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863A - Wire-to-board connector - Google Patents

Wire-to-board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863A
KR20130119863A KR1020130038908A KR20130038908A KR20130119863A KR 20130119863 A KR20130119863 A KR 20130119863A KR 1020130038908 A KR1020130038908 A KR 1020130038908A KR 20130038908 A KR20130038908 A KR 20130038908A KR 20130119863 A KR20130119863 A KR 20130119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housing
board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9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2049B1 (en
Inventor
테츠 우라노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8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0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Provided is a technique avoiding uncertain fitting of a wire-to-board connector. In a plug housing (8), a pair of lock pieces (17) is extended to a fitting direction. Each lock piece consists of an arm unit (20) extended to the fitting direction and a claw unit (21) formed in a front end unit (20a) of the arm unit to the fitting direction. A plug connector (4) is fixated in a receptacle connector (6) by the pair of lock pieces covering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receptacle connector has an auxiliary metal fitting (11) for fixating a receptacle housing (10) in a connector loading surface (5) of a substrate (3). In a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a gap (g) is formed to be extended to an orthogonal direction about the connector loading surface of the substrate for attaching the auxiliary metal fitting to the receptacle housing. The auxiliary metal fitting has a gap filling unit (65) for filling the gap. [Reference numerals] (AA) Connector width direction;(BB) Substrate rectangular direction;(CC) Connector attachment/detachment direction

Description

전선 대 기판 커넥터{WIRE-TO-BOARD CONNECTOR}Wire-to-Board Connector {WIRE-TO-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to-board connectors.

이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67411호)은,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단부(端部)에 형성된 단자부(501)를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의 케이블 삽입구(503)에 삽입하면, 케이블 삽입구(503)의 상측에 병설된 복수의 커넥터 핀(504)이 단자부(501)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플렉시블 케이블 접속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의 좌우 측면의 체결홈(505)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를 프린트 기판에 체결하기 위한 금속제의 L자 형상 브래킷(506)이 압입되어 있다.As a technique of this kind, Patent Document 1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0-267411) discloses a terminal portion 501 formed at an end portion of a flexible cable 500 so as to provide a cable insertion port of a connector 502 for a flexible cable. When inserted into the 503, a flexible cable connecting structure is configured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or pins 504 disposed above the cable insertion port 503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501. L-shaped brackets 506 made of metal for fastening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502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press-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505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502.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67411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0-267411

그런데,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케이블측의 플러그 커넥터가 기판측의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를 좌우로부터 감싸안는 형식의 전기 커넥터를 개발하고 있다. 이 전기 커넥터에서는, 선단에 클로(claw)가 형성된 아암을 플러그 커넥터에 설치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시킬 때, 클로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좌우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아암이 휘고, 클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좌우 측면 상을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클로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좌우 측면을 타고 넘으면, 아암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클로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배면측으로 탄성 변위한다.By the way, the inventor of this invention is developing the electrical connector typ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of the cable side encloses the receptacle connector of the board | substrate side from the left and right. In this electrical connector, an arm having a claw formed at the tip is attached to the plug connector. When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arm bends as the claw contact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claw slid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When the claw passes ove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claw elastically displaces to the rear 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arm.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를 유용(流用)하고자 하면,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505)의 존재에 의해, 클로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의 좌우 측면을 타고 넘기 전에, 아암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클로가 체결홈(505) 내로 탄성 변위한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있어서는, 아암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클로가 체결홈(505) 내로 탄성 변위했을 때에, 클로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502)의 배면측으로 탄성 변위한 것으로 오해해 버린다. 그리고, 이 오해는, 전기 커넥터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을 초래한다.However, i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502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to be useful, the claw is a flexible cable connector due to the existence of the fastening groove 505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502. Before riding ove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502, the claw elastically displaces into the fastening groove 505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arm. Therefore, when the claw elastically displaces into the fastening groove 505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arm, it is mistaken that the claw elastically displaces to the back side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502. And this misunderstanding leads to an uncertain fi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을 회피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avoiding an uncertain fit of a wire-to-board connector.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전선을 지지(holding)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claw portion)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메우는 틈 메움부를 갖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ug connector having a plug housing holding an electric wire, a receptacl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wire, and a receptacle housing supporting the receptacle contact,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A wire-to-board connector having a mounted receptacle connector and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electric wire is conductive with the receptacle contact, wherein the plug connector is fitted as a direction for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 fitting direction is parallel with the said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said board | substrate, The pair of lock pieces extended in the said fitting direction are formed in the said plug housing, and each lock piece extends in the said fitting direction. Tip of the arm part and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arm part The plug connecto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air of lock pieces of the plug connector are fix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y enclos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is configured to have a claw portion formed therein. And an auxiliary bracket for fixing the receptacle housing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and on the side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for attaching the auxiliary bracket to the receptacle housing. There is provided a gap extending in the direction, and the auxiliary bracket is provided with a wire-to-board connector having a gap filling portion to fill the gap.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 메움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被)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이다. Preferably, the auxiliary bracket comprises: the gap filling portion, a housing supported portion supported in the side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a substrat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housing sebum.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branch portion and the substrate fixing part, and the gap of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when the auxiliary fitting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서의 반(反)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1 되접힘부를 갖고, 상기 틈 매움부는, 상기 제1 되접힘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다.Preferably, the auxiliary bracket has a first retracted portion which is formed by being folded back while being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n the side of the anti-fitting direc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The gap fill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via the first retracted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되접힘부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보다도 상기 반끼워맞춤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Preferably, the first retracted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half fitting direction from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제1 되접힘부에 접속함과 함께, 상기 틈을 걸치도록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교 가이드부를 추가로 갖는다. Preferably, the auxiliary bracket further has a crosslinking guide portion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to cover the gap,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retractabl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가교 가이드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2 되접힘부와, 상기 제2 되접힘부에 접속함과 함께, 상기 반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the auxiliary bracket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on the fitting direction side, and is connected to a second refolded portion that is formed to be folded back, and to the second refolded portion. A locking porti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and has a locking portion extending in the half-fitting direction, into which the locking portion of the auxiliary fitting is inser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틈 메움부는, 상기 가교 가이드부에 접속되어 있다. Preferably, the gap fill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본원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전선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ug connector having a plug housing for supporting an electric wire, a receptacl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wire, and a receptacle housing for supporting the receptacle contact, the receptacle mounted o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A wire-to-board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and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fitting direction as a direction for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is provided. A pair of lock pieces paralle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are formed in the plug housing, and each lock piece includes an arm portion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At the tip of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The plug connecto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air of lock pieces of the plug connector are fix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y enclos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ttaches the receptacle housing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 gap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for attaching the auxiliary tooling to the receptacle housing on a side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having an auxiliary bracket for fixing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Is formed,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걸치도록 연장되는 가교부를 추가로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The auxiliary bracket is further provided with a bridging portion extending to extend across the gap.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가교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이다. Preferably, the auxiliary bracket includes: the bridge portion, a housing supported portion supported in the side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a substrate fixed portion fixed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and the substrate. The connection part which connects a to-be-retained part, The said gap of the said side wall of the said receptacle housing is a thing which the said connection part passes when attaching the said auxiliary fitting to the said side wall of the said receptacle housing.

본원 발명의 제3 관점에 의하면, 전선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덮어 감추는 틈 커버부를 추가로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ug connector having a plug housing for supporting an electric wire, a receptacl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wire, and a receptacle housing for supporting the receptacle contact, the receptacle mounted o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A wire-to-board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and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fitting direction as a direction for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is provided. A pair of lock pieces paralle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are formed in the plug housing, and each lock piece includes an arm portion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At the tip of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The plug connecto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air of lock pieces of the plug connector are fix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y enclos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ttaches the receptacle housing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 gap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for attaching the auxiliary tooling to the receptacle housing on a side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having an auxiliary bracket for fixing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The auxiliary bracket is provided, and the wire-to-board connector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gap cover part which covers the said gap.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 커버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이다. Preferably, the auxiliary bracket includes: the gap cover portion, a housing supported portion supported in the side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a substrate fixed portion fixed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and the The connection portion that connects the substrate fixing part, wherein the gap of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when the auxiliary fitting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틈이 메워져 있기 때문에, 각 로크편의 상기 클로부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로크편의 상기 클로부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특별한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회피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ap is filled, the claw portion of each lock piece can smoothly proceed in the fitting direction. And since there is no special discomfort when the said claw part of each lock piece advances to the said fitting direction, uncertain fitting of the said plug connector and said receptacle connector is avoided.

