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735A - 위성 통신을 위한 위성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결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성 통신을 위한 위성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결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735A
KR20130115735A KR1020120038321A KR20120038321A KR20130115735A KR 20130115735 A KR20130115735 A KR 20130115735A KR 1020120038321 A KR1020120038321 A KR 1020120038321A KR 20120038321 A KR20120038321 A KR 20120038321A KR 20130115735 A KR20130115735 A KR 20130115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885B1 (ko
Inventor
박종인
Original Assignee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885B1/ko
Priority to PCT/KR2013/002854 priority patent/WO2013154301A1/ko
Priority to US14/394,393 priority patent/US9451067B2/en
Priority to EP13775671.4A priority patent/EP2838313B1/en
Priority to CN201380029388.1A priority patent/CN104365174A/zh
Publication of KR2013011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32Arrangements for managing transmission, i.e. for transporting data or a signalling message
    • H04B7/18534Arrangements for managing transmission, i.e. for transporting data or a signalling message for enhancing link reliablility, e.g. satellites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63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multipl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위성 단말기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위성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위성 통신을 수행하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식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고유의 접속 인증 정보를 출력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위성 통신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위성 통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단말기; 및 임의의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고, 위성 통신 접속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접속 프로그램이 동작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식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위성 단말기가 출력하는 접속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위성 통신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위성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성 통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위성 단말기 사이에 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위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SATELLITE COMMUNIC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위성 단말기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위성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CDMA, GSM 등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상 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는 각각의 다른 통신 방식에서 상호 호환되기 어렵고, 지상 통신망을 연결해주는 기지국의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위성을 통신수단으로 이용하는 위성 단말기는 바다, 하늘, 산, 계곡 등 위치에 상관없이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위성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위성 통신 단말기(10)는 위성 안테나(11)와,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12, Satellite Communication Module : SCM)과, 위성 통신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와, 사용자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14)와,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5)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16)와,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7)와, 위성 통신 단말기(10)의 프로그램 정보, 사용자의 설정 정보, 전화번호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위성 통신 단말기(10)에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설치한 단말기도 제안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기술 발전으로 지상 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는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고, 통화가 주요한 기능인 모바일 단말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모바일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이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일반적인 통화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통합시킨 것으로서,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모바일 단말기들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는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위성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위성 단말기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위성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으로서, 위성 통신을 수행하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식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고유의 접속 인증 정보를 출력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위성 통신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위성 통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단말기; 및 임의의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고, 위성 통신 접속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접속 프로그램이 동작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식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위성 단말기가 출력하는 접속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위성 통신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위성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성 통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성 단말기는 위성과 고주파 위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성 통신 모듈;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위성 통신 모듈로 제공하는 마이크; 상기 위성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 미리 설정된 통신 포맷에 따른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위성 통신 제어 신호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인식 정보가 수신되면 접속 인증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위성 통신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위성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성 단말기는 상기 위성 단말기 제어부가 위성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접속하도록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비상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검출하는 입력부; 상기 접속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위성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정보가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위성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수신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미리 설정된 통신 포맷의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 후 상기 위성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Wi-Fi)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방법으로서, a) 전원이 공급되어 위성 단말기가 구동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위성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접속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위성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접속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입/출력수단이 위성 단말기의 입/출력수단으로 동작되도록 상기 위성 단말기가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단계는 상기 위성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인식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위성 단말기의 접속 인증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 인증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위성 단말기의 접속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 단말기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위성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단계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위성 단말기의 키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위성 단말기 사이에 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위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본연의 기능과 함께 지상 통신망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위성 통신을 이용한 비상 통신 접속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위성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의 위성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2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도 2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의 위성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은 위성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성 단말기(100)는 위성 통신을 수행하고,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식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고유의 접속 인증 정보를 출력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위성 통신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위성 통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위성 통신 모듈(110)과, 마이크(120)와, 스피커(130)와, 메모리(140)와 비상키 입력부(150)와, 근거리 통신부(160)와,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성 단말기(100)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위성 단말기(10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크래들(101)이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101)의 일측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일측에 형성된 홈부(250)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180)가 설치된다.
