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041A - 칫솔 살균 소독기 - Google Patents

칫솔 살균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041A
KR20130113041A KR1020120035296A KR20120035296A KR20130113041A KR 20130113041 A KR20130113041 A KR 20130113041A KR 1020120035296 A KR1020120035296 A KR 1020120035296A KR 20120035296 A KR20120035296 A KR 20120035296A KR 20130113041 A KR20130113041 A KR 20130113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door
opening
uni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071B1 (ko
Inventor
김석주
최지현
Original Assignee
김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주 filed Critical 김석주
Priority to KR102012003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7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고정바디와, 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해 폐쇄되게 고정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바디 및 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방되게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마련된 본체와, 개폐도어가 출입구를 개폐되게 구동하는 도어개폐부와, 개폐도어가 출입구를 개방시 외부에 노출되어 회전바디상에 칫솔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걸이구와, 본체상에 설치되어 걸이구에 장착된 칫솔을 살균처리하는 살균처리기와, 본체상에 마련되어 걸이구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부여된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걸이구에 장착된 칫솔의 인출 및 걸이구로의 수납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입력부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번호의 칫솔 인출 조작신호에 대응되는 걸이구가 개폐도어의 출입구를 통해 노출되게 회전구동원 및 도어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조작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칫솔 살균 소독기에 의하면, 인증과정을 거친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칫솔을 본체의 출입구를 통해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타인의 칫솔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칫솔 사용에 따른 교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칫솔 살균 소독기{toothbrush sterilizer}
본 발명은 칫솔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의 칫솔을 인증절차를 거쳐 개인적으로 독립되게 수납 및 인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된 칫솔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의 유해성 미생물은 사용 후의 칫솔에 잔류된 수분 및 영양물질에 의해 번식하게 되며, 이러한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칫솔을 사용하게 되면 치주염과 같은 각종 구강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게 되고, 특히 건강한 사람보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폐렴, 기관지염, 간염, 감기 등에 노출되기 쉬워 칫솔의 사용 후에는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청결한 관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청소하기 위한 칫솔들은 세면대의 어느 한쪽에 단순히 보관하여 두고 필요에 따라서 양치질을 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칫솔을 효과적으로 보관하면서 살균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칫솔 살균기들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칫솔 살균기는 칫솔을 수납하는 몸체 내부에 자외선이나 적외선, 오존 등의 살균램프를 장착하여 살균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학교 또는 직장에서 다수의 칫솔을 이러한 칫솔 살균기에 보관하고 사용하는 경우 타인의 칫솔을 자신의 칫솔로 잘못 오인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교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사용자가 인증과정을 거쳐 자신의 칫솔만을 인출 및 수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칫솔 살균 소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소독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고정바디와,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해 폐쇄되게 상기 고정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바디 및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방되게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개폐되게 구동하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회전바디상에 칫솔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걸이구와; 상기 본체상에 설치되어 상기 걸이구에 장착된 칫솔을 살균처리하는 살균처리기와; 상기 본체상에 마련되어 상기 걸이구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부여된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걸이구에 장착된 칫솔의 인출 및 상기 걸이구로의 수납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번호의 칫솔 인출 조작신호에 대응되는 걸이구가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출입구를 통해 노출되게 상기 회전구동원 및 상기 도어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조작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처리기는 상기 고정바디의 수용공간 중앙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가 적용된다.
또한,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걸이구를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는 하나의 걸이구에 대해서만 칫솔의 인출 및 장착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디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내부의 상기 걸이구에 장착된 칫솔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설치된 원적외선 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소독기에 의하면, 인증과정을 거친 고유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칫솔을 본체의 출입구를 통해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타인의 칫솔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칫솔 사용에 따른 교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소독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본체의 일부를 분리하여 본체 내부공간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체 내에 설치된 에어분사부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주기둥 내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가 노출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소독기의 제어계통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칫솔 살균 소독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소독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본체의 일부를 분리하여 본체 내부공간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체 내에 설치된 에어분사부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주기둥 내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가 노출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소독기의 제어계통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 소독기(100)는 본체(101), 도어 개폐부(140), 걸이구(131), 자외선램프(138), 에어분사부(150) 및 조작유니트(160)를 구비한다.
