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773A -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773A
KR20130118773A KR1020130036916A KR20130036916A KR20130118773A KR 20130118773 A KR20130118773 A KR 20130118773A KR 1020130036916 A KR1020130036916 A KR 1020130036916A KR 20130036916 A KR20130036916 A KR 20130036916A KR 20130118773 A KR20130118773 A KR 20130118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signal
gate
signa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훙-타 리우
칭-쳉 리
Original Assignee
훙-타 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훙-타 리우 filed Critical 훙-타 리우
Publication of KR2013011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 타이밍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하나 이상의 소스 구동 유닛 및 게이트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소스 구동 유닛은 출력 버퍼 유닛, 복수의 스위치, 및 레지스터 유닛을 포함한다. 출력 버퍼 유닛 유닛은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스위치는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게이트 구동 유닛은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타이밍 제어 유닛은 소스 구동 유닛 및 게이트 구동 유닛의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DISPLA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신호의 특징(feature)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슬림한 외형, 낮은 전력 소모 및 저복사(low radiation) 때문에 노트북, 모니터, 및 PDA(디지털 보조 장치)와 같은 이동 전자 장치에 폭넓게 적용된다. 게다가, LCD를 제조하는 비용이 CRT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비용보다 낮으므로, 점차적으로 LCD 제품이 더욱 대중화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제품이 일상에서 필요한 전자 장치이기 때문에, 각각의 가정에서 누적되는 전력 소비는 현저하게 커지게 된다. 현재, 지구상의 많은 국가는 전력 및 탄소의 소비를 감소시키려 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력 절감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가 요구된다. LCD 또는 CRT 디스플레이의 종래의 기술로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타입에 따라 전력 소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없다. 일부 종래 기술의 디스플레이가 내장 타이밍 셧다운 시스템(built-in timing shutdown system)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수동으로 턴오프시키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턴온 상태로 두는 경우에도, 내장 타이밍 셧다운 시스템의 카운팅이 끝날 때에, 디스플레이가 자동으로 셧다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단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지 않을 때에만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가 이용되는 때에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종래의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가 이용되는 때에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의 이미지의 일부분만이 표시되도록 요구되는 때에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관련되며, 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 타이밍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하나 이상의 소스 구동 유닛 및 게이트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소스 구동 유닛은 출력 버퍼 유닛, 복수의 스위치, 및 레지스터 유닛을 포함한다. 출력 버퍼 유닛은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복수의 스위치는 출력 버퍼 유닛에 접속된다. 복수의 스위치의 각각의 스위치는, 출력 버퍼 유닛에 접속되어 출력 버퍼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과,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어 출력 버퍼 유닛으로부터 입력단에 전송된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한다. 레지스터 유닛은, 스위치를 제어하여,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개방 회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스위치의 제어단에 접속된다. 게이트 구동 유닛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어,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 유닛은 출력 버퍼 유닛 및 게이트 구동 유닛에 접속되어, 출력 버퍼 유닛에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고, 하나 이상의 소스 구동 유닛 및 게이트 구동 유닛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 및 타이밍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련된다.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의 각각의 소스 구동 유닛은 위치 지향 일련 번호(position orientating serial number) 또는 순서 번호를 갖는다. 타이밍 제어 유닛은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에 접속되어,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의 순서 번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을 제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소스 구동 유닛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인에이블링 신호를 발생하는 본 발명의 게이트 구동 유닛의 인에이블링 유닛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일부 문장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는 구체적인 요소를 지칭하고 있지만, 제조업체에서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상이한 용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요소 간의 정의는 이들의 명칭이 아닌 기능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포함한다"라는 표현은 개방형의 의미이며, "이루어진다"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더욱이, "전기 접속된"이라는 표현은 이들 요소 간의 직접적인 접속 또는 간접적인 접속 중의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도면은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청구된 범위는 제공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유닛(20), 타이밍 제어 유닛(30), 프로세서(50)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6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은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70) 및 게이트 구동 유닛(8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의 소스 구동 유닛(70)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70)의 각각의 소스 구동 유닛은 출력 버퍼 유닛(72), 복수의 스위치(74), 및 레지스터 유닛(76)을 포함한다. 출력 버퍼 유닛(72)은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미지 신호는 정지상태 이미지, 동작상태 이미지, 또는 정지상태 이미지의 부분과 동작상태 이미지의 부분을 갖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70)의 각각의 소스 구동 유닛은 위치 지향 일련 번호 또는 순서 번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70)의 각각의 소스 구동 유닛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74)가 출력 버퍼 유닛(72)에 접속된다. 복수의 스위치(74)의 각각의 스위치는, 출력 버퍼 유닛(72)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출력 버퍼 유닛(72)에 접속된 입력단(74_1)과, 출력 버퍼 유닛(72)으로부터 입력단(74_1)에 전송된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데이터 라인(78)에 출력하기 위해 데이터 라인(78)에 접속된 출력단(74_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라인(78)의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즉, 도 2의 소스 구동 유닛(70)에서, 각각의 스위치(74)가 하나의 데이터 라인(78)에 접속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78)에 접속될 수도 있다. 게다가, 복수의 데이터 라인(78)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 세트로 분할될 수 있으며, 소스 구동 유닛(70)은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복수의 데이터 라인(78)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다. 레지스터 유닛(76)은, 스위치(74)를 제어하여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78)에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78)에 개방 회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스위치(74)의 제어단에 접속된다.
