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138A - Qr 코드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공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서버 - Google Patents

Qr 코드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공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138A
KR20130118138A KR1020120041095A KR20120041095A KR20130118138A KR 20130118138 A KR20130118138 A KR 20130118138A KR 1020120041095 A KR1020120041095 A KR 1020120041095A KR 20120041095 A KR20120041095 A KR 20120041095A KR 20130118138 A KR20130118138 A KR 20130118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xt
terminal
advertisement
cod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096B1 (ko
Inventor
김상덕
봉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인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인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인트리
Priority to KR102012004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09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코드에 컨텍스트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적절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광고 콘텐츠 송신 방법은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각각을 광고 컨텐츠와 연관시키는 단계; 단말로부터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으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텍스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광고 콘텐츠 요청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컨텍스트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 영역들 중에서 하나의 광고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QR 코드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공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서버{TERMINAL AND SERVER HAVING FUNCTION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S USING QR CODE}
본 명세서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서버와 그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QR코드(QR code)는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종래에 많이 쓰이던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 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 바코드는 단방향 즉, 1차원 적으로 숫자 또는 문자 정보가 저장 가능한 반면, QR코드는 종횡으로 2차원 형태를 가져서 더 많은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숫자 외에 알파벳과 한자 등 문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QR코드가 바코드보다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는 이점을 이용하여, QR코드를 이용한 광고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광고 콘텐츠의 URL이 담긴 QR코드를 촬영하면, 스마트폰이 촬영된 QR코드를 인식하여 URL을 추출하고, 브라우저를 통해 URL로 리디렉션(redirection)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이 서버로부터 해당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게 됨으로써, 광고주들은 광고 콘텐츠를 쉽게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광고 기술에서 QR코드를 이용하는 데는 몇 가지 한계가 존재한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QR코드는 가변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없고, QR코드에 담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이 한정적이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종래의 광고 기술에서 QR 코드는 특정 웹 페이지로 리디렉션하는 방식으로 추가 정보를 보여주므로, 관문 정도의 역할만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광고적인 측면에서, 빌딩 위나 전단지, 가판대 등 옥외 광고에 배치되는 QR코드는 정적이고, 다양한 내용을 표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한번 인쇄되면 그 내용을 변경할 수 없게 된다. 그리하여, 잦은 광고의 교체에 불필요한 자원 낭비가 수반될 수 있고, 하나의 광고로 지역적 특색을 나타내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QR코드에 컨텍스트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적절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광고 콘텐츠 송신 방법은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각각을 광고 컨텐츠와 연관시키는 단계; 단말로부터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으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텍스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광고 콘텐츠 요청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컨텍스트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 영역들 중에서 하나의 광고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는, 3차원 오브젝트와 움직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는, 시간, 위치, 음향, 조도, 기울기, 흔들림, 온도, 무선 감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에 포함된 제1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에 포함되지 않은 제2 컨텍스트를 추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변경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URL은, 상기 식별 정보를 반영하는 경로와 상기 컨텍스트를 반영하는 쿼리를 포함하거나, 상기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URL들 중에서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선택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각각을 광고 컨텐츠와 연관시키는 제어부; 단말로부터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요청으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텍스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광고 콘텐츠 요청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 영역들 중에서 하나의 광고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광고 콘텐츠 수신 방법은 QR 코드를 인식하여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컨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컨텍스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제2 모드에서,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상기 QR 코드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QR 코드에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중에서 상기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상기 QR 코드와 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변경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URL은, 상기 식별 정보를 반영하는 경로와 상기 컨텍스트를 반영하는 쿼리를 포함하거나, 상기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URL들 중에서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선택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QR 코드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컨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컨텍스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생성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상기 QR 코드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QR 코드에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중에서 상기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번 인쇄된 