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041A -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041A
KR20130118041A KR1020120040921A KR20120040921A KR20130118041A KR 20130118041 A KR20130118041 A KR 20130118041A KR 1020120040921 A KR1020120040921 A KR 1020120040921A KR 20120040921 A KR20120040921 A KR 20120040921A KR 20130118041 A KR20130118041 A KR 2013011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pipe
connection duct
ballas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8041A/ko
Publication of KR2013011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는, 밸러스트수가 배출되는 밸러스트수 배출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밸러스트수 배출관과 연통되는 연결덕트와, 연결덕트에 결합되어 밸러스트수 배출관을 유동하는 밸러스트수를 채취하는 시료채취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SAMPLING APPARATUS FOR BALLAST WATER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손상없이 밸러스트수를 채취할 수 있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LNG 운반선, LPG 운반선, 컨테이너선, 화물선, 탱커선 등의 선박은 화물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감안하여 선박의 설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선박에서 화물을 하역한 이후에는 선박의 무게중심이 상승되어 선박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LNG 운반선, LPG 운반선, 컨테이너선, 화물선, 탱커선 등의 선박의 경우, 선박의 안정성 및 복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박의 내부에 해수(海水)를 유입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를 설치한다. 여기서, 밸러스트 탱크 내에 적재되는 물을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라 한다.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는 선적되는 화물의 양에 따라 선박의 흘수와 트림(trim, 배의 앞뒤 경사를 말한다)을 안정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물이 모두 하역된 상태에서 밸러스트수를 적재하지 않는다면 선박 자체의 중량만으로는 충분한 흘수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선수가 수면위로 심하게 들리거나 선박의 추진장치가 물속에 충분히 잠기지 않아 선수슬래밍, 추진성능저하, 조정성능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되므로 선박의 경우 밸러스트수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선박에 밸러스트수를 구비하는 경우 밸러스트 탱크 내로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과정에서 미생물이나 해양 생물에 의한 해양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국에서 유입된 밸러스트수가 전혀 다른 환경의 제2 국 해양에 배출되는 경우, 제1 국의 각종 이물질, 미생물, 세균 그 밖의 유기물질 등이 제2 국의 해양 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을 고려하여,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유해균의 전파를 막기 위하여 2009년부터는 99%이상 살균하여 배수하도록 밸러스트수 처리 침전물 국제규정이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조선업계에서는 다양한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BWTS SYSTEM)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 규정에 따르면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을 거친 밸러스트수가 선외로 배출되기 전 밸러스트수의 살균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검증이 필요해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하는 모든 선박은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는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손상 없이 밸러스트수를 채취할 수 있도록 밸러스트수 배출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는 밸러스트수 배출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어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의 시료채취 유닛이 높은 수압에 노출됨으로써 변형 또는 파손될 경우, 해당 밸러스트수 배출관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70168호(주)월드이엔지 2009. 07. 0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손상없이 밸러스트수를 채취할 수 있으며, 또한 시료채취 유닛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밸러스트수가 배출되는 밸러스트수 배출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밸러스트수 배출관과 연통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밸러스트수 배출관을 유동하는 밸러스트수를 채취하는 시료채취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료채취 유닛은, 상기 연결덕트에 상기 밸러스트수 유동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밸러스트수 유입관부;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관부와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되되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관부를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수의 유로를 변경시키는 유로변경관부; 및 상기 유로변경관부의 타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연결덕트 외부로 상기 밸러스트수를 유출시키는 밸러스트수 유출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는, 내부로 상기 시료채취 유닛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시료채취 유닛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채취 유닛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장되는 파이프부; 및 상기 파이프부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덕트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채취 유닛은, 상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의 어느 일 영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기 덕트 플랜지와 볼트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착탈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채취 유닛은, 상기 연결덕트 내의 수압으로 인한 상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밸러스트수의 유동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의 외벽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덧살리브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덧살리브는, 2개이며 상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되 상기 연결덕트의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판상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덧살리브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착탈결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손상없이 밸러스트수를 채취할 수 있으며, 또한 시료채취 유닛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가 적용되는 선박의 밸러스트 수 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박의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밸러스트수 유입관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밸러스트 시료채취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밸러스트 시료채취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가 적용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본 실시예의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가 적용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1)은, 선박의 선저에 수평 및 선체의 내벽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10)와, 해수를 밸러스트 탱크(10)에 주수하기 위한 주수라인과, 밸러스트 탱크(10)로부터 밸러스트수를 선박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라인을 포함한다. 참고로,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1)에서 선박의 용적에 따라 그 주수라인, 배수라인 및 밸러스트 탱크(10)들의 배치 구조 및 개수는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
주수라인은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취수관(13)과, 취수관(13)과 연결되는 메인배관(14) 및 메인배관(14)에서 각각 분기되어 밸러스트 탱크(10)에 연결되는 주수배관(15)을 포함한다.