도 1은 기판에 탑재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전선이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대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는 기판에 탑재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전선이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3은 기판에 탑재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전선이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4는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6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7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8은 도 6의 A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9는 도 8의 일부 단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0은 도 7의 B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1은 보조 금구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2는 보조 금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3은 보조 금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4는 리셉터클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6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7은 도 15의 C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8은 도 16의 D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9는 도 3의 E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0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1은 도 20의 F부 확대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2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3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4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5는 도 22의 G부 확대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6은 도 23의 H부 확대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7은 도 24의 J부 확대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8은 보조 금구의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9는 보조 금구의 평면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30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31은 도 30의 K부 확대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32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3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4는 도 32의 L부 확대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5는 도 33의 M부 확대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6은 보조 금구의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7은 보조 금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8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39는 도 38의 N부 확대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40은 특허문헌 1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opposes the plug connector with an electric wire to the receptacle connector mounted on the board | substrate (1st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lfway state of fitting of a plug connector with an electric wire to a receptacle connector mounted on a board (first embodimen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leted state of fitting of a plug connector with an electric wire to a receptacle connector mounted on a board (first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connector (first embodimen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first embodiment).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housing (first embodimen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housing viewed from another angle (first embodiment).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6 (first embodiment).
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first embodiment). FIG.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7 (first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bracket (first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other angle of the auxiliary tool (1st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other angle of the auxiliary tool (1st Embodiment).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contact (first embodiment).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first embodiment).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viewed from another angle (first embodiment).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15 (first embodiment). FIG.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D of FIG. 16 (first embodiment).
FIG. 19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E of FIG. 3 (first embodiment).
20 is a plan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second embodiment).
FIG. 2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F of FIG. 20 (second embodiment).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housing (third embodiment).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another angle of the receptacle housing (third embodiment).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housing viewed from another angle (third embodiment).
FIG. 2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G of FIG. 22 (third embodiment).
FIG. 2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H of FIG. 23 (third embodiment).
FIG. 2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J of FIG. 24 (third embodiment).
2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bracket (third embodiment).
29 is a plan view of the auxiliary bracket (third embodiment).
3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third embodiment).
FIG. 31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K of FIG. 30 (third embodiment).
3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housing (fourth embodiment).
3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angle of the receptacle housing (fourth embodiment).
Fig. 34 is an enlarged view of the L part in Fig. 32 (fourth embodiment).
FIG. 3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M of FIG. 33 (fourth embodiment).
3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bracket (fourth embodiment).
3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auxiliary bracket as viewed from another angle (fourth embodiment).
3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fourth embodiment).
FIG. 39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N of FIG. 38 (fourth embodiment).
40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 of Patent Document 1. FIG.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제1 실시 형태)(1st embodiment)

이하, 도 1∼도 19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19,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도 1∼도 3에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선(2)을 기판(3)에 접속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복수의 전선(2)을 지지하는 플러그 커넥터(4)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1 to 3 show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2 are connected to the board 3 using the wire-to-board connector 1. 1 to 3, the wire-to-board connector 1 includes a plug connector 4 supporting a plurality of wires 2 and a receptacle mounted o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3. The connector 6 is comprised.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7)와, 플러그 하우징(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7)는, 복수의 전선(2)의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것이다. 플러그 하우징(8)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7)를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8)은, 복수의 전선(2)을 지지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lug connector 4 includes a plurality of plug contacts 7 and a plug housing 8. The plurality of plug contacts 7 are attached to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s 2, respectively. The plug housing 8 supports the plurality of plug contacts 7. Therefore, the plug housing 8 supports the some electric wire 2.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6)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9)와, 리셉터클 하우징(10)과, 한 쌍의 보조 금구(1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9)는, 복수의 전선(2)에 대응하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9)를 지지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receptacle connector 6 includes a plurality of receptacle contacts 9, a receptacle housing 10, and a pair of auxiliary fittings 11. The plurality of receptacle contacts 9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wires 2. The receptacle housing 10 supports a plurality of receptacle contacts 9.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선(2)은, 서로 묶여 있지 않은 단선(單線) 또는 연선이다. 이를 대신하여, 복수의 전선(2)은, 플랫 케이블로서 묶여 있어도 좋다. 플랫 케이블이란, 피복된 전선(2)을 동일 피치로 복수개 나열하여 서로 융착한 것이다. 혹은, 복수의 전선(2)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서 묶여 있어도 좋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란, 평판형의 도체를 복수개 나열하여 피복한 리본 형상의 선재이다. 이 외에, 복수의 전선(2)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서 묶여 있어도 좋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란, 유연성이 있어 크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한 프린트 기판이다. As shown in FIGS. 1-3, the some wire 2 is a disconnection or stranded wire which is not tied together. Instead of this, the plurality of electric wires 2 may be bundled as a flat cable. The flat cable is a plurality of coated wires 2 arranged at the same pitch and fused together.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electric wires 2 may be bundled as a flexible flat cable. A flexible flat cable is a ribbon-shaped wire rod in which a plurality of flat conductors are arranged and coated. In addition, the some electric wire 2 may be bundled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has flexibility and can be greatly deformed.

기판(3)은, 종이 에폭시 기판이나 유리 에폭시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는, 예를 들면 표면 실장형 LED칩(12)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실장형 LED칩(12)으로부터 방사된 LED광이 차단되는 일이 없도록,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에는 저배화(低背化;reduction in height)가 요구되고 있다.The board | substrate 3 is comprised with the paper epoxy board | substrate or a glass epoxy board | substrate. O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 substrate 3, the surface mount type LED chip 12 is mounted, for example. In addition, reduction in height is required for the wire-to-board connector 1 so that the LED light emitted from the surface mount LED chip 12 is not blocked.

그리고,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각 전선(2)이 플러그 콘택트(7)를 통하여 리셉터클 콘택트(9)와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1 to 3, the electric wires 2 ar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tacts 9 through the plug contacts 7 by fitting the plug connectors 4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s 6. have.

여기에서, 「커넥터 탈착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 「커넥터 폭 방향」을 정의한다. 커넥터 탈착 방향은,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춤시키거나,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는 방향이다. 커넥터 탈착 방향 중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을 끼워맞춤 방향이라고 하고,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는 방향을 빠짐 방향(반(反)끼워맞춤 방향)이라고 한다. 끼워맞춤 방향은, 빠짐 방향과 반대의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탈착 방향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평행이다. 기판 직교 방향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기판 직교 방향 중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기판 근접 방향이라고 하고,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기판 이간(離間) 방향이라고 한다. 기판 직교 방향은,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커넥터 폭 방향은, 커넥터 탈착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커넥터 폭 방향 중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중앙으로 향하는 방향을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이라고 하고,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커넥터 폭 반(反)중앙 방향이라고 한다.Here,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the "board orthogonal direction", and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re defined.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plug connector 4 is fit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or the plug connector 4 is pulled ou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connector 4 is fit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in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fitting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connector 4 is pulled ou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ti). Custom direction). The fitting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moving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 substrate 3. The board orthogonal direction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3. The direction which comes close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 substrate 3 in the board |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is called board | substrate proximity direction, an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 substrate 3 is called board |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The board orthogonal direction has a relationship orthogonal to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and the board orthogonal directio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wire-to-board connector 1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is called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an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wire-to-board connector 1 is called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플러그 커넥터(4))(Plug connector (4))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는, 전술한 대로,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7)와, 플러그 하우징(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lug connector 4 includes a plurality of plug contacts 7 and a plug housing 8 as described above.

플러그 하우징(8)은,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와, 리셉터클 하우징 피(被)삽입부(16)와, 한 쌍의 로크편(lock piece;17)과, 한 쌍의 로크편 연결부(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The plug housing 8 includes a plug contact receiving portion 15, a receptacle housing insert 16, a pair of lock pieces 17, and a pair of lock piece connecting portions 18. It is comprised by).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에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수용실(19)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 수용실(19)은, 각 플러그 콘택트가 각각 압입되는 것이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수용실(19)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The plug contact accommodation portion 1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lug contact accommodation chambers 19. Each plug contact storage chamber 19 is each plug contact press-fitted. The plurality of plug contact accommodation chambers 19 are formed at a constant pitch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리셉터클 하우징 피삽입부(16)는,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의 끼워맞춤 방향의 단부에 접속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The receptacle housing to-be-inserted part 16 is connected to the edge part of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plug contact accommodating part 15, and is protruded in the fitting direction, and is formed.

한 쌍의 로크편(17)은,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 및 리셉터클 하우징 피삽입부(16)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길고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아암부(20)와, 클로부(21)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아암부(20)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21)는, 아암부(20)의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20a)에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21)는, 아암부(20)의 선단부(20a)에 접속하여,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21)는, 경사 가이드면(22)과, 로크면(23)을 갖고 있다. 경사 가이드면(22)은, 클로부(21)의 끼워맞춤 방향측의 면으로, 끼워맞춤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는 평면이다. 로크면(23)은, 클로부(21)의 빠짐 방향측의 면으로,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이다. 각 로크편(17)은, 아암부(20)의 길이 방향의 중도부(20b)에서, 각 로크편 연결부(18)를 통하여,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의 끼워맞춤 방향의 단부이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각 로크편 연결부(18)를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 되는 회전축으로서, 요동 가능하게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각 로크편(17)의 요동의 회전축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다. The pair of lock pieces 17 are arranged so as to sandwich the plug contact receiving portion 15 and the receptacle housing inserted portion 16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Each lock piece 17 is formed long and thin so that it may extend in a fitting direction. Each lock piece 17 has an arm portion 20 and a claw portion 21. The arm part 20 is formed long and thin so that it may extend in a fitting direction. The claw part 21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20a of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arm part 20. As shown in FIG. The claw part 21 is connected to the front-end | tip part 20a of the arm part 20, and protrudes in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and is formed. The claw portion 21 has an inclined guide surface 22 and a lock surface 23. The inclined guide surface 22 is a surface on the fitting direction side of the claw portion 21, and is a plane inclined so as to face the connector width half-central direction as the fitting direction is directed. The lock surface 23 is a surface on the side of the claw 21 that is pulled out, and i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Each lock piece 17 is an end portion in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plug contact receiving portion 15 via the lock piece connecting portion 18 at the intermediate portion 20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20.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mi-center direction. Each lock piece 17 is supported by the plug contact receiving portion 15 so as to be able to swing as a rotation axis in which the lock piece connecting portions 18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That is, the rotation axis of the rocking | fluctuation of each lock piece 17 is substantially parallel with respect to a board |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각 전선(2)의 단부에 부착된 플러그 콘택트(7)는, 플러그 하우징(8)의 플러그 콘택트 수용부(15)의 플러그 콘택트 수용실(19)에 삽입되면, 그의 일부가 리셉터클 하우징의 피삽입부(16)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When the plug contact 7 attached to the end of each electric wire 2 is inserted into the plug contact accommodating chamber 19 of the plug contact accommodating portion 15 of the plug housing 8, a part of the plug contact 7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housing.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gap formed in the portion 16.