QR코드를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광고 변경에 다른 불필요한 시설 비용과 광고 교체에 대한 추가 비용에 대한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텍스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광고가 실제로 노출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데이터 트래픽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광고 여부 및 광고 효과의 추측이 가능하며, 새로운 광고 기법에 따른 고객 인지도가 증가하고, 시간대와 유동인구, 또는 지리적 특징에 따른 다양한 광고 집행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차원의 광고 콘텐츠를 증강 현실 기법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ATL(Above The Line)을 BTL(Below The Line), 즉 옥외 광고를 손안에 광고로 옮길 수 있고, 광고를 소유하고 싶은 욕구를 유발하여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1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2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광고 콘텐츠 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의 광고 콘텐츠 송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서버(200) 간 광고 콘텐츠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 콘텐츠 제공 시스템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단말(100), 서버(200), 서버 측 데이터베이스(300), 단말 측 데이터베이스(300') 및 추정기(400)를 포함한다. 구현 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00) 및 추정기(400)는 서버(200)에 포함되고, 데이터베이스(300')는 단말(100)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QR 코드를 촬영하여 인식하는 동작, QR 코드로부터 URL을 추출하는 동작 및 추출된 URL을 서버(200)에 송신하여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100)은 QR 코드를 촬영하여 인식하는 동안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동작, QR 코드로부터 추출된 URL과 컨텍스트를 결합하는 동작 및 결합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100)은 또한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QR코드에 합성하여(겹쳐서)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서버(200)는 컨텍스트 범위를 기준으로 하나의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설정하는 동작,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광고 콘텐츠와 연관시키는 동작, 단말(100)로부터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면, 컨텍스트를 획득하여 획득한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300)는 광고 콘텐츠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0)는 QR 코드의 식별 정보, QR 코드에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에 해당하는 컨텍스트 범위에 대한 정보, 각각의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300)는 또한 단말(100)의 광고 콘텐츠 요청 히스토리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광고 콘텐츠 요청 히스토리는, 단말(100)이 광고 콘텐츠를 요청한 이력을 의미하며, 각각의 요청이 이루어진 시점에 해당하는 컨텍스트들을 기록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 요청 히스토리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각각의 요청이 발생한 시간, 위치와 함께, 소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컨텍스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추정기(400)는 광고 콘텐츠 요청이 발생하였지만 시간, 위치 외에 다른 컨텍스트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광고 콘텐츠 요청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동일 또는 유사 시간대, 동일 또는 유사 위치에서의 현재 컨텍스트를 추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임시로)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광고 콘텐츠의 목록 및 광고 객체를 저장할 수 있다.
추정기(400)는 서버(200)가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단말(100)의 광고 콘텐츠 요청 히스토리를 분석하여 단말(100)의 컨텍스트를 추정하고, 추정된 컨텍스트를 서버(200)에 제공한다.
도 2 - 단말(10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1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단말(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100)과 단말(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단말(100)의 위치를 획득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단말(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미도시),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미도시) 및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는 햅틱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V 입력부(120)의 카메라는 QR 코드를 촬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QR 코드로부터 URL을 추출한다. 제어부(180)는 현재 모드가 컨텍스트 모드인지 판단하고, 컨텍스트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100)의 컨텍스트를 수집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추출된 URL과 컨텍스트를 결합하고, 결합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생성한다. 현재 모드가 컨텍스트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인 경우에는 추출된 URL을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생성된 요청을 서버(200)에 송신하고, 서버(200)로부터 요청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50)는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여,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가상의 3차원 오브젝트가 공간 측정에 따른 상대 위치를 고려하여 QR 코드에 합성되어(겹쳐져서) 표시되게 한다.
도 3 - 서버(200)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2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서버가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서버(200)와 서버(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22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컨텍스트 범위를 기준으로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QR 코드에 설정된 각각의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연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단말(100)로부터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한다. 광고 콘텐츠의 요청은 QR 코드에 삽입된 URL과 단말(100)의 컨텍스트를 포함하거나, 단말(100)의 컨텍스트 없이 QR 코드에 삽입된 URL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단말(100)로부터의 광고 콘텐츠 요청에 단말(100)의 컨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컨텍스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컨텍스트를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버(200)는 추정기(400)에 컨텍스트를 요청하고, 추정기(400)로부터 단말(100)의 추정된 컨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추정기(400)는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컨텍스트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URL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230)는 확인된 광고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4 - 전체 개념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서버(200)는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제1 컨텍스트(x축), 제2 컨텍스트(y축) 및 제3 컨텍스트(z축)로 이루어진 3차원 공간 상에 복수의 광고 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서버(200)는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와 연관시키고, 연관 관계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연관 관계에 의해 특정 컨텍스트(x1, y1, z1)에 해당하는 광고 콘텐츠가 결정된다.
