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145A - 단자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단자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145A
KR20130116145A KR1020120074322A KR20120074322A KR20130116145A KR 20130116145 A KR20130116145 A KR 20130116145A KR 1020120074322 A KR1020120074322 A KR 1020120074322A KR 20120074322 A KR20120074322 A KR 20120074322A KR 20130116145 A KR20130116145 A KR 20130116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late
long hole
elastic memb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659B1 (ko
Inventor
양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ublication of KR2013011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단자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장공을 폐쇄하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장공을 개방하도록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스위치플레이트와,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스위치플레이트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와, 하우징과 결합하며 걸림돌기가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장공의 개방 시에는 걸림돌기와 스토퍼가 락킹되며, 장공의 폐쇄 시에는 걸림돌기와 스토퍼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자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PORT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IT }
본 발명은 단자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단자 입구를 수동 및 반자동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단자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리모컨, 피쳐폰, 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카메라 등의 모바일 전자기기는 물론 유무선 전화기, 데스크탑(PC), 스마트 TV, 에어컨 등의 가전 전자기기들은 다른 전자기기 또는 주변 장치들과 접속을 위한 단자를 구비한다.
단자는 예를 들면, 유에스비(USB) 포트, RS232, HDMI, Micro 5pin, 충전기 등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이어폰 연결을 위한 이어폰 잭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자들은 단말기의 측면에 주로 구비되며, 개방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거나 러버(rubber) 재질의 커버에 의해 보호된다. 그런데, 외부 노출된 단자는 먼지나 습기 등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으로 인해 쉽게 고장이 발생하며, 러버 재질로 보호되는 단자는 케이블을 꼽거나 빼기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수동 및 반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단자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장공을 폐쇄하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장공을 개방하도록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스위치플레이트와,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스위치플레이트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와, 하우징과 결합하며 걸림돌기가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장공의 개방 시에는 걸림돌기와 스토퍼가 락킹되며, 장공의 폐쇄 시에는 걸림돌기와 스토퍼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백플레이트에 자유단과 고정단을 갖는 플립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스위치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장공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토퍼와 락킹이 해제되면,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장공을 탄성적으로 폐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상하로 승강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누름 동작 시 상기 스토퍼를 밀어 상기 걸림돌기와 스토퍼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스위치를 탄성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써포트플레이트와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써포트플레이트는 중공을 포함하고, 중공에는 써포트플레이트에 대해 장공의 개폐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돌기가 마련되는 가동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3탄성부재의 일단은 가동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써포트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3탄성부재는 장공의 폐쇄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단자커버 개폐장치와, 상기 단자커버의 중공을 통해 외부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소켓을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승강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외부 단자와 소켓의 결합 시 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단자와 소켓의 결합 해제 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장공을 폐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바닥면의 제1스위치홀에 마련되는 제1스위치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스위치베이스 상의 제2스위치홀에 마련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의 동작 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장공을 폐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단자커버를 개폐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특히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거나 또는 전자기기의 본체와 연결된 외부 단자를 본체로부터 연결 해제할 경우 단자커버의 폐쇄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단자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단자커버가 열린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닫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열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스위칭유닛의 반자동 닫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스위칭유닛의 반자동 닫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단자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단자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확대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는 주로 전자기기(1)의 좌우 또는 상하 측면에 설치된다. 단자커버 개폐장치(100)는 입구(2)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전자기기(1)에 설치되며, 하우징의 입구(2)가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USB 등의 단자(3)로 전자기기의 내부 부품(미도시)과 외부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 충전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는 전자기기의 일례로 모바일 기기인 스마트폰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테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등 종래 기술에 기재한 단자를 구비하는 다른 전자기기에도 적절한 수정 및 변형을 통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단자커버 개폐장치(100)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12)이 마련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위치플레이트(120)와, 스위치플레이트(120)를 탄성적으로 동작시키는 제1탄성부재(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측벽이 연장되어 소정 두께를 갖는다.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112)이 일측면에 마련되며, 장공(112)의 양단부는 외관을 고려하여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개방된 후면에는 백플레이트(140)가 결합되어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전체 하우징을 구성한다. 백플레이트(1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위치플레이트(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공(1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적어도 장공(112)보다 길게 마련된다. 즉, 스위치플레이트(120)는 단자커버 개폐장치가 닫힘 상태일 때는 장공(112)을 폐쇄하고(도 1 참조), 단자커버 개폐장치가 열림 상태일 때는 장공(112)을 개방한다(도 2참조). 개방된 장공(112)을 통해 전자기기의 내부 부품과 외부 전자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3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중 장공(112)이 설치되지 않은 반대편 공간에 설치된다. 제1탄성부재(130)는 스위치플레이트(120)가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항상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위치플레이트(1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또한, 제1탄성부재(130)는 하우징(110) 내의 낮은 두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을 타원 형태로 변형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30)가 스위치플레이트(120)를 용이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스위치플레이트(120)의 단부(122)는 하우징(110)의 두께 방향으로 밴딩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단자커버 개폐장치(100)는 평상 시에는 스위치플레이트(120)가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며, 사용자가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복원력을 초과하는 힘을 가하여 스위치플레이트(120)를 이동시킬 경우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개방할 수 있다.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스위치플레이트(120)는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폐쇄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는 하우징(110) 내부에 스위치플레이트(120)가 장공(112)을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락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락킹유닛은 사용자가 스위치플레이트(120)를 이동시켜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개방하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복원력을 제한하여 장공(112)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킨다.
