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791A - 이동성 관리장치, 기지국, 그리고 이들의 부하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성 관리장치, 기지국, 그리고 이들의 부하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791A
KR20130119791A KR1020120042870A KR20120042870A KR20130119791A KR 20130119791 A KR20130119791 A KR 20130119791A KR 1020120042870 A KR1020120042870 A KR 1020120042870A KR 20120042870 A KR20120042870 A KR 20120042870A KR 20130119791 A KR20130119791 A KR 2013011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management
management device
mobile terminal
quality assuranc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훈
백기진
지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4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791A/ko
Publication of KR2013011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이동성 관리장치가 기지국과 연동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자신이 관리하는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핸드오버를 통해 이동 단말의 호를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이동하도록 요청하는 제1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성 관리장치, 기지국, 그리고 이들의 부하 조절 방법{MOBILITY MANAGEMENT ENTITY, BASE STATION, AND LOAD BALAN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성 관리장치, 기지국 그리고 이들의 부하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는 복수의 이동성 관리장치(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를 묶어 MME 풀(Pool)을 구성한다. MME 풀은 복수의 기지국(ebolved NodeB, eNB)과 그물(Mesh) 구조로 연결된다. MME 풀은 각 MME마다 가중치(Weight Factor)를 부여하여 단말이 기지국을 통해 호를 생성하면, MME 사이에서 부하를 분산(Load balancing)할 수 있도록 한다. MME 풀에 속한 특정 MME가 장애, 시스템 작업 등으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 다른 MME로 단말 호를 우회하도록 한다. 이때, 단말이 트래킹지역 업데이트(Tracking Area Update, TAU) 과정을 수행하여 다른 MME로 이동한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이 요구되는 서비스, 예를 들면, mVoIP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서비스 이용 중에 TAU 과정을 수행하면, 호 단절로 인해 통화가 단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 요구 수준을 기초로 트래킹지역 업데이트 또는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부하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성 관리장치가 기지국과 연동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자신이 관리하는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이동하도록 요청하는 제1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 조절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이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TA(Tracking Area)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이동하도록 요청하는 제2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성 관리장치의 부하 상태를 기초로 부하 조절을 수행할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부하 조절을 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QCI(QoS Class Identifier)의 품질보장 또는 비품질보장 정보를 기초로 품질보장 서비스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성 관리장치와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는 같은 이동성 관리장치 풀(pool)에 속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1메시지는 부하 조절을 위해 핸드오버를 요청한다는 이유(cau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하 조절 방법은 상기 제1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이동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하 조절 방법은 상기 제1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이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이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이 유휴 상태인 경우, 페이징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을 연결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제1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복수의 이동성 관리장치와 연동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제1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이동하도록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하여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시지는 부하 조절을 위해 핸드오버를 요청한다는 이유(cau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이동성 관리장치 풀(pool)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성 관리장치 풀은 상기 제1이동성 관리장치와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연동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이동성 관리장치로서, 자신의 부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부하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부하 판단부, 상기 부하 판단부로부터 상기 부하 조절 신호가 전달되면,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품질보장판단부,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면,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핸드오버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비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면, TA 업데이트를 통해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이동하도록 결정하는 호전환방법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성 관리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정보를 상기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이동성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품질보장판단부는 QCI(QoS Class Identifier)의 품질보장 또는 비품질보장 정보를 기초로 품질보장 서비스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성 관리장치 풀에 속한 이동성 관리장치 사이의 호 전환 시, 품질 요구 수준이 높은 서비스의 경우, 핸드오버를 통해 호 연속성을 보장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장치 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베어러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조절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로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TA 업데이트로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장치, 그리고 이의 부하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동통신시스템(10)은 이동 단말(Mobile Station/User Equipment)(100), 그리고 통신망(200, 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망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3세대 이동통신망(200)과 3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진화한 이동통신망(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진화한 이동통신망(300)은 LTE(Long Term Evolution)이나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으로서, 앞으로 LTE망이라고 칭한다.
