불필요하게 분사되므로 소화 후에 목재가 변질되거나 변형되어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저하되고 전시된 많은 문화재들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한번에 많은 양의 소화제가 무분별하게 분사되어 불필요하게 약제가 소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만 기립하여 화재를 소화할 수 있도록 목조문화재의 내부 바닥면에 소화수단을 매립설치하므로 평소 문화재의 외관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고유의 미적 미려함을 보존가능하고 문화재의 내부공간을 그대로 확보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목조문화재의 내부공간 중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감지수단과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서 근접한 소화수단만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성하므로 화재시 소화제의 사용량을 대폭 절감하면서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향한 집중 분사에 의해 소화효율을 최대화하고 문화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보존하도록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은 목조문화재를 이루는 구조물의 하부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청정소화제를 저장하는 약제저장부와; 상기 약제저장부에 한쪽이 연결 설치되고 구조물의 곳곳을 향해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청정소화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며 공급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약제공급배관과; 상기 약제공급배관의 연장된 한쪽 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청정소화제가 공급되고 구조물의 바닥면에 복수로 매립 설치되며 한쪽으로 세워지도록 기립구동한 후 구조물을 향해 청정소화제를 분사시키는 소화부와; 상기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화재 발생에 의한 열이나 연기로부터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재에 근접한 위치의 상기 소화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화부는 구조물의 바닥면에 수평상태로 매립 설치되고 한쪽은 고정상태에서 힌지결합하여 수직방향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약제공급배관의 한쪽에 연결되어 상기 약제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청정소화제를 강한 압력으로 구조물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구조물의 바닥면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몸체가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한쪽이 연결 결합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소화부의 몸체는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을 향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를 이루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구분하여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이 위치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에 한쪽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구비되고 화재가 발생한 방향을 찾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의 가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부로 구성한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몸체의 상하 길이방향 및 좌우 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한다.
상기 소화부의 구동수단은 상기 몸체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구조물의 바닥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를 수직으로 밀어내도록 로드의 신장운동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단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재신호에 의해 근접한 위치로 설비된 상기 소화부만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상기 공급개폐밸브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청정소화제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소화부에 의해 화재가 진압되어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열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소화부에 작동을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상기 공급개폐밸브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화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화재현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화재감지부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에는 화재현장의 영상을 담아 저장가능하게 녹화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화재현장의 영상을 스마트폰을 향해 송신하도록 영상신호의 송신기능을 수행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에 의하면 목조문화재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화재시에만 기립하여 소화하므로, 평소에는 문화재의 미적인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여 문화재로서의 고유전통미를 살리면서 그 가치를 지속적으로 보존하고, 문화재 자체만의 공간으로 그대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만 청정소화제를 분사하므로, 청정소화제의 불필요한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소방설비의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문화재로부터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지점을 향한 불필요한 소화를 방지하여 문화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향해 집중적으로 분사하므로, 최소의 에너지 및 청정소화제를 사용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소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에 의하면 화재현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므로, 화재를 진압하면서 그 현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진압상황에 따른 대처방안을 신속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재감지부로부터 감시카메라가 연동하도록 작동하여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신속한 촬영이 가능함은 물론 화재발생지점만을 계속해서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소화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소화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소화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본 발명은 목조문화재를 이루는 구조물의 하부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청정소화제를 저장하는 약제저장부와; 상기 약제저장부에 한쪽이 연결 설치되고 구조물의 곳곳을 향해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청정소화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며 공급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약제공급배관과; 상기 약제공급배관의 연장된 한쪽 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청정소화제가 공급되고 구조물의 바닥면에 복수로 매립 설치되며 한쪽으로 세워지도록 기립구동한 후 구조물을 향해 청정소화제를 분사시키는 소화부와; 상기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화재 발생에 의한 열이나 연기로부터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재에 근접한 위치의 상기 소화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부는 구조물의 바닥면에 수평상태로 매립 설치되고 한쪽은 고정상태에서 힌지결합하여 수직방향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약제공급배관의 한쪽에 연결되어 상기 약제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청정소화제를 강한 압력으로 구조물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구조물의 바닥면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몸체가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한쪽이 연결 결합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을 향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를 이루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구분하여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이 위치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에 한쪽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구비되고 화재가 발생한 방향을 찾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의 가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몸체의 상하 길이방향 및 좌우 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몸체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구조물의 바닥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를 수직으로 밀어내도록 로드의 신장운동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단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재신호에 의해 근접한 위치로 설비된 상기 소화부만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상기 공급개폐밸브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청정소화제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지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소화부에 의해 화재가 진압되어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열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소화부에 작동을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상기 공급개폐밸브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화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화재현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화재감지부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에는 화재현장의 영상을 담아 저장가능하게 녹화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화재현장의 영상을 스마트폰을 향해 송신하도록 영상신호의 송신기능을 수행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저장부(10)와, 약제공급배관(20)과, 소화부(30)와, 화재감지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약제저장부(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재시 상기 소화부(30)에 공급하기 위한 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형태의 밀폐된 내부공간을 이루고, 내부에 일정한 용량의 약제인 청정소화제를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청정소화제는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로서 소화효과 면에서 구별하는데, 이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을 기본성분으로 냉각촉매효과에 의해 소화하는 할로겐화합물계소화제(halocarbon clean agent)와 헬륨, 네온, 아르곤 또는 질소가스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기본성분으로 질식효과에 의해 소화하는 불활성가스계소화제(inert gas clean agent)로 나눌 수 있다.
