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206A - 무기결합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기결합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206A
KR20130117206A KR20120040137A KR20120040137A KR20130117206A KR 20130117206 A KR20130117206 A KR 20130117206A KR 20120040137 A KR20120040137 A KR 20120040137A KR 20120040137 A KR20120040137 A KR 20120040137A KR 20130117206 A KR20130117206 A KR 20130117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parts
binder composition
inorganic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4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759B1 (ko
Inventor
조일호
Original Assignee
조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일호 filed Critical 조일호
Priority to KR2012004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7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2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 C04B22/064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of the alkaline-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04B14/303Alumin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04B14/308Iron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기결합재 조성물은 보통포틀랜드 시멘트(normal portaland cement) 100중량부에, 고로슬래그 분말 10~50중량부, 플라이애쉬(fly ash) 5~50중량부, 첨착활성탄 분말 10~60중량부, 석회석 분말 5~20중량부 및 자광석 분말 5~3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기결합재 조성물{INORGANIC BINDER COMPOSITION}
본 발명은 무기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돈가스와 냄새 저감하는 무기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집증후군"이란 화학물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은 세계 보건기구(WHO)의 정의에 의하면 일종의 화학 물질 과민증의 일종으로 현대 건축물에서 주로 사용하는 건축자재와 접착제에서 발생되는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로 인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 증세로 크게 "자극반응"과 "알레르기반응"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자극 반응은 눈과 코, 후두 점막이 자극을 받아 일어나는 증상으로 목이 쉬고, 두통이 생기거나 심리적인 피로감을 느끼게 하고, 드물게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알레르기성 질환들로 두드러기, 아토피 피부염, 기관지 천식 등을 발병시키거나 악화시키는 데, 이런 제반 증상을 총칭하여 새집 증후군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을 신축한 후 6개월 때 가장 많이 배출되는 데, 벽지, 마룻바닥, 타일 등을 붙일 때 사용되는 접착제 등에서 시공 후 최장 10년까지 유해물질이 계속해서 방출되어 건강을 위해 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새집이나, 수리한 집에 들어가 살면서 전에 없었던 두통이나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에 걸리는 경우를 총칭하여 새집증후군이라고 말하며,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주로 이 증후군은 건축내장재로부터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 유기용제, 가스 및 먼지 등의 환경오염물질을 비롯하여 화장품, 담배, 세탁된 의복, 염화비닐, 인쇄물의 잉크에서 배출되는 가스상 물질 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현재 다중이용시설 또는 학교에 대한 실내 라돈가스 농도의 기준은 있으나, 유지기준이 아닌 권고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어 기준초과시 개선명령에 대한 규정이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라돈가스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부족한 상황인바, 이의 영향으로 라돈가스 저감기술에 대한 전문가 및 시공 경험이 있는 전문업체 등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반해, 주요 선진국에서는 '80년대부터 체계적인 라돈가스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택 등에서 라돈가스 노출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추진 중이다. 미국의 경우 국가로부터 면허를 받은 사업자가 일반주택을 대상으로 저감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 업체에 대한 지속적인 숙련도검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선진국에서 적용되는 주요 저감방법은 라돈의 유입경로를 정확히 파악하여 바닥과 벽의 갈라진 틈새 등을 보수하고, 외부공기 유입장치 또는 건물바닥의 토양에 라돈가스 배출관 등을 설치하여 라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공법 등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라돈(222Rn)은 어디에나 존재하는 자연방사선 기체이며, 세계보건기구의 역학조사 결과 폐암 발병원인의 3~14%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라돈은 화감암류 암석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어 화강암 지대가 많은 우리나라는 라돈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지난해 실내 라돈가스 조사결과 공공기관(학교, 관공서 1,100지점)의 8.8%(97개소)에서 실내 권고기준(4pCi/ℓ)을 초과하였고, 최대 6배이상 높게 검출된 시설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라돈가스 저감 및 새집증후군과 같은 실내환경 오염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환경오염물질을 흡착, 살균, 항균, 악취 및 잡냄새 제거능력이 탁월한 무기결합재 조성물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라돈가스와 냄새 저감하는 무기결합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기결합재 조성물은 보통포틀랜드 시멘트(normal portaland cement) 100중량부에, 고로슬래그 분말 10~50중량부, 플라이애쉬(fly ash) 5~50중량부, 첨착활성탄 분말 10~60중량부, 석회석 분말 5~20중량부 및 자광석 분말 5~3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착활성탄 분말은 규산(SiO2) 40~84중량%, 알루미나(Al2O3) 10~30중량%, 산화제이철(Fe2O3) 1~5중량%, 산화칼슘(CaO) 1~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5중량%, 산화나트륨(Na2O) 1~5중량%, 산화칼륨(K2O) 1~5중량%, 이글로스(IgLoss) 1~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은 분말도 4,200~8,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이애쉬는 분말도 3,300~7,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착활성탄 분말은 250~350메쉬(mesh)의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회석 분말은 분말도 2,500~6,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광석 분말은 250~350메쉬(mesh)의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 플라이애쉬, 석회석분말 및 자광석 분말 외에 분말도 2,500~4,500㎠/g인 레드머드 분말 5~10중량부를 더 포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결합재 조성물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화학물질 과민증" 일명 새집증후군과 같은 현상을 최소화하여 위생적이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화학물질과민증 증상이 우려되는 산업 전분야에 적용하여 이러한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는 라돈가스와 냄새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기결합재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무기결합재 조성물은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기준으로, 고로슬래그 분말, 플라이애쉬, 첨착활성탄 분말, 석회석 분말 및 자광석 분말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통포틀랜드 시멘트(normal portaland cement) 100중량부에, 고로슬래그 분말 10~50중량부, 플라이애쉬(fly ash) 5~50중량부, 첨착활성탄 분말 10~60중량부, 석회석 분말 5~20중량부 및 자광석 분말 5~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혼합한다.