밸러스트 펌프(P)가 구동되면 해양으로부터 씨 체스트(sea chest, 11)를 통해 취수관(13)으로 밸러스트수가 유입된다. 여기서, 밸러스트수는 해수를 의미하나 담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선내로 유입된 밸러스트수는 일차적으로 취수관(13)에 설치된 스트레이너(strainer, 12)를 통과하면서 비교적 큰 협잡물이 제거된 후 메인배관(14)으로 이송된 다음, 메인배관(14)에 연결된 주수배관(15)들을 개별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10)에 각각 공급된다. 다수의 주수배관(15)들에는 해당 배관을 온/오프(on/off)시키는 다수의 밸브(V)와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10) 내부에 토출 또는 흡입하는 벨 마우스(B)가 마련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주수라인에는 각 밸러스트 탱크(10)로 밸러스트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펌프가 더 마련되며, 펌프들은 각 밸러스트 탱크(10) 하나당 하나씩 대응되게 적용되거나, 밸러스트 탱크(10)들 몇 개씩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배수라인은 선외로 밸러스트수를 배출시키기는 밸러스트수 배출관(21)과, 필요 시 살균이 완전하지 않은 밸러스트수를 재처리하기 위해 밸러스트수 유동 경로를 우회시키는 바이패스관(22)을 포함한다.
밸러스트수 배출관(21)에는 밸러스트수를 살균처리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3)와 살균처리된 밸러스트수가 국제해사기구(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기준에 충족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장치(24)가 마련된다.
참고로, 밸러스트수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동,식물 플랑크톤, 미생물 또는 세균류등이 살균처리 대상이 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생물을 예시하기로 한다.
밸러스트수의 검사는 밸러스트수 배출관(21)에 센서나 화상촬영 장치를 설치하여 영상으로 인식하는 방법과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3)를 통과한 밸러스트수 일정량을 채취하여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농도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밸러스트수 검사결과 IMO 기준에 만족하면 배수구(26)를 통해 밸러스트수를 선외로 배출시키되 그렇지 않으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3)로 다시 반송시키게 된다.
한편,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 농도를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서는 밸러스트수 채취과정에서 미생물이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밸러스트수 배출관(21)내의 밸러스트수의 유속과 등속도로 밸러스트수를 채취하되 검사에 필요한 양만큼 채취할 수 있는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가 요구된다.
도 2는 도 1의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밸러스트수 유입관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가 배출되는 밸러스트수 배출관(2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밸러스트수 배출관(21)과 연통되는 연결덕트(100)와, 연결덕트(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밸러스트수 배출관(21) 및 연결덕트(100)로부터의 밸러스트수를 미리 결정된 양만큼 채취하되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손상없이 밸러스트수를 채취할 수 있도록 밸러스트수의 유속변화를 최소화하여 밸러스트수를 채취하는 시료채취 유닛(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밸러스트수 배출관(21)은 메인배관(14)에서 배수구(26)에 이르는 배수라인을 형성하는데, 이의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위해 단위 길이를 갖는 다수의 단위 밸러스트수 배출관(21)을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선체에 배설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덕트(100)는, 이러한 밸러스트수 배출관(21)과 연통되는 관상체로 양단부에 날밑 모양의 플랜지(120)가 형성되며, 플랜지(120)에는 볼트 체결용 홈(G)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연결덕트(100) 양단부의 플랜지(120)가 단위 밸러스트수 배출관(21)의 플랜지(21a)와 볼트 결합됨으로써 2개의 단위 밸러스트수 배출관(21)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관이음에 따른 유체 누수를 보완하기 위해 연결덕트(100)의 플랜지(120)와 단위 밸러스트수 배출관(21)의 플랜지(21a) 사이에 고무 또는 씰런트(sealent)와 같은 실링재(미도시)가 추가로 개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구간의 밸러스트수 배출관(21)에 개재된 연결덕트(100)에 관해서 도시하고 있으나, 연결덕트(100)는 교차배치되는 2개의 밸러스트수 배출관(21)을 연결시키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연결덕트(100)의 외주면에는 밸러스트수 시료 채취를 위한 시료채취 유닛(20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료채취 유닛 결합부(110)가 마련된다.