이동 단말(100)은 3세대 이동통신망(200) 또는 LTE망(300)에 접속한다. 이동 단말(100)은 3세대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회선교환(Circuit Switch, C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LTE망(300)를 통해 패킷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3세대 이동통신망(200)은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패킷교환망(Packet Switched Core), 그리고 회선교환망(Circuit Switched Core)으로 구성된다. UTRAN은 기지국(NodeB)과 기지국을 제어하는 무선망 제어부(Radio Network Controller, RNC)를 포함한다. 패킷교환망은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등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들을 포함한다.
LTE망(300)은 기지국(eNodeB, Base Station)(310), 이동성 관리장치(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330),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350), PDN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DN-GW)(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310)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동성 관리장치(330), 서빙 게이트웨이(350), PDN 게이트웨이(370)는 패킷코어망(Evolved Packet Core, EPC)에 해당한다.
기지국(310)은 이동 단말(100)이 접속하는 무선접속 장치로서, 무선 계열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성 관리장치(330)는 페이징(paging), 위치등록, 인증 등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100)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또한 이동성 관리장치(330)는 기지국(310)과 서빙 게이트웨이(350) 사이의 신호제어를 담당하고, 3세대 이동통신망(200)과 인터페이스를 형성하여 두 이동통신망(200, 300)을 연결한다.
서빙 게이트웨이(350)는 기지국(310) 사이의 이동이나, 두 이동통신망(200, 300) 사이의 단말 이동에 대한 이동성 앵커(mobility anchor) 기능을 담당한다.
PDN 게이트웨이(370)는 이동 단말(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코어 망의 패킷 데이터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PDN 게이트웨이(370)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해당하는 노드로서, LTE망(300)과 비 3GPP망(non-3GPP) 사이의 단말 이동에 대한 이동성 앵커 기능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100)은 LTE망(300)을 이용하는 경우, 기지국(310)과 게이트웨이(350, 370)를 거쳐 공중 네트워크(Public Internet)에 바로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장치 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LTE망(300)은 복수의 이동성 관리장치, 예를 들면, 이동성 관리장치(330a, 330b, 330c)를 그룹으로 묶어 이동성 관리장치 풀(MME pool)(400)을 구성한다. 그리고, 이동성 관리장치 풀(400)은 복수의 기지국, 예를 들면, 기지국(310a, 310b, 310c, 310d, 310e)을 풀 메쉬(full mesh) 구조로 서로 연결한다.
이동성 관리장치 풀(400) 안에서, 이동성 관리장치(330a-330c)들은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호를 전환하여 부하를 조절(load balancing)한다. 즉, 어느 이동성 관리장치(330a)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자신에 연결된 이동 단말(100)의 호를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이동시킨다. 또는 어느 이동성 관리장치(330a)가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이동성 관리장치(330a)에 연결된 이동 단말(100)의 호는 이동성 관리장치 풀(400)의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330b/330c)로 이동된다.
그런데, 이동 단말(100)이 품질 보장이 요구되는 서비스, 즉 GBR(Guaranteed bit rate)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동성 관리장치(330a)에서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330b/330c)로 호를 이동한다면, 호 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성 관리장치(330)는 이동 단말(100)의 트래픽이 품질보장 서비스인지 판단하여, 품질보장 서비스인 경우라면 기지국(310)이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핸드오버하여 끊김 없이 트래픽을 이동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베어러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100)이 LTE망(300)에 접속하면 이동 단말(100)부터 PDN 게이트웨이(370)까지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500)가 생성된다. 디폴트 베어러(500)는 비품질 보장(Non-GBR)의 QoS(Quality of Service) 특성을 가진다.