(리셉터클 커넥터(6))(Receptacle Connector (6))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대로, 리셉터클 커넥터(6)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9)와, 리셉터클 하우징(10)과, 한 쌍의 보조 금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 as described above, the receptacle connector 6 includes a plurality of receptacle contacts 9, a receptacle housing 10, and a pair of auxiliary fittings.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10)은, 빠짐 방향으로 개구되는 상자형 형상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리셉터클 하우징(10)은, 천판(top plate;30)과, 저판(bottom plate;31), 측벽(32), 배판(33)을 가지며 중공(hollow)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셉터클 하우징(10)에는, 빠짐 방향으로 개구되는 플러그 삽입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30)은, 기 판 이간 방향을 향하는 상면(30a)을 갖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31)은,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하면(31a)을 갖고 있다. As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receptacle housing 10 is configured as a box-shaped shape that is opened in the removal direction. That is, the receptacle housing 10 has a top plate 30, a bottom plate 31, a side wall 32, and a back plate 33 and is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receptacle housing 10 is formed with a plug insertion hole 34 which is opened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top plate 30 has an upper surface 30a that faces the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As shown in FIG. 7, the bottom plate 31 has a lower surface 31a that faces the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다음으로, 도 6∼도 10을 참조하여, 측벽(32)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side wall 32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10.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32)은, 측벽 본체(35)와, 금구 지지부(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측벽 본체(35)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판체이다. 측벽 본체(35)는, 반중앙 방향을 향하는 측면(35a)을 갖고 있다. 금구 지지부(36)는, 보조 금구(11)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측벽 본체(35)의 빠짐 방향 근처의 부분으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to FIG. 6 and FIG. 7, the side wall 32 is comprised by the side wall main body 35 and the metal fitting support part 36. As shown in FIG. The side wall main body 35 is a plate body orthogonal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he side wall main body 35 has a side surface 35a facing in the semi-central direction. The metal fitting support part 36 is a part for supporting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and is formed protruding in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from the part near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side wall main body 35. As shown in FIG.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 지지부(36)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 어깨부(39)(도 9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 L자부(37)는, 전방 L자부(38)보다도 끼워맞춤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 L자부(38)는, 후방 L자부(37)보다도 빠짐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 L자부(37)의 기판 직교 방향의 높이는, 측벽 본체(35)의 기판 직교 방향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다. 전방 L자부(38)의 기판 직교 방향의 높이는, 측벽 본체(35)의 기판 직교 방향의 높이의 대략 절반이다. As shown in FIGS. 8-10, the bracket support part 36 is comprised by the rear L-shaped part 37, the front L-shaped part 38, and the shoulder part 39 (refer FIG. 9). The rear L-shaped portion 37 is disposed on the fitting direction side than the front L-shaped portion 38. The front L-shaped part 38 is arrange | positioned rather than the rear L-shaped part 37 at the side of a remov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rear L-shaped portion 37 in the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side wall main body 35 in the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front L-shaped part 38 in the board |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is about half of the height of the side wall main body 35 of the board |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후방 L자부(37)는, 후방 L자 기부(base portion;40)와, 후방 L자 선단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 L자 기부(40)는, 측면(35a)에 접속하여,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평판이다. 후방 L자 기부(40)는,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후방 L자 선단부(41)는, 후방 L자 기부(40)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의 단부에 접속하여, 빠짐 방향으로 돌출되는 평판이다. 후방 L자 선단부(41)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후방 L자 선단부(41)에는, 패임(42)이 형성되어 있다. 패임(42)은, 기판 이간 방향 및 빠짐 방향,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으로 개구된다. 패임(42)은, 후방 L자 선단부(41)의 기판 이간 방향측 및 빠짐 방향측,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후방 L자 선단부(41)는, 후방 틈 형성면(43), 가교 가이드 수취면(44), 가교 가이드 누름면(45)을 갖고 있다. 후방 틈 형성면(43)은, 후방 L자 선단부(41)의 빠짐 방향측의 선단의 평면이다. 후방 틈 형성면(43)은,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가교 가이드 수취면(44)은, 패임(42)의 기판 근접 방향측을 구획(define)하는 평면이다. 가교 가이드 수취면(44)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가교 가이드 누름면(45)은, 패임(42)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을 구획하는 평면이다. 가교 가이드 누름면(45)은,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The rear L-shaped portion 37 is composed of a rear L-shaped base portion 40 and a rear L-shaped tip 41. The rear L-shaped base 40 is a flat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35a and protrudes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The rear L-shaped base 40 is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is a flat plate that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rear L-shaped base 40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and protrudes in the releasing direction.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is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 recess 42 is formed in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The recess 42 is opened in the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and the disengaging direction and the connector width half-center direction. The recess 42 is formed on the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side, the disengaging direction side, and the connector width half-central direction side of the rear L-shaped tip end portion 41.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has a rear gap formation surface 43, a bridge construction guide receiving surface 44, and a bridge construction guide pressing surface 45. The rear gap formation surface 43 is a plane of the tip of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on the releasing direction side. The rear gap formation surface 43 is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receiving surface 44 is a plane which divides the board | substrate proximity direction side of the recess 42. As shown in FIG.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receiving surface 44 is orthogonal to a board |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ress surface 45 is a plane which divides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side of the recess 42. As shown in FIG.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ressing surface 45 is orthogonal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전방 L자부(38)는, 전방 L자 기부(50)와, 전방 L자 선단부(5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 L자 기부(50)는, 측면(35a)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이며 기판 근접 방향 근처의 부분에 접속하여,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주체(角柱體)이다. 전방 L자 기부(50)는,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는 상면(52)을 갖고 있다. 전방 L자 선단부(51)는, 전방 L자 기부(50)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의 단부에 접속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주체이다. 전방 L자 선단부(51)는,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는 상면(53)과, 끼워맞춤 방향을 향하는 전방 틈 형성면(54)을 갖고 있다. 전방 L자부(38)는, 가이드 경사면(55)을 갖고 있다. 가이드 경사면(55)은, 전방 L자 기부(50)와 전방 L자 선단부(51)의 접속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경사면(55)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The front L-shaped part 38 is comprised by the front L-shaped base 50 and the front L-shaped tip part 51. As shown in FIG. The front L-shaped base 50 is an edge of the side of the side 35a in the disengagement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a portion near the substrate close direction, and is a prismatic body projecting in the connector width half-central direction. The front L-shaped base 50 has an upper surface 52 that faces the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The front L-shaped tip portion 51 is a corner body that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front L-shaped base 50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and protrudes in the fitting direction. The front L-shaped tip portion 51 has an upper surface 53 facing the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and a front gap forming surface 54 facing the fitting direction. The front L-shaped portion 38 has a guide inclined surface 55. The guide inclined surface 55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ront L-shaped base 50 and the front L-shaped tip 51. The guide inclined surface 55 is inclined so as to face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as it goes to the fitting direction.

그리고,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의 후방 틈 형성면(43)과,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선단부(51)의 전방 틈 형성면(54)과의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되어 있다. 틈(g)은, 보조 금구(11)를 리셉터클 하우징(10)에 부착하기 위한, 기판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이다. 후방 틈 형성면(43)은, 틈(g)의 끼워맞춤 방향측을 구획한다. 전방 틈 형성면(54)은, 틈(g)의 빠짐 방향측을 구획한다. Then, the rear gap forming surface 43 of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of the rear L-shaped portion 37 and the front gap forming surface 54 of the front L-shaped tip portion 51 of the front L-shaped portion 38 are formed. The gap g is formed in between. The gap g is a spa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for attaching the auxiliary fitting 11 to the receptacle housing 10. The rear gap formation surface 43 partitions the fitting direction side of the gap g. The front gap formation surface 54 partitions the side in which the gap g is taken out.

어깨부(39)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L자 기부(40)의 기판 근접 방향 근처의 부분에 접속하여, 빠짐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어깨부(39)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 측벽 본체(35)와 후방 L자 선단부(41)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39)는,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는 상면(56)을 갖고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shoulder part 39 is a part which connects to the part near the board |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of the rear L-shaped base 40, and protrudes in a ripping direction. The shoulder portion 39 is formed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side wall body 35 and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he shoulder portion 39 has an upper surface 56 facing the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 지지부(36)의 기판 근접 방향측에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 패이는 땜납 회피 패임(57)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solder avoidance groove 57 which forms in the board |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side is formed in the board | substrate close direction direction side of the bracket support part 36.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도 11∼도 13을 참조하여, 한 쌍의 보조 금구(11)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 쌍의 보조 금구(11)는, 리셉터클 커넥터(6)의 커넥터 폭 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11-13, the pair of auxiliary metal fittings 11 is demonstrated. Since the pair of auxiliary brackets 11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the center of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interposed therebetween, only one of them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will be omitted.

보조 금구(11)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이다. 보조 금구(11)는, 하우징 피지지부(60)와 기판 피고정부(61), 연결부(62), 제1 되접힘부(63), 가교 가이드부(64), 틈 메움부(6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The auxiliary fitting 11 is a component for fixing the receptacle housing 10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3. The auxiliary bracket 11 is formed by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60, the substrate-fixed portion 61, the connecting portion 62, the first retracted portion 63, the bridge guide portion 64, and the gap filling portion 65. Consists of.

