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744A -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744A
KR20130116744A KR1020120039397A KR20120039397A KR20130116744A KR 20130116744 A KR20130116744 A KR 20130116744A KR 1020120039397 A KR1020120039397 A KR 1020120039397A KR 20120039397 A KR20120039397 A KR 20120039397A KR 20130116744 A KR20130116744 A KR 20130116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pipe
cooling
tank
tub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903B1 (ko
Inventor
심현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90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5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 H01F27/125Cooling by synthetic insulating and incombustible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6Wate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former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압기 탱크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제1 냉각유닛과, 상기 변압기 탱크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설치되는 보강튜브에 연결되는 제2 냉각유닛을 포함함으로써, 변압기 본체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변압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절연물질을 순환시켜 상기 변압기 탱크의 내부공간을 냉각하는 동시에, 상기 변압기 탱크의 벽면에 구비된 보강튜브에 냉각수를 순환 공급하여 상기 변압기 탱크를 냉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변압기 탱크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COOLING APPARATUS FOR TRANSFORMER TANK}
본 발명은 젼력용 변압기의 외벽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압기 탱크 외벽을 직접 냉각하는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사용자에게 공급된 전압을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전압으로 변압하기위한 전기 기기로서, 이와같이 특정의 전압으로 변압하고자 할 경우 이상적인 변압기라면 입력된 전압에 대하여 출력되는 변압된 전압의 비율이 1:1 즉, 100%로 되어 변압시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실제 변압시에는 부하손이나 무부하손 등의 손실이 발생되어 100%의 변압효율을 기대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부하손이나 무부하손 등의 발생된 손실은 열로 변환되어 변압기 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변압기내의 부품을 파손시키게 되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 냉각장치의 구성을 보면 첨부된 도 1 및 도 2와같다.
도 1은 종래 냉각장치가 설치된 변압기를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변압기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압기는 변압기 본체(1)를 밀폐함과 함께 냉매인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이하에서는, 절연유로 통칭함)가 채워진 변압기 탱크(2)에 냉각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각장치(3)는 변압기 탱크(2)의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절연유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흐르도록 설치되는 상부관(3a)과, 상기 상부관(3a)의 일단에 연결되어 그 상부관(3a)을 통과한 절연유가 외부의 공기에 의해 냉각되도록 얇은 상자형태의 방열부재(3b)와, 상기 방열부재(3b)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변압기 탱크(2)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하부관(3c)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열부재(3b)는 수직으로 세워져 그 상단에는 상기 상부관(3a)이 연결되는 반면 그 하단에는 상기 하부관(3c)이 연결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4는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누설 자속을 완화시키기 위한 자기 차폐판(magnetic shield)이고, 5는 변압기 탱크를 지지하는 보강튜브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각장치에 의해 변압기가 냉각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변압기 탱크(2)내에 절연유를 채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변압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변압기 본체(1)로부터 변압기 탱크 발열의 원인이 되는 누설 자속이 발생하게 된다. 이 누설 자속은 상기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에서 변압기 본체(1)의 주변에 설치된 자속 차폐판(4)에 의해 완화되어 변압기 탱크(2)의 발열을 낮추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절연유에 의해 상기 변압기 본체(1)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냉각된다. 