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745A - 단말기의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745A
KR20130115745A KR1020120038342A KR20120038342A KR20130115745A KR 20130115745 A KR20130115745 A KR 20130115745A KR 1020120038342 A KR1020120038342 A KR 1020120038342A KR 20120038342 A KR20120038342 A KR 20120038342A KR 20130115745 A KR20130115745 A KR 20130115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input
character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진
신희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745A/ko
Publication of KR2013011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자세와 상관없이 항상 정 방향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입력부 및 표시부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문자인식방향과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문자인식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설정된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인식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ACTER IN A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자세(posture)와 상관없이 항상 정 방향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단순히 통화만을 수행하였으나, 최근에는 휴대폰과, PDA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발달에 따라 통화 이외에도 문자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또한, 최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기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자판을 사용자에게 시인시켜 문자를 입력하고 있다. 또한 단순 자판을 이용한 문자 입력뿐만 아니라, 손 또는 펜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기가 입력부와 표시부로 구분되어 있을 경우, 휴대단말기의 자세변화에 따라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문자가 표시부에 정 방향으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발행된다.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 사용자에 의해 휴대단말기에서 입력부가 우측에 위치되고, 표시부가 좌측에 위치되는 기본설정 위치의 경우, 우측에 위치된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는 좌측에 위치된 표시부에 정 방향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왼손잡이 사용자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변경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입력부가 좌측에 위치되고, 표시부가 우측에 위치되는 경우, 입력부 및 표시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좌측에 위치된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가 우측에 위치된 표시부에 정 방향으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자세와 상관없이 항상 정 방향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가, 입력부 및 표시부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문자인식방향과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문자인식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설정된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인식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문자인식방향과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문자인식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인식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단말기의 자세와 상관없이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부에서 정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문자를 정 방향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 도 3d는 도 2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단말기의 자세는 0도, 180도, 90도, 270도의 4방향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4방향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자세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문자를 정 방향으로 인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휴대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부에 정 방향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170)에서 문자입력 후 표시제스처가 발생될 때, 자세감지부(180)에서 수신되는 자세신호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고, 휴대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문자인식방향과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설정된 문자인식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설정된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70)에서 인식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부(170)에 문자가 입력되면, 또는 문자입력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입력부(170)에 어떠한 입력동작이 발생되지 않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에 따른 문자인식방향과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좌측에 표시부(160)가 위치되고, 우측에 입력부(170)가 위치될 때 휴대단말기의 0도 자세로 설정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0도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170)에서 왼쪽 상측지점을 제1 입력지점, 오른쪽 상측지점을 제2 입력지점, 왼쪽 하측지점을 제3 입력지점 및 오른쪽 하측지점을 제4 입력지점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0도 자세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제1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2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1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3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1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180도 일 때, 상기 제4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3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4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2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2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9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제3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1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3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4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3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27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제2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4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2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1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4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좌측에 표시부(160)가 위치되고, 우측에 입력부(170)가 위치될 때 휴대단말기의 0도 자세로 설정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0도 자세에서 상기 표시부(160)에서 왼쪽 상측지점을 제1 출력지점, 오른쪽 상측지점을 제2 출력지점, 왼쪽 하측지점을 제3 출력지점 및 오른족 하측지점을 제4 출력지점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0도 자세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제1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2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1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3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1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18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제4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3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4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2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2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9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제3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1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3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4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3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27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제2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4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2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1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4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를 제1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부(170)에서 인식된 문자를 제1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자세감지부(180)로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18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를 제2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부(170)에서 인식된 문자를 제2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자세감지부(180)로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9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를 제3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부(170)에서 인식된 문자를 제3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자세감지부(180)로부터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270도로 판단될 때,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를 