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427A - 방열 시트 - Google Patents

방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427A
KR20130115427A KR1020120037680A KR20120037680A KR20130115427A KR 20130115427 A KR20130115427 A KR 20130115427A KR 1020120037680 A KR1020120037680 A KR 1020120037680A KR 20120037680 A KR20120037680 A KR 20120037680A KR 20130115427 A KR20130115427 A KR 20130115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zinc
graphite
heat dissipation
bas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방차랑
이용진
김유철
송호철
정성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코정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코정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코정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3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427A/ko
Publication of KR20130115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2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carbon, e.g.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방열 시트에 관한 것으로,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 및 상기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 상에 형성된 그라파이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내 그라파이트 입자는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과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는 것인 방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열 시트{HEAT RADIATION SHEET}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방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휴대용 개인단말기, 통신기 등 전자제품은 그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한 과도한 열을 외부로 확산시키지 못해 잔상 문제 및 시스템 안정성에 심각한 우려를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열은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고장,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폭발 및 화재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LCD(또는 LED) 모니터 등의 경우, 상기 내부의 열로 인해 제품의 선명도, 색상도 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한 열은 외부로 방출되거나 자체 냉각되어야 한다.
종래, 이러한 열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이 많이 시도되었으며, 히트 싱크(heat sink)나 방열팬을 설치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히트 싱크의 경우에는 전자제품의 발열체에서 나오는 열량보다 히트 싱크가 방출할 수 있는 열량이 작아 효율이 매우 낮다.
이에 따라 히트 싱크와 함께 방열팬을 동시에 설치하여 히트 싱크의 열을 강제로 배출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방열팬은 소음과 진동을 발생하며 무엇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개인단말기 등과 같이 경량화와 슬림(slim)화가 요구되고 있는 제품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는 방열 시트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방열시트에 관한 기술로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8953호에 금속재 박판을 이용한 방열시트가 제시되어 있고, 이는 세라믹층, 금속재 박판 및 단열재에 의한 열전달 및 열분산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서, 열전도에 효과적인 금속재 박판이 이용되어 발열체와 높은 접촉면적만 갖는다면 방열에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다수의 적층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조방법이 까다롭고, 발열체에 단순 적층 사용되어 발열체와의 접촉면적이 작아 효과적인 열전도 및 분산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효과적으로 전자 기기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방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 및 상기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 상에 형성된 그라파이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내 그라파이트 입자는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과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는 것인 방열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 존재하는 고분자 시트 또는 섬유 시트(fabric she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 형성된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는 내부에 알루미늄 주석 산화물,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인듐 주석 산화물(ITO), 보론 나이트라이드(BN),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또는 이들의 조합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내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그라파이트 시트 100중량%에 대해 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은 전기아연도금 강판(electrogalvanized steel, EG), 용융아연도금강판(galvanized steel, GI), 갈바륨 강판(zinc aluminium alloy coated steel, galvalum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은 전기아연도금 강판(electrogalvanized steel, EG), 용융아연도금강판(galvanized steel, GI), 갈바륨 강판(zinc aluminium alloy coated steel, galvalum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 폴리에틸렌(PE) 시트, 폴리프로필렌(PP)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시트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시트, 폴리아미드계(polyamide) 섬유 시트, 폴리프로필렌계(polypropylene) 섬유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시트는 전도성 섬유 시트일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 존재하는 고분자 시트 또는 섬유 시트(fabric sheet)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시트 또는 섬유 시트 상에 형성된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의 두께는 0.3 내지 1.2mm 일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두께는 0.1 내지 1.5mm 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의 두께는 0.3 내지 1.2mm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대신하여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대신하여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이용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 전자 기기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방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열전대의 측정 위치 조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강판 위치에 따른 열방출 실험 데이터이다.
도 3는 실시예 2의 강판 위치에 따른 열방출 실험 데이터이다.
도 4는 실시예 3의 강판 위치에 따른 열방출 실험 데이터이다.
도 5는 실시예 4의 강판 위치에 따른 열방출 실험 데이터이다.
도 6는 비교예 1의 강판 위치에 따른 열방출 실험 데이터이다.
