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780A -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780A
KR20130115780A KR20120038408A KR20120038408A KR20130115780A KR 20130115780 A KR20130115780 A KR 20130115780A KR 20120038408 A KR20120038408 A KR 20120038408A KR 20120038408 A KR20120038408 A KR 20120038408A KR 20130115780 A KR20130115780 A KR 20130115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ecurity key
wireless lan
connection reques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3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797B1 (ko
Inventor
함성일
김영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797B1/ko
Priority to US13/854,346 priority patent/US9137665B2/en
Priority to PCT/KR2013/003148 priority patent/WO2013154406A1/en
Priority to EP13775113.7A priority patent/EP2837220B1/en
Publication of KR2013011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780A/ko
Priority to US14/840,966 priority patent/US938645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exchange, e.g. in peer-to-pe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group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04W12/64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using geofenced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와 사운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기반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이 제1 보안키의 일부인 제1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휴대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보안키의 다른 일부인 제2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사운드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단말로부터 무선 랜을 통해 제2 보안키를 포함하는 무선 랜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보안키와 상기 제2 보안키의 비교를 통해 일치할 시 상기 제2 휴대단말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WIRELESS LOCAL AREA NETWROK LINK BETWEEN PORTABLE TERMINALS}
본 발명은 휴대단말들이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통신을 위한 무선 랜 링크(link) 형성 시, 무선 랜 연결의 편의성을 지원하면서 그 보안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단말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전송, 전자수첩, 촬영, 이메일 송수신, 방송 재생, 동영상 재생, 인터넷, 전자상거래, 음악 재생, 일정관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친구 찾기 서비스, 메신저, 사전, 게임,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링크 형성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랜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무선 랜 사용자들의 수도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무선 랜 통신에 있어서 보안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암호화와 인증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WFA(Wi-Fi Alliance)에서는 사용성의 제약을 개선하기 위해 WPS(Wi-Fi Protected Setup)를 제안하였다. WPS는 크게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방식과 PBC(Push Button Configuration)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중 PIN 방식은 의무적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방식이다.
WPS PIN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보안 방식을 선택하지 않아도 되고 간단한 4자리 내지 8자리의 PIN 번호를 입력하기만 하면 보안 연결이 설정된다. 그러나 WPS PIN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PIN 번호를 생성하거나 입력하는 작업은 복잡한 설정 메뉴를 통해 수행된다.
WPS PBC 방식의 경우에도 PBC 버튼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경우 역시 복잡한 메뉴를 통해서 버튼을 찾아 눌러야 하고, PBC 버튼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더라도 사용자가 다른 버튼(예를 들면, 리셋 버튼)과 혼동하게 되면 디바이스가 오작동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무선 랜을 통해 연결할 경우 사용자는 모든 디바이스들에 대해 일일이 설정 조작을 해야 하므로 그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시 간편하고 신속한 무선 랜 연결을 지원하면서도, 보안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룰러 네트워크와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들의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휴대단말의 사용성 및 휴대단말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이 제1 보안키의 일부인 제1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상기 제1 보안키의 다른 일부인 제2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과정; 제2 휴대단말이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제1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고, 상기 사운드를 통해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제2 휴대단말이 상기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상기 무선 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휴대단말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이 제1 보안키의 일부인 제1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휴대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보안키의 다른 일부인 제2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사운드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단말로부터 무선 랜을 통해 제2 보안키를 포함하는 무선 랜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보안키와 상기 제2 보안키의 비교를 통해 일치할 시 상기 제2 휴대단말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제2 휴대단말이 컨택트 서버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 수신을 위한 마이크를 턴-온(turn-on) 하는 과정;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1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를 입력 받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의한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사운드에 의한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를 조합하여 보안키를 획득하는 과정; 및 획득된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무선 랜 링크 형성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위한 서비스를 개시하고, 무선 랜 연결에 필요한 제1 보안키가 분할된 파셜 보안키들을 연결 요청 메시지 및 사운드를 통해 각각 출력하 는 제1 휴대단말; 및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마이크를 턴-온 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운드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와 상기 사운드로부터 획득된 파셜 보안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제2 휴대단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1 휴대단말이 제2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제1 보안키의 일부인 제1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휴대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보안키의 다른 일부인 제2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사운드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단말로부터 무선 랜을 통해 제2 보안키를 포함하는 무선 랜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보안키와 상기 제2 보안키의 비교를 통해 일치할 시 상기 제2 휴대단말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1 휴대단말이 제2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2 휴대단말이 컨택트 서버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 수신을 위한 마이크를 턴-온(turn-on) 하는 과정;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1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를 입력 받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의한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사운드에 의한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를 조합하여 보안키를 획득하는 과정; 및 획득된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제1 보안키가 분할된 파셜 보안키들을 셀룰러 네트워크와 사운드를 통해 각각 전송하고,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와 상기 사운드를 통해 각각 수신된 파셜 보안키들을 조합하여 제2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보안키와 상기 제2 보안키를 이용한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는 간편한 조작만으로 보안 안전성이 강화된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에 필요한 보안키를 분할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를 개시하는 발신 휴대단말이 하나의 보안키를 제1 파셜 보안키와 제2 파셜 보안키와 같이 적어도 2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파셜 보안키들을 셀룰러 네트워크와 사운드를 통해 각각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수신 휴대단말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하는 제1 파셜 보안키와 사운드를 통해 획득하는 제2 파셜 보안키를 조합하여 발신 휴대단말과의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위한 보안키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을 위한 보안키를 제공함에 있어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보안키의 일 부분 제공하고 사운드를 통해 보안키의 나머지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컨택트 서버의 외부 해킹에 의한 보안키 노출과, 의도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의 사운드 수신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무선 랜 링크 형성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함에 있어서, 보다 강화된 보안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도되지 않은 사용자나 외부의 해킹 등으로부터의 불법적인 무선 랜 링크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휴대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들이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요청 메시지 포맷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과 제2 휴대단말이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발신측 휴대단말로 동작하는 경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의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수신측 휴대단말로 동작하는 경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휴대단말의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들을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연결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와 사운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기반의 연결(이하, '무선 랜 연결'이라 