시료채취 유닛 결합부(110)는 연결덕트(100) 외주면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개구부(111)를 통해 시료채취 유닛(200)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부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 유닛 결합부(110)는, 개구부(111)로부터 연장되는 파이프부(112) 및 파이프부(112)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덕트 플랜지(113)를 포함한다.
파이프부(112)는 개구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덕트 플랜지(113)는 파이프부(112)의 단부에 날밑 모양을 형성하여 후술할 시료채취 유닛(200)의 착탈결합부(24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연결덕트(200)는 단위 밸러스트수 배출관들을 상호 연통시키는 매개 수단이 되며, 밸러스트수 배출라인 상에서 밸러스트수 시료 채취를 위한 시료채취 유닛(200)의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시료채취 유닛(200)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3)에서 밸러스트수가 제대로 살균처리되었는지 검사하기 위해 밸러스트수를 선외로 배출하기 전 밸러스트수 배출관(21)으로부터 밸러스트수 일정양의 시료를 채취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 유닛(200)은, 연결덕트(100) 내부에 밸러스트수 유동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와,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와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되되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를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수의 유로를 변경시키는 유로변경관부(220) 및 유로변경관부(220)의 타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연결덕트(100) 외부로 밸러스트수를 유출시키는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를 포함한다.
밸러스트수 시료 채취에 있어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23)에 의해 살균되지 않은 미생물의 손상이 없도록 하면서 검사에 필요한 일정 양만큼의 밸러스트수를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상체 형상으로 연결덕트(10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고 그 유입구는 밸러스트수 유동방향에 대향되며 연결덕트(100)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부연하면, 소량의 밸러스트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구경이 작은 채취관(25)을 연결덕트(100) 일측에 직접 연결시킬 경우 채취관(25)으로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속이 급격히 증가해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이 사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급격한 유속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덕트 내부에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를 밸러스트수 유동방향에 대향되게 배치시켜 유속변화를 최소화한 것이다.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는 연결덕트(100) 내부를 유동하는 밸러스트수와 등속성을 가지며 미리 결정된 밸러스트수 유량만 유입되도록 다음과 같은 방정식에 따라 그 직경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의 직경,
Figure pat00003
은 연결덕트(100)(또는 밸러스트 배출관)의 직경,
Figure pat00004
는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에서 유동량,
Figure pat00005
은 연결덕트(100)(또는 밸러스트 배출관)에서 유동량을 의미한다.
즉,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의 직경은 연결덕트(100)의 직경에 비례하되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와 연결덕트(100) 내부를 유동하는 밸러스트수의 유동량의 비에 따라 결정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는 밸러스트수가 부드럽고 완만하게 유동하도록 유입구(210a,단부 영역)의 내경과 외경 사이가 라운딩(rounding) 가공 처리된다. 이에 따라 밸러스트수 유입구(210a,단부 영역)가 밸러스트수와의 마찰 또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로변경관부(220)는,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로 유입된 밸러스트수 시료가 연결덕트(100)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유로를 변경시키는 부분으로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와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 사이에 개재된다.
유로변경관부(220)는,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와 동일한 구경을 갖고 그 내부 관로를 따라 밸러스트수가 부드럽고 완만하게 유동되도록 코너영역이 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변경관부(220)는,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 및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암수 나사산을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 및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와 유로변경관부(220)의 연결부위에 형성시켜 분리 가능하게 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는 연결덕트(100) 외부로 밸러스트수 시료를 유출시키는 부분으로서 연결덕트(100) 내,외부에 걸쳐 배치된다.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의 일단부는 유로변경관부(22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밸러스트수 검사장치(24)로 밸러스트수 시료를 이송시키는 채취관(25)과 연결된다. 타단부에는 채취관과 관이음을 위한 볼트 체결용 홈이 형성된 연결플랜지(231)가 마련된다.
