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311A - 차량용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311A
KR20130109311A KR1020120030927A KR20120030927A KR20130109311A KR 20130109311 A KR20130109311 A KR 20130109311A KR 1020120030927 A KR1020120030927 A KR 1020120030927A KR 20120030927 A KR20120030927 A KR 20120030927A KR 20130109311 A KR20130109311 A KR 20130109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module
camera lens
camera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03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9311A/ko
Publication of KR20130109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4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in front of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Abstract

차량용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렌즈와, 카메라 렌즈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ECU기판이 상호 둔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차량들은 다양한 첨단 안전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빗줄기 정도에 따라 와이퍼 동작을 제어하는 우적센서, 고속도로 통행료 결제 기능이나 후방 빛 반사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룸미러, 운행 중 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전방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안전장치들은 룸미러 후방에 마련되는 모듈장치를 통해 윈도우(windowshield)에 설치되며, 이때 모듈장치는 운전자의 시야를 최대한 가리지 않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윈도우의 모듈장치에 마련되는 안전장치 중 카메라 모듈의 설치 스페이스를 줄임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렌즈와, 카메라 렌즈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ECU기판이 상호 둔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와 ECU기판 간의 경사각(Φ)은 렌즈의 시야각(Field of View;FOV)(θ)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ECU기판은 차량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윈도우에 나란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는 차량 전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카메라 렌즈와 ECU기판을 룸미러 후방의 윈도우에 마련되는 모듈장치 내에 경사지게 배치하여 소형화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수직 타입의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통상의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1)와, 렌즈(1)에서 촬영한 이미지 영상을 제어 처리하기 위한 ECU기판(2)을 포함한다. 카메라 렌즈(1)와 ECU기판(2)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수직 타입이라고 하며,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을 수평 타입이라고 한다. 카메라 렌즈(1)와 ECU기판(2)은 커넥터(3)로 연결된다.
수직 타입 카메라 모듈의 경우 렌즈(1)의 Vertical FOV(Field of view) θ각으로 인해 ECU기판(3)의 사이즈는 제한을 받는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의 길이 즉, ECU기판(2)의 최대길이 d는 h/tanθ - 하우징의 두께이다. h는 ECU기판(2)으로부터 렌즈홀더(4)의 중심까지의 거리이다. ECU기판(2)의 길이가 최대 길이(d)를 넘게 되면 렌즈(1)의 시야 일부를 가리게 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전체 높이는 h + 렌즈홀더(4)의 높이/2 + ECU기판(2)의 두께 + 커넥터(3)의 높이 + 하우징의 두께를 고려해서 확보해야 한다. 렌즈(1)를 지지하는 렌즈홀더(4)의 높이는 렌즈의 구경에 비례하므로 렌즈(1)가 커지면 카메라 모듈의 높이도 높아지기 때문에, 한정된 하우징(미도시)의 공간에서 ECU기판(2)의 두께는 더욱 제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10)은 카메라 렌즈(11)와 ECU기판(12)이 둔각을 형성한다. 예컨대, 기존 수직형 타입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11)는 ECU기판(12)에 대해 직각과 둔각 범위 내에서 소정 경사 각도 Φ를 갖는다. 경사 각도 Φ는 카메라 렌즈(11)의 FOV θ보다 크다.
Φ가 θ보다 크면, 도시된 바와 같이 ECU기판(12)의 사이즈가 커지더라도 카메라 렌즈(11)의 시야는 전혀 방해받지 않는다. 또한, ECU기판(12)을 2열(12a,12b)로 배치하더라도 모듈장치(도 3의 20)의 하우징 사이즈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기판의 면적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룸미러(5) 후방에 위치하는 윈도우(6)의 모듈장치(20) 내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장치(20)는 지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윈도우(windowshield)(6)에 설치된다. 설치 시 모듈 장치(20) 내의 ECU기판(12)과 윈도우(6)의 방향을 나란히 하면, 카메라 렌즈(11)의 중심선은 지면과 거의 수평을 형성하거나 제품의 기능에 따라 하늘 또는 땅을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10)을 윈도우(6)에 설치하면, 모듈장치(20)에 설치되는 ECU기판(12)의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카메라 모듈을 커버하는 모듈장치(20)의 하우징 높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컨대, 윈도우(6)에 경사 설치된 모듈장치(20)의 높이는 수직 높이가 아닌 하우징의 대각선 길이가 되기 때문이다. 즉, 제조 비용을 좀 더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10)을 윈도우(6)에 설치하면, 차량 내 파워 케이블(미도시)과 카메라 모듈(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가 용이하다. 차량용 케이블은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지며 직경이 0.5mm 정도로 두껍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수직 타입을 윈도우에 설치할 경우 케이블을 밴딩하기 위한 추가 공간이 필요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는 차량의 천장에서 내려오는 케이블을 밴딩없이 그대로 카메라 모듈(10)의 ECU기판(12)에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13a,13b는 커넥터이며, 14는 카메라 렌즈(11)을 지지하는 렌즈홀더이다. 도면에서는 카메라 렌즈(11)와 ECU기판(13)을 커넥터로 연결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그 외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플럭서블 PCB, 케이블 등으로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5..룸미러 6..윈도우
10..카메라 모듈 11..카메라 렌즈
12..ECU기판 13..커넥터
14..렌즈홀더 20..모듈장치

Claims (3)

  1. 카메라 렌즈와, 카메라 렌즈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ECU기판이 상호 둔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와 ECU기판 간의 경사각(Φ)은 렌즈의 시야각(Field of View;FOV)(θ)보다 큰 차량용 카메라 모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CU기판은 차량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윈도우에 나란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는 차량 전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20120030927A 2012-03-27 2012-03-27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20130109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927A KR20130109311A (ko) 2012-03-27 2012-03-27 차량용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927A KR20130109311A (ko) 2012-03-27 2012-03-27 차량용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311A true KR20130109311A (ko) 2013-10-08

Family

ID=4963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927A KR20130109311A (ko) 2012-03-27 2012-03-27 차량용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93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9773A (ja) * 2017-05-01 2018-11-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カメラ
US11529933B2 (en) 2019-11-29 2022-12-20 Hyundai Motor Company Sens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9773A (ja) * 2017-05-01 2018-11-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カメラ
US11529933B2 (en) 2019-11-29 2022-12-20 Hyundai Motor Company Sens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8274B2 (en) Vehicular camera module
US11718228B2 (en) Vehicular camera system
US10773724B2 (en) Accessory system for vehicle
US20110234798A1 (en) Camera device and vehicle with same
US20170129404A1 (en) On-vehicle imaging device
WO2013123161A1 (en) Vehicle vision system with light baffling system
JP4718243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車載用デジタルカメラ、車載カメラ付きドアミラー
EP2022676A3 (en) Camera for mounting in motor vehicle
US20090289811A1 (en) Display system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20190293783A1 (en) Apparatus with a Sensor Assembly and a Stray Light Baffle
US9224889B2 (en) Optical assembly for a light sensor, light sensor assembly using the optical assembly, and vehicle rearview assembly using the light sensor assembly
KR20130109311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US20140293054A1 (en) Optical device for a vehicle
CN207403647U (zh) 一种车用摄像装置及汽车
US10688942B2 (en) Imaging device
KR101661658B1 (ko) 카메라 장치
CN210191327U (zh) 车用盲区显示装置
CN220199016U (zh) 前挡风玻璃支架及车辆
KR20180059060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20160126649A (ko) 차량 장착용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