도 2에는 목조문화재 중 건축물을 구조물(5)로 적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건축물과 더불어 목공예품이 전시된 시설공간 등의 다양한 목조문화재와 관련된 구조물(5)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약제저장부(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조문화재(이하 '구조물'이라 함)를 이루는 구조물(5)의 하부에 매립하여 설치된다.
상기 약제저장부(10)는 내부에 많은 양의 청정소화제를 수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나의 대용량을 갖는 상기 약제저장부(10)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구조물(5)의 일정한 구역마다 구분하여 분리설치되고 청정소화제의 저장용량을 줄여 복수 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약제저장부(10)는 내부에 저장된 청정소화제를 모두 사용한 후에도 다시금 재충전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공급배관(20)은 상기 약제저장부(10)와 상기 소화부(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약제저장부(10)에 한쪽이 연결되고 반대쪽은 상기 소화부(30)에 연결하여 설치되며 상기 약제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청정소화제를 공급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약제공급배관(20)은 상기 소화부(30)가 위치한 구조물(5)의 곳곳을 향해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하나의 라인에서부터 파생되는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약제저장부(10)가 소용량을 이루며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약제공급배관(20)도 상기 약제저장부(10)에 대응하여 상기 소화부(30)를 향해 각각 개별로 공급되는 복수의 라인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약제공급배관(20)에는 공급개폐밸브(25)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개폐밸브(25)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전자식밸브(예를 들면, 솔레노이드밸브 등)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부(3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약제저장부(10)로부터 청정소화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약제공급배관(20)의 연장된 한쪽 끝단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소화부(30)는 평소 구조물(5)의 바닥면에 복수로 매립 설치되며, 화재시 한쪽으로 세워지도록 기립구동한 후 화재가 발생한 구조물(5)을 향해 청정소화제를 분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소화부(3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31)와 분사노즐(33) 및 구동수단(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화부(30)의 몸체(31)는 한쪽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조물(5)의 바닥면에 수평상태로 매립 설치된다.
상기 몸체(31)는 평소 구조물(5) 바닥면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시 기립되는데, 상기 몸체(31)의 한쪽은 고정상태에서 힌지결합하여 상측 수직방향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31)는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이루는 막대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한쪽 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자형의 단면을 이루는 막대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사노즐(33)은 상기 몸체(31)의 한쪽 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약제공급배관(20)에 한쪽이 연결되어 상기 약제저장부(10)로부터 공급되는 청정소화제를 강한 압력으로 구조물(5)을 향해 분사한다.
상기 분사노즐(33)은 상기 약제공급배관(20)을 따라 이동된 청정소화제를 분출가능하게 미세한 구멍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노즐(33)은 청정소화제가 분출되는 방향으로 점점 구멍이 넓어지는 형태를 이루어 넓은 범위로 분사토록 확산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분사노즐(33)은 청정소화제가 분출되는 방향으로 점점 구멍이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어 직선으로 강하게 분사토록 직압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사노즐(33)은 상기 몸체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33)은 상기 몸체(3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하게 간격을 두고 구비된 위치에 따라 각각 직선으로 곧게 분사하거나 상향 또는 하향을 지향하여 분사토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31)가 수직으로 기립한 후 상기 몸체(31)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분사노즐(33)은 소정 각도로 하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몸체(31)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분사노즐(33)은 소정 각도로 상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하며, 그 외에는 중간의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직선으로 분사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분사노즐(33)은 구조물(5)을 향한 분사범위를 넓히도록 상기 몸체(31)의 좌우 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수단(35)은 상기 구조물(5)의 바닥면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몸체(31)가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한쪽이 연결 결합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35)은 상기 몸체(31)가 구조물(5)의 바닥면에 누워진 수평상태에서 상측으로 기립하여 세워진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회동시키거나 상기 몸체(31)가 세워진 수직상태로부터 구조물(5)의 바닥면을 향해 눕혀진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회동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35)에 의한 상기 몸체(31)의 회전각도는 직각(90°)을 이루도록 회동시킨다.