하이 임피던스 신호는 플로팅 신호(floating signal) 또는 개방 회로 신호와 같이 스위치(74)를 실질적으로 턴온프시킬 수 있는 신호를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구체적인 타입의 신호로 한정하지 않는다. 게다가, 스위치(74) 전부가 스위치(74)를 제어하기 위해 레지스터 유닛(76)을 이용하는 것을 통해 레지스터 유닛(76)으로부터 스위치(74)로 전송된 신호에 따라 이미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구동 유닛(70)은, 스위치(74) 중의 오직 하나의 스위치가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치(74) 중의 그 밖의 다른 스위치가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스위치(74) 중의 복수의 스위치가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치(74) 중의 그 밖의 다른 스위치가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유닛(8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82)에 접속되어, 복수의 게이트 라인(82)에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 유닛(80)은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85)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에이블링 유닛(85)은 게이트 라인(82)의 세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정지상태 이미지일 때에 게이트 라인(82)의 세트를 디스에이블하도록 이용된다. 정지상태 이미지는 예컨대 JPEG 파일과 같이 텍스트 또는 화상에 제공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정지상태 이미지는 또한 잔상(remaining image), 움직임이 느린 이미지(slow image),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월페이퍼(wallpaper)일 수 있다. 정지상태 이미지는 부분적으로 정지상태이거나 또는 완전히 정지상태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라인(82)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로 분할될 수 있으며, 게이트 구동 유닛(80)은,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복수의 게이트 라인(82) 세트의 각각의 세트의 타이밍을 각각 제어하고, 복수의 게이트 라인(82) 세트의 각각의 세트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각각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인에이블링 신호를 발생하는 본 발명의 게이트 구동 유닛(80)의 인에이블링 유닛(85)을 도시하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인에이블링 신호 OE가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에 대응한다.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의 각각의 세트는 40개의 게이트 라인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완전히 동작상태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때에는, 인에이블링 신호 OE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 전부를 인에이블시킨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유닛(20)이 부분적으로 정지상태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때에는, 인에이블링 신호 OE가 게이트 라인 전부를 인에이블시키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정지상태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을 디스에이블시켜,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예컨대, 도 3b에서, 게이트 라인 81∼120 및 161∼200이 정지상태 이미지에 대응하기 때문에, 인에이블링 신호 OE는 게이트 라인 81∼120 및 161∼200을 디스에이블시킨다. 본 발명의 게이트 구동 유닛(80)은 인에이블링 유닛(85)을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단지 소스 구동 유닛(70)의 제어를 통해 감소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유닛(30)은 출력 버퍼 유닛(72) 및 게이트 구동 유닛(80)에 접속되어, 이미지 신호를 출력 버퍼 유닛(72)에 출력하고, 소스 구동 유닛(70) 및 게이트 구동 유닛(80)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 유닛(30)은, 레지스터 유닛(76) 및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접속되어,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버퍼 유닛(40)은 정지상태 이미지의 이미지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고 임시로 저장된 이미지 신호를 타이밍 제어 유닛(30)에 출력하기 위해 타이밍 제어 유닛(30)에 접속된다.
