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527A -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527A
KR20130114527A KR1020120036965A KR20120036965A KR20130114527A KR 20130114527 A KR20130114527 A KR 20130114527A KR 1020120036965 A KR1020120036965 A KR 1020120036965A KR 20120036965 A KR20120036965 A KR 20120036965A KR 20130114527 A KR20130114527 A KR 20130114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ound source
lyrics
music
ring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Priority to KR102012003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4527A/ko
Publication of KR2013011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상에 공유된 음악 관련 메시지와 연동하여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온라인 서비스 장치에 게시된 음악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와 연동되어 있는 가사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으로 표시 제어하며, 상기 표시된 가사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가사 부분에 대응되는 음원 구간을 편집 구간으로 선택하고, 상기 편집 구간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 부분을 벨소리 데이터로 지정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손쉬운 벨소리 제작을 도울 수 있고, 이러한 접근 편의성 및 이용 편의성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온라인 사용의 흥취를 더 높일 수 있으며, 음원 공급자들은 음원의 다양한 공급 모델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SERVING RINGTONE EDITING FUNCTION}
본 발명은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상에 공유된 음악 관련 정보와 연동하여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블로그, 미니홈피 등이 활성화되면서, 자신의 경험과 일상을 공유하는 행태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최근에는 온라인(SNS, 블로그, 미니홈피 등) 상에 지인들과 공유하고 싶은 음악을 게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공유된 음악에 대해 본인 혹은 지인들이 청취할 수 있으나, 그 외의 부가적인 기능이 없다. 공유된 음악에 대해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상에 공유된 음악 관련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와 연동된 음원 데이터를 찾고, 해당 음원 데이터를 편집하여 벨소리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버가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온라인 서비스 장치에 게시된 음악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음원 데이터와 연동되어 있는 가사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으로 표시 제어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가사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가사 부분에 대응되는 음원 구간을 편집 구간으로 선택하는 편집 구간 선택 단계; 및 상기 편집 구간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 부분을 벨소리 데이터로 지정하는 벨소리 데이터 지정 단계를 포함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특정 온라인 서비스 장치에 게시된 음악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음악 관련 정보 획득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음원 데이터 검색부; 상기 음원 데이터와 연동되어 있는 가사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으로 표시 제어하는 가사 데이터 표시부; 상기 표시된 가사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가사 부분에 대응되는 음원 구간을 편집 구간으로 선택하는 편집 구간 선택부; 및 상기 편집 구간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 부분을 벨소리 데이터로 지정하는 벨소리 데이터 지정부를 포함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상에 공유된 음악 관련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와 연동된 음원 데이터를 찾고, 해당 음원 데이터를 편집하여 벨소리를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손쉬운 벨소리 제작을 도울 수 있고, 이러한 접근 편의성 및 이용 편의성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온라인 사용의 흥취를 더 높일 수 있으며, 음원 공급자들은 음원의 다양한 공급 모델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SNS 상에 공유된 음악 관련 메시지 표시 화면에 대한 예시도면이다.
도 4는 온라인 상에 공유된 음악 관련 메시지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 검색 결과와 이와 연동된 가사 데이터를 표시한 단말기 표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타임 옵셋 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편집 구간을 세부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화면이 추가된 벨소리 데이터 제작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100)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서버(110), 단말기(120), 네트워크(130),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120)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를 포함하고,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버(110)와 통신 가능한 어떠한 전자 기기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서버(11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도 2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단말기(120)를 포함)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전술한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서버(11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버(110)는 콘텐츠,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서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Apache, Nginx, Light HTT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는 서버(110)와 단말기(120)를 연결해주는 망(Network)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기(120)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경우, 네트워크(130)는 이동 통신망이나 와이파이(WiFi) 망 등의 무선 액세스 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웹서버, SNS 서버, 게임 서버 등이 대표적이다.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작동하는 원리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용들은 서버(110)의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며, 이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다른 장치들의 기능 또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11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10)는 음악 관련 정보 획득부(210), 음원 데이터 검색부(220), 가사 데이터 표시부(230), 편집 구간 선택부(240), 벨소리 데이터 지정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악 관련 정보 획득부(210)는 특정 온라인 서비스 장치에 게시된 음악 관련 정보를 획득하며, 음원 정보 검색부(220)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한다. 가사 데이터 표시부(230)는 상기 음원 데이터에 연동된 가사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으로 표시 제어하며, 편집 구간 선택부(240)는 표시된 가사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가사 부분에 대응되는 음원 구간을 편집 구간으로 선택한다. 벨소리 데이터 지정부(250)는 편집 구간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 부분을 벨소리 데이터로 지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의 각 기능 블록에 대해 도 3 내지 6의 예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SNS 상에 공유된 음악 관련 메시지(310) 표시 화면(300)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는 도 3에서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음악 관련 메시지(310)는 SNS의 스테이터스(status)에 게시된 정보이다. 스테이터스란, 친구들이나 지인들이 읽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자신의 메시지를 등록하는 온라인 공간으로서, 원래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상태(느낌, 어디에 있는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등)를 지인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지인들이 읽을 수 있도록 공유하는 온라인 공간이 되었다.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는 등록된 메시지를 도 3과 같은 화면으로 구성하여 단말기(120)로 표시 제어하게 되는데, 도 3을 참조하면,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에는 연속하여 2개의 게시글이 등록되어 있으며, 그 중 아래 화면에 표시된 "노래를 불러라"라는 제목의 게시글은 음악 관련 정보를 수록하고 있는 음악 관련 메시지(310)이다. 이렇게 등록된 음악 관련 메시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서버(110)로 전송된다.