상기 위성 통신 모듈(110)은 위성 안테나를 통해 위성과 고주파 위성 신호를 송수신하여 인터페이스한 변환신호를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120)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검출하여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위성 통신 모듈(110)로 제공된다.
상기 스피커(130)는 위성 통신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에 음향 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140)는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의 위성 단말기(100)가 동작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하는 설정 정보 및 전화번호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비상키 입력부(150)는 크래들(101)의 일측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로서, 사용자로부터 눌림 신호가 검출되면,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로 긴급 통화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가 위성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긴급통화용 전화번호로 접속되도록 요청한다.
상기 긴급 통화용 전화번호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160)는 무선 데이터 통신 수단으로서, 미리 설정된 통신 포맷(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에 따라 위성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에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 후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부(16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변환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와 데이터 정보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 및 데이터 정보들을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부(160)는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블루투스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가정/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지그비(Zigbee) 통신이나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는 위성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위성 통신시에 송수신되는 음향 신호는 마이크(120)와 스피커(130)를 통해 입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는 위성 통신을 위한 제어 신호와 함께 근거리 통신부(16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모바일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가 수신되면 접속 인증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인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위성 통신의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화번호 정보, 데이터 정보 및 통화 요청 신호 등이 수신되면,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는 위성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통화요청 정보, 데이터 정보 등이 모바일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부(160)로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임의의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통화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폰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위성 통신 접속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접속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260)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260)이 실행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식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위성 단말기(100)가 출력하는 접속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위성 통신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위성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위성 통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입력부(210)와,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220)와, 디스플레이부(230)와, 근거리 통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단말기(200)의 구동을 위한 입력 정보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220)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위성 통신을 위하여 애플리케이션(260)이 실행되면 위성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부(240)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210)로부터 검출되는 전화번호 정보, 데이터 정보, 통화요청 정보 등의 입력 정보가 상기 위성 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220)는 근거리 통신부(240)를 통해 위성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들이 모바일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는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220)가 출력하는 수신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LCD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이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240)는 무선 데이터 통신 수단으로서, 미리 설정된 통신 포맷(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0)와 위성 단말기(100) 사이에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 후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부(240)는 위성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220)로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가 상기 위성 단말기(100)로 송신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가정/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지그비(Zigbee) 통신이나,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인 와이파이(Wi-Fi) 통신이나,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변경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는 당업자에게 있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위성 통신 접속 방법)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방법은 위성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전원을 공급한 후 위성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260)을 실행하는 단계(S200)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인증 및 통신을 유지하는 단계(S300, S400)와, 위성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통한 입출력을 수행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S100단계는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모바일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S200단계는 위성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원이 공급된 후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260)의 실행 입력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S300단계는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사용자에 의한 애플리케이션(260) 실행이 입력되면, 접속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여 근거리 통신부(240)로 모바일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며, 위성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접속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 단말기(100)가 인식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인식된 위성 단말기(100)로 무선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S300단계는 위성 단말기(10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출력된 인식 정보를 검출하면, 무선 통신을 위한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위성 단말기(100)의 접속 인증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위성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에 접속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S400단계는 S300단계의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위성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유지될 수 있도록 페어링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S500단계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위성 단말기(100)로 송신되어 위성 통신을 위한 동작 신호로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위성 단말기(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위성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된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위성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키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로 동작된다.
