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822A - Cruches enabl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user's circumstances - Google Patents

Cruches enabl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user's circumst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822A
KR20130119822A KR1020120065909A KR20120065909A KR20130119822A KR 20130119822 A KR20130119822 A KR 20130119822A KR 1020120065909 A KR1020120065909 A KR 1020120065909A KR 20120065909 A KR20120065909 A KR 20120065909A KR 20130119822 A KR20130119822 A KR 20130119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upper rod
fixing
lower ro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5188B1 (en
Inventor
한상현
Original Assignee
한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현 filed Critical 한상현
Publication of KR2013011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1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44Arrangements for storing or keeping upright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44Arrangements for storing or keeping upright when not in use
    • A61H2003/0272Arrangements for storing or keeping upright when not in use on a single crutch allowing it to remain upright when not in use, e.g. retractable tri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utch which is adjustable according to user’s circumstances, comprising: an upper rod having a receiving space with open one side; a lower rod which is inserted 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open one side; and a regulation module. The regulation module comprises a module body with a handle; a first fixing unit which fixes the module body on the upper rod to be attached/detached; and a second fixing unit in which at least a part is mounted to the module body to be manipulated. The second fixing unit fixes the lower rod to the upper rod to be attached/detached.

Description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CRUCHES ENABL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USER'S CIRCUMSTANCES}{CRUCHES ENABL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USER'S CIRCUMSTANCE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목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utches that are formed to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user's environment.

목발은 다리가 불편한 사람이 겨드랑이에 끼고 걷는 지팡이다. A crutch is a walking stick that is worn by a person with an uncomfortable leg.

이러한 목발은 성인용이나 어린이용이냐에 따라 제품의 크기가 결정된다. 나아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약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는 하나, 목발의 크기는 사용자가 똑바로 선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어서, 기본적으로 그 길이가 길다.These crutches are sized according to whether they are adult or children. Furthermore, the length of the crutches is basically based on the straight line state, although the length of the crutches can be adjusted to some exten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그래서 차량에 탑승한 경우에 있어서는 보관이 불편하고, 차량의 급정지 시에는 사용자 가까이 있는 목발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도 크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is aboard, it is inconvenient to keep it, and when the vehicle suddenly stops, there is a great risk that the user will be injured by crutches near the user.

또한, 목발의 전체 길이는 조절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잡는 손잡이의 높낮이는 조절이 안 되기도 한다.
In addition, even if the overall length of the crutches is adjusted, the height of the handle of the user can not be adjusted.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조건에 따라 손잡이에 대한 높이 조절 및 목발 전체의 길이 조절을 함께할 수 있게 하면서도, 목발 전체의 길이 조절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handle and a length of an entire crutch together according to use conditions, .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은, 일 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 로드; 상기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하부 로드; 및 손잡이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상기 상부 로드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고정 유닛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로드를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고정 유닛을 구비하는 조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Crutche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rod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is open at one side; A lower ro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open side; And a body having a handle, a first fixing unit detachably fixing the body to the upper ro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operatively installed on the body and detachably fixing the lower rod to the upper rod. I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having a second fixing unit.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에 의해 위치 이동 가능한 중공 원통형의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hollow cylindrical housing which is formed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upper rod and is movable in position by sliding relative to the upper rod.

여기서, 상기 상부 로드는, 겨드랑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하우징에서 적어도 한 번 절곡되어 연장하여 상기 손잡이가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게 하는 절곡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rod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armpit, and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bend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housing at least once so as to be bent so that the handle is disposed parallel to the support portion have.

여기서, 상기 몸체에는 고정홀이 관통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유닛은, 상기 고정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부 로드를 가압하는 고정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x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opening through the body, the first fix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screw for screwing into the fixing hole to press the upper rod.

여기서, 상기 상부 로드에는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개방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유닛은, 상기 개방 슬롯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 로드에 형성되며 요철을 구비하는 요철막대; 및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요철에 계합되는 계합부와, 상기 계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upper rod is formed with an open slot in its extending direction, the body is formed through the window, the second fixing unit is formed in the lower rod to correspond to the open slot, the unevenness having irregularities rod; And an operat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and having an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unevenness, and an oper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rough the window.