본체(101)는 고정바디(110), 회전바디(120) 및 거치 브라켓(103) 및 개폐도어(115)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바디(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12)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거치 브라켓(103)에 결합되어 벽면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바디(110)의 측면에는 후술되는 개폐도어(115)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116)가 마련되어 있다. 출입구(116)의 크기는 후술되는 걸이구(131) 하나에 대해서만 칫솔(200)의 인출 및 장착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거치 브라켓(103)은 생략되고 고정바디(110)를 설치 대상체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바디(120)는 고정바디(110)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수용공간(112)을 외부에 대해 폐쇄되게 고정바디(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회전구동원(167)인 모터(167a)에 의해 고정바디(110)에 대해 동심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회전바디(120)는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회전기둥(125)과, 회전기둥(125) 상부에서 원판형태로 형성된 상부패널(127) 및 상부패널(127)의 가장자리부근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걸이구(131)의 장착영역을 제공하는 장착패널(128)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기둥(125)은 속이비고 투명한 구조로 되어 후술되는 자외선램프(138)가 내장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개폐도어(115)는 본체(101)의 수용공간(112)을 외부에 대해 개방되게 형성된 출입구(1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고정바디(110) 내측에서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118을 고정바디(110) 내측에 마련되어 개폐도어(115)의 출입구(116) 방향으로 구속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개폐도어(115) 상하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이다.
도어개폐부(140)는 개폐도어(115)가 출입구(116)를 개폐되게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어개폐부(140)는 개폐도어(115)를 가이드레일(118)을 따라 강제적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115)의 일단에 진퇴용 로드가 결합되어 진퇴용 로드의 진퇴에 의해 개폐도어(115)를 진퇴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 실린더, 또는 개폐도어(115)가 가이드레일(118)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바퀴를 갖되, 바퀴를 전동에 의해 회전시켜 개폐도어(115)를 진퇴시킬 수 있는 전동 바퀴구조 등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어개폐부(140)는 개폐도어(115)의 일측에 'ㅁ'자 형태로 형성된 걸쇠(141)가 잠금위치에 도달될 때 록킹핀(143a)를 진퇴시켜 개폐도어(115)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록킹실린더(143)가 마련되어 있다.
걸이구(131)는 개폐도어(115)가 출입구(116)를 개방시 외부에 노출된 수용공간(112)을 통해 회전바디(120)상에 칫솔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회전바디(120)의 장착패널(128)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가 설치되어 있다.
걸이구(131)는 칫솔(200)의 칫솔모가 장착된 머리부분(202)이 수용되되 머리부분(202)이 수직상태가 되게 장착한 상태에서 머리부분(202)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걸이홈(13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살균처리기로 적용된 자외선 램프(138)는 본체(101)의 수용공간(112) 중앙에 설치된 회전기둥(125) 내의 고정바디(110) 부분에 장착되어 자외선 광을 걸이구(131)에 장착된 칫솔(200)로 조사한다.
또한, 원적외선 램프(139)는 고정바디(110)내부 설치되어 수용공간(112) 내의 걸이구(131)에 장착된 칫솔(200)에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에어분사부(150)는 본체(101) 내의 걸이구(131)를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여 칫솔(200)을 건조 및 칫솔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에어분사부(150)는 내장된 에어펌프에 의해 펌핑된 에어를 토출관(152)을 통해 에어를 분사한다.
토출관의 종단은 걸이구(131)에 장착된 칫솔모를 향하여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유니트(160)는 본체(101)의 회전바디(120) 상부 패널(127)에 설치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고정바디(1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작유니트(160)는 입력부(161), 표시부(163), 제어부(165)를 구비한다.
입력부(161)는 걸이구(131)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부여된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걸이구(131)에 장착된 칫솔(200)의 인출 및 사용한 칫솔(200)의 걸이구(131)로의 수납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키가 마련되어 있다.
입력부(161)는 1 부터 9까지의 숫자키, 인출 및 수납선택키, 식별번호 등록 및 해제 설정키 등이 마련되어 있고, 입력부의 입력방식은 도시된 예와 다르게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부(163)는 제어부(165)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165)는 입력부(161)로부터 입력된 식별번호의 칫솔 인출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걸이구(131)들 각각에 대해 부여된 어드레스번호에 대응되어 사용자가 등록한 식별번호가 기억된 메모리(166)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걸이구가 개폐도어(115)의 출입구(116)를 통해 노출되게 회전구동원(167) 및 도어 개폐부(140)를 제어한다.
일 예로서, 30개의 걸이구(30)들에 대해 설정된 회전방향에 대해 1번부터 30번까지 어드레스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사용자 갑이 1번 걸이구(131)에 대해 1234의 식별번호로 제어부(165)의 지원하에 입력부(161)를 통해 등록절차를 거쳐 메모리(166)에 등록되어 있고, 사용자 을이 20번 걸이구(131)에 대해 4321의 식별번호로 제어부(165)의 지원하에 메모리(166)에 등록된 경우, 사용자 갑이 1234라는 식별번호로 칫솔(200)을 인출하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65)는 등록된 식별번호이면 해당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번호인 1번 걸이구(131)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1번 걸이구가 출입구(116)에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회전구동원(167)을 제어하며, 개폐도어(115)가 출입구(116)를 개방하도록 도어개폐부(140)를 제어한다.
여기서, 걸이구(131)의 어드레스별 위치확인은 회전구동원(167)에 대해 지시한 회전지시각도 정보의 기록데이터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엔코더를 이용하여 파악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65)는 출입구(116) 개방시점을 기준으로 20초 이후에는 출입구(116)가 폐쇄되게 도어개폐부(140)를 제어하고, 사용한 칫솔을 다시 수납하는 경우 앞서 식별번호 입력과정을 다시 거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165)는 새로운 사용자 등록을 입력부(165)를 통해 요청하는 경우 걸이구(131)에 대해 부여된 어드레스들 중 사용자가 등록되지 않은 어드레스 번호 리스트를 표시부(163)를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선택된 어드레스에 대해 원하는 식별번호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65)는 수납된 칫솔(200)에 대해서는 에어분사부(150) 및 자외선램프(138)의 가동에 의해 건조 및 살균이 되는 살균모드를 설정된 시간마다 회전바디(120)를 설정된 살균시간동안 수회 회전시키면서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칫솔(200)의 수납 조작이 있을 때마다 살균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칫솔 살균 소독기에 의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이 등록한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칫솔만을 대응되는 걸이구를 통해 인출 및 수납할 수있어 타인의 칫솔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101: 본체 131: 걸이구
138: 자외선램프 140: 도어 개폐부
150: 에어분사부 160: 조작유니트