도 7는 비교예 2의 강판 위치에 따른 열방출 실험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 및 상기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 상에 형성된 그라파이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내 그라파이트 입자는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과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는 것인 방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는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과 평행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어, 우수한 가요성, 우수한 강도 및/또는 우수한 수평 열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는, 탄소 원자의 망상 구조 또는 육방 배열의 층 평면들로 구성되어 있다. 육방으로 배열된 탄소 원자의 이들 층평면들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동일 거리에 있도록 배향(orient) 또는 정렬(order)된다.
일반적으로 그라펜(graphene)층 또는 바탕면(basal planes)으로 지칭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행한 동일 거리의 탄소 원자의 시트 또는 층은 서로 링크되거나 결합되며 이들 그룹은 결정 상태로 배열된다. 잘 정렬된 그라파이트는 상당한 크기의 결정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결정은 서로 잘 정렬되거나 배향되며 잘 정렬된 탄소층을 갖는다.
즉, 잘 정렬된 그라파이트는 바람직한 결정 방향을 갖는다. 그라파이트는 자명하게, 이방성(anisotropic) 구조를 가져 높은 방향성을 갖는 열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 그리고 유체 확산(fluid diffusion)과 같은 많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요컨대, 그라파이트는 탄소의 적층된 구조(laminated structure), 즉 약한 반데르바알스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된 탄소 원자의 중첩된 층 또는 적층물(laminae)로 구성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그라파이트 구조를 고려할 때, 두 개의 축 또는 방향, 즉 "c" 축 또는 방향과 "a" 축 또는 방향이 일반적으로 언급된다. 단순히, "c" 축 또는 방향은 탄소층에 수직한 방향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a" 축 또는 방향은 탄소층에 평행한 방향 또는 "c"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가요성 그라파이트 시트를 제조하는데 적절한 그라파이트는 매우 높은 방향성(orientation)을 갖는다.
전술한 것처럼, 탄소 원자의 평행한 층을 서로 유지시키는 결합력은 단지 약한 반데르바알스 힘이다. 천연 그라파이트는 중첩된 탄소층 또는 적층물 사이의 공간이 다소 개방되어 층에 수직한 방향, 즉 "c" 방향으로 현저한 팽창을 제공하여, 탄소층의 층 특성이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팽창된 또는 부푼 그라파이트 구조를 형성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화학적 또는 열적으로 팽창된,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c" 방향 치수보다 약 80배 이상 큰 "c" 방향 치수 또는 최종 두께를 갖도록 팽창된 천연 그라파이트 플레이크는 바인더의 사용 없이 예를 들어 웨브, 종이, 스트립, 테이프 등과 같은 팽창된 그라파이트의 접착성 시트 또는 일체식(integrated)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초기 "c" 방향 치수보다 약 80배 이상 큰 "c" 방향 치수 또는 최종 두께를 갖도록 팽창된 그라파이트 입자를, 소정의 바인딩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에 의해 일체식 가요성 시트로 형성하는 것은 큰 부피로 팽창된 그라파이트 입자 사이에서 달성되는 기계적 인터로킹(interlocking), 또는 접착으로 인해 가능하다고 믿어진다.
가요성 외에, 시트 재료는, 상기한 바와 같이, 롤러 프레싱과 같은 매우 큰 압축으로 인해 시트의 대향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팽창된 그라파이트 입자의 방향성으로 인해서, 열 및 전기 전도도와 유체 확산에 있어 천연 그라파이트 기초 물질보다는 다소 적지만 비교할 수 있을 정도의 큰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시트 재료는 우수한 가요성, 양호한 강도 및 매우 높은 방향성을 갖는다.