하우징 피지지부(60)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의 금구 지지부(36)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하우징 피지지부(60)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판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피지지부(60)는, 피압입부(66), 전방 어깨부(67), 후방 어깨부(6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 어깨부(67)는, 피압입부(66)의 기판 이간 방향측의 단부이며 빠짐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여, 빠짐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방 어깨부(67)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좌면(座面;67a)을 갖는다. 후방 어깨부(68)는, 피압입부(66)의 기판 이간 방향측의 단부이며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후방 어깨부(68)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좌면(68a)을 갖는다. The housing supported part 60 is a part supported by the bracket support part 36 of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60 is a flat plat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13,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is comprised by the to-be-pressed part 66, the front shoulder part 67, and the rear shoulder part 68. As shown in FIG. The front shoulder portion 67 is an end portion on the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side of the press-fitted portion 66 that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n the detachment direction side and protrudes in the detachment direction. The front shoulder part 67 has a seat surface 67a which faces the board |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The rear shoulder portion 68 is an end portion on the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side of the press-fitted portion 66 that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n the fitting direction side and protrudes in the fitting direction. The rear shoulder portion 68 has a seat surface 68a that faces the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기판 피고정부(61)는,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납땜으로 고정되는 부분이다. 기판 피고정부(61)는,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판이다. 기판 피고정부(61)는, 기판 근접 방향으로 보아, 하우징 피지지부(60)보다도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The board | substrate fixed part 61 is a part fixed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 substrate 3 by soldering. The board | substrate fixed part 61 is a flat plate orthogonal to a board |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The board | substrate fixed part 61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side rather than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viewed from the board | substrate proximity direction.

연결부(62)는, 하우징 피지지부(60)와 기판 피고정부(61)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연결부(62)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기판 근접 방향측의 단부와, 기판 피고정부(61)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연결부(62)는, 매끄럽게 만곡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connection part 62 is a part which connects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and the board | substrate fixed part 61.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part 62 is connected to the edge part of the board | substrate close direction direction side of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and the edge part of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side of the board | substrate fixed part 61.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portion 62 is formed to be smooth.

제1 되접힘부(63)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으로 180도, 되접혀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는, 제1 되접힘부(63)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전방 어깨부(67)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제1 되접힘부(63)는, 만곡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되접힘부(63)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하면(63a)을 갖고 있다.The first retracted portion 63 is a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60 in the releasing direction side and folds 180 degrees toward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In detail, the 1st retracting part 63 is connected to the edge part of the removal direction side of the front shoulder part 67 of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As shown in FIG. The first retracted portion 63 is curved.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retracted portion 63 has a lower surface 63a that faces the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가교 가이드부(64)는, 제1 되접힘부(63)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틈(g)(도 8을 아울러 참조)을 걸치도록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교 가이드부(64)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전방 하면(64a)과,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후방 하면(64b)을 갖고 있다. 전방 하면(64a)은, 틈 메움부(65)보다도 빠짐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 하면(64b)은, 틈 메움부(65)보다도 끼워맞춤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connects to the edge part of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side of the 1st retracting part 63, and extends in the fitting direction so that the gap g (refer also to FIG. 8) may be covered. It is a part. As shown in FIG. 12,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has the front lower surface 64a toward a board | substrate proximate direction, and the rear lower surface 64b toward a board | substrate proximate direction. The front lower surface 64a is located at the side of the disengagement direction than the gap filling portion 65. The rear lower surface 64b is located closer to the fitting direction than the gap filling portion 65.

틈 메움부(65)는, 틈(g)(도 8을 아울러 참조)를 메우기 위한 부분이다. 틈 메움부(65)는, 가교 가이드부(64)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 접속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틈 메움부(65)는, 가교 가이드부(64)와 제1 되접힘(63)를 통하여 하우징 피지지부(60)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틈 메움부(65)는, 제1 되접힘부(63)를 통하여 하우징 피지지부(60)에 지지되어 있다고 언급할 수 있다. The gap filling portion 65 is a portion for filling the gap g (see also FIG. 8). The gap filling portion 65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64 and protrudes in the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The gap filling part 65 is supported by the housing supported part 60 through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and the 1st refolding 63. Therefore, it may be mentioned that the gap filling portion 65 is supported by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60 through the first retracting portion 63.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각 리셉터클 콘택트(9)를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콘택트(9)는, 빠짐 방향측으로 개구되는 U자부(70)와, 기판 접속 각부(脚部; 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판 접속 각부(71)는, U자부(70)의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14, each receptacle contact 9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4, each receptacle contact 9 is comprised by the U-shaped part 70 opened to the removal direction side, and the board | substrate connection angle part 71. As shown in FIG. The board | substrate connection leg part 71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edge part of the fitting direction side of the U-shaped part 70. As shown in FIG.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Assembling method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도 18에는,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적절히 참조했으면 한다.Next, a method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6 will be described. 15 to 18 show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completed.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배판(33)의 복수의 콘택트 삽입구멍에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9)를 압입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의 금구 지지부(36)에 보조 금구(11)를 기판 근접 방향에서 부착한다. First, the plurality of receptacle contacts 9 are press-fitted into the plurality of contact insertion holes of the back plate 33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shown in FIG. 6. Next,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is attached to the bracket support part 36 of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shown in FIG.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를, 도 8에 나타내는 금구 지지부(36)의 기판 이간 방향측에 위치 결정한 후에,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를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강하시킨다. 그러면, 도 13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의 연결부(62)가 도 8에 나타내는 틈(g) 내에 진입함과 함께, 도 13에 나타내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피압입부(66)가 도 9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기부(50)와 어깨부(39)와의 사이에 압입된다.Specifically, after positioning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shown in FIG. 11 on the board |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side of the metal fitting support part 36 shown in FIG. 8,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is directed toward the metal fitting support part 36, and a board | substrate proximate direction. Descent Then, while the connection part 62 of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shown in FIG. 13 enters in the clearance g shown in FIG. 8, the to-be-pressed part 66 of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shown in FIG. It press-fits between the front L-shaped base 50 and the shoulder part 39 of the front L-shaped part 38 shown in FIG.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로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계속해서 강하시키면, 머지 않아, (a) 도 13에 나타내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전방 어깨부(67)의 좌면(67a)이 도 8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기부(50)의 상면(52)에 착좌한다. (b) 동시에, 도 13에 나타내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후방 어깨부(68)의 좌면(68a)이 도 9에 나타내는 어깨부(39)의 상면(56)에 착좌한다. (c) 동시에, 도 12에 나타내는 제1 되접힘부(63)의 하면(63a)이 도 8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기부(50)의 상면(52)에 착좌한다. (d) 동시에, 도 12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전방 하면(64a)이, 도 8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선단부(51)의 상면(53)에 착좌한다. (e) 동시에, 도 12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후방 하면(64b)이, 도 8에 나타내는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의 가교 가이드 수취면(44)에 착좌한다. 이상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는, 도 8에 나타내는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의 가교 가이드 누름면(45)에 대향하고 있다. 이 가교 가이드 누름면(45)의 존재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은 금지되게 된다. If the auxiliary bracket 11 is continuously lowered toward the bracket support 36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the seat surface 67a of the front shoulder 67 of the housing-supported portion 60 shown in FIG. It seats on the upper surface 52 of the front L-shaped base 50 of the front L-shaped part 38 shown in this FIG. (b) At the same time, the seat face 68a of the rear shoulder part 68 of the housing supported part 60 shown in FIG. 13 seats on the upper surface 56 of the shoulder part 39 shown in FIG. (c) At the same time, the lower surface 63a of the first retracted portion 63 shown in FIG. 12 seats on the upper surface 52 of the front L-shaped base 50 of the front L-shaped portion 38 shown in FIG. 8. (d) Simultaneously, the front lower surface 64a of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shown in FIG. 12 seats on the upper surface 53 of the front L-shaped tip part 51 of the front L-shaped part 38 shown in FIG. (e) At the same time, the rear lower surface 64b of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64 shown in FIG. 12 is connected to the crosslinking guide receiving surface 44 of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of the rear L-shaped portion 37 shown in FIG. Take a seat. The assembly work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completed by the above. In this state,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shown in FIG. 11 opposes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ress surface 45 of the rear L-shaped tip part 41 of the rear L-shaped part 37 shown in FIG. Due to the existence of the crosslinking guide pressing surface 45, elastic deformation of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64 shown in Fig. 11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is prohibited.