칭함)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무선 랜 연결 방식에 의하면,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연결 시의 보안 안전성을 강화하면서도, 무선 랜 연결에 따른 사용자의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운드는 예컨대, 가청 주파수 또는 가청 주파수 이상의 음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사운드'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신측 휴대단말의 사용자가 무선 랜 링크(link) 형성을 위한 서비스를 개시하면, 보안키(security key)가 분할된 적어도 2개의 파셜 보안키(partial security key)들이 셀룰러 네트워크와 사운드를 통해 각각 수신측 휴대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수신측 휴대단말은 셀룰러 네트워크와 사운드를 통해 각각 수신된 파셜 보안키들을 조합하여 발신측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발신측 휴대단말은 자신의 보안키와 수신된 보안키를 이용한 수신측 휴대단말의 인증에 의해, 발신측 휴대단말과 수신측 휴대단말 간의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은 셀룰러 네트워크, 즉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와 무선 랜을 위한 무선 랜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2G(2nd Generation), 3G(3rd Generation), 4G(4th Gener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그리고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및 휴대단말의 구성과 그들의 운용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및 휴대단말의 구성과 그들의 운용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들이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1 휴대단말(100), 컨택트 서버(200), 그리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휴대단말(300)(예컨대, 휴대단말 A(310), 휴대단말 B(320), 휴대단말 C(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휴대단말(100)이 제2 휴대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그리고 두 휴대단말들 사이에 무선 랜 링크가 형성(establish)된다는 것은, 상기 두 휴대단말들이 무선 랜(500)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connect)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휴대단말(100)이 AP(Access Point)로 동작하고, 제2 휴대단말(300)(예컨대, 휴대단말 A(310), 휴대단말 B(320), 휴대단말 C(330))이 Non-AP 스테이션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에서는 휴대단말 A(310), 휴대단말 B(320) 및 휴대단말 C(330)와 같이 세 개의 Non-AP 스테이션들이 도시되었으나, Non-AP 스테이션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무선 랜 연결을 위한 상대 휴대단말의 인증을 위한 보안키(이하, '제1 보안키 또는 소스(source) 보안키'라 칭함)를 가지며, 상기 제1 보안키가 분할된 적어도 두 개의 파셜 보안키들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휴대단말(100)은 하나의 제1 보안키를 사용자 설정(또는 입력)에 따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파셜 보안키들로 분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위한 보안키의 보안 안전성 강화를 위해 적어도 두 개의 파셜 보안키들 중 일부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휴대단말(300)에게 전송하고, 나머지 일부는 사운드를 통해 제2 휴대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안키 및 파셜 보안키들은 미리 가지고 있거나, 또는 무선 랜 연결 동작 시마다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컨택트 정보를 상기 컨택트 서버(200)에게 요청하고, 상기 컨택트 서버(200)가 제공하는 컨택트 정보를 수신하여 컨택트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 정보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가 컨택트 서버(200)에 등록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이거나, 컨택트 서버(200)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기반으로 수집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관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 등을 의미하며, 전화번호, 이름, 별명, 식별자(ID)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컨택트 리스트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인접된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컨택트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택트 리스트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특정 관계(예컨대, 친구, 지인, 가족, 동료 등과 같이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 설정에 따른 관계)를 가지는 모든 사용자들 중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동일한 영역(예컨대, 제1 휴대단말(100)이 속하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 영역)에 있는 사용자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컨택트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단말(300)과의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상기 컨택트 서버(200)에게 전송한다.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파셜 보안키들 중 어느 하나의 파셜 보안키(이하, 제1 파셜 보안키)와 무선 랜 연결을 위해 필요한 연결정보를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파셜 보안키들 중 다른 하나의 파셜 보안키(이하, 제2 파셜 보안키)를 사운드(예컨대, 음파, 초음파 등)에 실어서 스피커(speaker)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사용자 설정에 따른 스피커의 출력 레벨에 따라 상기 사운드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의 출력 레벨은 사용자 설정에 따른 사운드 도달 거리(또는 도달 범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 편의를 위해 스피커 출력 레벨을 입력하는 방식이 아닌, 사운드의 도달 가능한 거리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운드의 도달 거리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5m, 25m, 50m 및 100m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설정된 도달 거리에 따라 스피커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레벨을 기준으로 사운드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달 거리 5m에 대한 출력 레벨이 "A"이고, 도달 거리 25m에 대한 출력 레벨이 "B"이고, 도달 거리 50m에 대한 출력 레벨이 "C"이고, 도달 거리 100m에 대한 출력 레벨이 "D"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 레벨 "A", "B", "C" 및 "D"는 휴대단말의 스피커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값을 나타내며, 도달 거리가 멀어질수록 출력 레벨의 크기도 증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시에서 출력 레벨 "A", "B", "C" 및 "D"의 크기는 "A < B < C < D"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단말(300)로부터 무선 랜 연결 요청을 수신할 시, 상기 무선 랜 연결 요청과 함께 상기 제2 휴대단말(300)에서부터 전송되는 보안키(이하, '제2 보안키 또는 조합 보안키'라 칭함)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보안키는 제2 휴대단말(300)이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하는 제1 파셜 보안키와 제2 휴대단말(300)이 사운드를 통해 획득하는 제2 파셜 보안키가 하나로 조합된 보안키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수신된 제2 보안키와 상기 제1 보안키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보안키들의 비교를 통해 제2 휴대단말(300)을 인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컨택트 정보 요청을 수신할 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100)과 관계된 컨택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가 컨택트 서버(200) 내에 등록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컨택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SNS 기반으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관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컨택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택트 정보를 상기 제1 휴대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특정 관계를 가지는 모든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들 중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컨택트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과 동일한 영역(예컨대, 제1 휴대단말(100)이 속하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 영역)에 있는 제2 휴대단말(300)을 검색하여 상기 컨택트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각 휴대단말들의 위치에 대해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네트워크 단위(특히, 기지국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위치 기반 서비스(예컨대, 친구 찾기 서비스 등)와 이용하여 각 휴대단말들의 위치를 구분할 수도 있다. 휴대단말들의 위치 구분은 다양한 방식(mechanism)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단말(300)과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단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결정보 및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며, 상기 컨택트 서버(200)에 의해 푸시 방식(push mechanism)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단말(300)에서 푸시될 수 있다. 통신 분야에서 상기 푸시 방식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택트 서버(200)를 하나의 서버로 명시하였으나,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푸시 서버(push server)(미도시)를 별도로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택트 서버(200)는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푸시 서버(미도시)에게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단말(300)에게 푸시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푸시 서버(미도시)는 상기 연결 요??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단말(300)에게 푸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상기 컨택트 서버(2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푸시 방식으로 수신되면,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정보로부터 제1 휴대단말(100)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무선 랜 연결 요청이 수신됨을 사용자에게 피드백(feedback)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사용자에 의해 무선 랜 연결 요청이 승인되면,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마이크(microphone)를 턴-온(turn-on)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이 전송하는 사운드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이 출력하는 사운드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사운드에 포함된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를 조합하여 제2 보안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상기 제1 휴대단말(100)에게 상기 제2 보안키를 이용한 무선 랜 연결 요청을 무선 랜(500)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1 휴대단말(100)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휴대단말(100), 컨택트 서버(200) 및 제2 휴대단말(200)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휴대단말(100)에서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연결 어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컨택트 서버(200)에게 컨택트 정보를 요청한다(101단계).