락킹유닛은 하우징(110)의 백플레이트(140)에 마련되는 스토퍼(142)와, 스위치플레이트(120)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52)를 포함한다.
스토퍼(142)가 마련되는 백플레이트(140)는 금속 소재로 마련되며, 내부에 하우징(110)의 장공(112)과 대응하여 개구(141)를 갖는다. 개구(141)에는 백플레이트의 일부를 가공하여 일단(고정단)은 백플레이트(140)에 연결되고 타단(자유단)은 하우징의 두께(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플립(143) 형태로 마련한다. 스토퍼(142)는 플립(143)의 자유단 측 일부를 삼각의 노치 형태로 돌출 밴딩하여 마련한다.
걸림돌기(152)는 스위치플레이트(120)의 배면에 백플레이트(140)의 스토퍼(142)에 대응하도록 돌출 마련된다. 걸림돌기(152)는 스위치플레이트(120)의 배면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지만, 본 실시 예는 후술할 스위칭유닛(150)의 써포트플레이트(151)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는 단자커버 개폐장치가 닫힘 상태이고 도 5는 단자커버 개폐장치가 열림 상태이다. 도면의 참조부호 4는 전자기기 내부에 마련되는 단자 연결용 소켓이다.
도 4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개방하고자 스위치플레이트(120)를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따라 이동시키면 스위치플레이트(120)의 걸림돌기(152)가 백플레이트(140)의 스토퍼(142)를 탄성적으로 넘어간 후 상호 락킹되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112)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반대로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는,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플레이트(120)를 닫힘 방향으로 소정 거리(S)만 이동(스위치플레이트(120)의 걸림돌기(152)가 백플레이트(140)의 스토퍼(142)를 넘어가는 정도)하면,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위치플레이트(120)가 이동하면서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폐쇄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는 락킹유닛의 스토퍼(142)와 걸림돌기(152)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한 스위칭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유닛(15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플레이트(120)의 배면에 마련되는 써포트플레이트(151)와, 스위치플레이트(120)에 마련되는 스위치(154)와, 써포트플레이트(151)와 스위치(154)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156)를 포함한다.
써포트플레이트(151)는 스위치플레이트(120)와 결합하여 그 사이에 개재되는 스위치(154) 및 제2탄성부재(156)를 탄성 지지한다. 써포트플레이트(151)는 스위치플레이트(120)의 배면에 마련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락킹유닛의 걸림돌기(152)가 포함될 수 있으며, 스위치(154)의 후방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157)가 결합하는 가이드공(158)을 구비하여 스위치(154)가 수직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한다.
스위치(154)는 스위치플레이트(120)에 마련되는 스위치홀(124)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스위치홀(124)은 스위치플레이트(120)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제1스위치홀(124a)과,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해서 마련되는 스위치베이스(121) 상에 마련되는 제2스위치홀(124b)을 포함한다. 제1스위치홀(124a)과 제2스위치홀(124b)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치(154a)와 제2스위치(154b)가 각각 조립되어, 둘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누르면 다른 곳의 스위치도 동일하게 동작한다.
도 6은 스위칭유닛(150)에 의한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스위치플레이트(120)를 수동으로 진퇴 이동시켜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개폐하는 기본적인 동작은 상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하다. 하지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112)이 개방된 상태에서 락킹유닛의 락킹 해제는 상술한 수동 동작뿐만 아니라 스위칭유닛(150)의 스위치(154)를 눌러서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스위치(154b)를 누르면 스위치(154) 후방의 가이드돌기(157)가 백플레이트(140)에 마련되어 있는 플립(143)의 자유단을 하측으로 밀어낸다. 그 결과 후방으로 밀린 플립(143)의 스토퍼(142)는 스위치플레이트(120)의 걸림돌기(152)와 락킹이 해제되므로, 최종적으로 스위치플레이트(120)는 제1탄성부재(130)에 의해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탄성적으로 폐쇄한다.