(리셉터클 커넥터(6)의 탑재 방법)(Mounting method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6)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탑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6)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탑재하려면, 도 17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의 기판 피고정부(61)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형성된 도시를 생략한 패드에 납땜한다. 이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32)의 금구 지지부(36)에는 땜납 회피 패임(5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금구(11)의 기판 피고정부(61)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납땜할 때에 땜납이 만일 과도하게 부풀어 올라도, 그 부품이 리셉터클 하우징(10) 자체를 기판 이간 방향으로 들뜨게 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도 14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콘택트(9)의 기판 접속 각부(71)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형성된 도시를 생략한 전극 패드에 납땜한다. 이상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6)를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 상에 탑재하는 작업을 완료된다. 상기 (a)∼(e)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금구(11)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누르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 이간 방향으로 들어 올리고자 하는 힘이 리셉터클 하우징(10)에 작용해도, 리셉터클 하우징(10)은, 보조 금구(11)에 의해 효과적으로 기판 근접 방향측으로 눌리게 된다.Next, the method of mounting the receptacle connector 6 o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 substrate 3 is demonstrated. To mount the receptacle connector 6 o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3, the board fixing part 61 of the auxiliary fitting 11 shown in FIG. 17 is mounted o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3. Solder to a pad, not show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0, since the solder avoidance recesses 57 are formed in the metal fitting support 36 of the side wall 32, the substrate fixing part 61 of the auxiliary fitting 11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substrate 3. Even if the solder swells excessively when soldering on the mounting surface 5, the component does not lift the receptacle housing 10 itself in the direction of substrate separation. On the other hand, the board connection angle part 71 of each receptacle contact 9 shown in FIG. 14 is soldered to the electrode pad which abbreviate | omitted illustration formed o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 substrate 3. As shown in FIG. By the above, the operation | work which mounts the receptacle connector 6 o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 substrate 3 is completed. As described in the above (a) to (e), since the auxiliary bracket 11 is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receptacle housing 10 is pressed toward the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the receptacle housing 10 is lifted in the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Even if a desired force acts on the receptacle housing 10, the receptacle housing 10 is effectively pressed toward the substrate close direction by the auxiliary bracket 11.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작업) (Fitting operation of wire-to-board connector 1)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춤시키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춤시키려면,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의 빠짐 방향측에 위치 결정한 후에,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향하여 전진시킨다. 그러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의 한 쌍의 로크편(17)이 리셉터클 커넥터(6)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감싸안음으로써, 플러그 커넥터(4)는 리셉터클 커넥터(6)에 고정된다.Next, the operation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4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it the plug connector 4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first, as shown in FIG. 1, after positioning the plug connector 4 to the retraction direction 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the plug connector 4 )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The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air of lock pieces 17 of the plug connector 4 surrounds the receptacle connector 6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whereby the plug connector 4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 6) is fixed.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향하여 전진시키면, 도 4에 나타내는 로크편(17)의 클로부(21)의 경사 가이드면(22)이 도 17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가이드 경사면(55)에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경사 가이드면(22)은, 가이드 경사면(55)으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의 힘을 받아, 로크편(17)의 회전을 수반하면서,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향하여 더욱 전진시키면, 도 4에 나타내는 로크편(17)의 클로부(21)는, 로크편(1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측벽(32)의 금구 지지부(36)로 향하여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눌리면서 끼워맞춤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때, 금구 지지부(36)를 구성하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의 사이의 틈(g)(도 8 참조)이, 보조 금구(11)의 틈 메움부(65)에 의해 메워져 소실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문제가 해결된다. 즉, 금구 지지부(36)를 구성하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의 사이의 틈(g)이 잔존하고 있으면,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로크편(1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틈(g) 내로 끼어버리고, 이와 같이 꼈을 때의 감촉으로,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4)가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춘 것으로 착각하여,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구 지지부(36)를 구성하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의 사이의 틈(g)이 틈 메움부(65)에 의해 메워져 있기 때문에,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특별한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회피된다.Specifically, when the plug connector 4 is advanced toward the receptacle connector 6, the front L-shaped portion of the inclined guide surface 22 of the claw portion 21 of the lock piece 17 shown in FIG. 4 is shown in FIG. 17. The guide inclined surface 55 of 38 is contacted. By this contact, the inclined guide surface 22 receives the force of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from the guide inclined surface 55, and elastically displaces in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with rotation of the lock piece 17. As shown in FIG. When the plug connector 4 is further advanced toward the receptacle connector 6, the claw portion 21 of the lock piece 17 shown in FIG. 4 is formed of the side wall 32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lock piece 17. It is pushed toward the bracket support part 36 toward the fitting width while being pr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nector width. At this time, the gap g (see FIG. 8) between the rear L-shaped portion 37 and the front L-shaped portion 38 constituting the bracket support portion 36 is formed in the gap filling portion 65 of the auxiliary bracket 11. Since it fills up and disappears, the following problem is solved. That is, if the clearance g between the rear L-shaped part 37 and the front L-shaped part 38 which comprises the bracket support part 36 remain | survives, the claw part 21 of the lock piece 17 is a lock piece.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17), the operator is mistaken that the plug connector 4 is fit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by the feeling of being inserted into the gap g and thus worn. A problem arises that results in an uncertain fit between 4)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6. 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learance g between the back L-shaped part 37 and the front L-shaped part 38 which comprise the bracket support part 36 is filled by the gap filling part 65, each lock The claw portion 21 of the piece 17 can smoothly proceed in the fitting direction. And since there is no special discomfort when the claw part 21 of each lock piece 17 advances to a fitting direction, uncertain fitting of the plug connector 4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avoid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금구(11)는, 틈(g)(도 8 참조)을 걸치도록 연장되는 가교 가이드부(64)를 추가로 갖고 있다. 따라서, 로크편(17)의 클로부(21)는, 틈(g)을 걸칠 때에, 가교 가이드부(64) 상을 슬라이드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한층 회피되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further has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extended so that the gap g (refer FIG. 8) may be extended. Therefore, the claw part 21 of the lock piece 17 can slide on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and can advance to a fitting direction, when engaging the clearance g. As a result, an uncertain fit between the plug connector 4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further avoided.

도 19에는, 로크편(17)의 클로부(21)의 로크면(23)이, 금구 지지부(36)의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기부(40)의 배면(40a)에 걸려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In FIG. 19, the lock surface 23 of the claw portion 21 of the lock piece 17 is caught by the rear surface 40a of the rear L-shaped base 40 of the rear L-shaped portion 37 of the metal fitting support 36. It shows the state that there is.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빼냄 작업)(Pull out the wire-to-board connector 1)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는 작업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려면, 도 19의 상태에서, 클로부(21)가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도록 로크편(17)을 회전시켜, 클로부(21)가 후방 L자부(37)에 걸려 있는 상태를 해소시킨 후에, 플러그 커넥터(4)를 빠짐 방향으로 빼면 좋다.Next,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pulls out the plug connector 4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demonstrated. In order to pull out the plug connector 4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6, in the state of FIG. 19, the lock piece 17 is rotated so that the claw part 21 may elastically displace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a connector width, and the claw part 21 The plug connector 4 may be pulled out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after releasing the state of the hanging on the rear L-shaped portion 37.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 characteristic of said 1st Embodiment is as follows.

(1)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전선(2)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8)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4)와, 전선(2)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9)와, 리셉터클 콘택트(9)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갖고,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6)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전선(2)이 리셉터클 콘택트(9)와 도통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평행이다. 플러그 하우징(8)에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17)이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20)와, 아암부(20)의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20a)에 형성된 클로부(21)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4)는, 플러그 커넥터(4)의 한 쌍의 로크편(17)이 리셉터클 커넥터(6)를 감싸안음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6)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6)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11)를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에는, 보조 금구(11)를 리셉터클 하우징(10)에 부착하기 위한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g)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금구(11)는, 틈(g)을 메우는 틈 메움부(65)를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틈(g)이 메워져 있기 때문에,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특별한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회피된다. (1) The wire-to-board connector 1 includes a plug connector 4 having a plug housing 8 supporting the wire 2, a receptacle contact 9 corresponding to the wire 2, and a receptacle contact ( It has the receptacle housing 10 which supports 9,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6 mounted i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 substrate 3 is provided. By fitting the plug connector 4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the electric wire 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tact 9. The fitting direction as a direction for fitting the plug connector 4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paralle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3. The plug housing 8 is provided with a pair of lock pieces 17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Each lock piece 17 is comprised with the arm part 20 extended in a fitting direction, and the claw part 21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20a of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arm part 20. As shown in FIG. The plug connector 4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lock pieces 17 of the plug connector 4 are fix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by enclosing the receptacle connector 6. The receptacle connector 6 has an auxiliary bracket 11 for fixing the receptacle housing 10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3. In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a gap g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substrate 3 for attaching the auxiliary fitting 11 to the receptacle housing 10. Is formed.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has the gap filling part 65 which fills in the clearance g.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clearance g is filled, the claw part 21 of each lock piece 17 can advance smoothly to a fitting direction. And since there is no special discomfort when the claw part 21 of each lock piece 17 advances to a fitting direction, uncertain fitting of the plug connector 4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avoided.

(2, 9, 11) 보조 금구(11)는, 틈 메움부(65)와,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지지부(60)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61)와, 하우징 피지지부(60)와 기판 피고정부(61)를 연결하는 연결부(62)를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의 틈(g)은, 보조 금구(11)를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에 부착할 때에, 연결부(62)가 통과하는 것이다. (2, 9, 11)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includes a gap filling portion 65, a housing supported portion 60 supported in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A substrate fixing portion 61 fixed to the surface 5 and a connecting portion 62 connecting the housing supporting portion 60 and the substrate fixing portion 61 to each other. The gap g of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is such that the connecting portion 62 passes when the auxiliary fitting 11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3) 보조 금구(11)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빠짐 방향(끼워맞춤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서의 반(反)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1 되접힘부(63)를 갖는다. 틈 메움부(65)는, 제1 되접힘부(63)를 통하여 하우징 피지지부(60)에 지지되어 있다. (3)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in the releasing direction (anti-fitting direction a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folded back. It has the retracting part 63. The gap filling portion 65 is supported by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60 via the first retracted portion 63.

(5, 8) 보조 금구(11)는, 제1 되접힘부(63)에 접속함과 함께, 틈(g)을 걸치도록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교 가이드부(64)를 추가로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한층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5, 8)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further has a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extended in the fitting direction so that the clearance g may be connected, while connecting to the 1st refolding part 63.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claw part 21 of each lock piece 17 can go further smoothly to a fitting direction.

(7) 틈 메움부(65)는, 가교 가이드부(64)에 접속하고 있다.(7) The gap filling portion 65 is connected to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64.