상기 컨택트 정보는 상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가 컨택트 서버(200)에 등록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이거나, 상기 컨택트 서버(200)가 SNS 기반으로 수집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관계된 사용자들의 정보 등을 나타내며, 전화번호, 이름, 식별자(ID)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랜 링크 형성 과정만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그 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SNS,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서비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컨택트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관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택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택트 정보를 상기 제1 휴대단말(100)에게 전송한다(103단계).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컨택트 서버(200)로부터 컨택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컨택트 정보를 기반으로 컨택트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컨택트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컨택트 리스트에서 휴대단말 A(310), 휴대단말 B(320), 그리고 휴대단말 C(330)와 같은 제2 휴대단말(300)의 컨택트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제2 휴대단말(300)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컨택트 서버(200)에게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105단계). 이때,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연결정보와 제1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연결정보는 제1 휴대단말(100)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무선 랜(50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채널 번호(channel number), 기타 보안정보,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컨택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무선 랜 링크는 애드 혹(ad hoc) 모드 및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와 같은 무선 랜 연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휴대단말(100)에는 애드 혹 모드 및 인프라스트럭쳐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랜 연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메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선택 메뉴를 통해 애드 혹 모드 및 인프라스트럭쳐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랜 연결 모드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휴대단말 A(310), 휴대단말 B(320), 휴대단말 C(330)의 제2 휴대단말(300)로 음악을 스트리밍(streaming)하는 경우 인프라스트럭쳐 모드가 자동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이 각자 자신의 카레라 뷰(예컨대, 촬영된 화면이 표시되는)를 상대 휴대단말에 서로 전송하는 경우라면 애드 혹 모드가 자동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대한 애드 혹 모드 및 인프라 스트럭쳐 모드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애드 혹 모드 및 인프라스트럭쳐 모드는 제1 휴대단말(100)과 연결 가능한 다른 휴대단말의 개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단말(100)이 복수의 다른 휴대단말들에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인프라스트럭쳐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제1 휴대단말(100)이 하나의 다른 휴대단말에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애드 혹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휴대단말(100)에서 애드 혹 모드 및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의 선택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앞서와 같은 어느 한 방식에 의해 무선 랜 연결 모드가 선택되면, AP로서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의 연결정보에는 인프라스트럭쳐 모드 또는 애드 혹 모드로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 요청 메시지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는 단지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것에서 나아가 제2 휴대단말(300)에서 특정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제1 휴대단말(100)에서 실행중인 연결 어플리케이션이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는 제2 휴대단말(300)에서도 동일한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무선 랜(500)을 통해 제2 휴대단말(300)의 사용자와 채팅 서비스를 즐기기 원할 수 있다. 또는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는 제1 휴대단말(10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제2 휴대 단말(300)에서 무선 랜(500)을 통해 스트리밍 재생하도록 제2 휴대단말(300)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의 연결정보에는 그 특정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에 의해 동일한 연결 어플리케이션에 매핑될 수 있어야 하며, 제1 휴대단말(100)이 생성하거나 해당 연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단말(300)에게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푸시 방식으로 전송한다(107단계). 이때, 상기 컨택트 서버(200)가 푸시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시 상기 컨택트 서버(200)는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푸시 서버(미도시)에게 전달하고, 상기 푸시 서버(미도시)에게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2 휴대단말(300)에게 푸시 방식으로 전송할 것으로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푸시 서버(미도시)가 제2 휴대단말(300)에게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푸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화면에 제1 휴대단말(100)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것인지, 즉 무선 랜(500)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와 연결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휴대단말(300)의 사용자가 상기 선택 메뉴를 통해 연결을 승인하면,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마이크를 턴-온하고 상기 제1 휴대단말(100)에서 출력하는 사운드 수신을 대기한다(109단계). 이때,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후 제2 파셜 보안키를 사운드에 실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111단계).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미리 설정된 스피커의 출력 레벨(예컨대, 사운드의 도달 거리에 따른 출력 세기)에 따라 사운드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턴-온된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이 출력하는 사운드가 입력될 시, 상기 사운드에 포함된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통해 획득된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를 조합하여 제2 보안키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앞서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의 연결정보와 상기 제2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100)에게 무선 랜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한다(113단계).
여기서,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셀룰러 네트워크 및 무선 랜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100)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무선 랜 기능이 꺼져 있는 경우, 상기 선택 메뉴를 통해 연결을 승인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시점,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운드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무선 랜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 휴대단말(300)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의 연결정보로부터 연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연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나타내는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은 연결정보에 연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해당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휴대단말(300)은 상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휴대단말(100)은 수신된 연결정보에 따라 연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지정하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1 휴대단말(100)이 스트리밍 하는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무선 랜(500)을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300)로부터 제2 보안키를 기반으로 무선 랜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보안키와 제1 휴대단말(100)이 가지고 있는 제1 보안키를 비교하고,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요청하는 제2 휴대단말(3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115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일치되는 제2 보안키를 전송한 제2 휴대단말(300)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른 데이터를 무선 랜(50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친화적(user-friendly)인 컨택트 리스트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컨택트 정보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복잡한 설정 과정 없이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휴대단말(300)의 사용자는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선택 메뉴에서 연결 요청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복잡한 설정 과정 없이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위한 보안키에 대해, 하나의 제1 보안키를 셀룰러 네트워크와 사운드를 통해 제1 파셜 보안키 및 제2 파셜 보안키로 나누어서 각각 제공함으로써, 보안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요청 메시지 포맷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결 요청 메시지는 SSID 필드(201), 채널 번호 필드(202), 보안 메커니즘 필드(203), 보안 키 필드(204), 연결 모드 필드(205)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필드(20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연결정보(예컨대, SSID, 채널 번호, 기타 보안정보,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컨택트 정보 등)과 파셜 보안키가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는 제1 휴대단말(100)이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제2 휴대단말(300)에게 전송되며,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SSID 필드(201)는 제1 휴대단말(100)이 속한 무선 랜(400)의 SSID를 나타낸다.
상기 채널 번호 필드(202)는 제1 휴대단말(100)이 속한 무선 랜(400), 즉 상기 SSID 필드(201)가 지정하는 무선 랜(400)에서 제1 휴대단말(100)과 어떤 무선 채널을 통해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보안 메커니즘 필드(203)는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 간의 무선 랜 링크에 적용될 보안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보안 메커니즘 필드(203)는 WEP(Wired Equivalent Privacy), WPA(Wi-Fi Protected Access), WPA2(Wi-Fi Protected Access2) 등의 보안 메커니즘이 지정될 수 있으며, 별도의 보안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는 오픈(open) 방식을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보안 키 필드(204)는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 간의 무선 랜 링크에서 보안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보안키가 기록된다. 특히, 상기 보안 키 필드(204)는 제1 휴대단말(100)의 제1 보안키가 분할된 파셜 보안키가 기록되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파셜 보안키와 사운드를 통해 전송되는 다른 파셜 보안키가 조합된 보안키를 이용하여 제2 휴대단말(300)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연결 모드 필드(205)는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이 어떠한 방식으로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가 기록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모드 정보는 인프라스트럭쳐 모드를 나타낼 수 있고, 애드 혹 모드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필드(206)는 제2 휴대단말(300)이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어떠한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기록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필드(206)는 제2 휴대단말(300)이 실행할 연결 어플리케이션 외에 제1 휴대단말(100)이 해당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휴대단말(300)에게 송신하려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metadata)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단말(100)이 제2 휴대단말(300)에게 스트리밍 하려는 음악 파일의 곡명, 가수 이름, 음악 재생 시간 등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필드(206)에 기록될 수 있다.