이동 단말(100)이 이용하는 서비스 특성에 따라 베어러(510, 520)가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추가로 생성되는 베어러(510, 520)를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라고 한다. 예를 들면, 베어러(510)는 VoIP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이고, 베어러(520)는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일 수 있다. 베어러(510, 520)는 트래픽 특성에 따라 품질보장(GBR) 또는 비품질보장(non-GBR)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이 연결된 이동성 관리장치, 예를 들면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이동 단말(100) 정보(UE context)를 관리한다. 이동 단말(100) 정보는 이동 단말(100)에 생성된 베어러(500, 510, 520)에 설정된 품질보장(GBR) 또는 비품질보장(non-GBR)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조절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자신의 상태 또는 외부 제어 신호를 기초로 어느 기지국(310a)으로부터 전달된 이동 단말(100)의 호를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이동시킬지 판단한다(S410). 여기서 상태는 부하량이나 장애 여부 등 다른 장치로의 호 전환이 필요한 상태를 포함한다.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이동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GBR)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한다(S420). 이때,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이동 단말(100)에 생성된 베어러(500, 510, 520)의 품질보장(GBR) 또는 비품질보장(non-GBR) 정보를 기초로 여부를 판단한다. 품질보장(GBR) 또는 비품질보장(non-GBR) 정보는 베어러의 QCI(QoS Class Identifier)에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GBR)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이동 단말(100)이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핸드오버하도록 기지국(310a)에 요청한다(S430). 만약, 이동 단말(100)이 IDLE 모드인 경우라면,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이동 단말(100)로 페이징을 시도하여 이동 단말(100)을 연결 모드(connected mode)로 전환한 후, 핸드오버하도록 한다.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이동 단말(100)의 정보(UE context)를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전달한다(S440).
이동 단말(100)이 비품질보장(non-GBR)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이동 단말(100)이 TA(Tracking Area) 업데이트를 통해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이동하도록 기지국(310a)에 요청한다(S450). 마찬가지로, 만약, 이동 단말(100)이 IDLE 모드인 경우라면,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이동 단말(100)로 페이징을 시도하여 이동 단말(100)을 연결 모드(connected mode)로 전환한 후, TA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이동 단말(100)의 정보(UE context)를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전달한다(S460).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로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부하 조절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GBR)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100)의 호를 이동하기로 결정한다(S510).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부하 조절을 위해 이동 단말(100)의 호를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핸드오버하도록 기지국(310a)에 요청한다(S520).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기지국(310a)으로 S1 해제(S1 release) 메시지, 예를 들면, S1 UE context Release Command를 전송하며, 부하 조절을 위해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유(cause=Intra E-UTRAN Handover Desirable due to MME Load Balancing)를 포함한다. 여기서 S1은 기지국(310)과 이동성 관리장치(33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기지국(310a)은 이동 단말(100)로 무선 자원 연결 해제(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전송한다(S522).
기지국(310a)은 이동성 관리장치(330a)로 해제 완료 메시지(S1 UE Context Release Complete)를 전송한다(S524).
기지국(310a)은 이동성 관리장치(330a)로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ired) 메시지를 전송한다(S530).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새로운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이전 요청(re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540). 이전 요청 메시지는 이동 단말(100)의 정보(UE context)를 포함한다.
이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성 관리장치(330b)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54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기지국(310a)으로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전송한다(S550).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310a)은 이동 단말(100)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S560).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00)은 기지국(310a)으로 핸드오버 확정(Handover confirm) 메시지를 전송한다(S562). 이때 이동 단말(100)은 기지국(310a)의 다른 FA(Frequency Area)나 섹터(Sector)로 접속할 수 있다.
기지국(310a)은 새로운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핸드오버 알림(Handover notify) 메시지를 전송한다(S570). 이제 기지국(310a)은 이동 단말(100)의 호를 새로운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TA 업데이트로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비품질보장(non-GBR)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100)의 호를 이동하기로 결정한다(S610).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TA(Tracking Area) 업데이트를 통해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이동 단말(100)의 호를 이동하도록 기지국(310a)에 요청한다(S620).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기지국(310a)으로 S1 해제(S1 release) 메시지, 예를 들면, S1 UE context Release Command를 전송하며, 부하 조절을 위해 TA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이유(cause= Load balancing TAU required)를 포함한다.
