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791A -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791A
KR20130110791A KR1020120033035A KR20120033035A KR20130110791A KR 20130110791 A KR20130110791 A KR 20130110791A KR 1020120033035 A KR1020120033035 A KR 1020120033035A KR 20120033035 A KR20120033035 A KR 20120033035A KR 20130110791 A KR20130110791 A KR 20130110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information
smart device
ca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소프트
Priority to KR102012003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0791A/ko
Publication of KR2013011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에서 통화 착신 시점에 스마트 기기 외부에 설치된 서버의 발신자 검색모듈을 이용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가 발신자의 통화 착신 신호를 받으면 스마트 기기내의 자체 내장 수신모듈이 자체 내장 전화번호부에서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해당 전화번호부에 존재하지 않을 시 발신자 확인모듈이 구동되어 스마트 기기 외부의 서버에 설치된 발신자 검색 모듈에 접속하여 발신자 정보의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발신자 검색모듈이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발신자 검색 모듈이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정보를 반환 받아 스마트 기기의 발신자 확인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발신자 확인모듈이 발신자 검색모듈로 부터 전송받은 발신자 정보를 통화 수신 여부 기능 버튼과 함께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보여주는 단계, 수신자가 통화 수신여부 기능 버튼 선택시 스마트 기기 자체 내장 수신모듈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n providing the caller's information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when call forwarding in Smart devices}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에서 통화 착신 시점에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기기 외부의 저장소에 저장된 발신자의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의 통화신호 착신시점에 통신을 통해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여 수신자에게 인지하게 함으로서 수신자로 하여금 통화 수신여부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등의 무선 단말기 및 스마트 기기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 있고, 휴대성과 통화 기능의 결합으로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상업성 광고 전화(Spam phone)와 세일즈 프로모션광고 (Sales promotion advertising)의 전화가 급증하고 있으며, 보이스 피싱(Voice phishing)과 같은 전화 금융사기 수법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와 같이 수신자의 수신 의도가 낮거나 또는 범죄성 전화의 통화 착신 시,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없어 잠재적인 피해의 발생이 우려된다.
현재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 발신자의 정보 확인은 스마트 기기의 내장 소프트웨어인 전화번호부를 기반으로 하는 발신자명 표시 또는 특정한 벨소리에 대한 것이다. 이는 수신자가 사전에 등록한 정보이며 등록하지 않은 전화번호의 착신 시에는 화면상에서 발신 전화번호 이외에 어떠한 정보도 표현되지 않고 있어 수신자의 통화 수신 선택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의 장치에 저장된 발신자의 정보를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수신자가 인지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신자가 수신의도가 없거나 또는 낮은 전화 통화를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가 외부의 장치에 접속하여 사전에 수집한 발신자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정보를 수신하면,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인지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발신자의 전화번호로 스마트 기기의 내장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 해당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전에 등록된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원격으로 스마트 기기 외부의 발신자 검색서버에 접속하고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검색하는 단계, 발신자 검색서버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로 검색한 발신자 정보를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전송 받은 발신자의 정보와 통화 수신 여부를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보여주는 단계, 수신자가 통화 수신 및 거절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 함으로서, 수신 의도가 없거나 또는 낮은 통화 요청을 수신자가 사전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합법적이고 유용한 정보제공 목적의 통화 발신자에게 있어서는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수신자에게 통화 의도와 목적을 인지하게 함으로서 통화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있어서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조직 및 단체 내의 하나의 통합된 전화번호부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수신자가 일일이 스마트 기기의 전화번호부에 고객 또는 업무관련 발신자의 정보를 등록할 필요가 없으며, 조직 및 단체의 통합 전화번호부에서 관리하게 됨으로써 업무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 신호가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로 착신 후 발신자 정보의 전달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마트 기기에서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기기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및 통화 송수신 기능을 가진 스마트 폰,스마트 패드, 스마트 TV등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발신자 검색서버(110), 수신자 스마트 기기(120)로 구성된다.