제2 휴대단말(300)은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필드(206)를 참조하여 특정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2 휴대단말(300)은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필드(206)를 참조하여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무선 랜 링크를 통해 스트리밍 되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연결 요청 메시지의 각 필드는 별도의 메시지를 통해 서로 다른 시간에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및 컨텐츠의 메타데이터)가 제2 휴대단말(300)에게 송신된 후, 제2 휴대단말(300)의 사용자가 무선 랜(500)을 통한 연결을 승인하면 나머지 정보가 제2 휴대단말(300)에게 송신될 수 있다. 반대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필드(206)에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나 컨텐츠 메타데이터는 무선 랜 링크 형성이 먼저 완료된 후에 제2 휴대단말(300)에게 송신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 2에 도시된 연결 요청 메시지의 포맷은 하나의 실시 예이므로,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필드들(201-206)의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새로운 필드가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요청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메시지 타입 필드, 목적하는 휴대단말의 컨택트 정보를 나타내는 컨택트 정보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 옥텟(octet) 단위로 도시된 필드들의 길이 역시 가변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서 상기 휴대단말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제1 휴대단말(100) 및 제2 휴대단말(300)을 대표하는 것으로, 상기 도 3의 구성은 제1 휴대단말(100) 및 제2 휴대단말(300) 모두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무선 통신부(310), 사용자 입력부(320), 표시부(330), 오디오 처리부(340), 저장부(350), 인터페이스부(360), 제어부(controller)(370), 그리고 전원 공급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310)는 휴대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단말과 휴대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이동통신 모듈(311), 무선 랜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5), 위치 산출 모듈(317), 그리고 방송 수신 모듈(3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11)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통화 신호, 화상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 모듈(311)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파셜 보안키 송신 및 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internet) 접속 및 다른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내는 것으로, 휴대단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 랜 모듈(313)은 본 발명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기능 운용과 관련된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315)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나타낸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그리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산출 모듈(315)은 휴대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위치 산출 모듈(315)은 3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산출 모듈(3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휴대단말의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수신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휴대단말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9)은 방송 채널(예컨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예컨대,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 및/또는 상기 방송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 등)를 수신한다. 특히, 제1 휴대단말(100)의 방송 수신 모듈(319)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제2 휴대단말(300)에게 캐스팅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20)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3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330)는 휴대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30)는 휴대단말이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330)는 본 발명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기능 운용과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운용되는 표시부(330)의 화면 구성 및 그의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표시부(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능동형 OLED(Active Matrix OLED, AM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33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이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touchscreen)'이라 칭함)에, 표시부(3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부(33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33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미도시)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37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370)는 표시부(33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340)는 제어부(370)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341)로 전송하고, 마이크(343)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34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341)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343)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7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340)는 제어부(370)의 제어 하에 파셜 보안키가 실린 사운드를 스피커(341)를 통해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340)는 스피커(341)를 통해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사운드 출력 시 제어부(370)의 제어 하에 설정된 스피커(341)의 출력 레벨에 의한 출력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오디오 처리부(340) 및 스피커(341) 중 적어도 하나는 출력하는 사운드가 인접된 영역에 존재하는 다른 휴대단말의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의 회로나 전자부품(예컨대, 저항, 콘덴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341)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3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341)는 휴대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예컨대, 통화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음악 파일 재생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스피커(341)는 파셜 보안키가 실린 사운드를 설정된 출력 레벨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343)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31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3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343)는 다른 휴대단말의 스피커(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입력 받아 제어부(37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제어부(3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전자도서, 동영상, 사운드, 파셜 보안키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5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350)는 제1 보안키와, 셀룰러 네크워크(400)를 통해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로부터 획득하는 제1 파셜 보안키, 및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로부터 획득하는 제2 파셜 보안키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은 인터넷 상에서 상기 저장부(3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360)는 휴대단말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3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단말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36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37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37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7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370)는 본 발명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동작 운용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제어부(370)는 본 발명의 무선 랜 링크 형성 시, 서비스를 개시하는 발신측 휴대단말의 동작(예컨대, 제1 휴대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 시 마이크(343)를 턴-온 하여 발신측 휴대단말의 사운드를 수신하는 수신측 휴대단말의 동작(예컨대, 제2 휴대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우선, 휴대단말이 발신측 휴대단말로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370)는 사용자가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컨택트 서버(200)로부터 컨택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컨택트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컨택트 리스트의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370)는 컨택트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정보가 선택되면, 연결정보와 제1 보안키가 분할된 일 부분의 제1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컨택트 서버(200)에게 전송한다. 제어부(370)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제1 보안키가 분할된 다른 부분의 제2 파셜 보안키를 사운드에 실어 스피커(341)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370)는 설정된 출력 레벨을 기반으로 사운드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사운드 출력 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신측 휴대단말들로부터 제2 보안키를 포함하는 무선 랜 연결 요청이 수신될 시 제1 보안키와 제2 보안키를 비교하여 수신측 휴대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단말이 수신측 휴대단말로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370)는 컨택트 서버(2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푸시되면, 표시부(330)를 통해 발신측 휴대단말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것인지 확인하는 선택 메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70)는 사용자가 선택 메뉴를 통해 연결을 승인하면, 마이크(343)의 턴-온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70)는 연결 요청 메시지로부터 제1 파셜 보안키를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턴-온된 마이크(343)를 통해 다른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가 입력될 시 입력된 사운드로부터 제1 파셜 보안키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연결 요청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제1 파셜 보안키와 사운로드로부터 획득한 제2 파셜 보안키를 조합하여 제2 보안키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연결 요청 메시지의 연결정보와 제2 보안키를 이용하여 발신측 휴대단말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무선 랜 링크 형성 절차를 제어한다. 제어부(370)는 무선 랜 기능이 꺼져 있는 경우, 선택 메뉴를 통해 연결을 승인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시점, 또는 마이크(343)를 통해 사운드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무선 랜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38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37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와 같이 AP(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사용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게임단말, 랩톱 컴퓨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능 제어 방법은 디지털 TV(Digital Television), DS(Digital Signage), LFD(Large Format Display) 등과 같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이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제1 휴대단말(100)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401단계),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컨택트 서버(200)에 컨택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403단계).
컨택트 서버(200)는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컨택트 정보 요청이 수신될 시, 제1 휴대단말(100)을 식별하고(405단계),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관계된 컨택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407단계). 컨택트 정보는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가 컨택트 서버(200)에 등록한 사용자 정보이거나, 상기 컨택트 서버(200)가 SNS 기반으로 수집한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관계되는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컨택트 서버(200)는 수집된 컨택트 정보를 제1 휴대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409단계).