컨텍스트의 개수에 따라 n차원의 공간 상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수신한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한다.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QR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QR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또는 일반적인 QR 코드 인식 기능을 포함하는 일반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먼저, 단말(100)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말(100)은 A/V 입력부(120)의 카메라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를 통해 대상체에 표시된 QR 코드(500)를 촬영할 수 있다. QR 코드(500)가 촬영되는 동안 단말(100)은 QR 코드(500)의 미리보기 기능과 QR 코드(500)를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QR 코드(500)의 촬영이 완료되면, 단말(100)은 QR 코드(500)를 인식하고, QR 코드(500)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추출한다. 또한, 단말(100)은 컨텍스트를 수집한다. 컨텍스트는 현재 시간, 위치, 음향, 조도, 기울기, 흔들림, 온도, 무선 감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텍스트의 수집이 완료되면,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에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QR 코드로부터 추출한 URL과 수집한 컨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100)은 URL과 수집한 컨텍스트를 조합하여, GET 또는 POST 방식으로 서버(200)에 송신한다. 그러나, 단말(100)의 설정에 따라(예를 들어, 컨텍스트 수집을 의도적으로 비활성화한 경우) 또는 환경에 따라(예를 들어, 위치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컨텍스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광고 콘텐츠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에 응답하여 요청된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한다. 이 때, 서버(200)는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메시지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텍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텍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메시지가 컨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200)는 메시지에 포함된 URL과 컨텍스트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확인하고, 단말(100)에 송신한다.
그러나,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텍스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메시지가 컨텍스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서버(200)는 추정기(400)에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텍스트를 요청한다. 서버(200)는 예를 들어,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1 및 제2 컨텍스트에 근거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다른 컨텍스트를 추정기(400)에 요청한다. 추정기(400)는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단말(100)의 광고 콘텐츠 요청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단말(100)로부터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한 시간 및 단말(100)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메시지에 명시되지 않은 컨텍스트를 추정한다. 추정기(400)는 획득한 컨텍스트를 서버(200)에 송신한다.
다시, 서버(200)는 메시지에 포함된 URL과 추정기(400)로부터 획득한 컨텍스트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확인하고, 단말(100)에 송신한다.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QR 코드(500)와 겹쳐 표시하거나 QR 코드(500)의 주위에 표시한다. 광고 콘텐츠는 3차원 오브젝트와 움직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콘텐츠는 다시점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100)을 움직이면, 단말(100)은 단말(100)의 위치, 각도 등을 판단하여 시점(viewpoint)을 결정하고, 결정된 시점으로 광고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를 수신한 단말(100)은 QR 코드(500)를 인식한 시점의 자이로 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자이로 값을 기준으로 이후 광고 콘텐츠의 화면 내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에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는 도중에 단말(100)의 움직임으로 인해 QR 코드(500)가 AV 입력부(120)의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을 벗어나는 경우 단말(100)은 미리 저장된 자이로 값을 이용하여 QR 코드(5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이 일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에는, 서버(200)가 단말(100)에 광고 콘텐츠 대신에 광고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URL을 송신한다. 또한, 서버(200)는 단말(100)에 2차원의 광고 콘텐츠 미리보기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 미리보기 이미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설치 URL로 리디렉션(redirection)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제공된 메뉴가 선택되면, 단말(100)은 설치 URL로 리디렉션하여, 광고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단말(100)은 서버(200)에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고, 서버(200)는 요청된 광고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한다. 단말(100)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 콘텐츠를 재생한다.