이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된 절연유는 상기 상부관(3a)을 통해 방열부재(3b)로 유입되어 그 방열부재(3b)에서 냉각된 다음에 하부관(3c)을 통해 상기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으로 회수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각장치는, 대용량 변압기가 소형화 및 대전류화되면서 자기 차폐판(4)이 설치되더라도 변압기 본체(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변압기 탱크(2)의 외벽이 과열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변압기 탱크 내 외부의 도장이 열화 및 파손되어 변압기의 기능 이상 및 절연 파괴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변압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변압기 탱크가 과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변압기 본체; 상기 변압기 본체를 밀폐하고 그 변압기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에 절연물질이 채워지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설치되어 탱크를 보강하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구비되는 보강튜브; 상기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절연물질을 순환시키는 동시에 그 절연물질을 냉각시키는 제1 냉각유닛; 및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서 유동하는 유체를 냉각시켜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으로 순환 공급하는 제2 냉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냉각유닛은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1 순환관과, 상기 제1 순환관에 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서 유입되는 절연물질을 냉각시키는 제1 냉각부재와, 상기 제1 냉각부재의 출구에서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2 순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냉각유닛은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제3 순환관과, 상기 제3 순환관에 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부재와, 상기 제2 냉각부재의 출구에서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제4 순환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순환관과 제4 순환관에는 절연물질과 유체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밸브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냉각유닛을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제1 냉각유닛을 유동하는 절연물질에 비해 점도가 낮고 열전달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냉각유닛은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1 순환관과, 상기 제1 순환관에 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서 유입되는 절연물질을 냉각시키는 냉각부재와, 상기 냉각부재의 출구에서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2 순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냉각유닛은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순환관과 함께 상기 냉각부재의 입구에 연결되는 제3 순환관과, 상기 제2 냉각부재의 출구에 상기 제2 순환관과 함께 연결되어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제4 순환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순환관과 제3 순환관은 서로 합관되어 상기 냉각부재의 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순환관과 제4 순환관은 상기 냉각부재의 출구측에서 서로 분관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과 보강튜브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재는 내부관과 외부관을 갖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순환관과 제2 순환관은 상기 냉각부재의 내부관 또는 외부관의 입구와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순환관과 제4 순환관은 상기 제1 순관관과 제2 순환관이 연결되지 않은 상기 냉각부재의 외부관 또는 내부관의 입구와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는, 상기 변압기 본체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변압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절연물질을 순환시켜 상기 변압기 탱크의 내부공간을 냉각하는 동시에, 상기 변압기 탱크의 벽면에 구비된 보강튜브에 냉각수를 순환 공급하여 상기 변압기 탱크를 냉각함으로써, 상기 변압기 탱크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냉각장치가 설치된 변압기를 보인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변압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설치된 변압기를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변압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따른 냉각장치의 일례를 보인 계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한 계통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가 설치된 변압기를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변압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냉각장치의 일례를 보인 계통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는, 변압기 본체(1)를 밀폐하고 그 변압기 본체(1)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에 절연유 또는 절연가스와 같은 절연물질(이하에서는 절연유로 통칭함)이 채워지는 변압기 탱크(2)와, 상기 변압기 탱크(2)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절연유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그 절연유를 냉각시키는 제1 냉각유닛(10)과, 상기 변압기 탱크(2)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도면에서는 외주면에 구비됨)에 구비되는 보강튜브(5)의 유동공간(5a)에서 유동하는 유체를 냉각시켜 상기 보강튜브(5)의 유동공간(5a)으로 순환 공급하는 제2 냉각유닛(20)를 포함한다.