제1 휴대단말(100)은 컨택트 서버(200)로부터 컨택트 정보가 수신될 시, 수신된 컨택트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컨택트 리스트를 표시하고(411단계), 컨택트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정보 선택을 입력 받는다(413단계). 그리고 제1 휴대단말(100)은 컨택트 정보가 선택되면,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컨택트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415단계). 제1 휴대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컨택트 정보가 선택될 시 기 저장된 제1 보안키 또는 새로 생성하는 제1 보안키를 제1 파셜 보안키와 제2 파셜 보안키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연결정보와, 상기 제1 보안키가 분할된 적어도 두 개의 파셜 보안키들 중 일부의 파셜 보안키(예컨대, 제1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컨택트 서버(200)는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시, 수신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단말(300)(예컨대, 휴대단말 A(310), 휴대단말 B(320))에게 푸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417단계). 컨택트 서버(200)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제1 휴대단말(100)을 식별하고, 제1 휴대단말(100)이 전송한 메시지를 파싱(parsing)하여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 타입은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타입정보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컨택트 서버(200)는 메시지 타입이 제2 휴대단말(300)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할 시,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택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휴대단말(300)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휴대단말 A(310)와 휴대단말 B(320)가 식별된 경우를 예시로 한다. 따라서 컨택트 서버(200)는 식별된 휴대단말 A(310)와 휴대단말 B(320)에게 연결 요청 메시지를 푸시할 수 있다.
휴대단말 A(310) 및 휴대단말 B(320)는 컨택트 서버(2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시 제1 휴대단말(100)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것인지 확인하는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419단계)(425단계). 휴대단말 A(310) 및 휴대단말 B(320)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 메뉴를 통해 연결을 승인하면 마이크(343)를 턴-온 할 수 있다(421단계)(427단계). 휴대단말 A(310) 및 휴대단말 B(320)는 컨택트 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시 메시지 파싱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 타입은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타입정보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 A(310) 및 휴대단말 B(320)는 메시지 타입이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청 메시지에 해당할 시,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마이크(343)를 턴-온 하고 사운드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휴대단말 A(310) 및 휴대단말 B(320)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시,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정보와 파셜 보안키(제1 파셜 보안키)를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423단계)(429단계).
제1 휴대단말(100)은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결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보안키가 분할된 적어도 두 개의 파셜 보안키들 중 나머지 다른 일부의 파셜 보안키(제2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스피커(34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431단계). 여기서, 상기 결정된 시간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5초, 10초, 15초, 30초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제1 휴대단말(100)은 설정된 도달 거리에 따른 스피커(341)의 출력 레벨에 따라 제2 파셜 보안키가 실린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제1 휴대단말(100)이 출력하는 사운드가 휴대단말 A(310)에 전달되고, 휴대단말 B(320)에서는 제1 휴대단말(100)이 출력하는 사운드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을 중심으로 휴대단말 A(310)는 사운드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고, 휴대단말B(320)는 사운드 도달 범위 밖에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제1 휴대단말(100)에서 출력된 제2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사운드는 휴대단말 A(310)만이 마이크(343)를 통해 입력되고, 휴대단말 B(320)의 경우 사운드가 입력되지 않는다.
이러한 가정에서, 휴대단말 B(320)는 마이크(343) 턴-온 후 일정시간 경과 시까지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제2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사운드가 입력되지 않을 시 마이크(343)를 턴-오프(turn-off) 할 수 있다(433단계). 이때, 휴대단말 B(320)는 마이크(343) 턴-온 상태에서 또 다른 휴대단말로부터 제2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지 않는 사운드가 입력될 시 해당 사운드를 무시하고, 일정시간 경과 시(예컨대, 30초, 1분, 5분 등) 마이크(343)를 턴-오프 할 수 있다.
휴대단말 A(310)는 마이크(343)를 통해 사운드가 입력될 시, 사운드에 실린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할 수 있다(435단계). 그리고 휴대단말 A(310)는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할 시, 연결 요청 메시지를 통해 획득한 제1 파셜 보안키와 사운드를 통해 획득한 제2 파셜 보안키를 조합하여(437단계) 완성된 하나의 보안키(제2 보안키)를 생성할 수 있다(439단계). 그리고 휴대단말 A(310)는 연결 요청 메시지의 연결정보와 제2 보안키를 이용하여 제1 휴대단말(100)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441단계).
제1 휴대단말(100)은 휴대단말 A(310))의 무선 랜 연결 요청이 수신될 시, 휴대단말 A(3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443단계). 제1 휴대단말(100)은 제1 휴대단말(100)이 가지는 제1 보안키와 수신된 제2 보안키를 비교하여 그들의 일치 여부로 휴대단말 A(3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휴대단말(100)은 보안키들의 비교를 통해 일치할 시 휴대단말 B(310)와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445단계). 예를 들어, 제1 휴대단말(100)은 휴대단말 A(310)의 무선 랜 링크 형성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수락하는 응답을 휴대단말 A(310)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403단계 내지 409단계에서와 같이 제1 휴대단말(100)이 컨택트 서버(200)로부터 컨택트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403단계 내지 409단계와 같이 컨택트 정보 요청 및 수신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휴대단말(100)은 연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내부에 저장된 컨택트 정보를 기반으로 컨택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이하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발신측 휴대단말로 동작하는 경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발신측 휴대단말(예컨대, 제1 휴대단말(100))은 수신측 휴대단말(예컨대, 제2 휴대단말(300))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개시(initiate)한다. 즉, 발신측 휴대단말은 도 1 내지 도 4에서의 제1 휴대단말(100)의 역할을 수행하고, 수신측 휴대단말은 도 1 내지 도 4에서의 제2 휴대단말(300)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2 휴대단말(300)은 휴대단말 A(310, 휴대단말 B(320), 그리고 휴대단말 C(330)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휴대단말 A(310, 휴대단말 B(320), 그리고 휴대단말 C(330) 중 2개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7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501단계). 제어부(370)는 연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하나의 제1 보안키를 분할하여 제1 파셜 보안키 및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한다(503단계). 상기 제1 보안키, 제1 파셜 보안키 및 제2 파셜 보안키는 미리 저장될 수도 있고, 상기와 같이 연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기존 제1 보안키 또는 새로운 보안키를 이용하여 제1 파셜 보안키 및 제2 파셜 보안키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370)는 연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컨택트 서버(200)로부터 컨택트 정보를 획득한다(505단계). 그리고 제어부(370)는 획득된 컨택트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컨택트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507단계).