여기서, 상기 몸체와 상기 조작 부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계합부가 상기 요철에 계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작 부재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biasing member is formed to connect the body and the operation member, the biasing member for elastically deflecting the operation member so as to maintain the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unevenness.

여기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요철의 돌기부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ngaging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legs formed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여기서, 상기 요철막대를 상기 개방 슬릿에 대해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alignment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align the convex-concave bar with respect to the opening slit.

여기서, 상기 정렬 유닛은, 상기 하부 로드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키; 및 상기 상부 로드의 내주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되어, 상기 키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alignment unit includes: a key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od; And a rail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od so as to be slidably received in the recess.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로드를 상기 상부 로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elastic body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elastically presses the lower ro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upper rod.

여기서, 상기 하부 로드의 지면에 대한 마찰력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미끄럼방지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anti-slip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of the lower rod.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 유닛은, 상기 하부 로드에 결합되며, 내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외통체; 및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스파이크가 구비되며, 외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통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non-skid unit may include an outer cylinder coupled to the lower rod and having a first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an end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with a spike and an outer cylinder may have an inner cylinder on which a second screw thread is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여기서, 상기 내통체는, 상기 외통체로 내로 최대 삽입 시에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외통체의 하단 이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inner cylinder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size such that the spike is inserted beyo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at maximum insertion into the outer cylind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에 의하면, 사용자 자신의 신체 조건이나 사용 환경 등 사용 조건에 따라 손잡이에 대한 높이 조절 및 목발 전체의 길이 조절을 함께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crutch th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handle and the length of the crutch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own physical condition, usage environment, and the like.

또한, 목발 전체의 길이 조절에 대한 조절은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crutches as a whole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100)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목발(100)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 부분(A)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목발(100)의 다양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crutch 100 th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crutch 100 of FIG.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states of crutches 10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crutches adjus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100)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crutch 100 th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목발(100)은 상부 로드(110)와, 하부 로드(120)와, 조절 모듈(130)과, 미끄럼방지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rutch 100 may include an upper rod 110, a lower rod 120, a control module 130, and a non-slip unit 160.

상부 로드(110)는 일 측이 개방된 수용 공간(112)을 갖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상부 로드(110)는 수용 공간(112)이 내부에 형성된 중공형의 실린더부(111)와, 실린더부(111)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3)는 목발(100)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실린더부(111)의 연장 방향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실린더부(111)에는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개방된 부분인 개방 슬롯(115)이 형성된다.The upper rod 110 is a member having a receiving space 112 whose one side is open. Specifically, the upper rod 110 may include a hollow cylinder portion 111 in which a receiving space 112 is formed, and a support portion 113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ylinder portion 111. The supporting portion 113 is a portion to be fitted to the armpit of the crutch 100 and is arran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ylinder portion 111. The cylinder portion 111 is formed with an open slot 115 which is a portion linearly open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of.

하부 로드(120)는 상부 로드(110)의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수용 공간(112)에 삽입되는 부재이다. 그에 따라 하부 로드(120)는, 상부 로드(110)와 달리, 중공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The lower rod 120 is a member that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2 through one open side of the upper rod 110. Accordingly, unlike the upper rod 110, the lower rod 120 need not be formed as a hollow body.

조절 모듈(130)은 상부 로드(110)에 설치되어 손잡이(133)의 높이와 함께 목발(100)의 전체 길이를 함께 조절하게 하는 구성이다. 조절 모듈(130)은, 몸체(131)와, 제1 고정 유닛(136)과, 제2 고정 유닛(13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djustment module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rod 110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crutch 100 together with the height of the knob 133. The adjustment module 130 may include a body 131, a first fixed unit 136, and a second fixed unit 137.

몸체(131)는 하우징(131a)과, 절곡부재(132b)와, 손잡이(1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131 may include a housing 131a, a bending member 132b, and a handle 133.

하우징(131a)은 그의 중공부에 상부 로드(1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중공체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31a)이 실린더부(111)의 형태에 대응하여 중공 원통형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하우징(131a)에 의하면, 조절 모듈(130)이 상부 로드(110)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로, 상부 로드(110)에 대해 하우징(131a)을 상대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조절 모듈(130)을 상부 로드(110)에 대해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 보다 편리해진다. 하우징(131a)에는 제1 고정 유닛(136)에 대응하는 고정홀(134)과, 제2 고정 유닛(137)에 대응하는 윈도우(135)가 또한 형성된다. The housing 131a is formed as a hollow body so that the upper rod 110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thereof.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31a is illustrated as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ylinder portion 111. [ With this housing 131a, the adjustment module 130 allows the housing 131a to slide relative to the upper rod 110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rod 110. [ Thus, it is more convenient to position the adjustment module 130 relative to the upper rod 110. A fixing hole 134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unit 136 and a window 13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unit 137 are also formed in the housing 131a.