상기 변압기 탱크(2)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이루도록 밀폐 형성되고, 상기 변압기 탱크(2)의 상반부에는 상기 제1 냉각유닛(10)을 이루는 제1 순환관(11)이 연결되고, 상기 변압기 탱크(2)의 하반부에는 상기 제1 냉각유닛(10)을 이루는 제2 순환관(13)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 탱크(2)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이하에서는, 외주면에 설치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본다)에는 그 변압기 탱크(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튜브(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튜브(5)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공간(5a)이 형성되어 일종의 냉각튜브의 역할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튜브(5)는 통상 디귿자(ㄷ)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단이 상기 변압기 탱크(2)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튜브(5)는 변압기 탱크(2)의 횡방향으로 상하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측 튜브(51)와, 상기 양측 수평측 튜브(51)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변압기 탱크(2)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직측 튜브(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측 튜브(51) 중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수평측 튜브(51a)에는 상기 제2 냉각유닛(20)을 이루는 제3 순환관(21)이 연결되고,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수평측 튜브(51b)에는 상기 제2 냉각유닛(20)을 이루는 제4 순환관(23)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유닛(10)은 상기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1 순환관(11)과, 상기 제1 순환관(11)에 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에서 유입되는 절연물질을 냉각시키는 제1 냉각부재(12)와, 상기 제1 냉각부재(12)의 출구에서 상기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2 순환관(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부재(12)는 라디에이터와 같은 방열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핀앤튜브와 같은 열교환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순환관(13)에는 절연유를 선택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제1 밸브(14)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밸브(14)의 일측에는 절연유를 펌핑시키기 위한 제1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펌프는 변압기의 용량이 대형일 경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냉각유닛(20)은 상기 하측 수평측 튜브(51a)의 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제3 순환관(21)과, 상기 제3 순환관(21)에 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하측 수평측 튜브(51a)의 유동공간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부재(22)와, 상기 제2 냉각부재(22)의 출구에서 상기 상측 수평측 튜브(51b)의 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제4 순환관(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냉각부재(22)는 라디에이터와 같은 방열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핀앤튜브와 같은 열교환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순환관(23)에는 절연유를 선택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제2 밸브(24)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밸브(24)의 일측에는 절연유를 펌핑시키기 위한 제2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펌프는 변압기의 용량이 대형일 경우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냉각유닛(20)을 유동하는 유체는 냉각수와 같이 상기 제1 냉각유닛(10)을 유동하는 절연유에 비해 점도가 낮고 열전달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냉각부재(22)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냉각부재(12)에서 1차 냉각된 절연유를 제2 냉각부재와 2차 냉각시켜 상기 절연유를 더욱 낮은 온도로 냉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냉각부재(12)와 제2 냉각부재(22) 사이에는 제5 순환관(25)과 제6 순환관(26)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6 순환관에는 제3 밸브(2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에는 변압기 본체(1)의 주변에 자속 차폐판(4)이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 본체(1)에서 발생되는 누설 자속을 차단함으로써 누설 자속으로 인한 변압기 탱크(2)의 외벽이 과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대용량 변압기의 소형화 밀 대전전류에 의해 누설 자속이 증가하고 변압기 본체(1)에서의 발열량이 증가하면서 자속 차폐판(4)으로는 변압기 탱크(2)의 외벽이 과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에는 절연유가 채워져 있어 이 절연유가 변압기 탱크(2)의 외벽을 냉각하게 된다. 하지만 이 절연유는 밀폐된 공간에 머물게 되면 절연유 자체가 과열될 수 있으므로 제1 냉각유닛(10)을 이용하여 절연유를 순환시키면서 냉각시키게 된다. 즉, 상기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절연유가 제1 순환관(11)을 통해 제1 냉각부재(12)로 유입되어 냉각된 다음에 제2 순환관(13)을 통해 변압기 탱크(2)의 내부공간으로 순환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변압기의 용량이 더욱 커지거나 소형화되면 상기 제1 냉각유닛(10)을 이용하여 절연유를 냉각시키면서 변압기 탱크(2)를 냉각시키더라도 변압기 탱크가 과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압기 탱크(2)의 외벽면에 구비되는 보강튜브(5)를 이용하여 그 보강튜브(5)에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변압기 탱크(2)의 외벽을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튜브(5)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도록 유동공간을 갖는 튜브 형상의 수평측 튜브(51)와 수직측 튜브(52)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냉각수가 하측 수평측 튜브(51)에서 제3 순환관(21)을 통해 제2 냉각부재(22)로 유입되고, 상기 제2 냉각부재(22)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제4 순환관(23)을 통해 상측 수평측 튜브(5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수평측 튜브(51a)로 유입된 냉각수는 수직측 튜브(52)를 따라 하측 수평측 튜브(51a)로 이동하면서 상기 변압기 탱크(2)의 외벽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변압기 