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524A -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 - Google Patents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524A
KR20130112524A KR1020120034965A KR20120034965A KR20130112524A KR 20130112524 A KR20130112524 A KR 20130112524A KR 1020120034965 A KR1020120034965 A KR 1020120034965A KR 20120034965 A KR20120034965 A KR 20120034965A KR 20130112524 A KR20130112524 A KR 2013011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ight
backlight unit
windshield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돈
강상수
김현구
김동준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2524A/ko
Publication of KR2013011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7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21V33/0016Furnishing for windows and do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6External wall display means; Facade adverti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21Y2105/16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square or rectangular, e.g. for ligh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09F2013/147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plane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유리; 그리고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유리의 전방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 유리를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유리패널을 이용하여 조명을 구현할 수 있고, 유리창호가 선택적 발광이 가능하므로 발광 유리창가 창호의 기본적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창호의 심미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물의 외관 디자인에 맞춰 다양한 창호 디자인이 설계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Luminous Glass Panel, Luminous Glass Window, Luminous Glass Door and Curtain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리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빌딩이나 주택의 건축물의 유리창이나 유리문 또는 커튼월에 적용되어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 유리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말하는데, 통풍이나 환기 또는 채광, 외부 조망, 기타 비상시 탈출 등의 용도를 갖는다.
근래에는 상기 창호에 단열성을 부여하거나 정숙성이 향상된 이중창 또는 강화유리창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도어나 창문에 심미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창문의 색을 칠하거나 무늬를 입히거나 도어나 창문에 설치되는 유리에 모자이크 처리를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아름다움을 표현하여 왔다.
그리고 근래에는 각종 전기기구를 이용하여 빛을 연출하는 방법으로 선전하는 광고기법을 창문이나 도어에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제20-0246927호에는 조명기구에 의해 실내로 직접조명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천장을 통해 실내로 반사되게 하여 간접조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창호용 조명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266976호에는 창호의 외측에 설치된 빈선반의 각도 및 위치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창호용 빛선반이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창문에 빛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실내의 조명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장치가 복잡하고 창문을 열고 닫을 때의 조명환경이 상이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05568호, 창호용 조명기구, 2000년 3월 25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10-2000-0015628호, 창호용 빛선반, 2000년 3월 15일 공개
본 발명은, 창문이나 도어 기타 건물의 외벽 유리창 등으로 적용가능하며 발광이 가능한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리 패널 전체가 발광하거나 일부가 소정의 광 패턴으로 발광하는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조망과 채광이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발광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광 패턴을 건물 외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커튼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 유리; 그리고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유리의 전방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 유리를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 유리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켜서 전방으로 방출하는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은 LED(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원이 상기 도광판의 모서리측에 구비되는 엣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고정되는 배면 유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유리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전면 유리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입력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유리는 무색의 투명한 유리 또는 하프 미러(Half Mirror)로 구성된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전면 유리;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유리의 전방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 유리를 선택적으로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고정되는 배면 유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 유리창를 제공한다.
상기 전면 유리와 백라이트 유닛과 배면 유리(140)는 창문 프레임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분할된 유리 외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발광 유리패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튼월(Curtain Wall)을 제공한다. 상기 발광 유리패널은; 실외측의 전면 유리, 그리고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유리의 전방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 유리를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 외벽은 상기 발광 유리패널들에 의해 형성되는 광 패턴을 건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광 패턴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발광 유리패널들은 각각 상기 광 패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픽셀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유리패널을 이용하여 조명을 구현할 수 있고, 유리창호가 선택적 발광이 가능하므로 발광 유리창가 창호의 기본적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창호의 심미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물의 외관 디자인에 맞춰 다양한 창호 디자인이 설계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외벽이 복수의 발광 유리패널로 분할된 구조의 유리 외벽, 즉 커튼월의 제공이 가능하며, 발광 유리패널 하나하나가 광 패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픽셀을 형성하므로, 건물의 외벽에 다양한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건물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이 건물의 창호로 적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이 건물의 유리 외벽으로 적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리 외벽에 소정의 광 패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건물의 정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의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100)은 전면 유리(110)와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 유리(110)를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120, Back Light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유리(110)로는 하프 미러(Half Mirror) 또는 투광성의 유리, 예를 들면 무색의 투명한 유리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에서 출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투과시킬 수 있는 유리재질이면 상기 전면 유리(110)로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은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의 모듈화를 위해 상기 전면 유리(110)의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전면 유리(110)와 일체화되며, 상기 전면 유리(110)의 전방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전면 유리(110)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 유리(110)를 조명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은 상기 전면 유리(11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전면 유리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과 상기 전면 유리(110)의 고정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원(121)과 상기 광원(121)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켜서 전면을 통해 전방으로 방출하는 도광판(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LCD(액정표시장치)의 조명을 위해 사용되는 백라이트 기술이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백라이트 유닛(120)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22)은 상기 광원(121)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켜서 상기 도광판(122)의 전면에 면광원을 출력하거나 상기 도광판(122)의 표면, 예를 들면 상기 도광판(122)의 배면에 형성되는 반사 패턴(123)의 디자인에 따라 소정 이미지의 광 패턴을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반사 패턴(123)이 상기 도광판(122)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122)의 전면이 전체적으로 발광하게 되고, 상기 반사 패턴(123)이 특정의 디자인에 맞춰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122)의 전면에 상기 반사 패턴(123)의 디자인에 따른 소정의 광 패턴이 출력되며, 상기 전면 유리(110)의 외부에서 상기 광 패턴이 시인된다.