절곡부재(132b)는 하우징(131a)과 손잡이(133)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절곡부재(132b)는 하우징(131a)에서 적어도 한 번 절곡된 채로 연장하여, 손잡이(133)가 지지부(113)와 평행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부재(132b)가 2회 절곡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The bending member 132b is a member that connects the housing 131a and the handle 133. [ The folding member 132b is bent at least once in the housing 131a so that the handle 133 is parallel to the support portion 113. [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bending member 132b is bent twice.

손잡이(133)는 지지부(113)에 겨드랑이를 지지한 사용자가 손으로 잡게 되는 부분이다. 손잡이(133)는 목발(100) 사용자가 지지부(113)와 함께 힘을 가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113)와 별도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다른 높이에 위치할 것이 요구되는 부분이기도 하다.The handle 133 is a portion held by a user who supports the armpit on the support portion 113 by hand. The handle 133 is a portion that a user of the crutch 100 exerts a force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113 and is required to be positioned at a different height according to a user's body condition separately from the support portion 113. [

제1 고정 유닛(136)은 몸체(131)를 상부 로드(1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고정 유닛(136)은 고정홀(134)에 나사 결합되고, 그의 단부는 고정홀(134)을 통해 상부 로드(110)를 가압하는 고정 나사이다. 제1 고정 유닛(136)으로 몸체(131)를 상부 로드(110)에 고정할 수 있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몸체(131)의 일부를 이루는 손잡이(13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first fixed unit 136 is configured to detachably fix the body 131 to the upper rod 11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xing unit 136 is screwed into the fixing hole 134, and the end thereof is a fixing screw which presses the upper rod 110 through the fixing hole 134. The fact that the body 131 can be fixed to the upper rod 110 with the first fixed unit 136 means that the height of the knob 133 constituting a part of the body 131 can be adjusted as a result.

제2 고정 유닛(137)은 상부 로드(110)를 하부 로드(120)에 대한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목발(1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The second fixed unit 137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upper rod 110 to be fixed at an arbitrar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rod 120, and consequently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crutch 100.

제2 고정 유닛(137)은, 막대 요철(138)과, 조작 부재(139)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 요철(138)은 하부 로드(120)의 외면에 하부 로드(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막대 요철(138)은 막대 모양으로 연장된 것이며, 개방 슬롯(115)을 마주하는 면에는 요철이 형성된 것이다. 조작 부재(139)는 몸체(131), 구체적으로 하우징(132a)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 상태에서 막대 요철(138)의 돌기에 맞물린다. 상기 돌기와 조작 부재(139)의 맞물림에 의해, [몸체(131)를 매개로 하여] 조작 부재(139)가 설치된 상부 로드(110)는 막대 요철(138)이 설치된 하부 로드(120)와 일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The second fixed unit 137 may include rod irregularities 138 and an operating member 139. [ The rod irregularities 138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rod 120 so as to be arrang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wer rod 120. The rod irregularities 138 extend in a bar shape, and the surface facing the open slot 115 is formed with irregularities. The operating member 139 is operatively installed on the body 131, specifically, the housing 132a, and is engaged with the projection of the rod irregularities 138 in a state. The upper rod 110 provided with the operating member 139 is connected to the lower rod 120 provided with the rod irregularities 138 by the engagement of the projection and the operating member 139, As shown in FIG.

미끄럼방지 유닛(160)은 하부 로드(120)의 자유단에 설치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 유닛(160)은 목발(100)과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파이크(165)가 채용된 것을 보이고 있다. The anti-slip unit 160 may be installed at the free end of the lower rod 120. [ The anti-slip unit 160 is provid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rutch 100 and the ground. In this embodiment, a spike 165 is employed.

