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109A - 마찰이 감소되고 강도가 높은 도관 내관 - Google Patents

마찰이 감소되고 강도가 높은 도관 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109A
KR20130109109A KR1020137005964A KR20137005964A KR20130109109A KR 20130109109 A KR20130109109 A KR 20130109109A KR 1020137005964 A KR1020137005964 A KR 1020137005964A KR 20137005964 A KR20137005964 A KR 20137005964A KR 20130109109 A KR20130109109 A KR 20130109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portion
fabric
conduit
friction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리 엘 앨런
Original Assignee
웨스코 이퀴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코 이퀴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웨스코 이퀴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09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도관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장치는 고인장 강도를 갖는 제1 직물재 및 저마찰계수를 갖는 제2 직물재를 포함한다. 제1 직물재와 제2 직물재는 서로 부착되어 내관을 형성한다. 저마찰계수의 제3 직물재가 제1 직물재에 부착될 수 있어, 외면이 저마찰계수를 나타내는 내관을 제공한다. 내관 또는 견인 테이프(pull tape)는 또한 고인장 강도의 내부 코어 및 저마찰계수를 갖는 외피를 갖는 스트랜드(strand)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스트랜드는 함께 직조되어 내관 또는 견인 테이프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찰이 감소되고 강도가 높은 도관 내관{CONDUIT INNERDUCT HAVING REDUCED FRICTION AND HIGH STRENGTH}
관련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0년 9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406,806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미국 특허는 참고에 의해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하 도관에 배치되고, 내부에 케이블 또는 다른 아이템을 수용하도록 된 직물 내관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또한 케이블을 도관 내로 견인하는 데 사용되는 직물 견인 테이프(pull tape)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도관 내로의 삽입의 마찰을 줄이는 직물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 형성된 내관 또는 견인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직물로 이루어진 시스템은 내관의 인장 강도를 높이면서 내관으로의 케이블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미국 특허 제6,262,37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직물 내관은 통신 산업에서 매우 성공적이었다. 이러한 내관은 도관 내로 삽입되며, 지하에서 수마일 연장될 수 있고, 각기 케이블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획, 셀을 제공한다. 상기의 것은 이전의 그 강성 내관에 비해 현저한 개선을 나타내지만, 내관을 도관 내로 삽입할 때, 특히 케이블을 내관의 구획에 삽입할 때 형성되는 마찰을 줄이는 데 있어서 개선에 대한 여지가 있다.
이러한 직물 도관은 도관 내로 견인되는 것을 견디는 인장 강도를 가져야만 하며, 이와 동시에 가능한 한 적은 마찰 저항을 제공해야만 한다. 지금까지 이들 도관은 고강도와 저마찰 간의 절충을 제공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직물재로 직조되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내관용의 직물은 통상적으로 고인장 강도 재료로 이루어진 스트랜드(strand)를 사용하여 권취 방향으로, 그리고 저마찰 재료로 이루어진 스트랜드를 사용하여 충전 방향으로 직조된다. 이에 따라, 저마찰로 인해 일부 강도가 손실되며, 강도로 인해 일부 마찰이 용인된다.
직물재로 형성된 견인 테이프는 내관의 구획에 위치 설정된 후, 케이블을 구획 내로 견인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내관과 마찬가지로, 견인 테이프는 케이블을 내관 내로 견인하는 데 요구되는 인장 강도를 가져야만 한다. 그러나, 그러한 견인 테이프를 위한 종래 기술의 재료는 테이프의 용이한 이동을 희생시켜 그러한 인장 강도를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고인장 강도와 이와 동시에 저마찰을 제공하는 직물로 형성된 내관 또는 견인 테이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일양태의 목적은, 도관 내로 도입되는 장치로서, 하나의 직물은 고인장 강도를 갖고 나머지 직물은 저마찰계수를 갖는 2개의 직물로 형성된 내관 또는 견인 테이프 등과 같은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면이 저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내부가 고인장 강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 상기와 같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현존하는 종래 기술 형태에 대한 본 발명의 장점은 아래에 설명되고 청구되는 개선점에 의해 달성되며, 후속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관에 삽입되는 장치는, 소망하는 인장 강도의 제1 재료부 및 소망하는 마찰계수의 제2 재료부를 포함한다. 제1 재료부 및 제2 재료부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 설정된다.