음악 관련 메시지(310)에 대해 좀더 상술하면, 본 발명에서의 음악 관련 메시지란 서버(110)가 해당 정보로부터 이와 관련된 음원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메시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음악 관련 메시지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우선,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와 서버(110)가 서로 연동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에 음악 관련 메시지를 등록할 때, 이미 서버(110)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의 정보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음악 관련 메시지는 서버(110)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메시지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노래 제목, 가수 등의 정보를 서로 약속한 포맷의 정보 형태로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서버(110)는 이와 관련된 음원 데이터를 쉽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관련 메시지가 음원 데이터 검색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노래 제목, 가수 등)를 텍스트 등의 정보로 수록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메시지가 음원 데이터 검색에 필요한 노래 제목, 가수 등의 값을 수록하고 있다면, 이를 키워드 혹은 검색어로 사용하여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에 해당되는 음원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음악 관련 메시지(31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서버(110)로 전송되는 과정을 살펴 본다. 가장 쉬운 방법은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와 서버(110)를 연동시키고,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에 등록된 음악 관련 메시지에 대해 직접 사용자 조작을 가해 해당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최근의 SNS 서비스들을 보면, 앱의 형태로 SNS 서버와 서로 연동되어 있으며, 이러한 앱을 통해 사용자는 SNS 상에 올려져 있는 정보를 다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와 서버(110)가 서로 연동되어 있는 경우,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 상에 등록된 음악 관련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메시지를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서버(110)로 전송할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 조작에 의한 메시지의 전송 프로세스는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와 서버(110) 간의 사전 규정된 통신 및 제어 규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다른 방법은 서버(110)에서 직접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로 해당 메시지를 요구하고, 이를 획득하는 것이다. 서버(110)가 온라인 서핑 등의 방법으로 온라인 서비스 장치들을 검색하여 필요한 메시지를 획득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서버(110)가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로부터 메시지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 본다. 음악 관련 메시지가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에 등록되고, 사용자는 해당 메시지가 공유된 온라인 주소 정보를 알 수 있다. 웹 방식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블로그 등에 게시된 글들을 보면, 해당 글이 정확히 어떤 온라인 주소로 서비스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 온라인 주소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서버(110)로 입력하고, 서버(110)로 하여금 해당 온라인 주소로 공유된 음악 관련 메시지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음악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서버(110) 내에서 음악 관련 정보 획득부(210)에서 기능될 수 있다. 음악 관련 정보 획득부(210)는 온라인 서비스 장치(140)와 연동되어 전달되는 음악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악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온라인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온라인 주소 상에 공유된 음악 관련 메시지를 직접 요청하고 수신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음악 관련 정보가 획득되면, 음원 정보 검색부(22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악 관련 메시지는 노래 제목, 가수 등의 음원 데이터 검색을 위한 기초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음악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검색되면 음원 데이터에 연동된 가사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으로 표시 제어한다.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온라인 상에 공유된 음악 관련 메시지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 검색 결과와 이와 연동된 가사 데이터를 표시한 단말기 표시 화면(400)의 예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음악 관련 메시지의 정보를 바탕으로 검색된 음원 데이터 검색 결과가 도 4의 상단에 표시되고 있다. 또한, 음원 데이터 검색 결과와 연동된 가사 데이터(410)가 단말기 표시 화면(400)의 하단에 표시되고 있다.
이렇게 단말기 화면에 가사 데이터가 표시되면, 표시된 가사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일부 가사 부분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표시된 가사 데이터 중 일부 영역(420)을 선택하고 있다. 예시된 단말기 표시 화면(400)은 마우스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가사 데이터 중 일부 영역(420)을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영역(420)에 대해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를 통해 2가지 세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전술한 세부 기능으로는 해당 일부 영역(420)에 대해 벨소리 편집을 하는 것(430)이며, 다른 기능은 해당 일부 영역(420)에 대해 음악 재생(440)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마우스 콘트롤러를 사용한 사용자 조작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터치스크린식 조작과 기타 다른 방식에 의한 사용자 조작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도 4에 표시된 화면과 같이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일부 영역(420)을 선택하고, 벨소리 제작 메뉴(430)를 클릭하게 되면, 서버(110)는 단말기(120)로부터 전술한 일부 영역(420)에 해당되는 가사 선택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어, 편집 구간 선택부(240)는 가사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구간을 편집 구간으로 선택하게 된다.