제4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부(170)에서 인식된 문자를 제4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력부(170)에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 표시 제스처가 발생될 때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들의 입력순서들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문자들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제스처는 상기 입력부(170)에서 상기 표시부(160)로 발생되는 드래그 또는 상기 입력부(170)에서 발생되는 멀티터치 또는 더블터치들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입력(170)에 표시되는 특정아이콘의 터치동작을 통해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표시제스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력부(170)에서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력부(170)에서 문자입력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입력부(170)에 어떠한 입력동작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들의 입력순서들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문자들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력부(170)와 나란히 배치될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0도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17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180도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170)의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90도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17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270도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17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입력부(170)는 사용자의 손 또는 펜들을 통해 자유롭게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것으로써, 감압식(resistive) 혹은 정전식(capacitive)방식으로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패널 및 전자기 방사식(Electromagnetic Radiation) 패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70)는 사용자의 필기체 입력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패널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패널에서 인식되는 손 가락 터치 좌표 또는 펜 터치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체 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와 나란히 배치될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0도 자세에서 상기 표시부(160)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180도 자세에서 상기 표시부(160)의 좌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17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90도 자세에서 상기 표시부(16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270도 자세에서 상기 표시부(16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자세감지부(180)는 휴대단말기의 자세변경에 따라 변경된 휴대단말기의 자세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회전, 자세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선서를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문자를 정 방향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도 2 - 도 3을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입력부에서 문자를 입력한 후 표시제스처 발생을 통해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입력부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즉시 실시간으로 표시부에 상기 입력부의 문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부에서 문자를 입력한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입력부에 어떠한 입력동작이 발생되지 않을 때 표시부에 상기 입력부의 문자를 표시하는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문자를 정 방향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a는 휴대단말기가 0도 자세일 때 문자를 정 방향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며, 도 3b는 휴대단말기가 180도 자세일 때 문자를 정 방향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며, 도 3c는 휴대단말기가 90도 자세일 때 문자를 정 방향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며, 도 3d는 휴대단말기가 270도 자세일 때 문자를 정 방향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단말기에서 좌측에 표시부가 위치되고, 우측에 입력부가 위치될 때 휴대단말기의 기본설정자세 즉, 0도 자세로 설정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0도 자세에서 입력부에서 왼쪽 상측지점을 제1 입력지점, 오른쪽 상측지점을 제2 입력지점, 왼쪽 하측지점을 제3 입력지점 및 오른쪽 하측지점을 제4 입력지점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부에서 왼쪽 상측지점을 제1 출력지점, 오른쪽 상측지점을 제2 출력지점, 왼쪽 하측지점을 제3 출력지점 및 오른쪽 하측지점을 제4 출력지점으로 설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a -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입력부(170)에 사용자의 손 또는 전자 펜등을 통해 자유롭게 문자를 입력하는 201단계에서, 표시 제스처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70)에서 상기 표시부(170)로의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가 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0도 일 때 제1 문자인식방향 및 제1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1 문자인식방향은 제1 입력지점에서 제2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제1 입력지점에서 제3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문자출력방향은 제1 출력지점에서 제2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제1 출력지점에서 제3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들을 상기 제1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부(170)에서 제1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된 문자를 상기 제1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3a를 통해, 상기 204단계 - 상기 206단계를 설명하면, 좌측에 표시부(160)가 배치되고 우측에 입력부(170)가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0도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170)에 “Samsung"이 손 또는 펜등을 통해 수기로 입력된 후 상기 입력부(170)에 상기 표시부(160)로 드래그 동작과 같은 표시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1 문자인식방향 즉, 제1 입력지점(b1)에서 제2 입력지점(b2)으로의 가로방향 및 제1 입력지점(b1)에서 제3 입력지점(b3)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의 입력순서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70)에서의 문자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제1문자출력방향 즉, 제1 출력지점(a1)에서 제2 출력지점(a2)으로의 가로방향 및 제1 출력지점(a1)에서 제3 출력지점(a3)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70)에서 인식된 문자들을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문자의 출력 시작위치는 상측의 맨 첫 라인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치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입력부(160)에서 표시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위치신호를 통해, 상기 204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가 0도가 아님이 판단되면, 207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가 180도 인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가 18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180도 일 때 제2 문자인식방향 및 제2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2 문자인식방향은 제4 입력지점에서 제3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제4 입력지점에서 제2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문자출력방향은 제4 출력지점에서 제3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제4 출력지점에서 제2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208단계에서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들을 상기 제2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부(170)에서 제2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된 문자를 상기 제2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2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3b를 통해, 상기 207단계 - 상기 209단계를 설명하면, 좌측에 입력부(170)가 배치되고 우측에 표시부(160)가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180도 회전된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170)에“Samsung"이 손 또는 펜등을 통해 수기로 입력된 후 상기 입력부(170)에 상기 표시부(160)로 드래그 동작과 같은 표시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2 문자인식방향 즉, 제4 입력지점(b4)에서 제3 입력지점(b3)으로의 가로방향 및 제4 입력지점(b4)에서 제2 입력지점(b2)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의 입력순서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70)에서의 문자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제2문자출력방향 즉, 제4 출력지점(a4)에서 제3 출력지점(a3)으로의 가로방향 및 제4 출력지점(a4)에서 제2 출력지점(a2)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70)에서 인식된 문자들을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문자의 출력 시작위치는 상측의 맨 첫 라인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치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입력부(160)에서 표시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가 180도가 아님이 판단되면, 210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가 90도인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가 9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90도 일 때 제3 문자인식방향 및 제3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3 문자인식방향은 제3 입력지점에서 제1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제3 입력지점에서 