발신자 검색서버(110)는 사전에 수집된 발신자의 정보 및 외부의 등록 요청으로 생성되는 발신자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과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120)와의 통신으로 발신자 정보의 요청 수신 및 검색, 발신자 정보 전송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발신자 검색 서버(110)내의 검색모듈(111)은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120)와의 통신,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와 연결하여 발신자 정보 검색 처리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신자 검색 서버(110)내의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는 사전에 수집된 발신자의 정보와 외부의 등록 요청을 통해 생성되는 발신자 정보들을 저장 보관하며 검색모듈(111)로부터 발신자의 정보 검색 요청 받고 검색 결과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신자 스마트 기기(120)는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발신자 검색서버(110)와의 통신을 통해 발신자 정보를 요청하고 전달을 받으며 전달 받은 발신자 정보를 수신자에게 인지하게 하여 통화 수신 여부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신자 스마트 기기(120)내의 내장 수신모듈(121)은 스마트 기기의 자체 내장 모듈이며 발신자의 통화 착신 신호를 처리 한다.
수신자 스마트 기기(120)내의 발신자 확인 모듈(122)은 발신자 검색 서버(110)의 검색모듈(111)과 통신하여 발신자 정보를 요청 하고 수신 받으며 해당 정보를 발신자 확인 화면(124)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신자 스마트 기기(120)내의 내장 전화번호부(123)는 스마트 기기의 자체 내장 모듈이며 수신자가 사전에 등록한 발신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수신자 스마트 기기(120)내의 발신자 확인 화면(124)은 발신자 검색 서버(110)로부터 전달된 발신자의 정보를 수신자가 인지하도록 스마트 기기(120)의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120)에서 발신자의 통화 착신 시점에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120)에서 발신자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가 착신(S210)되면 스마트 기기 자체 내장 수신모듈(121)은 발신자의 전화번호로 스마트 기기 자체 내장 전화번호부(123)를 검색하여 해당 발신자 전화번호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존재 한다면 발신자 확인 모듈(122)은 작동하지 않고 바로 내장 수신모듈(121)에서 처리한다(S220).
만약 내장 전화번호부(123)에 해당 발신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발신자 확인 모듈(122)이 작동된다. 발신자 확인 모듈(122)은 발신자 확인 요청을 위해 발신자 검색서버(110)의 검색모듈(111)에 접속한다(S230).
이때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업계 표준 프로토콜인 SSL(Secure Sockets Layer)을 기반으로 하는 HTTPS 통신을 한다.
발신자 검색서버(110)의 검색모듈(111)에 접속이 되면 발신자 확인 모듈(122)은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사전에 등록된 수신자 및 스마트 기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전송한다.
사전에 등록된 수신자의 고유 식별번호는 수신자가 보유한 다수의 스마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또는 수신자가 스마트 기기의 변경할 경우 수신자를 식별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으며, 사전에 발신자 검색 서버에 저장하고 보관할 수 있다.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로부터 접속요청을 받은 발신자 검색서버(110)의 검색 모듈(111)은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접속하고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수신자 및 스마트 기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자 정보를 검색한다(S240).
발신자 검색서버(111)는 검색한 발신자 정보의 결과(발신자 성명 또는 상호, 발신사유 등)를 SSL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120)에 구동중인 발신자 확인 모듈(122)로 전송한다(S250).
스마트 기기(120)의 발신자 확인 모듈(122)은 전송 받은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발신자 확인 화면(124)에 발신자의 정보와 통화 수신 및 거절 기능 선택 버튼과 함께 표시한다(S260).