상기 반사 패턴(123)은 사출성형방식이나 레이저가공방식나 V-CUT 가공방식, 잉크 인쇄방식 등에 의해 다양한 패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 패턴(123)의 제조방법 그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122)으로는 채광이나 조망을 위해 투명한 아크릴판이 적용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광원(121)으로는 LED(발광 다이오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이 유리창호로 적용될 때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은 상기 광원(121)이 상기 도광판(122)의 모서리측에 배치되는 엣지형(Edge Type)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이 엣지형인 경우에 상기 광원(121)은 상기 고정 프레임(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122)의 모서리를 향해 빛을 출사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는 배면 유리(140)가 고정되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의 배면을 커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 특히 상기 도광판(122)이 상기 전면 유리(110)와 상기 배면 유리(14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서 상기 전면 유리(110)를 향해 전방으로 빛을 출력하는 구조가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구조의 발광 유리패널(100)이 창호로 적용되면 이중 유리(Pair Glass) 구조의 유리창이나 유리문이 되며, 상기 이중 유리 사이의 공간, 상기 전면 유리(110)와 상기 배면 유리(140)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 유리(110)는 바깥쪽(실외측) 유리가 되고 상기 배면 유리(140)는 안쪽(실내측) 유리가 된다.
상기 배면 유리(140)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 고정하는 방식은 다양하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면 유리(140)는 상기 고정 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의 배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전면 유리와 백라이트 유닛(120)과 배면 유리(140)가 상호 고정되며, 상기 발광 유리패널이 창호, 예를 들면 미닫이 창문이나 여닫이 창문에 적용되어 발광 유리창가 되는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130)은 창문 프레임이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이 사각형인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130)은 상기 전면 유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어서 사각형의 틀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이 미닫이식 발광 유리창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130)에는 상기 발광 유리창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레일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에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121)에 전기가 공급되도록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은 전원 입력부(131)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121)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입력부(131)는 상기 고정 프레임(130) 그리고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이 창호로 적용되는 발광 유리창의 경우 상기 창문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원입력 포트를 갖는다. 물론 상기 광원(121)의 에너지원으로 태양광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이 건물의 창호로 적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발광 유리패널이 발광 기능을 갖는 유리창호, 즉 발광 유리창이 되며, 상기 광원(121)에 전기가 공급되어 상기 광원(121)이 켜지면 창호가 밝게 빛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이 건물의 유리 외벽으로 적용된 예, 상기 발광 유리패널이 커튼월의 유리로 적용된 예가 설명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유리패널이 건물의 유리 외벽으로 적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리 외벽에 소정의 광 패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건물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로서 제시되는 커튼월은, 복수의 발광 유리패널(100)들에 의해 분할된 건물의 유리 외벽(10)으로서,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들이 격자구조로 배치되어 건물의 외벽을 형성한다.