일 실시 예에서, QR 코드는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반영하는 URL 형태의 경로 정보(호스트 정보를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100)은 QR 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한 경로 정보에 수집한 컨텍스트를 파라미터의 형태로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에 포함된 URL이 "http://www.xxx/xxx.QAR"의 경로를 포함하고, A 시간, B 위치, C 소음의 콘텍스트 정보가 수집된 경우 단말(100)은 "http://www.xxx/xxx.QAR?time=A&position=B&noise=C"와 같이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컨텍스트를 쿼리 형태로 조합하여,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URL을 변경하여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가 URL1, URL2 및 URL3을 포함하는 경우에, 단말(100)은 컨텍스트의 값에 따라 URL1, URL2 및 URL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범위에 해당하는 시간, 위치 및 소음에서는 URL1을 선택하고, 제2 범위에 해당하는 시간, 위치 및 소음에서는 URL2를 선택할 수 있다. URL을 선택하는 범위에 대한 기준은 QR 코드에 포함되거나, 단말(100) 및 서버(200)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단말(100)은 선택된 URL을 서버(200)에 송신하여 서버(2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QR 코드는 단말(100)이 QR 코드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예를 들어 컨텍스트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100)은 QR 코드에 명시된 컨텍스트 타입에 해당하는 컨텍스트를 수집하여,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는 "http://www.xxx/xxx.QAR"의 URL과 TIME, POSTION, NOISE의 파라미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QR 코드는 복수의 URL과 각각에 대응하는 조건, 예를 들어 컨텍스트 범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100)은 QR 코드에 명시된 컨텍스트 범위를 참조하여, 현재 수집된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URL을 선택하여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는 "if TIME is between 09:00 and 18:00 then redirect to http://www.xxx/xxx1.QAR"와 "else then redirect to http://www.xxx/xxx2.QA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 콘텐츠 등록 과정
도 5 내지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등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현실 오브젝트를 촬영한다(S110). 사용자에 의해 단말(100)은 다양한 각도로 움직이면서 현실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100)은 내장된 GPS, 가속도계,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등을 이용하여 현실 오브젝트를 촬영하는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 기울기 정보, 촬영 시점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위치, 각도에서 단말(100)은 현실 오브젝트(600)를 촬영할 수 있다. 이 때의 위치, 각도가 촬영 영상과 함께 저장됨으로써, 이후에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는데 이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현실 오브젝트의 촬영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을 스트림한다(S120). 이미지 파일은 메타 데이터와 바디를 포함하는데, 메타 데이터에는 상기 기술한 각종 센서를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 기울기 정보 및 촬영 시점 정보 등이 포함되고, 바디에는 실제 이미지가 포함된다.
단말(100)은 오브젝트를 등록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모니터링한다(S130). 현실 오브젝트의 촬영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단말(100)에 오브젝트의 등록 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
오브젝트를 등록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단말(100)은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한다(S140). 가상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 이름, 설명 등이 등록된다.
가상 오브젝트가 생성되면, 단말(100)은 스트림된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가상 오브젝트 파일 및 움직임 데이터를 등록한다(S150). 이 과정에서, 가상 오브젝트 파일과 위치 정보, 기울기 정보, 촬영 시점 정보가 정합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데이터는 생성된 가상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 및 등록될 수 있다.
단말(100)은 생성된 가상 오브젝트의 컨텍스트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S160). 컨텍스트 범위는 가상 오브젝트가 노출될 수 있는 특정 시간, 특정 위치, 특정 온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에, 가상 오브젝트는 지정된 시간, 위치, 온도 등에서만 노출될 수 있다.