이상에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의 제1 실시 형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Although 1st Embodiment was described above, said 1st Embodiment can be changed as follows, for example.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틈 메움부(65)는, 하우징 피지지부(60)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기판 피고정부(6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해도 좋다.As shown in FIG. 11, although the gap filling part 65 was supposed to be supported by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in the said 1st Embodiment, it replaces so that it may be supported by the board | substrate-fixed part 61 instead. You may also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편(17)의 클로부(21)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의 금구 지지부(36)에 걸리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로크편(17)의 클로부(21)는, 보조 금구(11)에 걸리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9, in the said 1st Embodiment, although the claw part 21 of the lock piece 17 was caught by the metal fitting support part 36 of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Instead of this, the claw portion 21 of the lock piece 17 may be caught by the auxiliary bracket 11.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and 21. Fig. Here,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centering around a point different from the said 1st embodim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In addition, as a general rul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of the said 1st Embodiment.

측벽(32)은, 전면(前面; 32a)을 갖고 있다. 전면(32a)은, 빠짐 방향을 향하고,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금구(11)의 제1 되접힘부(63)가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의 전면(32a)보다도 빠짐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제1 되접힘부(63)가,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출 때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클로부(21)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밀어 제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게 된다.The side wall 32 has a front surface 32a. The front surface 32a is a plane which faces the extraction direction and orthogonal to a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1, the 1st retracting part 63 of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coming off rather than the front surface 32a of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1st retracting part 63 fits the plug connector 4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the 1st retracting part 63 pushes the claw part 21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to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and is removed. It serves as a guide.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제2 실시 형태는,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 Although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2nd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4) 제1 되접힘부(63)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보다도 빠짐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제1 되접힘부(63)가,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출 때에 클로부(21)를 외측으로 밀어 제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게 된다.(4) The first retracted portion 63 protrudes toward the disengagement direction than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1st retracting part 63 fits the plug connector 4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it functions as a guide which pushes the claw part 21 outward.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22∼도 31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31. Here,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centering around a point different from the said 1st embodim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In addition, as a general rul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of the said 1st Embodiment.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L자 선단부(41)에, 기판 이간 방향 및 빠짐 방향,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개구되는 패임(42)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L자 선단부(41)에는, 기판 이간 방향 및 커넥터 탈착 방향,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개구되는 패임(80)이 형성되어 있다. 패임(80)은, 후방 L자 선단부(41)의 기판 이간 방향측 및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후방 L자 선단부(41)는, 후방 틈 형성면(43), 가교 가이드 수취면(81), 가교 가이드 누름면(82)을 갖고 있다. 후방 틈 형성면(43)은, 커넥터 탈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가교 가이드 수취면(81)은, 패임(80)의 기판 근접 방향측을 구획하는 평면이다. 가교 가이드 수취면(81)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가교 가이드 누름면(82)은, 패임(80)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을 구획하는 평면이다. 가교 가이드 누름면(82)은,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In the said 1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recess 42 which opens in the board |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a pull-out direction, and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is formed in the back L-shaped front-end | tip 41. As shown in FIG. However, instead of this,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25 and FIG. 26, the recess 80 opened to the back L-shaped front-end | tip part 41 in the board |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a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and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Is formed. The recess 80 is formed in the board |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side of the rear L-shaped front-end | tip part 41, and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side.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has a rear gap formation surface 43, a bridge construction guide receiving surface 81, and a bridge construction guide pressing surface 82. The rear gap forming surface 43 is orthogonal to and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receiving surface 81 is a plane which divides the board | substrate proximity direction side of the recess 80. As shown in FIG.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receiving surface 81 is orthogonal to a board |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ressing surface 82 is the plane which divides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side of the recess 80. As shown in FIG.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ressing surface 82 is orthogonal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L자 기부(40)에, 기판 이간 방향 및 끼워맞춤 방향으로 개구되는 걸림부 삽입홈(83)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 삽입홈(83)은, 후방 L자 기부(40)의 기판 이간 방향측 및 끼워맞춤 방향측,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후방 L자 기부(40)는, 걸림부 수취면(84)을 갖고 있다. 걸림부 수취면(84)은, 걸림부 삽입홈(83)의 기판 근접 방향측을 구획하는 평면이다. 걸림부 수취면(84)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측벽 본체(35)의 측면(35a)은, 걸림부 삽입홈(83)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7, the engaging part insertion groove 83 opened in the back direction and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board | substrate L-shaped base 40 is formed. The engaging portion insertion groove 83 is formed on the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side, the fitting direction side, and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side of the rear L-shaped base 40. The rear L-shaped base 40 has a locking portion receiving surface 84. The engaging portion receiving surface 84 is a plane that partitions th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insertion groove 83 in the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The engaging portion receiving surface 84 is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cross direction. The side surface 35a of the side wall main body 35 partitions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side of the locking part insertion groove 83.

다음으로,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보조 금구(11)를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28 and FIG. 29,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is demonstrated.

본 실시 형태의 보조 금구(11)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하우징 피지지부(60) 및 기판 피고정부(61), 연결부(62), 제1 되접힘부(63), 가교 가이드부(64)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 금구(11)는, 또한, 제2 되접힘부(85)와 걸림부(86)를 갖고 있다.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of this embodiment is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the board | substrate fixed part 61, the connection part 62, the 1st retracting part 63, and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like the said 1st Embodiment. 64). The auxiliary fitting 11 further has a second retracted portion 85 and a locking portion 86.

제2 되접힘부(85)는, 가교 가이드부(64)의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으로 180도, 되접혀 형성되는 부분이다. 제2 되접힘부(85)는, 만곡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되접힘부(85)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하면(85a)을 갖고 있다. The second retracted portion 85 is a portion formed by being folded 180 degrees toward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n the fitting direction side of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64. The second retracted portion 85 is curved. The second retracted portion 85 has a bottom surface 85a that faces the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걸림부(86)는, 제2 되접힘부(85)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빠짐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걸림부(86)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하면(86a)을 갖고 있다.The locking portion 86 is a portion extending in the pullout dir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n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side of the second retracted portion 85. The locking portion 86 has a lower surface 86a that faces the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 (Assembling method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30 및 도 31에는,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적절히 참조했으면 한다.Next, a method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6 will be described. 30 and 31 show a state where the assembly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completed.

도 28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를, 도 25에 나타내는 금구 지지부(36)의 기판 이간 방향측에 위치 결정한 후에,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를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강하시킨다. 그러면, 도 28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의 연결부(62)가 도 25에 나타내는 틈(g) 내로 진입함과 함께, 도 28에 나타내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피압입부(66)가 도 25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기부(50)와 도 26에 나타내는 어깨부(39)와의 사이에 압입된다. After positioning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shown in FIG. 28 on the board |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side of the metal fitting support part 36 shown in FIG. 25,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is dropped toward the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36 toward a board | substrate proximate direction. Then, the connecting part 62 of the auxiliary fitting 11 shown in FIG. 28 enters into the clearance g shown in FIG. 25, and the to-be-pressed part 66 of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shown in FIG. It press-fits between the front L-shaped base 50 of the front L-shaped part 38 shown in 25, and the shoulder part 39 shown in FIG.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를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계속해서 강하시키면, 머지 않아, 전술한 (a)∼(d)에 더하여, (f) 동시에, 도 28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후방 하면(64b)이 도 25에 나타내는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의 가교 가이드 수취면(81)에 착좌한다. (g) 동시에, 도 28에 나타내는 걸림부(86)의 하면(86a)이, 도 27에 나타내는 걸림부 삽입홈(83)의 걸림부 수취면(84)에 착좌한다. 이때, 도 28에 나타내는 걸림부(86)는, 도 27에 나타내는 걸림부 삽입홈(83) 내에 수용되게 된다. 이상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도 28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는, 도 27에 나타내는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의 가교 가이드 누름면(82)에 대향하고 있다. 이 가교 가이드 누름면(82)의 존재에 의해, 도 28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은 금지되게 된다. 또한, 도 28에 나타내는 걸림부(86)가 도 27에 나타내는 걸림부 삽입홈(83) 내에 수용됨으로써, 도 28에 나타내는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금지되게 된다. If the auxiliary bracket 11 is continuously lowered toward the bracket support portion 36 in the direction proximate to the substrate, sooner or later,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a) to (d), (f) at the same time,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shown in FIG. The rear lower surface 64b of 64 is seated on the bridge guide guide receiving surface 81 of the rear L-shaped tip 41 of the rear L-shaped portion 37 shown in FIG. (g) At the same time, the lower surface 86a of the locking portion 86 shown in FIG. 28 seats on the locking portion receiving surface 84 of the locking portion insertion groove 83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86 shown in Fig. 28 is used in the locking portion recess groove 83 shown in Fig. 27. The assembly work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completed by the above. In this state,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shown in FIG. 28 opposes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ress surface 82 of the rear L-shaped tip part 41 of the rear L-shaped part 37 shown in FIG. Due to the existence of the crosslinking guide pressing surface 82, elastic deformation of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64 shown in FIG. 28 toward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is prohibited. 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portion 86 shown in FIG. 28 is accommodated in the locking portion insertion groove 83 shown in FIG. 27,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64 shown in FIG. 28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prohibited. do.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빼냄 작업)(Pull out the wire-to-board connector 1)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는 작업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부터 빼내려면, 클로부(21)가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도록 로크편(17)을 회전시킨 후에(도 19를 아울러 참조), 플러그 커넥터(4)를 빠짐 방향으로 빼내면 좋다. 이때,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문제가 해결된다. 즉,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금지되어 있지 않으면, 클로부(21)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킬 때에, 클로부(21)가 제2 되접힘부(85)를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동시에 당겨버려, 클로부(21)의 제2 되접힘부(85)에 대한 걸림이 좀처럼 해제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클로부(21)가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면, 클로부(21)의 제2 되접힘부(85)에 대한 걸림이 신속하게 해제되게 된다. Next,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pulls out the plug connector 4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demonstrated. To pull out the plug connector 4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6, after rotating the lock piece 17 so that the claw portion 21 is elastically displaced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see also FIG. 19), the plug connector ( 4) can be pulled out. 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rosslinking guide part 64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 variety is prohibited, the following problem is solved. That is, if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rosslinking guide part 64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not prohibited, when the claw part 21 is elastically displaced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the claw part 21 will become the second. The folding part 85 is pulled simultaneously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 variety, and the problem that the catch | engagement with respect to the 2nd retracting part 85 of the claw part 21 rarely comes to a release aris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to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is forbidden, when the claw part 21 elastically displaces to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it will become 2nd of the claw part 21. The catches on the folds 85 are quickly released.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제3 실시 형태는,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Although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3rd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6) 보조 금구(11)는, 가교 가이드부(64)의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2 되접힘부(85)와, 제2 되접힘부(85)에 접속함과 함께, 빠짐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86)를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에는, 보조 금구(11)의 걸림부(86)가 삽입되는 걸림부 삽입홈(83)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가교 가이드부(64)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6) The auxiliary bracket 11 is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64 in the fitting direction side, and the second refolding portion 85 and the second refolding portion 85 are formed to be folded back. ), And has a locking portion 86 extending in the disengagement direction. In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a locking portion inserting groove 83 into which the locking portion 86 of the auxiliary fitting 11 is inserted is formed.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64 to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 variety can be prevented.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제3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Although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the said 3rd embodiment can be changed as follows.