상기 유리 외벽(10)은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들에 의해 형성되는 광 패턴을 건물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 각각은 상기 광 패턴을 형성하는 픽셀(Pixel)이 되고,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들 중 전원이 켜지는 패널들의 조합에 의해 소정의 건물의 광 패턴이 출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들 중 전원이 켜지는 패널, 즉 유리 외벽의 발광 영역이 달라지면 상기 유리 외벽(10)에 디스플레이되는 광 패턴이 변화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커튼월은 다양한 광 패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유리 외벽(10)이 되며, 이에 따라 건물의 심미감이 향상되고 도시의 조경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건물의 외벽에 문자, 로고, 기호나 다양한 이미지가 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유리 외벽(10), 즉 커튼월이 기업의 CI를 디스플레이하는 광고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빌딩의 유리 외벽에 문자 형태의 광 패턴이 출력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원(121)으로 RGB LED가 적용되면 상기 발광 유리패널(100)과 발광 유리창가 다양한 컬러의 빛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커튼월, 즉 유리 외벽(10)에 풍부한 색채의 광 패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광 패턴과 색채의 변화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발광 유리패널, 발광 유리창 110: 전면 유리
120: 백라이트 유닛 121: 광원
122: 도광판 123: 반사 패턴
130: 고정 프레임 140: 배면 유리

Claims (13)

  1. 전면 유리; 그리고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유리의 전방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 유리를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 유리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켜서 전방으로 방출하는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 유리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 유리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원이 상기 도광판의 모서리측에 구비되는 엣지형인 발광 유리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고정되는 배면 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 유리패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유리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전면 유리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발광 유리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입력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 유리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유리는 투명한 유리 또는 하프 미러(Half Mirror)인 발광 유리패널.
  9. 전면 유리;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유리의 전방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 유리를 선택적으로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고정되는 배면 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 유리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유리와 백라이트 유닛과 배면 유리(140)는 창문 프레임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발광 유리창.
  11. 복수의 분할된 유리 외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발광 유리패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튼월(Curtain Wall)로서;
    상기 발광 유리패널은;
    실외측의 전면 유리, 그리고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유리의 전방으로 빛이 방출되도록, 상기 전면 유리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 유리를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튼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고정되는 배면 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튼월.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외벽은 상기 발광 유리패널들에 의해 형성되는 광 패턴을 건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광 패턴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발광 유리패널들은 각각 상기 광 패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픽셀을 형성하는 커튼월.
KR1020120034965A 2012-04-04 2012-04-04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 KR20130112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965A KR20130112524A (ko) 2012-04-04 2012-04-04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965A KR20130112524A (ko) 2012-04-04 2012-04-04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405A Division KR20140018161A (ko) 2013-12-02 2013-12-02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24A true KR20130112524A (ko) 2013-10-14

Family

ID=4963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965A KR20130112524A (ko) 2012-04-04 2012-04-04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25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9068A (zh) * 2019-10-08 2019-12-17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基于玻璃发光装饰画的冰箱风道及其制作工艺
CN111739436A (zh) * 2020-06-12 2020-10-02 润轩玻璃启东有限公司 一种自发光玻璃
KR20210066178A (ko) 2019-11-28 2021-06-07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모듈과 이의 제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9068A (zh) * 2019-10-08 2019-12-17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基于玻璃发光装饰画的冰箱风道及其制作工艺
KR20210066178A (ko) 2019-11-28 2021-06-07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모듈과 이의 제어 시스템
CN111739436A (zh) * 2020-06-12 2020-10-02 润轩玻璃启东有限公司 一种自发光玻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2675B (zh) 冰箱和冰箱门
WO2014119148A1 (ja) 照明モジュール
EP3108179B1 (en) Light shield using integrated lighting to create opacity and privacy in windows
KR20180023559A (ko) 전자 디바이스
US20130128559A1 (en) Sanitary Installation
KR20080101748A (ko) 평면 광원을 이용한 조명 간판
CN102667553A (zh) 透明的发光窗元件
US20220112991A1 (en) Illuminated panel
WO2013153837A1 (ja) ライトガイド、発光装置、建材用構造体、ドア照明システムおよびドア
KR20130112524A (ko)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
WO2014084079A1 (ja) 照明モジュール、ドア照明装置及び窓照明装置
KR20140018161A (ko) 발광 유리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유리창 및 커튼월
KR200469863Y1 (ko) 벽부형 진열장
KR200430955Y1 (ko) 거울 겸용 네온보드
JP6695633B2 (ja) 表示装置
JP3145054U (ja) 導光板付構築物
KR200299714Y1 (ko) 광고간판
GB2459923A (en) Assembly for simulating flames by projecting a light source on a screen
KR20110125061A (ko) 모자이크로 이루어지는 광고 건물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광고판
US11619777B2 (en) Illuminable pane unit
RU102042U1 (ru) Рама проема/рама створки, содержащая источники света
JP4990306B2 (ja) 建造物における壁板構造
KR100775997B1 (ko) 반투과형 날개를 구비한 블라인드
RU154675U1 (ru) Стеклопакет
JP2012149440A (ja) スライド式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