단말(100)은 가상 오브젝트 파일의 URL과 QR 코드를 생성한다(S170). 단말(100)은 먼저 가상 오브젝트 파일의 URL을 생성하고, 생성된 URL을 QR 코드에 삽입할 수 있다. QR 코드는 인쇄되어 현실의 물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100)은 광고 콘텐츠로 사용할 가상 오브젝트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현실 오브젝트를 촬영하여 스트림된 이미지 파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가상 오브젝트(600)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가상 오브젝트(600)의 움직임 데이터를 더 입력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가상 오브젝트(600)의 URL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가상 오브젝트(600)의 URL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의 (d)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생성된 URL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100)은 생성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00)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콘텐츠 등록 과정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서버(200)에 연결된 별도의 콘텐츠 등록 장치(미도시)가 단말을 대신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서버(200)에 연결된 별도의 콘텐츠 등록 장치는 예를 들어, 서버(200)를 관리하기 위한 콘솔, 서버(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 - 콘텐츠 수신 과정
도 8 내지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광고 콘텐츠 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광고 콘텐츠 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말(100)은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210). 전술한 바와 같이,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인 QR 코드 인식 기능, 즉, QR 코드에 대응하는 URL로 리디렉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일반 애플리케이션, 또는 전용의 QR 코드 인식 기능, 즉, QR 코드에 대응하는 URL과 컨텍스트의 결합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먼저, 전용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A/V 입력부(120)의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안내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100)을 대상체에 표시된 QR 코드에 위치시킴으로써, 단말(100)이 QR 코드를 촬영 및 인식한다(S220).
단말(100)은 현재 모드가 컨텍스트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230). 현재 모드는 컨텍스트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현재 모드가 컨텍스트 모드인 경우, 단말(100)은 QR 코드에서 URL을 추출하고, 컨텍스트를 수집한다(S242). 그리고, 단말(100)은 추출된 URL과 수집된 컨텍스트를 결합하고(S244), 결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현재 모드가 컨텍스트 모드가 아닌 경우, 단말(100)은 QR 코드에서 URL을 추출한다(S252). 그리고, 단말(100)은 추출된 URL을 이용하여 서버(200)에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S254).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요청된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S260),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270).
현재 모드가 컨텍스트 모드인 경우, 단말(100)은 QR 코드에 삽입된 하나의 URL에 대해서 시간, 위치, 온도 등에 따라 상이한 광고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라는 지역에서 단말을 통해 광고판에 있는 QR 코드를 촬영하면, 3차원의 노트북 광고가 광고판에 겹쳐서 재생되고, B라는 지역에서 단말을 통해 광고판에 있는 QR 코드를 촬영하면, 3차원의 자동차 광고가 광고판에 겹쳐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명함에 QR 코드를 인쇄하여 상대방에게 제공하면, 상대방이 단말(100)을 통해 QR 코드를 촬영함에 따라, 도심에서는 a 상품이 3차원 형태로 명함 위에 겹쳐져서 재생되고, 교외에서는 b 상품이 3차원 형태로 명함 위에 겹쳐져서 재생됨으로써, 사용자의 하나의 명함으로 거주지역, 사무지역 등과 관련된 제품을 홍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시회에서 사용자가 자사 제품을 홍보하고자 할 때, 전시장 부스에 마련된 특정 공간에 QR 코드를 배치하면, 참관객이 자신의 단말(100)을 움직여서 화면을 통해 제품의 3차원 데이터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100)을 통해 자동차 소음이 시끄러운 곳에서 특정 QR 코드를 촬영하면, 수면 안대와 귀마개의 3차원 모델이 표시되고, 주변이 조용해지면 동일한 QR 코드를 촬영하면, 휴양 여행지 광고가 3차원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단말(100)이 대상체(700)에 표시된 QR 코드(500)를 촬영하여 인식하면, QR 코드(500)에 대응하는 가상의 오브젝트(600)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현실의 대상체(700) 또는 QR 코드(500)에 겹쳐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100)은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광고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이후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의 목록을 호출하여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9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단말(100)이 대상체(700)에 표시된 QR 코드(500)를 촬영하여 인식하면, QR 코드(500)에 대응하는 가상의 오브젝트(600)의 2차원 이미지와 전용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URL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100)은 전용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전용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술한 전용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광고 콘텐츠의 수신 과정이 진행된다.