한편, 상기 실시 예에서는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반자동 닫힘 동작이 스위칭유닛(150)의 스위치(154b)를 사용자가 눌러 동작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112)이 개방되어 외부 단자(ex USB 케이블)(3)가 전자기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스위치(154)를 누르지 않고도 단자(3)를 전자기기 본체로부터 이탈시킬 경우 자동으로 스위치플레이트(120)를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단자커버의 반자동 닫힘 동작은 외부 단자(3)가 전자기기의 단자 소켓(4)과 결합 시 단자의 일부(3a)가 스위칭유닛(150)의 제1스위치홀(124a)에 위치하는 스위치(154a)를 누르고 있도록 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 본체에 단자(3)를 꽂으면 단자(3)의 일부가 제1스위치홀(124a) 상의 스위치(154a)를 누르게 되므로, 이로 인해 락킹유닛의 스토퍼(142)와 걸림돌기(152) 간 락킹은 해제된다. 락킹이 해제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52)가 스토퍼(142)보다 장공(112) 폐쇄 방향 전방에 위치하지만, 단자(3)에 의해 제1탄성부재(130)가 동작할 수 없다. 하지만, 단자(3)가 제거되면 스위치플레이트(120)가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므로, 장공(112)은 탄성적으로 폐쇄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상술한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예의 단자커버 개폐장치(200)는 스위치플레이트(120)의 써포트플레이트(151)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52)가 슬라이딩 개폐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써포트플레이트(151)는 장방형의 중공(159)을 구비하며, 이 중공(159)에 걸림돌기(162)가 마련되어 있는 가동플레이트(164)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플레이트(164)는 써포트플레이트(151)와 제3탄성부재(166)로 연결된다. 제3탄성부재(166)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은 가동플레이트(164)에 결합하고 타단은 써포트플레이트(151)에 결합한다. 제3탄성부재(166)는 제1탄성부재(130)와 동일한 방향(닫힘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스위치플레이트(120)를 수동으로 진퇴 이동시켜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개폐하는 기본적인 동작과, 사용자가 또는 단자로 스위치(154)가 눌려 장공(112)을 탄성 폐쇄하는 동작은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하지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커버가 개방 상태일 때 스위치플레이트(120)의 위치(도면의 실선 참조)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플레이트(120) 위치(도면의 점선 참조)와 'H' 만큼 다르다. 이것은 닫힘 동작 시 가동플레이트(164)는 걸림돌기(162)가 스토퍼(142)와 락킹되어 있는데 반해, 스위치플레이트(120)는 가동플레이트(164)와 상대적으로 움직여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까지 복귀 이동하기 때문이다.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154b)를 누르거나 단자에 의해 스위칭유닛(150)의 스위치(154a)가 눌리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플레이트(120)는 움직이지 않고 가동플레이트(164) 및 그 걸림돌기(162)만 제3탄성부재(166)에 의해 백플레이트(140)의 스토퍼(142)보다 폐쇄 방향 전진 이동하여 닫힘 동작을 한다. 이와 같이 가동플레이트(164)를 설치한 이유는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외관 및 동작을 보다 미려하고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상술한 실시 예들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예의 단자커버 개폐장치(300)는 먼저 스위치와 스위치홀이 두 개로 분리 마련되지 않는다. 즉, 스위치플레이트(120)는 돌출 마련된 하나의 스위치홀(124)에 하나의 스위치(154)를 승강 가능하게 마련하여 중공(112)을 수동 및 반자동으로 개폐한다.