기지국(310a)은 이동 단말(100)로 무선 자원 연결 해제(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전송한다(S622).
기지국(310a)은 이동성 관리장치(330a)로 해제 완료 메시지(S1 UE Context Release Complete)를 전송한다(S624).
무선 자원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00)은 기지국(310a)에 TA 업데이트를 요청한다(S630).
기지국(310a)은 TA 업데이트 요청(TAU request) 메시지를 새로운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전달한다(S632).
TA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새로운 이동성 관리장치(330b)는 이전의 이동성 관리장치(330a)에게 이동 단말(100) 정보(UE context)를 요청한다(S640).
이전의 이동성 관리장치(330a)는 이동 단말(100)의 정보(UE context)를 새로운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전달한다(S642).
새로운 이동성 관리장치(330b)는 승인(Ack) 메시지를 전달한다(S644).
새로운 이동성 관리장치(330b)는 이동 단말(100)로 TA 업데이트 수락(TAU accept) 메시지를 전송한다(S650).
이동 단말(100)은 TA 업데이트 완료(TAU complete) 메시지를 새로운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전송한다(S652). 이제 기지국(310a)은 이동 단말(100)의 호를 새로운 이동성 관리장치(330b)로 전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이동성 관리장치(330)는 부하 판단부(331), 품질보장판단부(333), 호전환방법결정부(335), 그리고 이동성 관리부(337)를 포함한다.
부하 판단부(331)는 자신의 부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부하 조절 신호를 생성한다.
품질보장판단부(333)는 부하 조절 신호가 전달되면, 이동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GBR)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한다.
호전환방법결정부(335)는 품질보장판단부(333)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GBR) 서비스를 사용하면, 핸드오버를 통해 이동 단말(100)의 호를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전환하도록 결정한다. 만약, 이동 단말(100)이 비품질보장(non-GBR) 서비스를 사용하면, 호전환방법결정부(337)는 TA 업데이트를 통해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이동 단말(100)의 호를 이동하도록 결정한다.
이동성 관리부(337)는 페이징(paging), 위치등록, 인증 등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100)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그리고, 이동성 관리부(337)는 호전환방법결정부(335)에서 결정한 방법으로 이동 단말의 호를 이동하도록 기지국(310a)에 요청한다. 이동성 관리부(337)는 S1 해제(S1 release) 메시지의 이유(cause)에 부하 조절을 위해 핸드오버(cause=Intra E-UTRAN Handover Desirable due to MME Load Balancing) 또는 부하 조절을 위한 TA 업데이트(cause= Load balancing TAU required)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성 관리부(337)는 이동 단말(100)의 정보(UE context)를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전달하여, 앞으로 이동 단말(100)이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의 관리를 받도록 처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성 관리장치(330)는 이동성 관리장치 풀에 속한 이동성 관리장치 사이의 호 전환 시, 품질 요구 수준이 높은 서비스의 경우, 핸드오버를 통해 호 연속성을 보장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제1이동성 관리장치가 기지국과 연동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자신이 관리하는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이동하도록 요청하는 제1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하 조절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이동 단말이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TA(Tracking Area)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이동하도록 요청하는 제2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하 조절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성 관리장치의 부하 상태를 기초로 부하 조절을 수행할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부하 조절을 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하 조절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QCI(QoS Class Identifier)의 품질보장 또는 비품질보장 정보를 기초로 품질보장 서비스를 판단하는 부하 조절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제1이동성 관리장치와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는 같은 이동성 관리장치 풀(pool)에 속한 장치인 부하 조절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제1메시지는
    부하 조절을 위해 핸드오버를 요청한다는 이유(cause)를 포함하는 부하 조절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제1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이동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하 조절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제1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이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이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하 조절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제1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이 유휴 상태인 경우, 페이징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을 연결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제1메시지를 전송하는 부하 조절 방법.