이상의 목발(100)에 대한 내부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internal construction of the crutch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도 1의 목발(100)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side of the crutch 100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고정 유닛(137)의 조작 부재(139)는, 조작부(140)와, 계합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40)는 하우징(132a)의 윈도우(13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는 부분이다. 계합부(141)는 조작부(140)에 연결되며, 조작부(140)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여 막대 요철(138)의 돌기와 맞물리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2 고정 유닛(137)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operating member 139 of the second fixing unit 137 may include an operating portion 140 and an engaging portion 141. The operation unit 140 is a par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135 of the housing 132a and operated by the user. The engaging portion 141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rtion 140 and is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projection of the rod irregularities 138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140. [ The second fixing unit 137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수용 공간(112)에는 탄성체(150)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150)는 예를 들어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그의 일 단부는 지지부(113)에 의해 지지되고 타 단부는 하부 로드(120)에 의해 지지된다. 탄성체(150)는 하부 로드(120)를 수용 공간(112)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목발(100)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려 하게 된다. 제2 고정 유닛(137)은 이러한 탄성체(15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부 로드(120)가 상부 로드(110)에 대해 일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탄성체(150)를 구비하게 된다면, 제2 고정 유닛(137)에 의한 고정 전에, 상부 로드(110)에 대해 하부 로드(12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기가 보다 편리해질 것이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elastic body 15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2. The elastic body 150 is,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113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lower rod 120. The elastic body 150 resiliently urges the lower rod 12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12 so as to lengthen the entire length of the crutch 100. [ The second fixed unit 137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50 and fixes the lower rod 120 to the upper rod 110 in a fixed position. It will be more convenient to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wer rod 120 relative to the upper rod 110 before securing by the second securing unit 137 if the elastic body 150 is provided.

제2 고정 유닛(137)의 작동을 원활히 하고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막대 요철(138)은 개방 슬롯(115)에 항상 대응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정렬 유닛(143)이 채용될 수 있다. 정렬 유닛(143)은, 하부 로드(12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키(144, key)와, 키(14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부 로드(110)의 내주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된 레일(1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유닛(143)에 의하면, 하부 로드(120)는 상부 로드(110)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은 가능하지만, 상부 로드(110) 내에서 회전하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막대 요철(138)이 개방 슬롯(115)에 대해 정렬된 상태를 최초 설정하는 것이 쉽고, 또한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ixed unit 137 and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the rod irregularities 138 are preferably in a state always corresponding to the open slots 115. [ For this purpose, an alignment unit 143 may be employed. The alignment unit 143 includes a key 144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od 120 and a rail 144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od 110 to be slidably received therein 145). According to this alignment unit 143, the lower rod 120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lative to the upper rod 110, but does not rotate in the upper rod 110. Therefore, it is easy to initially set the state in which the rod irregularities 138 ar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open slot 115,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ate remains unchanged.

미끄럼방지 유닛(160)은, 외통체(161)와, 내통체(163)를 포함할 수 있다. 외통체(161)는 중공형의 부재로서, 내부에는 제1 나사산(162)이 형성된 것이다. 내통체(163)는 외통체(161)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외면에는 제1 나사산(162)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164)이 형성된 것이다. 내통체(163)에는 또한, 앞서 설명한 스파이크(165)가 형성된다. The non-slip unit 160 may include an outer cylinder 161 and an inner cylinder 163. [ The outer cylinder 161 is a hollow member having a first screw thread 162 formed therein. The inner cylinder 163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161 and has a second screw thread 164 screwed to the first screw thread 162 on its outer surface. The spike 165 described above is also formed in the inner cylinder 163.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통체(163)를 일 방향으로 돌려서 스파이크(165)가 외통체(161) 밖으로 나오게 하거나, 내통체(163)를 다른 방향으로 돌려서 스파이크(165)가 외통체(161)의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 스파이크(165)가 외통체(161)의 하단 이상으로 외통체(161) 내에 삽입된다면, 스파이크(165)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스파이크(165)에 의한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pike 165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cause the spike 165 to come out of the outer cylinder 161, or the inner cylinder 163 to rotate in the other direction, It is possible to get inside. In the latter case, if the spike 165 is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161 beyo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161, the spike 165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caused by the spike 165 have.