이 경우에, 서버(200)는 브라우저의 user-agent 등을 검출하여, 광고 콘텐츠를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이 전용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인지 또는 일반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전술한 과정을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user-agent는 브라우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광고 콘텐츠 재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AV 입력부(12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체(700)에 표시된 QR 코드(500)를 촬영하면, 단말(100)은 QR 코드(500)와 촬영 시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2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00)은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QR 코드(500) 위에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광고 콘텐츠는 3차원의 가상 오브젝트(600)를 포함할 수 있고, 다시점 영상인 경우 시점에 따라 동일한 오브젝트에 대해 다른 영상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가상 오브젝트(600)에는 움직이는 효과가 부여될 수 있고, 사용자가 단말(100)을 움직이는 경우 단말(100)의 움직임에 따라 QR 코드(500)의 화면 내 위치를 추적하여, 광고 콘텐츠가 QR 코드 위에서 계속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광고 콘텐츠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0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광고 콘텐츠 재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만약, 단말(100)에 의해 인식된 QR 코드(500)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3차원 광고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즉, 일반 QR 코드인 경우에도, 단말(100)은 2차원의 광고 콘텐츠를 3차원으로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QR 코드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가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단말은(100)은 웹 페이지를 2차원으로 표시하여야 하지만, 이와 달리 3차원의 가상 오브젝트(600)를 생성하여, 정면에는 웹 페이지가 표시되고 그 일 측면에는 웹 페이지와 관련된 부가 정보, 예를 들어, 웹 페이지 메타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0b에 도시된 표시 방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일반 QR 코드, 즉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3차원 광고 콘텐츠와 연관되지 않은 QR 코드의 경우에는 단말(100)은 광고 콘텐츠를 원래의 형상대로 2차원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정기(400)의 컨텍스트 추정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단말(100)은 전용 QR 코드 인식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텍스트 모드에서, QR 코드로부터 추출한 URL과 함께 각종 센서를 통해 수집한 컨텍스트를 서버(200)에 송신한다. 그런데, 사용자의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단말(100)이 컨텍스트를 수집할 수 없는 경우에, 단말(100)은 서버(200)에 컨텍스트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 서버(200)는 추정기(400)에 단말(100)의 컨텍스트를 요청하고, 추정기(400)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 요청 히스토리를 분석하여, 현재 단말(100)의 컨텍스트를 추정하여 서버(200)에 제공한다.
추정기(400)는 단말(100)이 광고 콘텐츠를 서버(200)에 요청한 시간과, 단말(100)의 IP 기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한 시간과 위치에 대응하는 컨텍스트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이 과거에 광고 콘텐츠를 요청한 제1 시간 및 위치에 소음이 5이고, 제2 시간 및 위치에 소음이 6이고, 제3 시간 및 위치에 소음이 7인 경우, 제1 시간 및 위치, 제2 시간 및 위치, 제3 시간 및 위치의 가운데에 해당하는 현재 시간 및 위치에 해당하는 소음은 이들의 평균 값인 6으로 추정할 수 있다. 추정기(400)는 현재 소음의 추정 값인 6을 서버(200)에 송신하고, 서버(200)는 이 값을 이용하여 단말(100)에 적절한 광고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QR 코드 위치 추적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말(100)은 QR 코드를 촬영하고,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QR 코드가 인식 될 때 자이로 값을 저장한다(S221). 단말(100)은 서버(200)에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서버(200)는 단말(100)에 요청된 광고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단말(100)은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QR 코드에 광고 콘텐츠를 겹쳐서 표시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단말(100)은 광고 콘텐츠가 표시될 위치에 해당하는 QR 코드의 화면 좌표를 추적한다(S271).
제272 단계에서, QR 코드의 화면 좌표 추적이 성공인 경우, 즉, QR 코드가 화면 내에 계속 존재하는 경우, 단말(100)은 QR 코드의 위치를 검출하고(S273), 마름모 기울기와 가로/세로 비율에 기초하여 시점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여(S275), 광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3차원 가상 오브젝트를 검출된 위치와 시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S276).
그러나, 제272 단계에서, QR 코드의 화면 좌표 추적이 실패인 경우, 즉, QR 코드가 화면을 벗어나는 경우, 단말(100)은 자이로 값을 기준으로 QR 코드의 위치를 판단하고, 시점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여(S275), 광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3차원 가상 오브젝트를 검출된 위치와 시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S276).