또한, 스위치플레이트(120)는 써포트플레이트(151)와 스위치(154) 사이에 스위치(154)를 탄성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제2탄성부재 대신 일 실시 예의 백플레이트(140)와 마찬가지로 플립 형태로 마련되는 연장플립(153)를 구비하고, 연장플립(153)의 후면에 걸림돌기(152)를 돌출 마련한다. 또한, 백플레이트(140)의 스토퍼(142)를 갖는 금속재의 플립(143)은 합성수지재의 백플레이트(140)와 별도로 마련되어 조립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자커버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스위치플레이트(120)를 수동으로 진퇴 이동시켜 하우징(110)의 장공(112)을 개폐하는 기본적인 동작과, 사용자가 또는 단자로 스위치(154)가 눌려 장공(112)을 탄성 폐쇄하는 동작은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하지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52)와 스토퍼(143)가 락킹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154)를 누르거나 단자(3)에 의해 스위칭유닛(150)의 스위치(154)가 눌리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52)와 스토퍼(143) 간 락킹이 해제되면서 스위치플레이트(120)가 소정 거리 'H' 만큼 단자커버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이때는 단자(3)에 의해 제1탄성부재(130)가 동작할 수 없기 때문에 스위치플레이트(120)는 장공(112)이 폐쇄된 최초 상태로 완전 복귀되지 못한다. 단자(3)가 제거되면 스위치플레이트(120)는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진 이동하므로, 최종적으로 장공(112)은 탄성적으로 폐쇄된다.
본 실시 예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 비해 제2탄성부재를 생략하고 스위치를 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동작 신뢰성을 크게 높인 것이다.
100,200,300.단자커버 개폐장치 110..하우징
112..장공 120..스위치플레이트
130..제1탄성부재 140..백플레이트
150..스위칭유닛 154..스위치
166..제3탄성부재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장공을 폐쇄하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장공을 개방하도록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스위치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스위치플레이트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며 걸림돌기가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마련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장공의 개방 시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스토퍼가 락킹되며, 상기 장공의 폐쇄 시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스토퍼의 락킹이 해제되는 단자커버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백플레이트에 자유단과 고정단을 갖는 플립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스위치플레이트의 걸림돌기가 장공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토퍼와 락킹이 해제되면,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장공을 탄성적으로 폐쇄 동작하는 단자커버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상하로 승강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누름 동작 시 상기 스토퍼를 밀어 상기 걸림돌기와 스토퍼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자커버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스위치를 탄성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단자커버 개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써포트플레이트와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써포트플레이트는 중공을 포함하고, 중공에는 써포트플레이트에 대해 장공의 개폐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돌기가 마련되는 가동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3탄성부재의 일단은 가동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써포트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3탄성부재는 장공의 폐쇄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단자커버 개폐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마련되는 단자커버 개폐장치와,
    상기 단자커버의 중공을 통해 외부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소켓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승강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외부 단자와 소켓의 결합 시 눌리는 전자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와 소켓의 결합 해제 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장공을 폐쇄 동작하는 전자기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바닥면의 제1스위치홀에 마련되는 제1스위치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스위치베이스 상의 제2스위치홀에 마련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상호 연통되어 있는 전자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의 동작 시, 상기 스위치플레이트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장공을 폐쇄 동작하는 전자기기.
KR1020120074322A 2012-04-13 2012-07-09 단자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346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8547 2012-04-13
KR1020120038547 2012-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145A true KR20130116145A (ko) 2013-10-23
KR101346659B1 KR101346659B1 (ko) 2014-01-03

Family

ID=4963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322A KR101346659B1 (ko) 2012-04-13 2012-07-09 단자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6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224A (ko) * 2004-07-09 2006-01-12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1760B1 (ko) * 2006-06-19 2008-01-04 (주) 엘지텔레콤 전자기기의 외부 접속단자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659B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197B2 (en) Electronic card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103028B1 (ko)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의 개량구조
US8100705B2 (en) Safety door for a rotatable power supply socket
US9176287B2 (en) Connector and plug that incorporates same
US988749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 member
US8807618B2 (en) Connecting device for multifunctional box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20180366871A1 (en) Socket structure
US2014017087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rotable connector
US20130130523A1 (en) Structure of lift cover connector
US9214769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20120034807A1 (en) Detachment-preventing plug
US9426910B1 (en) Transmission cable for electrical devices
KR101346659B1 (ko) 단자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20130267112A1 (en) Power connector assembly and adapter plug with locking mechanism
TWI545847B (zh) 電子裝置及其切換式接頭構造
WO2016082472A1 (zh) 一种终端及其插座
KR101221344B1 (ko)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US8602824B2 (en) Ultrathin USB female connector
TWM465689U (zh) 通訊連接器及其電子裝置
CN217589570U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扩展坞
KR200491158Y1 (ko) 휴대단말기 스트랩 겸용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TWM465688U (zh) 通訊連接器及其電子裝置
KR101578837B1 (ko) 면 접촉식 커넥터
AU2013321440B2 (en) Cradle device having excellent usability and reliability and simple structure and desk telephone having the same device
KR20140083826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