즉,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되접힘부(63)를 리셉터클 하우징(10)보다도 빠짐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In other word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retractable portion 63 may be projected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than the receptacle housing 10.

(제4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다음으로, 도 32∼도 39를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Next,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FIGS. 32-39. Here,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centering around a point different from the said 1st embodim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In addition, as a general rul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of the said 1st Embodiment.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L자 기부(50)는, 측면(35a)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이며 기판 근접 방향 근처의 부분에 접속하여,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주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방 L자 기부(50)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35a)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보다도 약간 끼워맞춤 방향 근처의 부분이며, 기판 근접 방향 근처의 부분에 접속하여,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주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L자 기부(50)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전방 L자 기부(50)의 돌출 길이의 대략 절반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방 L자 선단부(51)는,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는 틈 커버 누름면(90)을 갖고 있다.In the said 1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front L-shaped base 50 is an edge part on the side of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35a, and is connected to the part near a board | substrate proximate direction, and it is a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It was called a projecting footnote.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L-shaped base 50 is a part near the fitting direction rather than the edge part of the side of the side 35a of the pull out direction side, as shown in FIG. It is a prismatic body which connects to and protrudes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a connector width. In additio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ront L-shaped base 50 in this embodiment is about half of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front L-shaped base 50 of the said 1st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L-shaped tip portion 51 has a gap cover pressing surface 90 that faces the connector width half-centr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이간 방향 및 빠짐 방향,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개구되는 패임(42)이 형성되어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후방 L자부(37)의 후방 L자 선단부(41)에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직교 방향 및 빠짐 방향,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개구되는 패임(91)이 형성되어 있다. 즉, 패임(91)은, 후방 L자 선단부(41)의 빠짐 방향측 및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후방 L자 선단부(41)는, 후방 틈 형성면(43), 틈 커버 누름면(92)을 갖고 있다. 틈 커버 누름면(92)은, 패임(91)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을 구획하는 평면이다. 틈 커버 누름면(92)은,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said 1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back L-shaped front-end | tip part 41 of the rear L-shaped part 37 is a recess 42 opened in the board |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a pull-out direction, and the connector width half center direction. ) Is formed. In contrast,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4,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of the rear L-shaped portion 37 is a recess 91 that is open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the pulling-out direction, and the half width of the connector width. Is formed. That is, the recess 9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in the releasing direction and o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The rear L-shaped tip portion 41 has a rear gap forming surface 43 and a gap cover pressing surface 92. The gap cover pressing surface 92 is a plane that divides the connector width center direction side of the recess 91. The gap cover pressing surface 92 is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다음으로,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여, 보조 금구(11)를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6 and FIG. 37,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is demonstrated.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조 금구(11)는, 하우징 피지지부(60)와 기판 피고정부(61), 연결부(62), 제1 되접힘부(93), 틈 커버부(94)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보조 금구(11)는, 도 11에 나타내는 틈 메움부(65)를 갖고 있지 않다.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in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from the housing support part 60, the board | substrate fixation part 61, the connection part 62, the 1st retracting part 93, and the gap cover part 94. It is.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fitting 11 does not have the gap filling part 65 shown in FIG.

제1 되접힘부(93)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으로 180도, 되접혀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는, 제1 되접힘부(93)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전방 어깨부(67)의 빠짐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제1 되접힘부(93)는, 만곡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되접힘부(93)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제1 되접힘부(63)(도 11을 아울러 참조)와 비교하여, 기판 직교 방향의 사이즈가 크다.The first retracted portion 93 is a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60 in the pullout direction side and is folded back 180 degrees in the half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dth. In detail, the 1st retracting part 93 is connected to the edge part of the removal direction side of the front shoulder part 67 of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As shown in FIG. The first retracted portion 93 is curved. The size of the 1st folded part 93 of this embodiment is large in the board |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compared with the 1st folded part 63 (refer also to FIG. 11) of the said 1st embodiment.

틈 커버부(94)는, 제1 되접힘부(93)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틈(g)(도 8을 아울러 참조)을 덮어 감추도록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The gap cover portion 94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n the connector width half-central direction side of the first retracted portion 93, and is fitted in the fitting direction so as to cover the gap g (see also FIG. 8). It is an extended part.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Assembling method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38 및 도 39에는,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적절히 참조했으면 한다.Next, a method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6 will be described. 38 and 39 show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completed.

도 36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를, 도 34에 나타내는 금구 지지부(36)의 기판 이간 방향측에 위치 결정한 후에,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를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강하시킨다. 그러면, 도 36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11)의 연결부(62)가 도 34에 나타내는 틈(g) 내로 진입함과 함께, 도 36에 나타내는 하우징 피지지부(60)의 피압입부(66)가 도 34에 나타내는 전방 L자부(38)의 전방 L자 기부(50)와 도 35에 나타내는 어깨부(39)와의 사이에 압입된다.After positioning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shown in FIG. 36 to the board | substrate separation direction side of the metal fitting support part 36 shown in FIG. 34,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is dropped toward the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36 toward a board | substrate proximate direction. Then, the connecting part 62 of the auxiliary fitting 11 shown in FIG. 36 enters into the clearance g shown in FIG. 34, and the to-be-pressed part 66 of the housing-supported part 60 shown in FIG. It press-fits between the front L-shaped base 50 of the front L-shaped part 38 shown in 34, and the shoulder part 39 shown in FIG.

보조 금구(11)를 금구 지지부(36)를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계속해서 강하시키면, 머지 않아, 전술한 (a) 및 (b)의 착좌가 행해진다. 이때, 도 39에 나타내는 틈 커버부(94)는, 틈(g)을 완전하게 덮어 감추고 있다. 이상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6)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이 틈 커버부(94)의 존재에 의해, 이하의 문제가 해결된다. 즉, 금구 지지부(36)를 구성하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의 사이의 틈(g)이 잔존하고 있으면,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로크편(1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틈(g) 내에 끼어버려, 이와 같이 꼈을 때의 감촉으로,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4)가 리셉터클 커넥터(6)에 끼워맞춘 것으로 착각하여,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구 지지부(36)를 구성하는 후방 L자부(37)와 전방 L자부(38)와의 사이의 틈(g)이 틈 커버부(94)에 의해 덮어 감춰져 있기 때문에,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특별한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회피된다.If the auxiliary bracket 11 is continuously lowered toward the bracket support portion 36 in the substrate proximal direction, the seating of (a) and (b)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soon. At this time, the gap cover portion 94 shown in FIG. 39 completely covers the gap g. The assembly work of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completed by the above. The following problem is solved by the presence of this gap cover part 94. That is, if the clearance g between the rear L-shaped part 37 and the front L-shaped part 38 which comprises the bracket support part 36 remain | survives, the claw part 21 of the lock piece 17 is a lock piec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17), the operator feels that the plug connector 4 has been fit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by being inserted into the gap g and thus feeling. A problem arises that results in an uncertain fit between 4)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6. 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learance g between the rear L-shaped part 37 and the front L-shaped part 38 which comprise the bracket support part 36 is covered by the clearance cover part 94, The claw portion 21 of the lock piece 17 can smoothly proceed in the fitting direction. And since there is no special discomfort when the claw part 21 of each lock piece 17 advances to a fitting direction, uncertain fitting of the plug connector 4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avoided.