제4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문자출력방향은 제3 출력지점에서 제1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제3 출력지점에서 제4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211단계에서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들을 상기 제3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부(170)에서 제3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된 문자를 상기 제3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21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3c를 통해, 상기 210단계 - 상기 212단계를 설명하면, 상측에 표시부(160)가 배치되고 하측에 입력부(170)가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900도 회전된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170)에 “Samsung"이 손 또는 펜등을 통해 수기로 입력된 후 상기 입력부(170)에 상기 표시부(160)로 드래그 동작과 같은 표시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3 문자인식방향 즉, 제3 입력지점(b3)에서 제1 입력지점(b1)으로의 가로방향 및 제3 입력지점(b3)에서 제4 입력지점(b4)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의 입력순서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70)에서의 문자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제3문자출력방향 즉, 제3 출력지점(a3)에서 제1 출력지점(a1)으로의 가로방향 및 제3 출력지점(a3)에서 제4 출력지점(a4)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70)에서 인식된 문자들을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문자의 출력 시작위치는 상측의 맨 첫 라인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치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입력부(160)에서 표시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감지부(180)로 부터 수신되는 자세신호를 통해 상기 210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가 상기 90도가 아님이 판단되면, 213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가 270도 인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가 27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자세가 270도 일 때 제4 문자인식방향 및 제4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4 문자인식방향은 제2 입력지점에서 제4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제2 입력지점에서 제1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4 문자출력방향은 제2 출력지점에서 제4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제2 출력지점에서 제1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214단계에서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들을 상기 제4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부(170)에서 제4 문자인식방향으로 인식된 문자를 상기 제4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3c를 통해, 상기 213단계 - 상기 215단계를 설명하면, 상측에 입력부(170)가 배치되고 하측에 표시부(160)가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270도 회전된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170)에 “Samsung"이 손 또는 펜등을 통해 수기로 입력된 후 상기 입력부(170)에 상기 표시부(160)로 드래그 동작과 같은 표시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4 문자인식방향 즉, 제2 입력지점(b2)에서 제4 입력지점(b4)으로의 가로방향 및 제2 입력지점(b2)에서 제1 입력지점(b1)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70)에 입력된 문자의 입력순서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70)에서의 문자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제4 문자출력방향 즉, 제2 출력지점(a2)에서 제4 출력지점(a4)으로의 가로방향 및 제2 출력지점(a1)에서 제1 출력지점(a1)의 세로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70)에서 인식된 문자들을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문자의 출력 시작위치는 상측의 맨 첫 라인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치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입력부(160)에서 표시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별도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휴대단말기의 자세와 상관없이, 입력부에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부에 항상 정 방향으로 표시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터치패널만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도, 하나의 터치패널을 입력영역과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를 판단하며, 휴대단말기의 현재자세에 따른 문자인식방향 및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며, 입력영역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제스처 또는 표시제스처 없이 실시간으로 표시영역에 정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고 정 방향으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메모리와 같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자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고 정 방향으로 표시부에 출력하는 방법은 휴대단말기, 핸드-헬드 단말기, 무선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등 뿐만 아니라 자세에 따라 문자를 정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장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장치가 장치의 자세에 따라 설정된 문자인식방향으로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를 설정된 문자출력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장치의 자세에 따라 설정된 문자인식방향 및 문자출력방향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장치의 요청또는 자동으로 해당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60:표시부, 170: 입력부, 180:자세감지부

Claims (19)

  1.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에 있어서,
    입력부 및 표시부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문자인식방향과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문자인식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설정된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인식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좌측에 표시부가 위치되고, 우측에 입력부가 위치될 때 단말기의 0도 자세로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의 0도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에서 왼쪽 상측지점을 제1 입력지점, 오른쪽 상측지점을 제2 입력지점, 왼쪽 하측지점을 제3 입력지점 및 오른쪽 하측지점을 제4 입력지점으로 설정하며,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0도 일 때, 상기 제1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2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1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3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1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180도 일 때, 상기 제4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3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4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2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2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90도 일 때, 상기 제3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1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3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4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3 문자인식방향을 설정 하고,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270도 일 때, 상기 제2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4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2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1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4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좌측에 표시부가 위치되고, 우측에 입력부가 위치될 때 단말기의 0도 자세로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의 0도 자세에서 상기 표시부에서 대한 왼쪽 상측지점을 제1 출력지점, 오른쪽 상측지점을 제2 출력지점, 왼쪽 하측지점을 제3 출력지점 및 오른쪽 하측지점을 제4 출력지점으로 설정하며,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0도 일 때, 상기 제1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2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1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3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1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180도 일 때, 상기 제4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3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4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2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2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90도 일 때, 상기 제3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1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3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4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3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270도 일 때, 상기 제2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4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2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1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4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 제스처의 발생을 통해 상기 입력부에서 인식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표시 제스처는, 드래그동작 또는 더블터치동작 또는 멀티터치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입력부의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장치.