수신자가 수신 또는 거절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기능 선택 이벤트에서는 스마트 기기 자체 내장 수신 모듈(121)의 수신 및 거절 기능을 호출(S109)하며 발신자 단말기와 통화 연결하거나 종료한다(S2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의 통화 착신 시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서 수신 의도가 없거나 또는 낮은 통화를 판별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110 : 발신자 검색서버 111 : 검색 모듈
112 : 발신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 스마트 기기
121 : 내장 통화 수신 모듈 122 : 발신자 확인 모듈
123 : 내장 전화번호부 124 : 발신자 확인 화면

Claims (7)

  1.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스마트 기기의 자체 내장 수신모듈은 스마트 기기 자체 내장 전화번호부에서 해당 발신자의 전화번호로 등록된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고, 존재하지 않는다면 발신자 확인 모듈이 구동되어 발신자 검색 서버에 접속해서 발신자 정보를 검색 한 후에 발신자 정보를 전송받고, 스마트 기기 화면에 발신자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발신자 확인 모듈이 스마트 기기의 자체 내장 수신 모듈과 연동되어 발신 전화번호 등의 발신관련 정보를 전달 받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 확인 모듈이 스마트 기기 외부의 설치된 발신자 정보의 보관 및 검색기능을 가진 발신자 검색 서버와 통신하여 발신자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 확인 모듈이 발신자 검색 서버에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사전에 등록된 수신자 및 스마트 기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전송하고 이를 이용하여 발신자 정보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 확인 모듈이 SSL(Secure Sockets Layer)기반의 통신 보안 프로토콜을 통해 발신자 검색서버와 접속하여 발신자 정보를 검색 한 후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의 발신자 확인 모듈이 발신자 검색 서버의 검색 모듈로부터 수신 받은 발신자 정보를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수신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7. 발신자의 통화 신호 착신 시점에 수신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확인 모듈이 자체 내장 수신모듈과 연동되어 발신 검색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발신 검색서버의 검색모듈이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스마트 기기의 발신 확인모듈에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발신 확인모듈이 전송받은 발신자 정보 확인 화면에 발신자 정보를 통화 수신 여부의 기능 버튼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수신자가 화면에서 수신 버튼을 선택하면 발신자와 통화 연결이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120033035A 2012-03-30 2012-03-30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10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035A KR20130110791A (ko) 2012-03-30 2012-03-30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035A KR20130110791A (ko) 2012-03-30 2012-03-30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791A true KR20130110791A (ko) 2013-10-10

Family

ID=4963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035A KR20130110791A (ko) 2012-03-30 2012-03-30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07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123A (ko) * 2015-09-01 2017-03-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이용한 통화 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70043272A (ko) * 2015-10-13 2017-04-21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123A (ko) * 2015-09-01 2017-03-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이용한 통화 상대방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70043272A (ko) * 2015-10-13 2017-04-21 주식회사 케이티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8373B2 (en) Identifying caller name for output on mobile phone devices
WO2017054572A1 (zh) 基于双卡双待单通终端的通信方法及装置
US10257348B2 (en)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called parties
CN101753674A (zh) 通信终端的来电处理方法及装置
JP6126751B2 (ja) 電話発信識別方法、電話発信識別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5383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contact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communication
CN102447771A (zh) 显示呼叫方信息的方法及应用该方法的通信终端
US20160014271A1 (en) Identify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Incoming Telephone Call
KR20130068044A (ko)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1907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harassing phone numbers
CN105407205A (zh) 数据输出方法和数据输出装置
KR20130110791A (ko) 스마트 기기에서의 통화 착신 시 외부 서버와 연결을 통해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4178294A (ja) 関連する電子メールを表示する携帯端末、電子メール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56077B2 (en) Communication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mmunication
JP2004274256A (ja) 管理サーバ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40034865A (ko) 착신측 사용자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CN106657542A (zh) 呼叫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8917840B2 (en) Enhanced privacy caller identification system
JP2010238158A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認証用補助プログラムとユーザ認証方法
JP2009027228A (ja) 着信履歴通知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856601A (zh) 来电显示方法及电话呼叫方法
CN108418964B (zh) 来电提示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9044493A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407466A (zh) 漏话提醒方法和装置
JP5052929B2 (ja) 受付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