다시 말해서, 눈 길이나 빙판 길에서는 스파이크(165)를 외통체(161) 밖으로 드러내 스파이크(165)의 기능을 활용하고, 그 외의 계절에는 스파이크(165)를 외통체(161) 안으로 넣어서 스파이크(165)를 미사용 상태로 안전하게 수납하면서 목발(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other season, the spike 165 is introduced into the outer cylinder 161 to expose the spike 165 and the spike 165, The crutches 100 can be used while safely storing them in an unused state.

다음으로, 제2 고정 유닛(137)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Next, the second fixing unit 13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도 2의 일 부분(A)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ure 2;

본 도면을 참조하면, 조작 부재(139)는 그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선회 핀(143)에 의해 하우징(132a)의 내측에 선회 방향(S)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operating member 139 is pivotally mounted in the housing 132a in the pivoting direction S by a pivot pin 143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rtion thereof.

조작 부재(139)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하우징(132a)의 윈도우(13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140)와, 막대요철(138)의 돌기에 계합되는 계합부(141)를 포함한다. 조작부(140)와 계합부(141)가 만나는 영역에 선회 핀(143)이 삽입될 수 있다. The operating member 139 includes an operating portion 14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135 of the housing 132a and an engaging portion 141 engaged with the projection of the rod irregularities 138 as described above do. The turning pin 143 can be inserted into an area where the operating portion 140 and the engaging portion 141 meet.

계합부(141)는 막대요철(138)의 돌기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는 하나인 것도 가능하나, 한 쌍이라면 막대요철(138)에 대해 맞물림이 보다 강화될 수 을 것이다.The engaging portion 141 may include a pair of legs forme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projection of the rod irregularities 138. The pair of legs may be one, but if it is a pair, the engagement can be further strengthened with respect to the rod irregularities 138.

계합부(141)의 막대요철(138)에 대한 맞물림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편향 부재(143)가 구비될 수 있다. 편향 부재(143)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서, 그의 일 단은 하우징(132a)에 연결되고 타 단은 조작 부재(139)에 연결된다. 편향 부재(143)는 조작 부재(139)가 막대요철(138)을 향해 편향되게 하는 힘을 발휘하여, 결과적으로 계합부(141)가 막대요철(138)의 돌기에 강하게 맞물리게 한다. A biasing member 143 may be provided to further strengthen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141 with the bar irregularities 138. The biasing member 143 is, for example, a spring,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32a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139. [ The biasing member 143 exerts a force for biasing the operating member 139 toward the bar irregularities 138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141 strongly engages the protrusions of the bar irregularities 138. As a result,

이러한 목발(100)이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된 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state in which the crutches 100 are vari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목발(100)의 다양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states of crutches 100;

도 4의 (a)는 앞서 도 1을 토대로 설명한 기본 상태이다.4 (a) is a basic state described above based on Fig.

도 4의 (b)를 참조하면, (a)에 비하여 목발(10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제2 고정 유닛(137)에 대한 조작에 주로 기인한다. Referring to FIG. 4 (b),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length of crutches 100 is reduced compared to FIG. 4 (a). This is mainly due to the operation on the second fixed unit 137. [

구체적으로, 조작 부재(139)의 막대요철(138)에 대한 맞물림을 해제한 후에, 하부 로드(120)를 상부 로드(110)의 수용 공간(112)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때, 탄성체(150)가 수용 공간(112) 내에 배치되어 있다면, 탄성체(150)을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부 로드(110)를 눌러주면 된다. The lower rod 120 can be push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2 of the upper rod 110 after the operation member 139 is disengaged from the rod irregularities 138. [ At this time, if the elastic body 150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2, the elastic body 150 may be overcome the elastic force and press the upper rod 110.

하부 로드(120)가 상부 로드(110)의 수용 공간(112)으로 들어간 후에는, 조작 부재(139)를 막대요철(138)에 맞물리게 하여 상부 로드(110)와 하부 로드(120)를 서로에 대해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목발(10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듦에 의해, 목발(100)을 차량 등에 보관하기에 안전한 상태가 될 수 있다. After the lower rod 120 enters the accommodation space 112 of the upper rod 110, the operation member 139 is engaged with the rod irregularities 138 to connect the upper rod 110 and the lower rod 120 to each other . In this state, the crutch 100 can be safely stored in a vehicle or the like by reduc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crutch 100.