제어부(370)는 컨택트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509단계), 연결 요청 메시지를 컨택트 서버(200)에게 전송한다(511단계).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20)를 이용하여 컨택트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정보가 선택될 시 제1 보안키가 분할된 파셜 보안키들 중 제1 파셜 보안키와 무선 랜 연결에 필요한 연결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구성하여 컨택트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연결 요청 메시지 전송 후 파셜 보안키가 실린 사운드 출력을 제어한다(513단계). 제어부(370)는 제1 보안키가 분할된 파셜 보안키들 중 제2 파셜 보안키를 사운드에 실어 설정된 출력 레벨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70)는 연결 요청 메시지 전송 후 미리 약속된 시간만큼 대기한 후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고,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에서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단말(300)로부터 무선 랜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515단계),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제2 휴대단말(300)을 인증한다(517단계). 제어부(370)는 제2 휴대단말(300)이 무선 랜 연결 요청과 함께 전송하는 제2 보안키를 획득하고, 제2 보안키와 제1 보안키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2 휴대단말(3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제2 휴대단말(300)에 대한 인증이 정상 완료될 시, 즉 제2 보안키와 제1 보안키가 일치할 시, 제2 휴대단말(300)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한다(519단계). 즉, 제2 휴대단말(300)은 연결 요청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제1 파셜 보안키와 사운드로부터 획득한 제2 파셜 보안키가 조합된 제2 보안키와, 연결 요청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제1 휴대단말(100)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휴대단말(100)은 제2 휴대단말(3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2 휴대단말(300)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제2 휴대단말(300)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시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52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데이터를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된 제2 휴대단말(300)에게 전송(또는 스트리밍)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휴대단말(100)의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6 내지 도 9에서는 제1 사용자가 도 6과 같이 문서 뷰어(document viewer)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서를 확인하는 중에 무선 랜 연결 버튼(600)을 이용하여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위한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을 예시로 한다. 그리고 도 7과 같은 컨택트 리스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와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될 시 제1 사용자가 도 9와 같이 음악을 제2 사용자에게 전송(또는 스트리밍)하는 것을 예시로 한다. 즉, 상기 도 6 내지 도 9는 제1 사용자가 문서 뷰어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문서를 열람하는 중에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인접된 영역에 있는 다른 사용자와 음악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의 동작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 6 및 도 7의 과정을 통해 도 6의 문서 뷰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열람 중인 문서를 제2 사용자에게 바로 공유하거나, 또는 상기 도 9 및 도 7의 과정을 통해 도 7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으로 청취 중인 음악을 제2 사용자에게 바로 공유할 수도 있다.
상기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 6은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가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했을 때의 제1 휴대단말(100)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연결 어플리케이션이 문서 뷰어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가정한다. 즉, 사용자가 문서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를 이용하여 문서를 확인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문서 뷰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본 발명의 연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즉, 본 발명의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위한 동작을 자동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문서 뷰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일 영역에 별도 무선 랜 연결 버튼(600)이 제공되고, 이에 의해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무선 랜 연결 버튼(600)을 아이콘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그 구현 방법에 따라 아이콘,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휴대단말(100)은 연결 어플리케이션의 운용 방식에 따라, 문서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또는 문서 뷰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무선 랜 연결 버튼(600)에 의한 무선 랜 링크 형성이 요청될 시,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컨택트 서버(300)로부터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컨택트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1 휴대단말(100)은 수신된 컨택트 정보를 이용하여 도 7과 같은 컨택트 리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즉, 상기 도 6에 나타낸 제1 휴대단말(100)의 화면은 컨택트 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도 7과 같이 전환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휴대단말(100)은 <Nearby> 항목 아래로, 사용자와 근접된 영역에 있는 컨택트 정보를 이루어진 컨택트 리스트를 표시한다. 즉, 컨택트 리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100)의 위치와 인접된 영역에 존재하는 제2 휴대단말(300)에 대한 컨택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 리스트는 <Group> 항목 아래로, 사용자 설정에 따른 특정 그룹별 컨택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예컨대, 스크롤)에 따라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는 Linsey Yoon, Nicholas Hoult와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된 컨택트 리스트에서 Linsey Yoon, Nicholas Hoult의 컨택트 항목(710)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선택된 Linsey Yoon, Nicholas Hoult의 휴대단말들, 즉 제2 휴대단말(300)과의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Invite> 버튼(730)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Invite> 버튼(730) 입력에 의해 상기 도 7에 나타낸 제1 휴대단말(100)의 화면은 도 8과 같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도 8은 제1 휴대단말(100)이 제2 휴대단말(200)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동안의 제1 휴대단말(100)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1 휴대단말(100)이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동안 제1 휴대단말(100)의 화면은 도 8의 예시와 같이 제2 휴대단말(300)과 연결중임을 나타내는 상태 창(85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창(850)은 도 8과 같이 별도의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도 7의 화면상에 팝업(pop-up)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와 같은 화면 표시와 함께 스피커(341)를 통해 파셜 보안키가 실린 사운드를 출력하고, 제2 휴대단말(300)로부터의 무선 랜 연결 요청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한편, 무선 랜(500)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이 연결되면, 즉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되면, 제1 휴대단말(100)의 화면은 도 7과 같은 이전에 표시 중이던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도 9에 나타낸 제1 휴대단말(100)의 화면과 같이 사용자 요청에 따른 다른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인접된 영역에서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된 Linsey Yoon, Nicholas Hoult에게 음악을 공유하고자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휴대단말(100)은 제2 휴대단말(300)과 무선 랜(400)을 통해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되면,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무선 랜 링크를 통해 제2 휴대단말(300)로 스트리밍 전송될 수 있다. 즉, 제1 휴대단말(100)은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된 Linsey Yoon, Nicholas Hoult에게 음악을 스트리밍 할 수 있다.
한편,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은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되면 서로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서는 더 이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은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한 후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기능을 차단(deactivate)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수신측 휴대단말로 동작하는 경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370)는 컨택트 서버(2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1001단계), 연결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제1 휴대단말(100)과 무선 랜을 통해 연결할 것인지 확인하는 선택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1003단계).
제어부(370)는 선택 메뉴에서 사용자의 연결 승인 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1005단계).
제어부(370)는 선택 메뉴에서 사용자의 연결 거부 입력이 수신되면(1005단계의 NO),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10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선택 메뉴가 표시되기 전 단계로 복귀하여 이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선택 메뉴가 표시되기 전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었다면 해당 이미지가 다시 표시되고, 게임이 실행되고 있었다면 해당 게임 화면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선택 메뉴에서 사용자의 연결 승인 입력이 수신되면(1005단계의 YES), 마이크(343)를 턴-온 제어한다(1009단계). 제어부(370)는 마이크(343)를 턴-온할 시 수신 대기시간 카운트를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대기시간은 제1 휴대단말(10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입력을 대기하는 시간을 나타내며, 대기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사운드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1011단계). 제어부(370)는 마이크(343)를 통해 제1 휴대단말(100)이 출력하는 사운드가 입력되는지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70)는 입력된 사운드가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사운드가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지 않으면 1013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370)는 사운드가 수신되지 않을 시(1011단계의 NO) 수신 대기시간 만료 여부를 확인한다(1013단계). 제어부(370)는 수신 대기시간 만료가 아니면(1013단계의 NO) 1011단계로 진행하여 이하의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 제어부(370)는 수신 대기시간 만료이면(1013단계의 YES) 마이크(343) 턴-오프를 제어한다(1015단계). 그리고 제어부(370)는 마이크 턴-오프 후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102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이전 단계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사운드가 수신될 시(1011단계의 YES) 파셜 보안키를 획득한다(1017단계). 제어부(370)는 제1 휴대단말(100)이 출력하는 사운드가 마이크(343)를 통해 입력되면, 연결 요청 메시지로부터 제1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고, 사운드로부터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0에서는 사운드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제1 파셜 보안키와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제1 파셜 보안키 획득은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시점, 선택 메뉴에 따른 연결 승인 입력이 수신되는 시점, 및 마이크(343)가 턴-온 되는 시점 중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다.