채취관(25, 도 1 참조)에는 밸러스트수 시료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F,도 1 참조)와 채취관(25)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제어밸브(V,도 1 참조)가 마련된다. 유량계(F)와 제어밸브(V)는 선체 일측에 마련된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는 채취관(25)의 유량 계측값을 전달받아 미리 결정된 유량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밸브(V)가 온/오프(on/off)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는 연결덕트(100)의 상단으로 빠져나가게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배치 구조에 제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채취관(25)의 위치에 따라 연결덕트(100)의 어느 지점에서 빠져나가더라도 무방하다.
시료채취 유닛(200)은 전술한 연결덕트(100)의 시료채취 유닛 결합부(110)와 결합되는 착탈결합부(240, 도 2 내지 도 4 참조)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결합부(240)는, 밸러스트 유출관부(230)의 어느 일 영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전술한 덕트 플랜지(113)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착탈결합부(240)는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가 연결덕트(1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덕트 플랜지(113) 상면에 대응되어 시료채취 유닛(20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되고 그 테두리 영역에 볼트 체결용 홈(G)이 형성되어 있어 덕트 플랜지(113)와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착탈결합부(240)와 덕트 플랜지(113) 사이에는 고무패드 또는 실런트(sealent)와 같은 실링재가 개재되어 밸러스트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착탈결합부(240)는 연결덕트(100)와 간단히 볼트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밸러스트수 유입관부(210)가 막히거나, 지속적인 수압의 작용으로 시료채취 유닛(200)의 파손 시 시료채취 유닛(200)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는 연결덕트(100) 내부를 유동하는 밸러스트수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밸러스트수 유동방향에 나란하지 않게 배치되기 때문에 휘어지거나 크랙(crack)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게 위해 본 실시예의 시료채취 유닛(200)은, 연결덕트(100) 내의 수압으로 인한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부(250)를 더 포함한다.
강도보강부(250)는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의 외벽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덧살리브(250a)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덧살리브(250a)는, 2개이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되 연결덕트(100)의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판상체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덧살리브(250a)는 밸러스트수의 유동에 대한 저항을 최소한 적게 받으면서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를 지지하도록 판면이 밸러스트수 유동방향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덧살리브(250a)는 착탈결합부(240)의 하단에 결합되며 연결덕트(100) 중심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하여 덧살리브(250a) 자체가 받는 저항은 최소화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는 대부분의 구성이 전술한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덧살리브(250b)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개구부(111)와 착탈결합부(240) 사이 공간에 마련된다.
이러한 경우, 덧살리브(250b)가 밸러스트수의 유동 간섭을 적게 받으면서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를 지지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경이 작은 연결덕트(100)에 시료채취 유닛(200)을 결합시킬 때에는 덧살리브(250b)를 착탈결합부(240)와 개구부(111) 사이의 공간에 형성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를 지지 보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채취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덧살리브(250c)는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의 외벽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스포일러(spoiler)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 덧살리브(250c) 주변으로 유동되는 밸러스트수에 대한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더 넓은 범위에서 밸러스트수 유출관부(230)를 지지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30)는 채취되는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수 배출관(21) 내의 밸러스트수 유속과 등유속을 갖도록 하는 시료채취 유닛(200)을 구비하여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손상없이 밸러스트수를 채취할 수 있고, 밸러스트수가 배출관(21)에서 쉽게 분리 가능하여 추후에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연결덕트 110 : 시료채취 유닛 결합부
111 : 개구부 112 : 파이프부
113 : 덕트 플랜지 200 : 시료채취 유닛
210 : 밸러스트수 유입관부 220 : 유로변경관부
230 : 밸러스트수 유출관부 240 : 착탈결합부
250 : 강도보강부

Claims (7)

  1. 밸러스트수가 배출되는 밸러스트수 배출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밸러스트수 배출관과 연통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밸러스트수 배출관을 유동하는 밸러스트수를 채취하는 시료채취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채취 유닛은,
    상기 연결덕트에 상기 밸러스트수 유동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밸러스트수 유입관부;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관부와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되되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관부를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수의 유로를 변경시키는 유로변경관부; 및