또한, 미끄럼방지 유닛(160)의 내통체(163)를 일 방향으로 돌려서 스파이크(165)가 외통체(161)의 안으로 들어가게 하면, 목발(100)의 크기는 더욱 줄일 수 있고 보관 시에 더욱 안전한 상태가 될 수 있다. When the inner cylinder 163 of the non-slip unit 16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spike 165 is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161, the size of the crutch 100 can be further reduced, State.

도 4의 (c)를 참조하면, (a)에 비해 목발(100)의 전체 길이는 같으나, 조절 모듈(130)이 지지부(113)에 좀 더 가까워진 상태이다. 이는 조절 모듈(130)에 구비된 손잡이(133)와 지지부(113) 사이의 간격을 좁혀서, 사용자의 팔 길이에 따른 손잡이(133)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Referring to FIG. 4 (c), the overall length of the crutch 100 is the same as in (a), but the adjustment module 130 is closer to the support 113. This narrows the gap between the knob 133 and the support portion 113 of the adjustment module 130 so that the height of the knob 13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user's arm.

이때, 조작 부재(139)는 막대요철(138)에 대해 (a)에서 보다는 윗부분의 돌기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조절 모듈(130)을 지지부(113)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조작 부재(139)를 조작하여 계합부(141)와 막대요철(138)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조절 모듈(130)을 지지부(113)를 향해 슬라이딩시켜야 한다. At this time, the operating member 139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upper portion rather than the bar protrusion 138 with respect to (a). Accordingly, in order to move the adjustment module 130 toward the support portion 113, first, the operation member 139 is operated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ement portion 141 and the bar irregularities 138, (113).

조절 모듈(130)의 슬라이딩을 위해, 제1 고정유닛(136)에 의한 고정을 먼저 해제해야 함은 물론이다. 조절 모듈(130)을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킨 후에는, 조작 부재(139)를 다시 막대요철(138)에 맞물리게 하고, 제1 고정유닛(136)을 조작하여 조절 모듈(130)의 상부 로드(110)에 고정되게 하면 된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ixing by the first fixing unit 136 must first be released for the sliding of the adjusting module 130. [ After the adjustment module 130 is slid and moved, the operation member 139 is again engaged with the bar concavity 138 and the first fixing unit 136 is operated to move the upper rod 110 of the adjustment module 130,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은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rutches whic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manner of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the embodiments.

100: 목발 110: 상부 로드
115: 개방 슬롯 120: 하부 로드
130: 조절 모듈 131: 몸체
133: 손잡이 136: 제1 고정 유닛
137: 제2 고정 유닛 138: 막대 요철
139: 조작 부재 140: 조자부
141: 계합부 143: 정렬 유닛
150: 탄성체 160: 미끄럼방지 유닛
100: crutches 110: upper rods
115: open slot 120:
130: Control module 131: Body
133: handle 136: first fixing unit
137: second fixing unit 138: bar irregularities
139: operating member 140:
141: engagement portion 143: alignment unit
150: elastic body 160: anti-slip unit

Claims (12)