따라서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위성 단말기 사이에 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위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위성 단말기 101 : 크래들
110 : 위성 통신 모듈 120 : 마이크
130 : 스피커 140 : 메모리
150 : 비상키 입력부 160 : 근거리 통신부
170 : 위성 단말기 제어부 180 : 고정부
200 : 모바일 단말기 210 : 입력부
220 :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근거리 통신부 250 : 홈부
260 : 애플리케이션

Claims (8)

  1. 위성 통신을 수행하고,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식 정보가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고유의 접속 인증 정보를 출력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검출된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위성 통신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위성 통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단말기(100); 및
    임의의 지상 통신망을 이용하고, 위성 통신 접속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접속 프로그램이 동작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식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위성 단말기(100)가 출력하는 접속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위성 통신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위성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위성 통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단말기(100)는 위성과 고주파 위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성 통신 모듈(110);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위성 통신 모듈(110)로 제공하는 마이크(120);
    상기 위성 통신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130);
    미리 설정된 통신 포맷에 따른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160); 및
    위성 통신 제어 신호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16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가 수신되면 접속 인증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위성 통신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단말기(100)는 상기 위성 단말기 제어부(170)가 위성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접속하도록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비상키 입력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검출하는 입력부(210);
    상기 접속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위성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입력부(210)로부터 검출된 정보가 상기 위성 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위성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220);
    상기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220)가 출력하는 수신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230); 및
    미리 설정된 통신 포맷의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 후 상기 위성 단말기(1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240)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Wi-Fi)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시스템.
  6. a) 전원이 공급되어 위성 단말기(100)가 구동되고,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상기 위성 단말기(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접속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위성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에 접속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접속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입/출력수단이 위성 단말기(100)의 입/출력수단으로 동작되도록 상기 위성 단말기(100)가 모바일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위성 단말기(10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위성 단말기(100)의 접속 인증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접속 인증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위성 단말기의 접속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 단말기(100)가 인식되도록 하고, 상기 위성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위성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위성 통신 접속 방법.
KR1020120038321A 2012-04-13 2012-04-13 위성 통신을 위한 위성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결합 시스템 및 방법 KR101402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21A KR101402885B1 (ko) 2012-04-13 2012-04-13 위성 통신을 위한 위성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결합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3/002854 WO2013154301A1 (ko) 2012-04-13 2013-04-05 위성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보조장치
US14/394,393 US9451067B2 (en) 2012-04-13 2013-04-05 Portable terminal auxiliary device having satellite communication function
EP13775671.4A EP2838313B1 (en) 2012-04-13 2013-04-05 Portable terminal auxiliary device having satellite communication function
CN201380029388.1A CN104365174A (zh) 2012-04-13 2013-04-05 具有卫星通信功能的便携式终端辅助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21A KR101402885B1 (ko) 2012-04-13 2012-04-13 위성 통신을 위한 위성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결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35A true KR20130115735A (ko) 2013-10-22
KR101402885B1 KR101402885B1 (ko) 2014-06-02

Family

ID=4932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321A KR101402885B1 (ko) 2012-04-13 2012-04-13 위성 통신을 위한 위성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결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51067B2 (ko)
EP (1) EP2838313B1 (ko)
KR (1) KR101402885B1 (ko)
CN (1) CN104365174A (ko)
WO (1) WO2013154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520B1 (ko) * 2013-03-25 2014-10-06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휴대용 위성통신장치
KR101693484B1 (ko) 2015-03-10 2017-01-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상황시 비상복합통신 무선패키지 장치
CN107425905B (zh) * 2017-09-20 2022-08-16 中国科学院国家天文台 无线模式的卫星导航通信终端的通信接入装置和方法
CN108155929A (zh) * 2017-12-21 2018-06-12 深圳华力创通科技有限公司 一种天通通信装置及其天通通信方法
CN108667469B (zh) * 2018-04-18 2024-03-08 北京宏达科美科技有限公司 能适应小倾角通信卫星和高速运动条件下的双向卫星通信终端
US10560562B1 (en) 2018-05-09 2020-02-11 Darpan Tandon Multi-mode smartphone or mobile computing device
USD910608S1 (en) 2018-05-09 2021-02-16 Darpan Tandon Smartphone