타이밍 제어 유닛(30)은 이미지 신호의 특징에 따라 게이트 라인(82)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디스에이블시키도록 게이트 구동 유닛(80)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또한 데이터 라인의 일부 또는 전체가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소스 구동 유닛(70)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50)는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이미지 신호를 타이밍 제어 유닛(30) 및 프레임 버퍼 유닛(40)에 전송하기 위해 타이밍 제어 유닛(30) 및 프레임 버퍼 유닛(40)에 접속된다. 게다가, 프로세서는 또한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접속되어, 정지상태 이미지의 위치에 따라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을 제어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60)은 프로세서(50)에 접속되어, 이미지 신호를 프로세서(50)에 전송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60)은 개인용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기타 오퍼레이팅 시스템이어도 되지만, 특정한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오퍼레이팅 시스템(60)은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접속되어, 정지상태 이미지의 위치에 따라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을 제어한다. 인에이블링 유닛(85)은 게이트 라인(82)의 세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의 특징이 잔상, 움직임이 느린 이미지 또는 텍스트에 속할 때에는 그 게이트 라인(82)의 세트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이용된다. 전술한 정지상태 이미지는 예컨대 윈도우의 월페이퍼, 다수의 문자를 갖는 웹페이지, 파워포인트 프리젠테이션, 또는 사진과 같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이미지를 지칭한다. 정지상태 이미지에 비하여, 영화, PC 게임, 또는 스크린 세이버의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크게 변경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은 판단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판단 유닛은, 이미지 신호의 특징을 판단하고, 이미지 신호의 특징을 프로세서(50) 및 타이밍 제어 유닛(30)에 전송하여, 프로세서(50) 및 타이밍 제어 유닛(30)이 그에 따라 이미지 신호를 유지, 갱신, 수정 또는 처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판단 유닛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의 특정 위치에 구성되도록 한정하지 않는다. 판단 유닛은 프로세서(50), 오퍼레이팅 시스템(60) 또는 타이밍 제어 시스템에 구성될 수 있다. 판단 유닛은, 제1 데이터 버스(310), 제2 데이터 버스(320) 및 제3 데이터 버스(330)(도 5에 도시) 중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버스를 턴오프하고, 프로세서(50), 타이밍 제어 유닛(30) 또는 프레임 버퍼 유닛(40) 중의 하나를 슬립 상태, 스탠바이 상태 또는 포즈(pause)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50), 타이밍 제어 유닛(30), 소스 구동 유닛(70) 및 판단 유닛은 필요한 경우 이미지 신호의 특징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타이밍 제어 유닛(30)은 소스 구동 유닛(70)의 레지스터 유닛(76) 및 게이트 구동 유닛(80)의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접속되어, 타이밍 제어 유닛(30)이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는 소스 구동 유닛(70)의 레지스터 유닛(76) 및 게이트 구동 유닛(80)의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접속되어, 프로세서(50)가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소스 구동 유닛(70)의 스위치(74)를 제어하고, 게이트 구동 유닛(80)의 인에이블링 유닛(85)의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어하는, 제1 실시예의 구성을 통해, 게이트 라인(82)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정지상태 이미지일 때에는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게이트 라인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부분적으로 정지상태이든 아니면 완전히 정지상태이든 간에,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400)을 도시하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과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400) 간의 차이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400)이,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을 제어하도록 제어 신호를 레지스터 유닛(76) 및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출력하기 위해 소스 구동 유닛(70)의 레지스터 유닛(76)과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85)에 접속된 제어 회로(90)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500)을 도시하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과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500) 간의 차이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500)이 제1 데이터 버스(310), 제2 데이터 버스(320) 및 제3 데이터 버스(330)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제1 데이터 버스(310)는 오퍼레이팅 시스템(60) 및 프로세서(50)에 접속된다. 제2 데이터 버스(320)는 프로세서(50) 및 타이밍 제어 유닛(30)에 접속된다. 제3 데이터 버스(330)는 프로세서(50) 및 프레임 버퍼 유닛(40)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완전히 정지상태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제1 데이터 버스(310), 제2 데이터 버스(320) 및 제3 데이터 버스(330) 중의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50), 타이밍 제어 유닛(30) 또는 프레임 버퍼 유닛(40) 중의 하나를 슬립 상태, 스탠바이 상태 또는 포즈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턴오프될 것이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500)을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가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600)을 도시하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400)과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600) 간의 차이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600)이 제1 데이터 버스(310), 제2 데이터 버스(320) 및 제3 데이터 버스(330)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제1 데이터 버스(310)는 오퍼레이팅 시스템(60) 및 프로세서(50)에 접속된다. 제2 데이터 버스(320)는 프로세서(50) 및 타이밍 제어 유닛(30)에 접속된다. 제3 데이터 버스(330)는 프로세서(50) 및 프레임 버퍼 유닛(40)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의 특징을 디스플레이할 때, 판단 유닛은 신호의 특징을 판단하도록 이용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 버스(310), 제2 데이터 버스(320) 및 제3 데이터 버스(330) 중의 하나를 턴오프하고, 프로세서(50), 타이밍 제어 유닛(30) 또는 프레임 버퍼 유닛(40) 중의 하나를 슬립 상태, 스탠바이 상태 또는 포즈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를 도시하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전자 장치(700)는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70), 타이밍 제어 유닛(30) 및 게이트 구동 유닛(80)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70)의 각각의 소스 구동 유닛은 위치 지향 일련 번호 또는 순서 번호를 갖는다. 이 구성으로, 전자 장치(700)는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70)의 각각의 소스 구동 유닛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각각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유닛(30)은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70)에 접속되어,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70)의 순서 번호에 따라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70)을 제어한다.