제어부(370)는 제1 파셜 보안키와 제2 파셜 보안키를 조합하여 하나의 제2 보안키를 생성한다(1019단계). 그리고 제어부(370)는 연결 요청 메시지의 연결정보와 제2 보안키를 이용하여 제1 휴대단말(100)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한다(1021단계). 즉, 제어부(370)는 연결정보를 참조하여 제1 휴대단말(100)에 무선 랜 연결 요청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 랜 연결 요청을 위한 보안키로 상기 제2 보안키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 시 획득되는 제1 휴대단말(100)의 연결정보로부터 사운드를 전송한 제1 휴대단말(100)을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제1 휴대단말(100)의 무선 랜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제1 휴대단말(100)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한다(1023단계). 이때,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어부(370)는 무선 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휴대단말(100)에게 무선 랜을 통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70)는 무선 랜 기능이 꺼져 있는 경우 제2 휴대단말(300)의 무선 랜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제1 휴대단말(100)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할 시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102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무선 랜 링크를 통해 제1 휴대단말(100)이 전송(또는 스트리밍)하는 데이터가 수신될 시, 수신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70)는 연결 요청 메시지의 연결정보에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을 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가 지정하는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70)는 실행된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1 휴대단말(100)과 함께 다양한 서비스(예컨대, 게임, 음악 스트리밍 등)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휴대단말(300)의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1은 컨택트 서버(200)가 셀룰러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2 휴대단말(300)에게 푸시한 경우, 제2 휴대단말(300)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11에서는 제2 휴대단말(300)에서 배경 화면이 표시되고 있을 때,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예컨대, DJ Kevin)가 제2 휴대단말(300)의 사용자와 무선 랜(400)을 통해 연결하려고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 서버(200)가 제1 휴대단말(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2 휴대단말(300)에게 푸시하면, 제2 휴대단말(300)은 선택 메뉴(1100)를 화면에 팝업을 통해 표시한다. 즉, 제1 휴대단말(100)의 초대를 수락할 것인지 확인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은 서로의 사용자 정보(예컨대, 연락처, 사용자 이름 등)를 등록한 관계에 있으므로, 제2 휴대단말(300)은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초대가 요청되면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고, 제2 휴대단말(300)의 사용자는 출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초대를 요청한 사용자가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예컨대, DJ Kevin)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휴대단말(100)은 제2 휴대단말(300)로 초대 요청 시 전송(또는 스트리밍)되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예컨대, 제1 휴대단말(100)이 전송(또는 스트리밍)하려는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휴대단말(300)은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초대가 요청되면, 제1 휴대단말(100)의 사용자 정보(예컨대, DJ Kevin), 컨텐츠 정보, 연결 승인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Join> 및 <Ignore>" 버튼 등을 포함하는 선택 메뉴(1100)를 팝업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택 메뉴(1100)을 통해 제공되는 항목의 개수와 종류는 구현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2 휴대단말(300)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 메뉴(1100) 상의 <Ignore> 버튼을 선택(예컨대, 터치)하는 경우, 제2 휴대단말(300)의 화면은 이전 화면, 즉 배경 화면으로 복귀될 수 있다. 제2 휴대단말(300)은 <Ignore> 버튼이 선택될 시 제1 휴대단말(100)에게 연결을 거부하는 거부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2 휴대단말(300)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 메뉴(1100) 상의 <Join> 버튼을 선택(예컨대, 터치)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된다.
상기 도 12는 제2 휴대단말(300)이 제1 휴대단말(100)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동안의 제2 휴대단말(300)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휴대단말(300)이 제1 휴대단말(100)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동안, 제2 휴대단말(300)의 화면에는 무선 랜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과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상태 창(120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창(1200)은 도 12와 같이 별도의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도 11의 화면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도 12 도시된 상태 창(1200)은 도 11의 선택 메뉴(1100) 대신에 배경 화면에 팝업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휴대단말(300)은 상기와 같은 화면 표시와 함께 제2 보안키를 생성하고, 제2 보안키와 연결정보를 기반으로 제1 휴대단말(100)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무선 랜(500)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이 연결되면, 즉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되면, 제2 휴대단말(300)의 화면은 도 11과 같은 이전에 표시 중이던 배경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도 13에 나타낸 제2 휴대단말(300)의 화면과 같이 제1 휴대단말(100) 요청에 따른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3은 제2 휴대단말(300)은 무선 랜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과 연결된 후, 연결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참조하여 해당 연결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휴대단말(300)은 제1 휴대단말(100)이 전송(또는 스트리밍) 하는 음악 파일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휴대단말(300)은 사용자가 선택 메뉴(1100)에서 <Join> 버튼을 선택하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휴대단말(300)은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로부터 전송(또는 스트리밍) 되는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상기 도 13과 같은 음악 재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은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되면 서로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서는 더 이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300)은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한 후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300, 310, 320, 330: 휴대단말
200: 컨택트 서버 400: 셀룰러 네트워크
500: 무선 랜
310: 무선 통신부 320: 사용자 입력부
330: 표시부 340: 오디오 처리부
341: 스피커 343: 마이크
350: 저장부 360: 인터페이스부
370: 제어부 380: 전원 공급부

Claims (20)

  1.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이 제1 보안키의 일부인 제1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휴대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보안키의 다른 일부인 제2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사운드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단말로부터 무선 랜을 통해 제2 보안키를 포함하는 무선 랜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보안키와 상기 제2 보안키의 비교를 통해 일치할 시 상기 제2 휴대단말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인접된 영역의 컨택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컨택트 정보를 기반으로 컨택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컨택트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휴대단말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컨택트 서버로부터 상기 컨택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휴대단말의 저장부로부터 상기 컨택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상기 컨택트 서버에게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서버에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휴대단말에게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안키를 파셜 보안키들로 분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가 실린 사운드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과정; 및
    결정된 출력 레벨에 따라 상기 사운드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랜 링크 형성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9.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제2 휴대단말이 컨택트 서버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 수신을 위한 마이크를 턴-온(turn-on) 하는 과정;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1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를 입력 받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의한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사운드에 의한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를 조합하여 보안키를 획득하는 과정; 및
    획득된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턴-온 하는 과정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 시 무선 랜 연결의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연결 승인이 입력될 시 상기 마이크를 턴-온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로부터 무선 랜 연결을 위한 연결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랜 연결 요청은