일 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 로드;
상기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하부 로드; 및
손잡이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상기 상부 로드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고정 유닛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로드를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고정 유닛을 구비하는 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An upper rod having a receiving space open at one side thereof;
A lower ro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open side; And
A body having a handle, a first fixing unit detachably fixing the body to the upper rod,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operatively installed on the body and detachably fixing the lower rod to the upper rod. An adjustable crutch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use, comprising an adjustment module having a second fix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로드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에 의해 위치 이동 가능한 중공 원통형의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And a hollow cylindrical housing configured to slidably insert the upper rod, the housing being movable by relative sliding relative to the upper r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는, 겨드랑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하우징에서 적어도 한 번 절곡되어 연장하여 상기 손잡이가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게 하는 절곡 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rod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armpit,
Wherein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bend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housing at least once to bend so that the handle is disposed parallel to the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고정홀이 관통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유닛은, 상기 고정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부 로드를 가압하는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has a fix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opening,
Wherein the first fixing unit includes a fixing screw screwed into the fixing hole to press the upper r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에는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개방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유닛은,
상기 개방 슬롯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 로드에 형성되며 요철을 구비하는 요철막대; 및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요철에 계합되는 계합부와, 상기 계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rod is formed with an open slot along its extending direction,
The body is formed through the window,
The second fixing unit includes:
An uneven bar formed on the lower rod to correspond to the open slot and having unevenness; And
And a manipulation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and including an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unevenness, and an oper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rough the window. Crutches availa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조작 부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계합부가 상기 요철에 계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작 부재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The method of claim 5,
And a biasing member formed to connect the body and the operation member, the biasing member elastically biasing the operation member to maintain the engagement portion engaged with the unevennes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요철의 돌기부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The method of claim 5,
The engaging portion,
And a pair of legs formed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projection of the protrusions and the protrusio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막대를 상기 개방 슬릿에 대해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 유닛을 더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aligning unit for aligning the concave-convex bar with the opening sl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유닛은,
상기 하부 로드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키; 및
상기 상부 로드의 내주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되어, 상기 키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lignment unit comprises:
A key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od; And
And a rail which is recessedly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od and slidably receives the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로드를 상기 상부 로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lower ro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upper r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로드의 지면에 대한 마찰력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미끄럼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방지 유닛은,
상기 하부 로드에 결합되며, 내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외통체; 및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스파이크가 구비되며, 외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통체를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non-slip unit form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f the lower rod,
The anti-
An outer cylinder coupled to the lower rod and having a first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nd an inner cylinder on the outer surface of which is formed a second screw thread screwed into the first screw threa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는, 상기 외통체로 내로 최대 삽입 시에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외통체의 하단 이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되는,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ner cylinder is formed to have a size such that the spike is inserted beyo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at the time of maximum insertion into the outer cylinder.
KR1020120065909A 2012-04-24 2012-06-20 Cruches enabl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user's circumstances KR1014251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19 2012-04-24
KR20120042819 2012-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822A true KR20130119822A (en) 2013-11-01
KR101425188B1 KR101425188B1 (en) 2014-07-31

Family

ID=4985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909A KR101425188B1 (en) 2012-04-24 2012-06-20 Cruches enabl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user's circumst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1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3312A (en) * 2017-10-13 2018-02-16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A kind of orthopedic rehabilitation crut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938B1 (en) * 2017-05-10 2019-05-20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Robot for assisting user to wal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91U (en) * 1989-06-23 1991-02-14
JP3014491U (en) 1995-02-08 1995-08-08 修 石田 A cane whose length can be easily adjusted
JP3041615U (en) * 1997-02-27 1997-09-22 修 石田 Crutches with easily adjustable length
KR200362270Y1 (en) 2004-04-10 2004-09-16 채귀순 One bolt-tyep adjustable Crutch
KR200362271Y1 (en) * 2004-04-22 2004-09-16 채귀순 One bolt-type adjustable Crutch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3312A (en) * 2017-10-13 2018-02-16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A kind of orthopedic rehabilitation cr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188B1 (en)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838B2 (en) Child booster seat
US9622900B2 (en) Knee brace with tool less length adjuster
US9539034B2 (en) Rod insertion device for inserting a rod into a bone anchor
US20080224526A1 (en) Internally pulling type lift device for chair armrest
US7367628B1 (en) Armrest that will not produce noise during adjustment
US20090172879A1 (en) Playpen that is Movable and Foldable Easily and Quickly
KR101425188B1 (en) Cruches enabl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user's circumstances
US20160040697A1 (en) Bracket assembly and retaining device for collapsible stand
US7399260B1 (en) Ankle clamp assembly for an inversion table
US7267358B2 (en) Foldable frame with a locking device
US8939506B2 (en) Carrier for infant car seat
KR101400683B1 (en) Device height adjustable desks and chairs
GB2552732A (en) Device for tilting the backrest of office chairs
US9050991B2 (en) Strap adjuster and stroller backrest tilt adjusting device
JP2021506492A (en) Rail struts for drawers
US9661937B2 (en) Carrier frame for a child carrier
US9358446B2 (en) Adjustable connecting element with clearance compensation for a gliding board
CN201469546U (en) Wheelchair brake control mechanism
KR101897410B1 (en) Filed beds with improved usability and safety
KR200445908Y1 (en) table for hospital bed
EA029871B1 (en) Orthopedic device for mutual movements of leg and hip area
ES2788154T3 (en) Ratchet arrangement for a mobility support device
JP5759050B1 (en) umbrella
TWI578932B (en) A trunk with detachable crutch telescopic rods
US9757064B2 (en) Wrist joint performance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