  10. 기지국이 복수의 이동성 관리장치와 연동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제1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이동하도록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하여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하 조절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부하 조절을 위해 핸드오버를 요청한다는 이유(cause)를 포함하는 부하 조절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기지국은 이동성 관리장치 풀(pool)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성 관리장치 풀은 상기 제1이동성 관리장치와 상기 제2이동성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부하 조절 방법.
  13. 제10항에서,
    상기 이동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인 부하 조절 방법.
  14. 기지국과 연동하여 부하를 조절하는 이동성 관리장치로서,
    자신의 부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부하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부하 판단부,
    상기 부하 판단부로부터 상기 부하 조절 신호가 전달되면,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품질보장판단부,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면,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핸드오버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비품질보장 서비스를 사용하면, TA(Tracking Area) 업데이트를 통해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상기 이동 단말의 호를 이동하도록 결정하는 호전환방법결정부
    를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정보를 상기 다른 이동성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이동성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장치.
  16. 제14항에서,
    상기 품질보장판단부는
    QCI(QoS Class Identifier)의 품질보장 또는 비품질보장 정보를 기초로 품질보장 서비스를 판단하는 이동성 관리장치.
KR1020120042870A 2012-04-24 2012-04-24 이동성 관리장치, 기지국, 그리고 이들의 부하 조절 방법 KR20130119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70A KR20130119791A (ko) 2012-04-24 2012-04-24 이동성 관리장치, 기지국, 그리고 이들의 부하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70A KR20130119791A (ko) 2012-04-24 2012-04-24 이동성 관리장치, 기지국, 그리고 이들의 부하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791A true KR20130119791A (ko) 2013-11-01

Family

ID=4985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870A KR20130119791A (ko) 2012-04-24 2012-04-24 이동성 관리장치, 기지국, 그리고 이들의 부하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7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13A1 (ko) * 2014-06-30 2016-0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06702A (ko) 2015-07-09 2017-01-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성관리장치의 수용용량 동적 조절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13A1 (ko) * 2014-06-30 2016-0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06702A (ko) 2015-07-09 2017-01-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성관리장치의 수용용량 동적 조절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628B2 (en) Method in a network n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506366B2 (en) Reducing signaling load caused by change of terminal location
CN105917702B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双连接的路径切换方法及其装置
EP295339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mobile management entity and mobile switching centre
US9668293B2 (en) Relocation of mobility anchor for nomadic subscribers
JP2021078144A (ja) 制御プレーンCIoT EPS最適化による負荷制御
EP29758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proximity service-based radio access technology
US8311542B2 (en) Offered bit rate at handover
EP2730127B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handover of a communications service
US9860783B2 (en) Congestion state reporting method and access network device
EP2709404B1 (en) Support of nomadic or fixed users in a mobile network
CN102111748B (zh) 本地ip连接建立方法及系统
KR20130016712A (ko) 부하 분산을 위한 cs 폴백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 및 이동 단말
WO2016107404A1 (zh) 业务流传输路径优化方法、装置及mme
JP2018508155A (ja) 通信システム
WO2015174700A1 (ko) Csipto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pn-ambr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152130A1 (zh) 承载处理方法及装置
WO2011076063A1 (zh) Lipa或sipto管理方法、装置和系统
KR20130119791A (ko) 이동성 관리장치, 기지국, 그리고 이들의 부하 조절 방법
WO2017195851A1 (ja) アンカーポイント制御装置及びアンカーポイント制御方法
KR101682395B1 (ko) 이종망간 핸드오버의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405544B1 (ko) 가입자 위치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92658B1 (ko) 페이징 장치 및 방법
KR20150072081A (ko)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134703A (ko) 호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