상기 구동수단(3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를 수직으로 밀어내도록 로드(36b)의 신장운동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실린더(36a)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수단(35)인 구동실린더(36a)는 상기 구조물(5)의 바닥면 내부에서 상기 몸체(31)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31)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실린더(36a)는 유체나 공기를 동력원으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35)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의 하단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37a)와, 상기 종동기어(37a)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맞물리는 구동기어(37b)와, 상기 구동기어(37b)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37c)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종동기어(37a)는 상기 몸체(31)의 힌지 축 상에 직접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어(37b)는 상기 구동모터(37c)의 축 상에 직접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화부(3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가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을 향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장치(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향전환장치(60)는 상기 몸체(31)가 상/하부로 구분된 구조를 이루어 고정부(61a) 및 회동부(61b)를 구비하고, 구동부(63) 및 센서부(6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61a)는 상기 몸체(31)의 하부를 이루고 상기 구동수단(35)에 연결된다.
상기 회동부(61b)는 상기 몸체(31)의 상부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61a)의 상부에 연장하여 설치되고 한쪽 면에 상기 분사노즐(33)이 위치하며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61b)는 좌우방향을 향해 각각 15~30°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63)는 상기 고정부(61a)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61b)에 한쪽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구동부(63)는 일정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소형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센서부(65)는 상기 회동부(61b)에 구비되고 화재가 발생한 방향을 찾아 열을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구동부(63)에 회전되는 상기 회동부(61b)로부터 상기 분사노즐(33)에 의한 청정소화제의 분사방향을 명확히 설정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65)는 상기 몸체(31)에 상기 분사노즐(33)과 동일수직선으로 상단에 위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65)는 상기 구동부(63)에 의해 상기 회동부(61b)가 회전하는 도중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63)의 가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소화부(30)에 방향전환장치(60)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한 초기에 정확한 화재의 위치를 찾아 빠르게 진압할 수 있어 소화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화재에 의한 구조물(5)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화재감지부(40)는 상기 구조물(5)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화재 발생에 의해 생성되는 열이나 연기로부터 화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화재감지부(40)는 상기 구조물(5)의 내부공간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여 구비하되 여러 곳에 고르게 위치하도록 복수로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화재감지부(40)는 열센서나 연기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50)로 화재로 인한 열의 온도나 연기발생상태에 대한 감지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화재감지부(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소화부(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0)는 화재를 감지한 상기 화재감지부(40)에 근접한 위치의 상기 소화부(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구조물 내에 복수로 설비되는 상기 소화부(30) 중 화재에 근접한 위치에 구비된 상기 소화부(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는 구조물(5)의 내부공간에 곳곳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화재감지부(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화재감지부(40)로부터 화재발생을 알리는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에 설비되어있는 상기 소화부(30)만을 제어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상기 화재감지부(40)로부터 입력되는 화재신호에 의해 근접한 위치로 설비된 상기 소화부(30)만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상기 공급개폐밸브(25)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청정소화제를 분사하게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상기 화재감지부(40)로부터 감지되는 화재에 대한 온도 및 연기의 측정치가 미약하면 가장 근접한 하나의 상기 소화부(30)만이 작동토록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화재감지부(40)로부터 감지되는 화재에 대한 온도 및 연기의 측정치가 심하면 근접한 다수의 상기 소화부(30)가 작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상기 소화부(30)에 의해 화재가 진압되어 상기 화재감지부(40)로부터 열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소화부(30)에 작동을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상기 공급개폐밸브(25)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상기 소화부(30)로부터 청정소화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도중 상기 약제저장부(10)에 저장된 청정소화제를 모두 사용한 경우 외부에 경보를 알리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약제저장부(10)가 상기 소화부(30)에 대응하여 각각 구분된 구조로 구성한 경우 화재발생구역으로부터 근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상기 소화부(30)가 작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에 의하면, 목조문화재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화재시에만 기립하여 소화하므로, 평소에는 문화재의 미적인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여 문화재로서의 고유전통미를 살리면서 그 가치를 지속적으로 보존하고, 문화재 자체만의 공간으로 그대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만 청정소화제를 분사하므로, 청정소화제의 불필요한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소방설비의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문화재로부터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지점을 향한 불필요한 소화를 방지하여 문화재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향해 집중적으로 분사하므로, 최소의 에너지 및 청정소화제를 사용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소화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5)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부(40)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감시카메라(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시카메라(70)는 구조물(5)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감시카메라(70)는 상기 화재감지부(40)에서 화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면 구조물(5)에서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촬영한다. 