게이트 구동 유닛(8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82) 세트에 접속된다. 복수의 게이트 라인(82) 세트의 각각의 세트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 유닛(8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82) 세트의 각각의 세트를 디스에이블 또는 인에이블되도록 각각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에 대해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700) 또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 외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구성을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 400, 500, 600)은 디스플레이가 정지상태 이미지 또는 부분적으로 정지상태인 이미지를 표시할 때에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때에는 종래 기술의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가 부분적으로 정지상태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때에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게다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자 장치(700)가 적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익숙한 사람은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많은 수정예 및 변경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개시 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경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 및 타이밍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a. ⅰ)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 유닛;
    ⅱ) 상기 출력 버퍼 유닛에 접속되며, 각각의 스위치가,
    상기 출력 버퍼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출력 버퍼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과,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출력 버퍼 유닛으로부터 상기 입력단에 전송된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출력하는 출력단
    을 갖는 복수의 스위치; 및
    ⅲ)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개방 회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의 제어단에 접속되는 레지스터 유닛
    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구동 유닛; 및
    b.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이, 상기 출력 버퍼 유닛 및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출력 버퍼 유닛에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구동 유닛 및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은 이미지 신호의 특징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을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라인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은 상기 레지스터 유닛 및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에 접속되어, 이미지 신호의 특징에 따라 상기 레지스터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프로세서가 상기 레지스터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에 접속되어, 이미지 신호의 특징에 따라 상기 레지스터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의 전부가 복수의 데이타 라인 세트로 그룹화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구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 세트의 각각의 세트를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로 그룹화되며,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의 각각의 세트의 타이밍을 각각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로 그룹화되며,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의 각각의 세트를 디스에이블 또는 인에이블되도록 각각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에 접속되어,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이미지 신호를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에 전송하는 프로세서; 및
    이미지 신호의 특징을 판단하고, 이미지 신호의 특징을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에 전송하여,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이 그에 따라 이미지 신호를 유지, 갱신, 수정 또는 처리하도록 하는 판단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에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에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이미지 신호의 특징을 판단하고, 이미지 신호의 특징을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에 전송하여,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이 그에 따라 이미지 신호를 유지, 갱신, 수정 또는 처리하도록 하는 판단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에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은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의 각각의 인에이블링 유닛은, 게이트 라인의 세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의 특징이 정지상태 이미지, 움직임이 느린 이미지(slow image) 또는 텍스트 이미지에 속할 때에 상기 게이트 라인의 세트를 디스에이블하기 위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은 상기 레지스터 유닛 및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에 접속되어, 이미지 신호의 특징에 따라 상기 레지스터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프로세서가 상기 레지스터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에 접속되어, 이미지 신호의 특징에 따라 상기 레지스터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 유닛 및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에 접속되어, 정지상태 이미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레지스터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에이블링 유닛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 판단 유닛 및 하나 이상의 소스 구동 유닛은, 필요한 경우, 이미지 신호의 특징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기능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은, 상기 게이트 라인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의 특징이 정지상태 이미지, 움직임이 느린 이미지 또는 텍스트 이미지에 속할 때에 상기 게이트 라인을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해 상기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는 인에이블링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제1 데이터 버스, 제2 데이터 버스 및 제3 데이터 버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이터 버스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프로세서에 접속되고, 상기 제2 데이터 버스는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접속되고, 상기 제3 데이터 버스는 프레임 버퍼 유닛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접속되며,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제1 데이터 버스, 상기 제2 데이터 버스 및 상기 제3 데이터 버스 중의 하나를 턴오프하고, 상기 프로세서, 상기 타이밍 제어 유닛 및 상기 프레임 버퍼 유닛 중의 하나를 슬립 상태, 스탠바이 상태 또는 포즈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소스 구동 유닛이 위치 지향 일련 번호 또는 순서 번호를 갖는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의 상기 순서 번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구동 유닛의 각각의 소스 구동 유닛은,
    ⅰ)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 유닛;
    ⅱ) 상기 출력 버퍼 유닛에 접속되며, 각각의 스위치가,
    상기 출력 버퍼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출력 버퍼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과,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출력 버퍼 유닛으로부터 상기 입력단에 전송된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출력하는 출력단
    을 갖는 복수의 스위치; 및
    ⅲ) 상기 스위치의 제어단에 접속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라인에 이미지 신호 또는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레지스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에 접속된 게이트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의 각각의 세트가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의 각각의 세트를 디스에이블 또는 인에이블되도록 각각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자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에 접속된 게이트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의 각각의 세트가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구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 세트의 각각의 세트를 디스에이블 또는 인에이블되도록 각각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자 장치.