Claims (4)

  1. 칫솔 살균 소독기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고정바디와,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해 폐쇄되게 상기 고정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바디 및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방되게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개폐되게 구동하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회전바디상에 칫솔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걸이구와;
    상기 본체상에 설치되어 상기 걸이구에 장착된 칫솔을 살균처리하는 살균처리기와;
    상기 본체상에 마련되어 상기 걸이구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부여된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걸이구에 장착된 칫솔의 인출 및 상기 걸이구로의 수납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번호의 칫솔 인출 조작신호에 대응되는 걸이구가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출입구를 통해 노출되게 상기 회전구동원 및 상기 도어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조작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소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처리기는 상기 고정바디의 수용공간 중앙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소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걸이구를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여 건조 및 칫솔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소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하나의 걸이구에 대해서만 칫솔의 인출 및 장착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바디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내부의 상기 걸이구에 장착된 칫솔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설치된 원적외선 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소독기.
KR1020120035296A 2012-04-05 2012-04-05 칫솔 살균 소독기 KR101426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296A KR101426071B1 (ko) 2012-04-05 2012-04-05 칫솔 살균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296A KR101426071B1 (ko) 2012-04-05 2012-04-05 칫솔 살균 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041A true KR20130113041A (ko) 2013-10-15
KR101426071B1 KR101426071B1 (ko) 2014-08-01

Family

ID=4963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296A KR101426071B1 (ko) 2012-04-05 2012-04-05 칫솔 살균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0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5287A (zh) * 2017-08-18 2018-07-20 东莞产权交易中心 一种便捷式医用消毒柜
CN110754970A (zh) * 2019-11-11 2020-02-07 肖均 一种自动风干式洗漱套件
KR20210051761A (ko) * 2019-10-31 2021-05-10 (주)에코 단체 칫솔 관리용 스마트 칫솔 거치 장치
CN114515346A (zh) * 2020-11-19 2022-05-20 您好李先生股份有限公司 配备杀菌以及干燥功能的牙刷杀菌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301B1 (ko) 2015-08-18 2016-01-19 오승민 초음파 세척수단이 구비된 칫솔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502A (ja) * 2003-10-31 2005-05-26 Sanyo Electric Co Ltd 医療用保管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5287A (zh) * 2017-08-18 2018-07-20 东莞产权交易中心 一种便捷式医用消毒柜
KR20210051761A (ko) * 2019-10-31 2021-05-10 (주)에코 단체 칫솔 관리용 스마트 칫솔 거치 장치
CN110754970A (zh) * 2019-11-11 2020-02-07 肖均 一种自动风干式洗漱套件
CN110754970B (zh) * 2019-11-11 2021-11-09 山东智养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风干式洗漱套件
CN114515346A (zh) * 2020-11-19 2022-05-20 您好李先生股份有限公司 配备杀菌以及干燥功能的牙刷杀菌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071B1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71B1 (ko) 칫솔 살균 소독기
JP6426322B1 (ja) ドア用取手消毒装置
KR101311820B1 (ko) 순환식 와류분사 방식의 내시경 세척소독기 및 그 세척소독 공정
KR101853624B1 (ko) 침대 살균 시스템
KR101160247B1 (ko) 살균소독고
KR101017596B1 (ko)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
US20150107627A1 (en) Self-Washing Closable Surgical Case Ca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200757B1 (ko) 병원용 침대 매트리스 자동 세척 및 소독 장치
JP2020022715A (ja) ドア用取手消毒装置
KR20190031005A (ko)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CN105386274A (zh) 一种毛巾清洗消毒方法
KR200436595Y1 (ko) 나이프 살균기
KR101914290B1 (ko) 출입문 시건 제어 장치를 부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KR102310087B1 (ko) 게이트형 소독 살균장치
CN202336071U (zh) 医用消毒柜
KR101211029B1 (ko) 책 소독장치
KR20120063630A (ko) 책 소독 방법 및 장치
KR102463935B1 (ko)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CN111714241B (zh) 一种口腔科器械的专用清洁消毒机器及其使用方法
KR100468386B1 (ko) 공동주택 실내 출입용 인체 소독기구 박스 설치 구조
CN210342789U (zh) 一种感染科用具有消毒杀菌功能入口的分隔间
CN107213485A (zh) 一种连续消毒的自动化消毒柜
CN203576972U (zh) 一种新型的内科用护理消毒箱
CN210447663U (zh) 一种用于中医针灸器具的多腔室分区使用的消毒装置
KR102393956B1 (ko)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한 서랍형 칫솔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