전술한 가사 선택 정보로부터 음원 구간을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타임 옵셋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타임 옵셋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타임 옵셋 정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타임 옵셋 정보에는 가사 부분과 상기 가사 부분에 대응하는 타임 옵셋 값들이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비가 오는 날에는 노래를 불러라"라는 가사는 4.25초의 타임 옵셋 값을 가지고 해당 타임 옵셋에 해당되는 시간에 음원 데이터의 재생과 함께 표시되도록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의 가사 선택 부분을 인식하게 되면, 타임 옵셋 정보로부터 선택 가사 부분에 해당하는 타임 옵셋 값을 알 수 있게 되고, 이렇게 확인된 타임 옵셋 값으로 편집 구간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가사 선택 부분에 편집 구간으로 선택할 시작 부분과 종료 부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시작 부분과 종료 부분에 해당하는 타임 옵셋 값을 타임 옵셋 정보로부터 확인하여 편집 구간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 가사 선택 부분에 편집 구간의 시작 부분에 해당하는 가사만 선택되어 있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타임 옵셋 값을 타임 옵셋 정보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서버(110)는 이로부터 일정 음원 구간을 편집 구간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사의 시작 부분만 선택하고, 이로부터 1분 이후를 종료 부분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단말기(120)로부터 사용자 가사 선택 부분에 해당되는 값을 수신하여 이를 미리 저장된 타임 옵셋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가사 선택 부분에 대응되는 타임 옵셋 값을 확인할 수도 있으나, 단말기(120)로 가사 데이터를 표시 제어하기 위해 가사 데이터를 단말기(120)로 송신할 때, 전술한 타임 옵셋 정보를 함께 송신하고, 단말기(120)에서 사용자 가사 선택 부분과 타임 옵셋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 부분에 해당되는 타임 옵셋 값을 확인하여 서버(110)로 송신할 수도 있다.
편집 구간 선택부(240)가 사용자 가사 선택 부분에 대응되는 음원 구간을 편집 구간으로 선택하고, 벨소리 데이터 지정부(250)가 음원 정보에 전술한 편집 구간에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 부분을 벨소리 데이터로 지정한다. 편집 구간과 벨소리 데이터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도 6과 같이 편집 구간에 대해 수정하고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편집 구간을 세부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화면이 추가된 벨소리 데이터 제작 화면(600)의 예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벨소리 데이터 제작 화면(600)은 선택된 편집 구간에 대한 벨소리 데이터를 재생해 볼 수 있는 미리 듣기 메뉴(620), 편집 구간의 시작 부분의 위치에 대해 미세 보정할 수 있는 시작점 수정 메뉴(630), 편집 구간의 종료 부분의 위치에 대해 미세 보정할 수 있는 종료점 수정 메뉴(640), 벨소리 데이터에 해당하는 가사 정보를 표시하는 가사 표시 영역(61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편집 구간에 대해 시작점 수정 메뉴(630)와 종료점 수정 메뉴(640)의 조작으로 미세하게 구간을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의 편의성을 위해 미세 보정량은 초단위로 진행될 수 있다.
서버(110)는 제작 중인 벨소리 데이터가 단말기(120) 상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으로 사용자는 제작 중이거나 제작 완료된 벨소리 데이터를 미리 들어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벨소리 데이터는 단말기(120)로 송신되어 단말기(120)의 벨소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11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가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게 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에 의해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특정 온라인 서비스 장치에 게시된 음악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S700, 음악 관련 메시지 획득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한다(S702, 음원 데이터 검색 단계). 이후, 서버(110)는 상기 음원 데이터와 연동되어 있는 가사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으로 표시 제어하고(S704, 가사 데이터 표시 단계), 상기 표시된 가사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가사 부분에 대응되는 음원 구간을 편집 구간으로 선택한다(S706, 편집 구간 선택 단계).
서버(110)는 편집 구간 선택 단계(S706)에서 가사 데이터와 연동된 타임 옵셋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가사 선택 부분에 대응되는 타임 옵셋 값에 따라 전술한 편집 구간을 선택할 수 있고, 서버(110)는 또한 편집 구간 선택 단계(S706)에서 사용자 가사 선택 부분에 포함된 시작 부분 가사로부터 일정 구간을 전술한 편집 구간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편집 구간 선택 단계(S706) 이후에, 미세 보정 정보에 따라 전술한 편집 구간을 수정할 수 있다.