여기에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는 주성분으로서 실리카, 알루미늄, 산화철 및 석회를 포함한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그것을 소성하여 얻은 클링커에 적량의 석고를 가하여 분말로 한 것으로 가장 널리 쓰여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멘트라 하면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 플라이애쉬, 첨착활성탄 분말, 석회석분말 및 자광석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에 분말도 2,500~4,500㎠/g인 레드머드 분말 5~1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로슬래그 분말 및 플라이애쉬는 일반적으로 분말도 3,500~4,500㎠/g의 것이 널리 사용되었으나, 레미콘용으로 사용될 경우 고로슬래그 분말, 플라이애쉬 및 석회석 분말의 동시 혼입으로 인한 초기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무기결합재 조성물에서는 고로슬래그 분말은 분말도 4,200~8,000㎠/g인 것을 사용하며, 플라이애쉬는 분말도 3,300~7,000㎠/g인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분말도 4,200~8,000㎠/g의 고로슬래그 분말과 분말도 4,200~8,000㎠/g의 플라이애쉬 분말을 사용할 경우, 활성도가 매우 우수하여 상온에서도 자극제와의 급속한 반응을 통해 초기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잠재 수경성 및 포졸란 성질을 지니고 있어, 장기 재령의 강도가 증진된다.
그리고, 고로슬래그 분말이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초기강도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원가절감 효과가 크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초기재령에서 미반응 고로슬래그가 다량 존재함에 따라 강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라이애쉬는 분말도 3,300~7,000㎠/g로 분쇄하여 혼합한다.
이러한 플라이애쉬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미만으로 혼입되어 사용되는 경우, 원가절감 효과가 크지 못하고, 25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고로슬래그 분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원가가 낮아 원가 절감효과가 매우 크나, 포졸란 반응성이 고로슬래그 분말의 잠재수경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음에 따라 강도가 크게 저하된다.
상기 첨착활성탄 분말은 규산(SiO2) 40~84중량%, 알루미나(Al2O3) 10~30중량%, 산화제이철(Fe2O3) 1~5중량%, 산화칼슘(CaO) 1~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5중량%, 산화나트륨(Na2O) 1~5중량%, 산화칼륨(K2O) 1~5중량%, 이글로스(IgLoss) 1~5중량%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첨착활성탄 분말은 첨착활성탄을 250~350메쉬(mesh)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시키며, 첨착활성탄 분말에 고성능감수제, 고유동화제, 공기연행제, 감수제, 수분안정제를 포함하여 배합하면 추가적인 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석회석 분말은 석회석 채광 시 부산되는 미립자 물질로서, 시멘트의 수화반응에서 형성되는 공극을 충전하여 밀실도를 증가시키고, 일부가 에틀린가이드중의 황산염을 치환하여 수화물을 형성함과 동시에 치환된 황산염이 또 다시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의 수화반응을 촉진할 수 있도록, 석회석을 분말도 2,500~6,000㎠/g가 되도록 분쇄 및 분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석회석 분말은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가 사용되고, 5중량부 미만으로 혼입되어 사용되는 경우 원가절감 효과가 크지 못하고, 20중량부 초과로 혼입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수화물 생성량 감소에 의해 강도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자광석 분말은 자광석을 250~350메쉬(mesh)의 입도로 분쇄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보통포틀랜드 시멘트(normal portaland cement) 100중량부에,
    고로슬래그 분말 10~50중량부, 플라이애쉬(fly ash) 5~50중량부, 첨착활성탄 분말 10~60중량부, 석회석 분말 5~20중량부 및 자광석 분말 5~3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결합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착활성탄 분말은 규산(SiO2) 40~84중량%, 알루미나(Al2O3) 10~30중량%, 산화제이철(Fe2O3) 1~5중량%, 산화칼슘(CaO) 1~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5중량%, 산화나트륨(Na2O) 1~5중량%, 산화칼륨(K2O) 1~5중량%, 이글로스(IgLoss) 1~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결합재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은 분말도 4,200~8,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결합재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애쉬는 분말도 3,300~7,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결합재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착활성탄 분말은 250~350메쉬(mesh)의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결합재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회석 분말은 분말도 2,500~6,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결합재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광석 분말은 250~350메쉬(mesh)의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결합재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분말, 플라이애쉬, 석회석분말 및 자광석 분말 외에 분말도 2,500~4,500㎠/g인 레드머드 분말 5~10중량부를 더 포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결합재 조성물.