본체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 냉각유닛과 제2 냉각유닛을 이용하여 절연유와 냉각수를 각각 냉각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변압기 탱크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냉각부재와 제2 냉각부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변압기 탱크의 내부공간과 탱크의 외벽면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키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는 상기 한 개의 냉각부재에 제1 냉각유닛과 제2 냉각유닛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탱크(2)의 외부에 한 개의 냉각부재(11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순환관(121)과 제2 순환관(122)을 합관하여 상기 냉각부재(110)의 입구에 연결하며, 상기 제3 순환관(123)과 제4 순환관(124)을 합관하여 상기 냉각부재(110)의 출구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순환관(121)과 제2 순환관(122)의 타단은 분관되어 각각 탱크(2)의 내부공간 출구와 하측 수평측 튜브(51a)의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순환관(123)과 제4 순환관(124)의 타단은 분관되어 각각 탱크(2)의 내부공간 입구와 상측 수평측 튜브(51b)의 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가 가지는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부재(110)가 한 개만 구비됨에 따라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순환관(121)과 제2 순환관(122)이 합관되고 상기 제3 순환관(123)과 제4 순환관(124)이 합관됨에 따라 상기 탱크(2)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절연물질과 상기 탱크(2)의 외벽에 구비된 보강튜브(5)에 채워지는 냉각물질이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절연물질과 냉각물질이 열전달율이 낮고 점도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체적인 냉각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냉각부재(110)의 입구에 제1 순환관(121)과 제2 순환관(122)을 합관하여 연결하고 상기 제3 순환관(123)과 제4 순환관(124)을 합관하여 상기 냉각부재(110)의 출구에 연결하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한 개의 냉각부재(210)에 복수 개씩의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여 한 쌍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제1 순환관(221)과 제2 순환관(222)을 각각 연결하고 다른 한 쌍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제3 순환관(223)과 제4 순환관(224)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냉각부재(210)는 2중관 구조로 형성하여 내부관(211)의 입구와 출구에는 각각 제1 순환관(221)과 제2 순환관(222)을 연결하고, 외부관(212)의 입구와 출구에는 제3 순환관(223)과 제4 순환관(224)을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부관(211)의 입구와 출구에 제3 순환관(223)과 제4 순환관(224)을 연결하고, 상기 외부관(212)의 입구와 출구에 제1 순환관(221)과 제2 순환관(222)을 연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가 가지는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한 개의 냉각부재를 가지면서도 제1 냉각유닛과 제2 냉각유닛이 서로 독립적으로 사이클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절연물질과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 채워지는 냉각물질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어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냉각부재가 이중관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내부관의 유체와 외부관의 유체가 서로 열교환되어 유체의 냉각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1 : 변압기 본체 2 : 변압기 탱크
4 : 자기 차폐판 5 : 보강튜브
5a : 유동공간 51 : 수평측 튜브
52 : 수직측 튜브 11,13,21,23 : 순환관
12,22 : 냉각부재

Claims (7)

  1. 변압기 본체;
    상기 변압기 본체를 밀폐하고 그 변압기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에 절연물질이 채워지는 탱크;
    상기 탱크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설치되어 탱크를 보강하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구비되는 보강튜브;
    상기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절연물질을 순환시키는 동시에 그 절연물질을 냉각시키는 제1 냉각유닛; 및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서 유동하는 유체를 냉각시켜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으로 순환 공급하는 제2 냉각유닛;을 포함하는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유닛은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1 순환관과, 상기 제1 순환관에 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서 유입되는 절연물질을 냉각시키는 제1 냉각부재와, 상기 제1 냉각부재의 출구에서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2 순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냉각유닛은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제3 순환관과, 상기 제3 순환관에 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부재와, 상기 제2 냉각부재의 출구에서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제4 순환관으로 이루어지는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부재에 의해 1차 냉각된 절연물질이 상기 제2 냉각부재에 의해 2차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냉각부재와 제2 냉각부재 사이는 제5 순환관과 제6 순환관으로 연결되는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유닛을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제1 냉각유닛을 유동하는 절연물질에 비해 점도가 낮고 