즉, 상기 감시카메라(70)는 상기 화재감지부(4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화재현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감시카메라(70)는 구조물(5)의 내부에 별도로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화재감지부(40)와 함께 상기 감시카메라(70)가 설치되어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감시카메라(70)에는 화재현장의 영상을 담아 저장하기 위한 녹화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감시카메라(70)의 녹화기능은 평상시 지속해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토록 녹화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화재감지부(40)로부터 화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녹화기능을 수행토록 작동하는 지능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감시카메라(70)에는 화재현장의 영상을 이동식단말기인 스마트폰(75)을 통해 수신받아 영상출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감시카메라(70)가 영상신호의 송신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75)을 향해 영상신호를 송신가능하게 감시카메라(70)를 구성하게 되면, 관리자가 이동중에도 화재발생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화재현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므로, 화재를 진압하면서 그 현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진압상황에 따른 대처방안을 신속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재감지부(40)로부터 감시카메라(70)가 연동하도록 작동하여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신속한 촬영이 가능함은 물론 화재발생지점만을 계속해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5 : 구조물 10 : 약제저장부
20 : 약제공급배관 25 : 공급개폐밸브
30 : 소화부 31 : 몸체
33 : 분사노즐 35 : 구동수단
36a : 구동실린더 36b : 로드
37a : 종동기어 37b : 구동기어
37c : 구동모터 40 : 화재감지부
50 : 제어부 60 : 방향전환장치
61a : 고정부 61b : 회동부
63 : 구동부 65 : 센서부
70 : 감시카메라 75 : 스마트폰

Claims (10)

  1. 목조문화재를 이루는 구조물의 하부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청정소화제를 저장하는 약제저장부와;
    상기 약제저장부에 한쪽이 연결 설치되고 구조물의 곳곳을 향해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청정소화제를 공급가능하게 형성되며 공급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약제공급배관과;
    상기 약제공급배관의 연장된 한쪽 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청정소화제가 공급되고 구조물의 바닥면에 복수로 매립 설치되며 한쪽으로 세워지도록 기립구동한 후 구조물을 향해 청정소화제를 분사시키는 소화부와;
    상기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화재 발생에 의한 열이나 연기로부터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재에 근접한 위치의 상기 소화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는, 구조물의 바닥면에 수평상태로 매립 설치되고 한쪽은 고정상태에서 힌지결합하여 수직방향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약제공급배관의 한쪽에 연결되어 상기 약제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청정소화제를 강한 압력으로 구조물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구조물의 바닥면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몸체가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한쪽이 연결 결합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을 향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를 이루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구분하여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이 위치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에 한쪽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구비되고 화재가 발생한 방향을 찾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의 가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몸체의 상하 길이방향 및 좌우 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몸체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구조물의 바닥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를 수직으로 밀어내도록 로드의 신장운동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단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재신호에 의해 근접한 위치로 설비된 상기 소화부만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상기 공급개폐밸브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청정소화제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소화부에 의해 화재가 진압되어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열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소화부에 작동을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상기 공급개폐밸브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화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화재현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화재감지부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에는 화재현장의 영상을 담아 저장가능하게 녹화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화재현장의 영상을 스마트폰을 향해 송신하도록 영상신호의 송신기능을 수행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KR1020120043438A 2012-04-25 2012-04-25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KR20130120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38A KR20130120293A (ko) 2012-04-25 2012-04-25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38A KR20130120293A (ko) 2012-04-25 2012-04-25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93A true KR20130120293A (ko) 2013-11-04

Family

ID=4985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438A KR20130120293A (ko) 2012-04-25 2012-04-25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02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730B1 (ko) * 2020-03-10 2021-01-2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반도체 장비 전용 초소형 청정소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730B1 (ko) * 2020-03-10 2021-01-2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반도체 장비 전용 초소형 청정소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478B1 (ko)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KR100770655B1 (ko) 화재 진압용 소방로봇
KR101051018B1 (ko) 화재 지점 감지 및 자동 소화 장치
KR102037710B1 (ko) 화재 방지 시스템
KR20200132337A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1538478B1 (ko) 소화용 지능형 로봇
KR101772023B1 (ko)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CN106669084A (zh) 一种便携式复合式灭火系统
KR20160053066A (ko) 자동소화장치
CN104027922A (zh) 大型罐区储罐火灾水幕喷淋防护系统
KR200491634Y1 (ko) 비상용 소화전
BR112012008725B1 (pt) dispositivo, sistema e método de atenuação de chama para sistema de material combustível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KR20130120293A (ko) 목조문화재 근접소화시스템
KR20160054366A (ko) 방화창 유니트
CN214633469U (zh) 隧道火灾自动灭火装置
KR20140035162A (ko)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
CN109316696A (zh) 一种感温探测自动灭火装置
KR20050032924A (ko) 벽걸이형 자동 화재 탐지 및 소화장치
CN107158635A (zh) 一种智能消防灭火系统
KR20090105195A (ko) 화재 진압용 양수장치
CN108969940A (zh) 一种新型灭火仿生机器人
CN209204542U (zh) 一种感温探测自动灭火装置
JP2011050414A (ja) 消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