상기 팽창된 그라파이트 시트를 압축할 때 특성의 향상을 위해 첨가제를 더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알루미늄 주석 산화물,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인듐 주석 산화물(ITO), 보론 나이트라이드(BN),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예시로 든 첨가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내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그라파이트 시트 100중량%에 대해 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의 첨가제가 존재하는 경우, 방열 시트의 열을 방사하는 기능이 증가될 수 있다. 이로부터 방열시트의 수직 방향으로의 열전도가 증가될 수 있고, 방열시트 표면으로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열 시트는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 존재하는 고분자 시트 또는 섬유 시트(fabric she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트 및/또는 섬유 시트의 존재로 인해 그라파이트 시트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시트 및/또는 섬유 시트의 방열 특성으로 인해 상기 그라파이트의 방열 특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트 및/또는 그라파이트 시트는 선택적으로 바인더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인더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열 시트에서, 상기 고분자 시트 및/또는 섬유 시트와 그라파이트 시트는 별도의 바인더 없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된 그라파이트를 압축하여 시트 형태로 제조할 때 별도의 고분자 시트 및/또는 섬유 시트를 동시에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열 시트는,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 형성된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추가로 포함하게 되면 3층 구조의 방열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방열 시트는 보다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의 두께는 0.3 내지 1.2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두께는 0.1 내지 1.5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의 두께는 0.3 내지 1.2mm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는 시트의 방열 특성 및 제품 적용 시 적합한 범위일 수 있으며,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 및/또는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은 전기아연도금 강판(electrogalvanized steel, EG), 용융아연도금강판(galvanized steel, GI), 갈바륨 강판(zinc aluminium alloy coated steel, galvalum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열 강판이라면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대신하여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대신하여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 및 상기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은 독립적이며,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 폴리에틸렌(PE) 시트, 폴리프로필렌(PP)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시트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시트, 폴리아미드계(polyamide) 섬유 시트, 폴리프로필렌계(polypropylene) 섬유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시트는 전도성 섬유 시트 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섬유 시트는 예를 들어, 섬유 시트 상에 니켈과 구리 등이 전해 도금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니켈과 구리 등이 도금되는 섬유 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원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섬유 시트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니켈과 구리가 전해 도금되고 다시 니켈, 구리, 은, 금 등이 도금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 존재하는 고분자 시트 또는 섬유 시트(fabric sheet)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시트 또는 섬유 시트 상에 형성된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열 시트는 2층, 3층 또는 4층 등으로 요구하는 특성에 따라 강판, 그라파이트, 고분자 및/또는 섬유 시트를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 방열 시트의 제조
1. 안티몬 주석 산화물( ATO )이 첨가된 그라파이트 시트의 준비
천연 그라파이트 박편과 같은 그라파이트의 입자를 황산과 인산, 산화제 즉 질산 용액, 과망간산칼륨,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과요오드산 등의 혼합물 용액과 같은 층간삽입제(intercalant)로 처리하므로써, 그라파이트의 결정구조가 반응하여 그라파이트의 화합물 및 층간삽입물을 형성한다.
이렇게 층간삽입처리된 그라파이트 입자는 650℃ 이상의 고온에 노출되면 그라파이트내 층간삽입물은 휘발함으로써 층간삽입처리된 그라파이트 입자를 그라파이트의 결정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아코디온과 같은 형태로 원래 부피의 약 80 내지 300배 이상의 치수로 팽창시킨다.
이렇게 박리된 그라파이트 입자는 외관상 연충 형태를 나타내게 되며, 원래의 그라파이트 박편과는 다르게 형성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절삭되고 기계적 충격을 변형시킴으로써 가요성 시트로 함께 압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일반적 과정으로 제조된 그라파이트 시트에 비하여 방열특성의 기능향상을 부여하기 위해 방열성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알루미늄 주석 산화물,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인듐 주석 산화물(ITO), 보론 나이트라이드(BN),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평균입자 직경은 1㎛ 이하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산처리에 의해 층간 삽입 처리된 그라파이트 박편 입자들은 물에 의해 세척된 후 약 15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될 수 있다.
층간 삽입처리된 그라파이트 입자에 대하여 안티몬 주석 산화물 2 내지 5중량%를 첨가하여 고르게 분산 후 650℃ 이상의 고온에 노출시키면 그라파이트가 팽창되면서 팽창된 그라파이트 입자의 주름 사이에 첨가제가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처리된 그라파이트 입자를 이격되어 설치되고 마주하고 수렴하는 이동벨트를 통하여 팽창된 그라파이트 입자는 가요성 그라파이트 시트로 압축되며, 롤에 의한 고밀도화 과정을 거쳐 방열성이 부여된 그라파이트 가요성 시트로 만들어 진다.