실시 예에 따라, 단말(100)은 QR 코드가 화면을 벗어나면, QR 코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3 - 콘텐츠 송신 과정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의 광고 콘텐츠 송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서버(200)는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하나의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설정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동일한 QR 코드에 대하여 시간에 따라 구분하거나, 장소에 따라 구분하거나, 소음의 정도에 따라 구분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복수의 광고 영역들이 설정될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의 광고 영역들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광고 콘텐츠와 연관시킬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제1 광고 콘텐츠가 QR 코드와 연관되고, 오후 6시부터 그 다음날 오전 9시까지는 제2 광고 콘텐츠가 연관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30).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QR 코드에 삽입된 URL과 단말(100)에서 수집된 컨텍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컨텍스트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S340).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컨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URL과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확인하고(S360), 단말(100)에 해당 광고 콘텐츠를 송신한다(S370). 예를 들어,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포함하는 경우, 서버(200)는 오전 10시에 해당하는 제1 광고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하고, '오전 10시'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200)는 오후 10시에 해당하는 제2 광고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한다.
이와 달리,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컨텍스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서버(200)는 추정기(400)에 단말(100)의 컨텍스트를 요청한다. 추정기(400)는 전술한 방법으로 단말(100)의 컨텍스트를 추정하여 서버(200)에 제공한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URL과 추정기(400)로부터 수신한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을 결정하고(S360), 결정된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확인하고(S370), 단말(100)에 해당 광고 콘텐츠를 송신한다(S380). 예를 들어, 단말(100)로부터 오전 10시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서버(200)는 오전 10시에 해당하는 제1 광고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하고, 오후 10시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서버(200)는 오후 10시에 해당하는 제2 광고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한다.
도 14 - 콘텐츠 송수신 과정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서버(200) 간 광고 콘텐츠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서버(200)는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설정하고(S412), 각각의 광고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와 연관시킨다(S414).
단말(100)은 QR 코드를 촬영하여 인식하고, QR 코드로부터 URL을 추출한다(S422). 단말(100)은 현재 모드가 컨텍스트 모드인지 판단한다(S424).
현재 모드가 컨텍스트 모드가 아닌 경우, 단말(100)은 QR 코드로부터 추출한 URL을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S432), 서버(200)는 URL을 참조하여 광고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한다(S434).
현재 모드가 컨텍스트 모드인 경우, 단말(100)은 컨텍스트를 수집하고(S442), QR 코드로부터 추출한 URL 및 수집한 컨텍스트를 결합한다(S444). 단말(100)은 결합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S446).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 요청 메시지가 컨텍스트를 포함하는지 판단하고(S452), 컨텍스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추정기(400)에 컨텍스트를 요청하여 추정된 컨텍스트를 획득한다(S454).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 요청 메시지가 컨텍스트를 포함하거나, 추정기(400)로부터 컨텍스트를 획득한 경우에, 컨텍스트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URL을 이용하여 QR 코드에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중에서 하나의 광고 영역을 선택한다(S456). 서버(200)는 선택된 광고 영역과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단말(100)에 송신한다(S458).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여 QR 코드에 겹쳐서 표시되도록 한다(S460).
이와 같이,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단말 200: 서버
300: 데이터베이스 400: 추정기

Claims (12)

  1.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각각을 광고 컨텐츠와 연관시키는 단계;
    단말로부터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으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텍스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광고 콘텐츠 요청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컨텍스트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 영역들 중에서 하나의 광고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광고 콘텐츠 송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는,
    3차원 오브젝트와 움직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광고 콘텐츠 송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는,
    시간, 위치, 음향, 조도, 기울기, 흔들림, 온도, 무선 감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광고 콘텐츠 송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에 포함된 제1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에 포함되지 않은 제2 컨텍스트를 추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광고 콘텐츠 송신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변경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광고 콘텐츠 송신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URL은,
    상기 식별 정보를 반영하는 경로와 상기 컨텍스트를 반영하는 쿼리를 포함하거나, 상기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URL들 중에서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선택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광고 콘텐츠 송신 방법.