(10)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전선(2)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8)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4)와, 전선(2)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9)와, 리셉터클 콘택트(9)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갖고,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6)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전선(2)이 리셉터클 콘택트(9)와 도통한다. 플러그 커넥터(4)를 리셉터클 커넥터(6)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평행이다. 플러그 하우징(8)에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17)이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편(17)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20)와, 아암부(20)의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20a)에 형성된 클로부(21)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4)는, 플러그 커넥터(4)의 한 쌍의 로크편(17)이 리셉터클 커넥터(6)를 감싸안음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6)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6)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을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11)를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측벽(32)에는, 보조 금구(11)를 리셉터클 하우징(10)에 부착하기 위한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5)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g)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금구(11)는, 틈(g)을 덮어 감추는 틈 커버부(94)를 추가로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있어서 특별한 위화감이 억제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와의 불확실한 끼워맞춤이 회피된다.(10) The wire-to-board connector 1 includes a plug connector 4 having a plug housing 8 for supporting the wire 2, a receptacle contact 9 corresponding to the wire 2, and a receptacle contact ( It has the receptacle housing 10 which supports 9,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6 mounted in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 substrate 3 is provided. By fitting the plug connector 4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the electric wire 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tact 9. The fitting direction as a direction for fitting the plug connector 4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paralle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3. The plug housing 8 is provided with a pair of lock pieces 17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Each lock piece 17 is comprised with the arm part 20 extended in a fitting direction, and the claw part 21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20a of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arm part 20. As shown in FIG. The plug connector 4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lock pieces 17 of the plug connector 4 are fix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6 by enclosing the receptacle connector 6. The receptacle connector 6 has an auxiliary bracket 11 for fixing the receptacle housing 10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board 3. In the side wall 32 of the receptacle housing 10, a gap g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5 of the substrate 3 for attaching the auxiliary fitting 11 to the receptacle housing 10. Is formed. The auxiliary fitting 11 further has a gap cover 94 covering and covering the gap g.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claw part 21 of each lock piece 17 can advance smoothly to a fitting direction. Therefore, since a special discomfort is suppressed when the claw part 21 of each lock piece 17 progresses to a fitting direction, the inaccurate fitting of the plug connector 4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6 is avoided.

이상에 본원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제4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Although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the said 4th Embodiment can be changed as follows.

즉,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되접힘부(93)를 리셉터클 하우징(10)보다도 빠짐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In other word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retractable portion 93 may be projected in a direction of disengagement from the receptacle housing 10.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제2 되접힘부(85)와 걸림부(86)는,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본 실시 형태의 보조 금구(11)에 적용해도 좋다.In addition, you may apply the 2nd retracting part 85 and the locking part 86 of the said 3rd embodiment to the auxiliary metal fitting 11 of this embodiment within a reasonable range.

또한, 도 39에 있어서, 보조 금구(11)의 틈 커버부(94)와 후방 L자부(37)와의 사이의 커넥터 탈착 방향에 있어서의 간극의 연장되는 방향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로크편(17)의 클로부(21)가 끼워맞춤 방향으로 한층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In FIG. 39,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p in the connector detachment direction between the gap cover portion 94 of the auxiliary bracket 11 and the rear L-shaped portion 37 extends inclines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orthogonal direction. desirable. In this case, the claw portion 21 of each lock piece 17 can proceed more smoothly in the fitting direction.

Claims (11)

전선을 지지(holding)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메우는 틈 메움부를 갖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A plug connector having a plug housing for holding an electric wire,
A receptacl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wire, a receptacle housing supporting the receptacle contact, and a receptacle connector mounted on a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A wire-to-board connector, in which the wire is conductive with the receptacle contact by fitting the plug connector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fitting direction as a direction for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is paralle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The plug hous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lock pieces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Each lock piece is comprised with the arm part extended in the said fitting direction, and the claw part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said fitting part of the said arm part,
The plug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y the pair of lock pieces of the plug connector surrounding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receptacle connector has an auxiliary bracket for fixing the receptacle housing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is formed with a gap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for attaching the auxiliary bracket to the receptacle housing,
The auxiliary bracket has a gap filling portion that fills the g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 메움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被)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bracket,
The gap filling part,
A housing support supported in the side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A board fixed part fixed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and the substrate fixed portion,
Wherein said gap in said side wall of said receptacle housing passes through said connection portion when attaching said auxiliary bracket to said side wall of said receptacl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서의 반(反)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端部)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1 되접힘부를 갖고,
상기 틈 메움부는, 상기 제1 되접힘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uxiliary bracket has a first retracted portion which is formed by being folded back while being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n the anti-fitting direction si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And the gap fill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through the first retract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되접힘부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보다도 상기 반끼워맞춤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retractable portion is a wire-to-board connector which protrudes toward the half-fitting direction from the side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제1 되접힘부에 접속함과 함께, 상기 틈을 걸치도록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교 가이드부를 추가로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auxiliary bracket is connected to the first retractable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cross-linking guide portion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to cover the ga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가교 가이드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함과 함께, 되접혀 형성되는 제2 되접힘부와,
상기 제2 되접힘부에 접속함과 함께, 상기 반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auxiliary bracket,
A second refolding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cross-linking guide portion on the fitting direction side and is folded back;
In addition to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retracted portion, it has a locking portion extending in the half-fitting direction,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the wire-to-board connector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locking portion of the auxiliary brack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틈 메움부는, 상기 가교 가이드부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said gap filling part is a wire-to-board connector connected to the said bridge | crosslinking guide part.
전선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걸치도록 연장되는 가교부를 추가로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A plug connector having a plug housing for supporting electric wires,
A receptacl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wire, a receptacle housing supporting the receptacle contact, and a receptacle connector mounted on a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A wire-to-board connector in which the wires conduct with the receptacle contact by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fitting direction as a direction for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is paralle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The plug hous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lock pieces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Each lock piece is comprised with the arm part extended in the said fitting direction, and the claw part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said fitting part of the said arm part,
The plug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y the pair of lock pieces of the plug connector surrounding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receptacle connector has an auxiliary bracket for fixing the receptacle housing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is formed with a gap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for attaching the auxiliary bracket to the receptacle housing,
And the auxiliary bracket further has a cross-linking portion extending to cover the ga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가교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uxiliary bracket,
The crosslinking unit,
A housing supported portion supported in the side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A board fixed part fixed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and the substrate fixed portion,
Wherein said gap in said side wall of said receptacle housing passes through said connection portion when attaching said auxiliary bracket to said side wall of said receptacle housing.
전선을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전선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전선이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도통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이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 로크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로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한 쌍의 로크편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싸안음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금구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을 덮어 감추는 틈 커버부를 추가로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A plug connector having a plug housing for supporting electric wires,
A receptacl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wire, a receptacle housing supporting the receptacle contact, and a receptacle connector mounted on a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A wire-to-board connector in which the wires conduct with the receptacle contact by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fitting direction as a direction for fitting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is paralle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The plug hous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lock pieces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Each lock piece is comprised with the arm part extended in the said fitting direction, and the claw part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said fitting part of the said arm part,
The plug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y the pair of lock pieces of the plug connector surrounding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receptacle connector has an auxiliary bracket for fixing the receptacle housing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is formed with a gap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for attaching the auxiliary bracket to the receptacle housing,
The auxiliary bracket further has a gap cover part covering and covering the gap.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틈 커버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 내에 지지되는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되는 기판 피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피지지부와 상기 기판 피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의 상기 틈은, 상기 보조 금구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할 때에, 상기 연결부가 통과하는 것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0,
The auxiliary bracket,
The gap cover portion;
A housing supported portion supported in the sidewall of the receptacle housing;
A board fixed part fixed to the connector mounting surface of the boar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housing supported portion and the substrate fixed portion,
Wherein said gap in said side wall of said receptacle housing passes through said connection portion when attaching said auxiliary bracket to said side wall of said receptacle housing.
KR20130038908A 2012-04-24 2013-04-10 Wire-to-board connector KR1014920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98801A JP5943692B2 (en) 2012-04-24 2012-04-24 Wire-to-board connector
JPJP-P-2012-098801 2012-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863A true KR20130119863A (en) 2013-11-01
KR101492049B1 KR101492049B1 (en) 2015-02-10

Family

ID=4946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908A KR101492049B1 (en) 2012-04-24 2013-04-10 Wire-to-board conn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43692B2 (en)
KR (1) KR101492049B1 (en)
CN (1) CN103378460B (en)
TW (1) TWI46638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2499B2 (en) * 2019-05-15 2023-08-08 I-Pex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61631U (en) * 2000-10-09 2001-10-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009111B2 (en) * 2002-01-21 2007-11-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Connector locking device
JP4225236B2 (en) * 2004-04-21 2009-02-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Connector for wire connection
CN201044306Y (en) * 2007-03-20 2008-04-02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Electric connecting arrangement
JP5165630B2 (en) * 2009-04-09 2013-03-21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connector
JP2010267411A (en) * 2009-05-12 2010-11-25 Fujitsu Component Ltd Flexible cable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CN201490385U (en) * 2009-07-31 2010-05-26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Plate-to-plate connector
JP4963130B2 (en) * 2010-01-12 2012-06-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CN202004174U (en) * 2010-11-01 2011-10-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049B1 (en) 2015-02-10
JP5943692B2 (en) 2016-07-05
CN103378460B (en) 2015-10-21
JP2013229124A (en) 2013-11-07
TWI466386B (en) 2014-12-21
CN103378460A (en) 2013-10-30
TW201345053A (en)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155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CN108346934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EP2930792A1 (en) Wire-to-board connector
CN103579794A (en) Coaxial cable assembly
CN105900288A (en) Cable holding member, plug connector, connector device, flat cable, and plug connector assembling method
KR20090009727A (en) Electric connector
KR102233071B1 (en) Dispos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printed circuit board
US7892001B2 (en) Floating connector
EP3316406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JP2019021389A (en) connector
CN108780966B (en) Waterproof connector for substrate
US1150909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10113848A (en) Connector for base plate
TW201830782A (en) Electrical connector
US9350119B2 (en) Wrong insertion preventive structure of connector
TWI808370B (en)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JP2019133824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130119863A (en) Wire-to-board connector
CN109792122B (en) Connector assembly
CN102365569B (en) Optical connector
TWI244811B (en) 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W201924150A (en) Terminal and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or deformation even if in contact with other components
KR20010007384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19175810A (en)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9793631B1 (en) Flexible circuit to wire transition member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