위의 과정으로 제조된 밀도 1.2 g/㎤ 이상, 두께 0.5mm의 안티몬 주석 산화물 첨가제가 첨가된 그라파이트 시트를 사용하였다.
2. 강판의 준비
전기아연도금 강판: 두께가 0.45 내지 0.6mm이고 편면 도금량 20g/m2로 양면에 아연 도금된 전기아연 도금강판 (electrogalvanized steel, EG)을 사용하였다.
용융아연도금강판: 두께가 0.4mm 인 용융아연도금강판 (galvanized steel, GI)을 사용하였다.
갈바륨 강판: 두께가 0.4mm 인 갈바륨 (zinc aluminium alloy coated steel, galvalume) 강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방열 시트의 제조
위에 제시된 강판, 그라파이트 시트 및 고분자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시트를 적절히 조합하여 방열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열 시트의 제조 시 적절한 바인더 즉, 핫멜트 접착제, 아크릴점착제 및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접착제와 같은 바인더를 도포하고 그라파이트 시트를 결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한 강판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방열 시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는 압착을 통해서도 요구되는 접착 특성을 만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기 표 1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방열 시트의 설명이다.
구분 강판 고분자 필름 또는
섬유 시트
그라파이트 시트 고분자 필름 또는 섬유 시트 강판
실시예 1 EG 강판
0.45mm
- ATO첨가된 그라파이트 시트 0.5mm PET film
0.05mm
-
실시예 2 EG 강판
0.45mm
- ATO첨가된 그라파이트 시트 0.5mm - EG 강판
0.45mm
실시예 3 GI 강판
0.4mm
- ATO첨가된 그라파이트 시트 0.5mm - GI 강판
0.4mm
실시예 4 갈바륨 강판
0.4mm
- ATO첨가된 그라파이트 시트 0.5mm - 갈바륨 강판
0.4mm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전기아연도금 강판(electrogalvanized steel, EG)을 단일층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열전도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알루미늄 판재 두께 1.0mm의 소재를 단일 층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및 2의 열 방출 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 방법 및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 에 대한 실험방법 및 조건
방열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편의 크기는 145mm x 175mm 하였으며, 측정 시편에 대하여 밀폐공간으로 환경을 부여하였다. 열원으로 사용되는 LED 모듈은 일반적인 TV에 사용되는 LED 모듈을 사용하여 시편 강판에 체결하였으며 방열특성 및 열전도 특성의 상대적 평가를 위해 열전대(thermocouple)를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측정하였다.
LED 모듈에 190mA의 전류로 40분간 측정하였다. 열전대의 측정 위치 조건 등은 도 1에 나타내었다.
방열 특성의 평가는 비교예 2에 따른 1.0mm 알루미늄 강판의 측정온도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4 강판의 측정온도의 차이 (ΔT)를 구하여 나타내었으며, 외부온도 조건의 영향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은 외기 보정 조건으로 최종 ΔT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ΔT = Al 1.0mm 강판의 LED측 온도 - 측정 시편의 LED측 온도
외기보정ΔT = ΔT - (Al 외부온도 - 측정시편 외부온도) X 0.5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7은 각각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의 강판의 위치에 따른 열방출 실험 결과 데이터이다.