    상기 유로변경관부의 타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연결덕트 외부로 상기 밸러스트수를 유출시키는 밸러스트수 유출관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는,
    내부로 상기 시료채취 유닛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시료채취 유닛 결합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채취 유닛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장되는 파이프부; 및
    상기 파이프부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덕트 플랜지를 포함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채취 유닛은,
    상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의 어느 일 영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기 덕트 플랜지와 볼트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착탈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채취 유닛은,
    상기 연결덕트 내의 수압으로 인한 상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의 외벽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덧살리브이며,
    상기 다수의 덧살리브는,
    상기 밸러스트수 유출관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되 상기 연결덕트의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판상체 형태이며, 상기 개구부와 상기 착탈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KR1020120040921A 2012-04-19 2012-04-19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KR20130118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921A KR20130118041A (ko) 2012-04-19 2012-04-19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921A KR20130118041A (ko) 2012-04-19 2012-04-19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041A true KR20130118041A (ko) 2013-10-29

Family

ID=4963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921A KR20130118041A (ko) 2012-04-19 2012-04-19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80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501A (ko) * 2014-06-17 2015-12-2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박 평형수용 방사형 다공 샘플링 포트 장치
KR20160073500A (ko) * 2014-12-16 2016-06-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평형수 잔류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WO2016114554A1 (ko) * 2015-01-12 2016-07-21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밸러스트 수 내 생존생물 분석방법
CN105973643A (zh) * 2016-07-13 2016-09-28 咸宁市农业科学院 深水定深取样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501A (ko) * 2014-06-17 2015-12-2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박 평형수용 방사형 다공 샘플링 포트 장치
KR20160073500A (ko) * 2014-12-16 2016-06-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평형수 잔류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WO2016114554A1 (ko) * 2015-01-12 2016-07-21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밸러스트 수 내 생존생물 분석방법
WO2016114555A1 (ko) * 2015-01-12 2016-07-21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밸러스트 수 내 생존생물 분석을 위한 대표시료 포집장치
CN105973643A (zh) * 2016-07-13 2016-09-28 咸宁市农业科学院 深水定深取样器
CN105973643B (zh) * 2016-07-13 2018-08-10 咸宁市农业科学院 深水定深取样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113B1 (ko) 해양 선박용 발라스트 교환 시스템
KR20130118041A (ko) 선박의 밸러스트수 시료채취 장치
US10272983B2 (en) Boat heat exchanger system and method
KR20100103487A (ko) 선박 밸러스트수의 샘플링 시스템
KR20060090581A (ko) 밸러스트수 정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탑재한 선박
JP2009526704A (ja) 船舶のためのループバラスト交換システム
US7921790B2 (en) Ship buoyancy control system
EP3883375A1 (en) A pump system
KR101250141B1 (ko) 밸러스트 처리수 공급 선 및 밸러스트 처리수의 공급 방법
KR20070043110A (ko)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US20100170350A1 (en) System for collecting a fluid sample
JP2015533723A (ja) 船舶の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KR101599941B1 (ko) 수소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1818134B1 (ko) 밸브제어에 의한 선박의 좌우 롤링방지기능을 포함하는 무밸러스트 시스템
JP2016502476A (ja) 船舶の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KR101390493B1 (ko) 평형수 처리용 선박
KR20180000146A (ko) 평형수 처리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680632B1 (ko) 선박의 해양생물 증식방지 장치
CN212864165U (zh) 船舶生活污水处理系统
CN212534391U (zh) 油气化工码头斜坡道污水收集装置
KR102164207B1 (ko) 초음파 탁도제거장치
CN212693151U (zh) 液管内的气泡筛选推进器
KR101427478B1 (ko)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의 해수 유동 조절 시스템
KR20140033589A (ko) 밸러스트 탱크의 흡입 파이프 연결구조
KR20130116578A (ko) 선박의 해양생물 증식방지 장치에서 전극을 교체하는 방법 및 그 해양생물 증식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