KR1020130036916A 2012-04-20 2013-04-04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20130118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14201A TWI602052B (zh) 2012-04-20 2012-04-20 顯示器控制系統
TW101114201 2012-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773A true KR20130118773A (ko) 2013-10-30

Family

ID=4929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916A KR20130118773A (ko) 2012-04-20 2013-04-04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78589A1 (ko)
KR (1) KR20130118773A (ko)
CN (1) CN103377609B (ko)
DE (1) DE102013006871A1 (ko)
TW (1) TWI6020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2596A (ja) * 2013-11-21 2015-06-04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の駆動装置
KR101717355B1 (ko) 2015-07-29 2017-03-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5788554B (zh) 2016-05-20 2019-02-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屏驱动器、显示屏及终端
TWI647686B (zh) * 2018-01-30 2019-0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其驅動方法
CN114141189B (zh) * 2021-12-09 2023-11-14 奕力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及其显示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4840A (en) * 1997-04-07 2000-09-26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Low power gate driver circuit for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using electric charge recycling technique
TW573165B (en) * 1999-12-24 2004-01-21 Sanyo Electric Co Display device
TW494382B (en) * 2000-03-22 2002-07-11 Toshiba Corp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JP3744818B2 (ja) * 2001-05-24 2006-0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信号駆動回路、表示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
JP3743504B2 (ja) * 2001-05-24 2006-0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走査駆動回路、表示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走査駆動方法
JP4152934B2 (ja) * 2003-11-25 2008-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0454086C (zh) * 2004-01-07 2009-01-21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驱动方法
CN100373443C (zh) * 2004-06-04 2008-03-05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源极驱动器、源极驱动器阵列、具有此阵列的驱动电路及显示器
TWI413096B (zh) * 2009-10-08 2013-10-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適應性畫面更新率調變系統及其方法
KR101651548B1 (ko) * 2010-02-18 2016-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패널 구동 방법, 이를 구현하는 소스 드라이버 및 액정 표시 장치
US8823624B2 (en) * 2010-08-13 2014-09-02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having memory in pixels
US20120206461A1 (en) * 2011-02-10 2012-08-16 David Wyat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elf-refreshing display device coupled to a graphics controller
KR101929426B1 (ko) * 2011-09-07 2018-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7609A (zh) 2013-10-30
TWI602052B (zh) 2017-10-11
TW201344415A (zh) 2013-11-01
DE102013006871A1 (de) 2013-10-24
CN103377609B (zh) 2016-12-21
US20130278589A1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5613B2 (ja) 高速ディスプレイインターフェース
EP2693425B1 (en)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2011029200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ghost thereof
US20080165099A1 (en) Lcds and methods for driving same
JP2007011334A (ja) 表示装置のための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並びにこれを制御する方法
US867497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with common voltage control for avoiding flicker and color-shift phenomena
KR20130118773A (ko)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JP2005326859A (ja) デュアルパネルの駆動システム及び駆動方法
US10885867B2 (en) Driv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related driving device
US9996312B2 (en) Display driver, display system and microcomputer
US7612772B2 (en) Display monitor with a common display data channel
US11348511B2 (en) Enabling a chipset that supports a single display to support dual display
US20100182261A1 (en) Controller driver,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7190377A1 (zh) 触控显示面板及其驱动电路、电子设备
US20180151105A1 (en) Display driver, display, and mobile terminal
US20150187339A1 (en) Previewing Notification Content
US10228750B2 (en)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apable of handling both dynamic and static display applications
KR102207220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구동방법 및 영상 표시 시스템
CN103247249A (zh) 显示控制电路、显示控制方法及显示装置
US20150262540A1 (en) Discharge Circuit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54272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US20050097469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W202105357A (zh) 顯示方法
US20090207120A1 (en) Method for fast switching interfaces in liquid crystal displa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548032B2 (en)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