FR3106430B1 (fr) * 2020-01-16 2022-07-08 Crisicall Systeme informatise, procede informatise de communication, et ensemble de programmes d’ordinateur pour sa mise en oeuvre
CN111726160B (zh) * 2020-05-28 2023-04-07 江苏乐众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可共享卫星通信能力的卫星热点、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2437503B (zh) * 2020-11-23 2024-03-15 航天科工(北京)空间信息应用股份有限公司 基于通导遥技术的智能终端
CN114938239A (zh) * 2022-06-30 2022-08-23 南京眼湖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天通卫星话音数据传输终端装置及数据传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951A (en) * 1994-08-29 1998-10-27 Nec Corporation Mobile satellite terminal equipment
JP3231589B2 (ja) * 1995-09-13 2001-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衛星通信端末システム
US6134437A (en) * 1997-06-13 2000-10-17 Ericsson Inc. Dual-mode satellite/cellular phone architecture with physically separable mode
KR100469734B1 (ko) 1999-12-07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단절을 복구하는 방법
JP3536972B2 (ja) * 2000-03-21 2004-06-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ー端末分離型衛星通信携帯端末の設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4247996A (ja) * 2003-02-14 2004-09-02 Ntt Docomo Inc 中継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050215194A1 (en) * 2004-03-09 2005-09-29 Boling Brian M Combination service request and satellite radio system
US7558250B2 (en) * 2004-03-12 2009-07-07 Aeromobil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via satellite
US20060094349A1 (en) * 2004-10-20 2006-05-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ockable portable satellite receiver
US7403470B2 (en) * 2005-06-13 2008-07-22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DE202005015177U1 (de) * 2005-09-21 2006-11-09 Herpolsheimer, Klaus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Senders und/oder Empfängers für Navigation-, Ortung-, Peilung-, Information- und/oder Kommunikationssysteme sowie Sender und/oder Empfänger hiermit
KR20090017095A (ko) * 2007-08-14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성 신호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N201100957Y (zh) * 2007-10-12 2008-08-13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移动多媒体便携终端设备
CN101232321A (zh) * 2008-02-05 2008-07-30 曾令儒 天基移动多功能网络系统及地-星转发器(站)
US8155695B2 (en) * 2008-07-29 2012-04-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pparatus and method to improve WLAN performance in a dual WLAN modality environment
US8634765B2 (en) * 2009-10-08 2014-01-21 Gerald Plamondon Portable satellite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
CN101778156B (zh) * 2009-12-31 2013-11-2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可以给其他手机充电的手机
KR20110083050A (ko) * 2010-01-13 2011-07-20 (주)이월리서치 블루투스 단말기의 페어링 기능을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US8676122B2 (en) * 2010-08-27 2014-03-18 Gregory H. Piesinger Secure satellite modem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method and apparatus
CN102006115A (zh) * 2010-12-03 2011-04-06 北京中交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卫星的应急通信方法、装置及系统
RU2646326C2 (ru) * 2012-03-19 2018-03-02 Роберт К. БАКЛ Аппарат,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интеграции услуг мобильной и спутниковой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WO2013190660A1 (ja) * 2012-06-20 2013-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外部バッテリ及び衛星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4301A1 (ko) 2013-10-17
KR101402885B1 (ko) 2014-06-02
EP2838313A4 (en) 2015-11-18
EP2838313B1 (en) 2020-06-17
US20150147971A1 (en) 2015-05-28
EP2838313A1 (en) 2015-02-18
CN104365174A (zh) 2015-02-18
US9451067B2 (en)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885B1 (ko) 위성 통신을 위한 위성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결합 시스템 및 방법
CN102857272B (zh) 短距离无线通信装置
KR10196407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20242294A1 (en) Headset Charge Via Short-Range RF Communication
EP2403224B1 (en) Audio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KR20100042048A (ko)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12004745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7529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CN103312787B (zh) 一种通过指纹识别快速共享文件的方法及移动终端
US201200587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xternal device extension system, external device extension method, external device extension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N103945328A (zh) 一种移动终端之间的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03425062A (zh) 控制系统
US9762076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transmitting electric power, and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08391277B (zh) 信号连接方法、装置、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100049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연결 기기의 음량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70000921A (ko)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시 통역 시스템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KR101295713B1 (ko) 동일한 아이디를 가진 복수의 가입자 확인 모듈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2291044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CN103368615B (zh) 近场通讯连线方法
EP221696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ion function by using headset
CN111867154B (zh) 移动终端及其通信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3387578U (zh) 一种用于移动电子设备的多功能蓝牙外设
CN111866293B (zh) 移动终端及通信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2001495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와이 파이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