KR20120040137A 2012-04-18 2012-04-18 무기결합재 조성물 KR101337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0137A KR101337759B1 (ko) 2012-04-18 2012-04-18 무기결합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0137A KR101337759B1 (ko) 2012-04-18 2012-04-18 무기결합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06A true KR20130117206A (ko) 2013-10-25
KR101337759B1 KR101337759B1 (ko) 2013-12-06

Family

ID=4963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0137A KR101337759B1 (ko) 2012-04-18 2012-04-18 무기결합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7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855A1 (ko) * 2013-12-06 2015-06-11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시멘트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결합재 조성물
CN105314901A (zh) * 2015-12-07 2016-02-10 海阳龙凤热电有限公司 一种矿井充填用胶结材料及其使用方法
KR102203180B1 (ko) * 2020-03-27 2021-01-15 에스지소재 주식회사 공동주택 바닥용 무기질계 습식몰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940B1 (ko) * 2014-03-27 2015-09-09 (주)엠씨엠 무기 바인더
KR101749831B1 (ko) 2015-09-24 2017-06-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드머드와 미연소탄소 고함량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경량 지오폴리머 경화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9987864A (zh) * 2019-04-26 2019-07-09 安徽珍珠水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铝矿废石生产低碱微膨胀中热硅酸盐水泥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3577B2 (ja) * 1995-11-20 2005-07-20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セメント混合材並びに該セメント混合材を添加したセメント及びコンクリート
KR100449414B1 (ko) * 2001-11-22 2004-09-18 이용교 콘크리트 구조물
KR100502070B1 (ko) 2004-09-23 2005-07-25 한국후라이애쉬시멘트공업(주) 산업부산물을 포함하는 무기질 결합재와,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KR101001221B1 (ko) 2010-06-23 2010-12-15 아세아시멘트주식회사 저탄소 조강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저탄소 조강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855A1 (ko) * 2013-12-06 2015-06-11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시멘트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결합재 조성물
CN105314901A (zh) * 2015-12-07 2016-02-10 海阳龙凤热电有限公司 一种矿井充填用胶结材料及其使用方法
KR102203180B1 (ko) * 2020-03-27 2021-01-15 에스지소재 주식회사 공동주택 바닥용 무기질계 습식몰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759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759B1 (ko) 무기결합재 조성물
US11299424B2 (en) Pozzolanic compositions containing fly ash and remediation agents for use in cementitious materials
Soriano et al. Effect of pozzolans on the hydration process of Portland cement cured at low temperatures
Sas et al. Radiological characterisation of alkali-activated construction materials containing red mud, fly ash and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TWI491579B (zh) 低鈣飛灰於常溫膠結方法
KR20140044535A (ko) 친환경 무기 바닥 마감재 조성물.
Zainal Abidin et al. The effect of bottom ash on fresh characteristic, compressive strength and water absorption of self-compacting concrete
Shwita et al. Investig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morphology and the attenuation behavior of gamma rays for OPC pastes mingled with two different glass wastes
JP5729995B2 (ja) 中性子吸収体
JP2015078112A (ja) 水硬性組成物
KR20140052698A (ko) 친환경 수용성 실리콘-아크릴계 바름재 조성물.
KR20140044534A (ko) 친환경 무기 바름재 조성물.
Moon et al. Hydration of high-volume GGBFS cement with anhydrite and sodium sulfate
CN103570309A (zh) 一种防火混凝土
KR101996273B1 (ko) 합성제올라이트를 활용한 라돈가스 저감 건축용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Giosuè et al. Properties of an innovative multi-functional finish for the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Baid et al. Effect of micro-silica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KR20110096777A (ko) 라돈 저감을 위한 백색도료 조성물
Yunus Contribution of fineness level of fly ash to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eopolymer mortar
Limbachiya et al. The impact of variation i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PFA and BPD semi-dry cement paste on strength properties
Murtazaev et al. Composite Binders with the Use of Fine Raw Materials of Volcanic Origin
KR20200110080A (ko) 천연광물인 포졸란을 이용한 몰타르 조성물
KR20100006254A (ko) 순환석고와 천연광물 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벽바름재 및 그제조 방법
Taylor Lange Advancements in concrete material sustainability: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 development and pollutant interaction
Kim et al. Properties of Radon Gas Adsorption-type Matrix Utilizing Vermicul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