또한, 하기 표 2는 도 2 내지 도 7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 값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7 및 표2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의 방열 시트의 열 방출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구분 방열특성 비교
외기보정 ΔT (비교예 2 기준)
ΔT (℃) LED측 온도 (℃) 외부온도 (℃)
실시예 1 1.5 ℃ 하락 3.2 63.5 20.8
실시예 2 2.9 ℃ 하락 3.3 63.6 23.4
실시예 3 2.75 ℃ 하락 3.1 63.8 23.5
실시예 4 1.4 ℃ 하락 2.0 64.9 23.0
비교예 1 17.05 ℃ 상승 -16.6 83.5 23.3
비교예 2 0 ℃ 0 66.9 24.2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6)

  1.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 및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 상에 형성된 그라파이트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내 그라파이트 입자는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과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는 것인 방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 존재하는 고분자 시트 또는 섬유 시트(fabric sheet)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 형성된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열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는 내부에 알루미늄 주석 산화물,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인듐 주석 산화물(ITO), 보론 나이트라이드(BN),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또는 이들의 조합인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열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내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그라파이트 시트 100중량%에 대해 1 내지 10중량%인 것인 방열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은 전기아연도금 강판(electrogalvanized steel, EG), 용융아연도금강판(galvanized steel, GI), 갈바륨 강판(zinc aluminium alloy coated steel, galvalume)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방열 시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은 전기아연도금 강판(electrogalvanized steel, EG), 용융아연도금강판(galvanized steel, GI), 갈바륨 강판(zinc aluminium alloy coated steel, galvalume)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방열 시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시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 폴리에틸렌(PE) 시트, 폴리프로필렌(PP)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방열 시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시트, 폴리아미드계(polyamide) 섬유 시트, 폴리프로필렌계(polypropylene) 섬유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방열 시트.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는 전도성 섬유 시트인 것인 방열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상에 존재하는 고분자 시트 또는 섬유 시트(fabric sheet)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시트 또는 섬유 시트 상에 형성된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열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의 두께는 0.3 내지 1.2mm 인 것인 방열 시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두께는 0.1 내지 1.5mm인 것인 방열 시트.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의 두께는 0.3 내지 1.2mm인 것인 방열 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대신하여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이용하는 것인 방열 시트.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연계 표면처리 강판;을 대신하여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이용하는 것인 방열 시트.
KR1020120037680A 2012-04-12 2012-04-12 방열 시트 KR20130115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680A KR20130115427A (ko) 2012-04-12 2012-04-12 방열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680A KR20130115427A (ko) 2012-04-12 2012-04-12 방열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427A true KR20130115427A (ko) 2013-10-22

Family

ID=4963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680A KR20130115427A (ko) 2012-04-12 2012-04-12 방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54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97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네패스 박형화 가능하고 유연성이 뛰어난 복합방열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97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네패스 박형화 가능하고 유연성이 뛰어난 복합방열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7243B2 (en) Method for producing thermally conductive thin film using synthetic graphite powder
TWI489597B (zh) 服貼性多層熱傳導介面組件和包含其的記憶體模組
KR101125266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포함하는 방열시트
US10044003B2 (en) Metal encapsulant having good heat dissipation properties,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flexible electronic device encapsulated in said metal encapsulant
JP3186199U (ja) 複合ヒートスプレッダ
US20120153215A1 (en) Heat-emitting graphite material comprising amorphous carbon particles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1865552B1 (en) Heat transfer sheet, radi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heat transfer sheet
KR101757229B1 (ko) 전자파 차폐 및 방열 기능 일체형 다층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9574125B2 (en) Composite graphite heat insulating material containing high-density compressed and expanded graphite part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5229100A (ja) 放熱シート及びヒートシンク
JP6592290B2 (ja) 熱界面素材及びその製作方法
TW201009551A (en) Improved heat dissipation for low profile devices
KR101603582B1 (ko) 세라믹-탄소복합체 함유 저강성층을 이용한 열확산시트
KR101043346B1 (ko) 방열특성이 우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타입의 열방사 시트
US8773856B2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onic device
JP5635322B2 (ja) 電子機器
KR101339098B1 (ko) 방열 시트
KR20130115427A (ko) 방열 시트
KR20130115426A (ko) 방열 시트
KR20190060030A (ko) 멀티 히트 스프레더
KR101531630B1 (ko) 초박막 방열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열확산 시트
TW202223925A (zh) 導電導熱墊圈
KR20180055014A (ko) 수평열전도가 우수한 방열솔루션용 그라파이트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방열솔루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2844B1 (ko) 알루미늄 방열 가스켓
KR101760313B1 (ko) 층간접착력이 우수한 전자파 차폐 및 방열복합시트용 그라파이트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및 방열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