    상기 연결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기 제1 휴대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파셜 보안키 및 제2 보안키가 조합된 상기 보안키를 상기 제1 휴대단말에게 전송하여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 및 무선 랜 중 하나를 이용하여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14.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1 휴대단말이 제2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제1 보안키의 일부인 제1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제2 휴대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보안키의 다른 일부인 제2 파셜 보안키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사운드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단말로부터 무선 랜을 통해 제2 보안키를 포함하는 무선 랜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보안키와 상기 제2 보안키의 비교를 통해 일치할 시 상기 제2 휴대단말과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가 실린 사운드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레벨에 따라 상기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컨택트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인접된 영역의 컨택트 정보를 기반으로 컨택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컨택트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휴대단말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시 상기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를 셀룰러 네트워크 및 사운드를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에게 각각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7.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1 휴대단말이 제2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2 휴대단말이 컨택트 서버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수신하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 수신을 위한 마이크를 턴-온(turn-on) 하는 과정;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1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를 입력 받는 과정;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의한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사운드에 의한 제2 파셜 보안키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제1 파셜 보안키와 상기 제2 파셜 보안키를 조합하여 보안키를 획득하는 과정; 및
    획득된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에게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휴대단말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시 무선 랜 연결의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연결 승인이 입력될 시 상기 마이크를 턴-온 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출력하는 사운드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보안키의 일부인 상기 제1 파셜 보안키와 무선 랜 연결에 필요한 연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휴대단말은
    상기 연결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기 제1 휴대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파셜 보안키 및 제2 파셜 보안키가 조합된 상기 보안키를 상기 제1 휴대단말에게 전송하여 무선 랜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0. 제1 보안키가 분할된 파셜 보안키들을 셀룰러 네트워크와 사운드를 통해 각각 전송하고,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와 상기 사운드를 통해 각각 수신된 파셜 보안키들을 조합하여 제2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보안키와 상기 제2 보안키를 이용한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20038408A 2012-04-13 2012-04-13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942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408A KR101942797B1 (ko) 2012-04-13 2012-04-13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
US13/854,346 US9137665B2 (en) 2012-04-13 2013-04-01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ink between portable terminals
PCT/KR2013/003148 WO2013154406A1 (en) 2012-04-13 2013-04-15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ink between portable terminals
EP13775113.7A EP2837220B1 (en) 2012-04-13 2013-04-15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ink between portable terminals
US14/840,966 US9386453B2 (en) 2012-04-13 2015-08-31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ink between portable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408A KR101942797B1 (ko) 2012-04-13 2012-04-13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80A true KR20130115780A (ko) 2013-10-22
KR101942797B1 KR101942797B1 (ko) 2019-01-29

Family

ID=4932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408A KR101942797B1 (ko) 2012-04-13 2012-04-13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137665B2 (ko)
EP (1) EP2837220B1 (ko)
KR (1) KR101942797B1 (ko)
WO (1) WO20131544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6688A (zh) * 2017-03-07 2017-08-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的连接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318B1 (ko) * 2010-11-22 2017-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WO2015056995A2 (ko) * 2013-10-20 2015-04-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들 간 무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40677B1 (en) * 2014-05-21 2020-01-21 Google Llc Selecting content for co-located devices
GB2532452B (en) * 2014-11-19 2016-11-02 F Secure Corp Preventing browser-originating attacks
CN104902477A (zh) * 2015-06-26 2015-09-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鉴权终端、无线路由器、无线路由器的连接方法及系统
CN105828454B (zh) * 2015-07-28 2019-07-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连接网络的方法、装置和一种wifi路由设备
KR102399665B1 (ko) 2015-09-11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근접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CN105208557B (zh) * 2015-10-08 2019-03-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安全建立wifi连接的方法及无线路由器
BR112018012417A2 (pt) * 2015-12-21 2018-12-18 Koninklijke Philips N.V. dispositivo de registrando, método de registrando, método de configurador, dispositivo de configurador,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CN112716760A (zh) * 2020-12-22 2021-04-30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按摩仪的连接方法及按摩仪、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475A (ko) * 2007-02-05 2009-11-24 비둡 엘엘씨 스폰서드 대역외 패스워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04115A (ko) * 2009-03-16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 ⅰp 통신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062A (ja) * 2002-04-23 2003-11-07 Nec Corp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CN1599338A (zh) 2003-09-19 2005-03-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增强无线局域网安全的方法
US8700729B2 (en) * 2005-01-21 2014-04-15 Robin Du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redentials through a wireless network
CA2648523C (en) * 2005-04-21 2018-09-04 Securedpay Solutions, Inc. Portable handheld device for wireless order entry and real time payment authoriz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1102663B1 (ko) * 2009-02-13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와 디지털 기기간 자동 무선 연결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171292B2 (en) * 2009-04-08 2012-05-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ely transmitting a security parameter to a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475A (ko) * 2007-02-05 2009-11-24 비둡 엘엘씨 스폰서드 대역외 패스워드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04115A (ko) * 2009-03-16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 ⅰp 통신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6688A (zh) * 2017-03-07 2017-08-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的连接方法和装置
CN107046688B (zh) * 2017-03-07 2019-01-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的连接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7220A1 (en) 2015-02-18
WO2013154406A1 (en) 2013-10-17
KR101942797B1 (ko) 2019-01-29
EP2837220A4 (en) 2015-12-02
US20130276063A1 (en) 2013-10-17
US9137665B2 (en) 2015-09-15
US20150373548A1 (en) 2015-12-24
EP2837220B1 (en) 2018-10-03
US9386453B2 (en)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797B1 (ko) 휴대단말들 간의 무선 랜 링크 형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883703B1 (ko) 친구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08438B1 (ko)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14117B1 (ko) 휴대 단말들 간에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9655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2-peer wi-fi rang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10608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uetooth-based identity recognition
KR20110125695A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601648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nt messaging
KR20110125756A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515077B2 (en) Automatic application management in a short-range wireless system
US10567534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data
US201300721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bluetooth device in portable terminal
US201201589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ccess point in mobile terminal
US20150133052A1 (en) Device selection
KR100679563B1 (ko) 컨텐츠 파일을 공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127569B1 (ko) 휴대 단말기의 위치 기반 말풍선 서비스 이용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60099662A (ko) 데이터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8560808B2 (en) Dynamically updating current communication information
US201601130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arget in device-to-device direct communication
US20120084564A1 (en) Security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point
WO20151654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udio data
CN116708646B (zh) 设备协同控制方法、电子设备及设备协同控制系统
KR102238897B1 (ko)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9080105A1 (zh) 网络接入方法及装置
EP4336801A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