  9.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문자인식방향과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문자인식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인식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에서 좌측에 표시부가 위치되고, 우측에 입력부가 위치될 때 단말기의 0도 자세로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의 0도 자세에서 상기 입력부에서 왼쪽 상측지점을 제1 입력지점, 오른쪽 상측지점을 제2 입력지점, 왼쪽 하측지점을 제3 입력지점 및 오른쪽 하측지점을 제4 입력지점으로 설정할 때,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2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1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3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1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18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4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3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4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2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2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9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3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1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3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4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3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27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4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인식방향 및 상기 제2 입력지점에서 상기 제1 입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인식방향으로 포함하는 제4 문자인식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에서 좌측에 표시부가 위치되고, 우측에 입력부가 위치될 때 단말기의 0도 자세로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의 0도 자세에서 상기 표시부에서 왼쪽 상측지점을 제1 출력지점, 오른쪽 상측지점을 제2 출력지점, 왼쪽 하측지점을 제3 출력지점 및 오른쪽 하측지점을 제4 출력지점으로 설정할 때,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2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1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3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1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18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4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3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4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2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2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9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3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1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3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4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3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270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4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가로출력방향 및 상기 제2 출력지점에서 상기 제1 출력지점으로의 방향을 세로출력방향으로 포함하는 제4 문자출력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0도로 판단될 때, 설정된 제1 문자인식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180도로 판단될 때, 설정된 제2 문자인식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90도로 판단될 때, 설정된 제3 문자인식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270도로 판단될 때, 설정된 제4 문자인식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0도로 판단될 때, 설정된 제1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180도로 판단될 때, 설정된 제2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90도로 판단될 때, 설정된 제3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자세가 270도로 판단될 때, 설정된 제4 문자출력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18. 제9 항에 있어서,
    표시제스처 발생을 통해 상기 입력부에서 인식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표시 제스처는, 드래그동작 또는 더블터치동작 또는 멀티터치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19.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서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입력부의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문자 표시방법.
KR1020120038342A 2012-04-13 2012-04-13 단말기의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30115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42A KR20130115745A (ko) 2012-04-13 2012-04-13 단말기의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42A KR20130115745A (ko) 2012-04-13 2012-04-13 단말기의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45A true KR20130115745A (ko) 2013-10-22

Family

ID=4963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342A KR20130115745A (ko) 2012-04-13 2012-04-13 단말기의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57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115B2 (en) Collaborative data editing and processing system
US9128562B2 (en) Terminal apparatus,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witching between pointer mode and touch-panel mode based on handheld activation
CN107908382B (zh) 一种分屏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98604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036633B1 (ko) 단말기의 메신저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01818B1 (ko) 단말기의 데이터전송 제어장치 및 방법
EP27704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of terminal
KR20130086422A (ko) 휴대단말기의 터치감도 조절장치 및 방법
US952453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a displayed image
US9641743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imer operations of a camera
US111444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20130082352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서 화면을 확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29306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设备
KR101127286B1 (ko) 터치스크린 기능 및 지문인식 기능이 내장된 리모콘
CN109445656B (zh) 一种屏幕操控方法和终端设备
KR102166266B1 (ko) 단말기의 문자변환 장치 및 방법
KR20130115745A (ko) 단말기의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30011203A (ko) 휴대단말기의 팝업창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20085514A (ko) 손 회전인식 장치 및 방법
JP5510008B2 (ja) 携帯端末装置
CN10582448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操作设备
KR20140135385A (ko) 제스처 판단 장치 및 방법
US20140037211A1 (en) Key input method in portable terminal
KR101424562B1 (ko) 공간 인식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80000486U (ko) 스마트폰의 핫스팟기능을 이용한 더미텝(Dummy Tab)에 무선 연동 및 미러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