  7.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 영역들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각각을 광고 컨텐츠와 연관시키는 제어부;
    단말로부터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요청으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텍스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광고 콘텐츠 요청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 영역들 중에서 하나의 광고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QR 코드를 인식하여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컨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컨텍스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제2 모드에서,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상기 QR 코드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QR 코드에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중에서 상기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광고 콘텐츠 수신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상기 QR 코드와 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광고 콘텐츠 수신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변경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광고 콘텐츠 수신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URL은,
    상기 식별 정보를 반영하는 경로와 상기 컨텍스트를 반영하는 쿼리를 포함하거나, 상기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URL들 중에서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선택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광고 콘텐츠 수신 방법.
  12. QR 코드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컨텍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컨텍스트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생성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QR 코드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광고 콘텐츠의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상기 QR 코드와 연관시켜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컨텍스트의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QR 코드에 설정된 복수의 광고 영역들 중에서 상기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영역에 연관된 광고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20041095A 2012-04-19 2012-04-19 Qr 코드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공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서버 KR10139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095A KR101397096B1 (ko) 2012-04-19 2012-04-19 Qr 코드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공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095A KR101397096B1 (ko) 2012-04-19 2012-04-19 Qr 코드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공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138A true KR20130118138A (ko) 2013-10-29
KR101397096B1 KR101397096B1 (ko) 2014-05-19

Family

ID=4963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095A KR101397096B1 (ko) 2012-04-19 2012-04-19 Qr 코드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공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0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985A (ko) 2014-04-24 2015-11-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체분리막모듈을 이용한 고농축 목표기체 회수장치 및 방법
EP2957333A1 (en) 2014-06-20 2015-12-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y of gas
KR20220029367A (ko) 2020-08-28 2022-03-08 임복희 암호화 매체를 이용한 상품 포장재의 광고 매칭 서비스 및 광고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광고 플랫폼 시스템
US20230112606A1 (en) * 2021-10-12 2023-04-13 Vmware, Inc. Device enrollment in a unified endpoint management system over a closed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87B1 (ko) * 2019-07-10 2021-07-28 넷마블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보상 지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408B1 (ko) * 2004-11-02 2007-08-17 정용석 다차원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 방법 및 장치
KR20110100138A (ko) * 2010-03-03 2011-09-09 (주)퓨몬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제공/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10115205A (ko) * 2010-04-15 2011-10-21 레몬컵 (주) 무선인식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985A (ko) 2014-04-24 2015-11-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체분리막모듈을 이용한 고농축 목표기체 회수장치 및 방법
EP2957333A1 (en) 2014-06-20 2015-12-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y of gas
KR20220029367A (ko) 2020-08-28 2022-03-08 임복희 암호화 매체를 이용한 상품 포장재의 광고 매칭 서비스 및 광고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광고 플랫폼 시스템
US20230112606A1 (en) * 2021-10-12 2023-04-13 Vmware, Inc. Device enrollment in a unified endpoint management system over a closed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096B1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8480B2 (en) Augmented reality panorama systems and methods
CN103635954B (zh) 基于地理和可视信息增强可视数据流的系统
US20160057218A1 (en) Method, system,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augmenting media based on proximity detection
JP5576667B2 (ja) 情報送出表示システム
US20190333478A1 (en) Adaptive fiducials for image match recognition and tracking
WO2013153718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534361B1 (ko) 컨텐츠 퍼블리싱 시스템 및 방법
US9479914B2 (en) Intuitive computing methods and systems
EP2823255B1 (fr) Procede de communication et d'informations en realite augmentee
KR102069930B1 (ko) 이머전 통신 클라이언트, 서버 및 컨텐츠 뷰를 획득하는 방법
KR101397096B1 (ko) Qr 코드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공 기능을 구비한 단말 및 서버
JP6359704B2 (ja) イベントに関連付けられる情報を人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
WO2013076720A1 (en) A system and methods for personalizing an image
JP429971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制御装置、情報提供制御方法及び情報提供制御プログラム
JP2012208558A (ja) 表示制御装置、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95443A (ko) 피사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811534B2 (ja) 画像表示制御サーバ
US8085981B2 (en) Object perception method and a related perceiving device
US8887196B2 (en)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information in real time
US20170147177A1 (en)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via a video channel between two terminals
JP201306919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40075141A (ko) 스마트 tv 감성광고 기반의 트래킹 설정에 따른 광고비 산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