편집 구간 선택 단계(S706) 이후에, 서버(110)는 음원 데이터에서 편집 구간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 부분을 벨소리 데이터로 지정하며(S708, 벨소리 지정 단계), 벨소리 데이터 지정 단계(S708) 이후에 지정된 벨소리 데이터가 단말기(120)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하거나(S710, 벨소리 재생 단계), 지정된 벨소리 데이터를 단말기(120)로 송신하여 단말기(120)에서 벨소리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S712, 벨소리 설치 단계).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이 도 7에서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서버가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온라인 서비스 장치에 게시된 음악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음원 데이터와 연동되어 있는 가사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으로 표시 제어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가사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가사 부분에 대응되는 음원 구간을 편집 구간으로 선택하는 편집 구간 선택 단계; 및
    상기 편집 구간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 부분을 벨소리 데이터로 지정하는 벨소리 데이터 지정 단계를 포함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구간 선택 단계 이후에,
    수신된 미세 보정 정보에 따라 상기 편집 구간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구간 선택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가사 부분은 시작 부분 가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시작 부분 가사로부터 일정 음원 구간을 상기 편집 구간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데이터 지정 단계 이후에,
    상기 벨소리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벨소리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구간 선택 단계에서,
    상기 가사 데이터와 연동된 타임 옵셋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가사 부분에 대응되는 타임 옵셋 값에 따라 상기 편집 구간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데이터 지정 단계 이후에,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온라인 서비스 장치는 에스엔에스(SNS) 서버이며, 상기 음악 관련 정보는 스테이터스(status)에 게시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8. 특정 온라인 서비스 장치에 게시된 음악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음악 관련 정보 획득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악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음원 데이터 검색부;
    상기 음원 데이터와 연동되어 있는 가사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으로 표시 제어하는 가사 데이터 표시부;
    상기 표시된 가사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가사 부분에 대응되는 음원 구간을 편집 구간으로 선택하는 편집 구간 선택부; 및
    상기 편집 구간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 부분을 벨소리 데이터로 지정하는 벨소리 데이터 지정부를 포함하는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
KR1020120036965A 2012-04-09 2012-04-09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30114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65A KR20130114527A (ko) 2012-04-09 2012-04-09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65A KR20130114527A (ko) 2012-04-09 2012-04-09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27A true KR20130114527A (ko) 2013-10-17

Family

ID=4963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965A KR20130114527A (ko) 2012-04-09 2012-04-09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5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1897A (zh) * 2014-11-21 2015-02-1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制作铃音的方法及装置
WO2015115863A1 (ko) * 2014-01-31 2015-08-06 남희옥 전화와 연계된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47316A (ko) * 2014-08-26 2017-05-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파일 처리 방법 및 단말
WO2022191446A1 (ko) * 2021-03-09 2022-09-15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가사 하이라이팅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863A1 (ko) * 2014-01-31 2015-08-06 남희옥 전화와 연계된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47316A (ko) * 2014-08-26 2017-05-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파일 처리 방법 및 단말
US10678427B2 (en) 2014-08-26 2020-06-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dia fil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CN104361897A (zh) * 2014-11-21 2015-02-1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制作铃音的方法及装置
WO2022191446A1 (ko) * 2021-03-09 2022-09-15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가사 하이라이팅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977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automated operating-system-specific access to software functionality
US10491646B2 (en) Mechanism for facilitating user-controlled features relating to media content in multiple online media communities and networks
US10649621B2 (en) Facilitating performing searches and accessing search results using different devices
AU2008267775B2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products
US8117545B2 (en) Hosted video discovery and publishing platform
US93746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based preferred media file
US200902767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playlists and tag-tuning of multimedia objects
RU2620999C2 (ru) Звуковое представление сжатой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контекстной информации
US20070168544A1 (e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user interface for a network media channel
CN103180798A (zh) 社交网络的好友和家庭树
CN106030569A (zh) 重构搜索查询的技术
CN109190101A (zh) 阅读笔记生成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60132596A1 (en) Generating Search Results Based On Software Application Installation Status
US201501280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US20180069828A1 (en)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KR10112073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소셜 동영상 서비스 방법
CN105141509B (zh) 一种基于多媒体播放器应用的信息交互方法及装置
KR20130114527A (ko) 벨소리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30054535A (ko) 콘텐츠 리스트를 추천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US201802398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dynamically aggregated data
US201101735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blishing an online post from a device
US20050162431A1 (en) Animation data creating method, animation data creating device, terminal devic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imation data creating program and animation data creating program
JP5825118B2 (ja) 公開範囲判定方法、公開範囲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50017976A1 (en) Cellular terminal, method for creating animation of cellular terminal, and animation creation system
JP2004205850A (ja) カラオケ予約装置、カラオケ予約システム、カラオケ予約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