열전달율이 높은 물질인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유닛은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1 순환관과, 상기 제1 순환관에 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서 유입되는 절연물질을 냉각시키는 냉각부재와, 상기 냉각부재의 출구에서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제2 순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냉각유닛은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순환관과 함께 상기 냉각부재의 입구에 연결되는 제3 순환관과, 상기 제2 냉각부재의 출구에 상기 제2 순환관과 함께 연결되어 상기 보강튜브의 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제4 순환관으로 이루어지는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관과 제3 순환관은 서로 합관되어 상기 냉각부재의 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순환관과 제4 순환관은 상기 냉각부재의 출구측에서 서로 분관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공간과 보강튜브에 각각 연결되는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는 내부관과 외부관을 갖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순환관과 제2 순환관은 상기 냉각부재의 내부관 또는 외부관의 입구와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순환관과 제4 순환관은 상기 제1 순관관과 제2 순환관이 연결되지 않은 상기 냉각부재의 외부관 또는 내부관의 입구와 출구에 연결되는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KR1020120039397A 2012-04-16 2012-04-16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KR10166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397A KR101669903B1 (ko) 2012-04-16 2012-04-16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397A KR101669903B1 (ko) 2012-04-16 2012-04-16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744A true KR20130116744A (ko) 2013-10-24
KR101669903B1 KR101669903B1 (ko) 2016-11-09

Family

ID=4963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397A KR101669903B1 (ko) 2012-04-16 2012-04-16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9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0349A (zh) * 2015-10-16 2016-01-27 苏州腾冉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带水冷板的多进水水冷电抗器
CN105280343A (zh) * 2015-10-16 2016-01-27 苏州腾冉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带水冷板的多组进出水水冷电抗器
CN105280345A (zh) * 2015-10-16 2016-01-27 苏州腾冉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带两端进出水水冷板的水冷电抗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939A (ja) * 1999-09-02 2001-03-23 Ushio Inc 高圧トランス装置
JP2001176730A (ja) * 1999-12-17 2001-06-29 Mitsubishi Electric Corp 静止誘導電器
JP2003100521A (ja) * 2001-09-21 2003-04-04 Daihen Corp 静止誘導機器
KR20120020280A (ko) * 2010-08-30 2012-03-08 이영재 방열판이 압형된 변압기의 하우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939A (ja) * 1999-09-02 2001-03-23 Ushio Inc 高圧トランス装置
JP2001176730A (ja) * 1999-12-17 2001-06-29 Mitsubishi Electric Corp 静止誘導電器
JP2003100521A (ja) * 2001-09-21 2003-04-04 Daihen Corp 静止誘導機器
KR20120020280A (ko) * 2010-08-30 2012-03-08 이영재 방열판이 압형된 변압기의 하우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0349A (zh) * 2015-10-16 2016-01-27 苏州腾冉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带水冷板的多进水水冷电抗器
CN105280343A (zh) * 2015-10-16 2016-01-27 苏州腾冉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带水冷板的多组进出水水冷电抗器
CN105280345A (zh) * 2015-10-16 2016-01-27 苏州腾冉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带两端进出水水冷板的水冷电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903B1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8366B2 (en) Water-cooled radiator internally provided with semiconductor refrigeration system and fan
CN111627654B (zh) 一种具有循环降温功能的变压器箱体结构
KR20150077085A (ko) 변압기용 방열장치
KR100773027B1 (ko) 변압기용 방열기
KR20120084323A (ko) 격막을 갖는 전기 변압기 및 전기 변압기를 냉각하는 방법
KR20130116744A (ko) 변압기 탱크의 냉각 장치
KR200465728Y1 (ko) 방열 효율을 높인 지상변압기 외함
CN202455724U (zh) 电磁除铁器强迫油循环水冷却装置
JP2009081171A (ja) キュービクルの放熱構造
JP2007173685A (ja) 静止誘導電器
WO2015019664A1 (ja) 風力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変圧器搬入、搬出方法
JP7228377B2 (ja) 静止誘導電器
CN207368798U (zh) 一种关于新能源汽车电机的冷却装置
CN110758110A (zh) 车辆的集成控制器和车辆
KR20140003957A (ko) 변압기용 방열기
CN210006574U (zh) 一种加快变压器油循环的电力变压器
CN210349523U (zh) 一种变压器水冷式散热结构
JPH08181020A (ja) コンサベータ付油入変圧器
CN110758279B (zh) 用于车辆的集成控制器和车辆
CN105761904A (zh) 一种具有冷却结构的变压器
CN201398106Y (zh) 栅格式水冷电机机壳
KR100943967B1 (ko) 변압기의 냉각시스템
CN105846328A (zh) 一种散热良好的无功补偿柜
CN204792340U (zh) 底部散热型变压器冷却装置
KR101565559B1 (ko) 배수부를 구비하여 냉각효율이 향상된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