본 발명의 특정 일양태에 따르면, 도관 내로 삽입되는 장치는 소망하는 인장 강도를 갖는 제1 직물재 및 이 제1 직물재에 부착되고 소망하는 마찰계수를 갖는 제2 직물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관 내로 삽입되는 장치는 소망하는 마찰계수를 갖는 제1 직물재와 이 제1 직물재에 부착되고 소망하는 인장 강도를 갖는 제2 직물재를 포함한다. 제3 직물재가 제2 직물재에 부착되며, 소망하는 마찰계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관 내로 삽입되는 장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 재료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트랜드는 소망하는 인장 강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및 내부 코어 둘레에 있고 소망하는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다른 외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내관 또는 견인 테이프 형태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장치는 예로서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및 수정 모두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명세서의 세부사항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평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인장 강도와 이와 동시에 저마찰을 제공하는 직물로 형성된 내관 또는 견인 테이프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내관의 다소 개략적인 부분 측부 입면도이다.
도 2는 실질적으로 도 1의 선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원으로 표시되고 도 3이라고 기재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원으로 표시되고 도 4라고 기재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실질적으로 도 2의 선 5-5를 따라 취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견인 테이프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지하 도관에 수용되고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내관은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나타낸다. 내관(10)은 바람직하게는 직물재로 형성되고, 본 발명에 관한 충분한 이해를 위해 필요할 수 있는 세부사항을 위해 참고되는 미국 특허 제6,262,371호에 설명된 유형의 것일 수 있다.
내관(10)은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1, 1213으로 나타낸 복수 개의 셀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종 그러한 내관은 단지 하나의 셀을 가질 수도 있고, 임의의 개수의 복수 개의 셀을 가질 수도 있으며, 여기에는 3개의 셀이 도시되어 있다. 셀(11)은 그 단부에서 스티칭(15)에 의해 부착되어 케이블 또는 유사 아이템을 수용하기 위한 구획(16)을 형성하는 직물재(14)로 구성된다. 셀(12)은 그 단부에서, 셀(11)의 직물재(14)의 단부를 부착하는 동일한 스티칭(15)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직물재(17)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구획(18)이 셀(12)에 형성되어 케이블 또는 유사 아이템을 수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셀(11, 12, 13) 모두가 서로 부착되도록 셀(13)은 그 단부에서 스티칭(15)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직물재(19)로 구성된다. 구획(20)이 셀(13)에 형성되어 케이블 또는 유사 아이템을 수용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셀(11)의 직물재(14)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2개의 플라이(ply), 즉 고인장 강도재로 이루어진 외측 플라이(21) 및 저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내측 플라이(22)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고인장 강도재는 인장 강도가 대략 230 파운드/인치 이상인 것이고, 저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는 약 0.10 내지 약 0.15의 마찰계수를 갖는 것이다. 그 결과, 외측 플라이(21)는 셀(11)에 강도를 갖는 표면을 제공하는 한편, 내측 플라이(22)는 소망하는 마찰계수를 갖는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케이블이나 다른 아이템이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외측 플라이(21)와 내측 플라이(22)는 바느질, 열 배딩(heat bading)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내관(10)의 다른 셀 모두는 셀(11)의 2개 플라이 개념의 것일 수 있지만, 이 설명을 위해 다른 2개의 셀, 즉 12 13은 상이하게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셀(13)의 직물재(19)는 직물재로 이루어진 3개의 플라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내측 플라이(23) 및 외측 플라이(24)는 저마찰계수 재료로 형성된 재료인 반면, 플라이(23, 24)들 사이에 삽입된 중앙 플라이(25)는 소망하는 고인장 강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 결과, 중앙 플라이(25)는 셀(13)에 강도를 제공하고, 내측 플라이(23)는 표면을 제공하며 케이블이나 다른 아이템이 셀(1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외측 플라이(24)는 셀(13)을 도관에 삽입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플라이(23, 24, 25)는 플라이(21, 22)와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셀(13)이 3개의 플라이(23, 24, 25)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셀(11, 12)도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셀(12) 또는 견인 테이프의 직물재(17)는 2개의 상이한 재료로 공동 압출되고 직조되어 셀(12)이나 견인 테이프를 형성하는 재료(17)로 이루어진 스트랜드(26)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재료(17)로 이루어진 각각의 스트랜드(26)가 소망하는 고인장 강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 내부 코어(27)와 소망하는 저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 외피(28)를 갖는다. 이에 따라, 직조되었을 때, 재료(17)의 양측부의 외면은 저마찰을 제공하여 도관 내로의 용이한 삽입과 셀(12) 내로의 케이블 또는 다른 아이템의 용이한 삽입 양자를 달성한다. 이와 동시에, 내부 코어(27)는 셀(12)에 필요한 강도를 제공한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셀(12)이 이러한 독특한 스트랜드(26)로 직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셀(11, 13)도 이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10 : 내관
11, 12, 13 : 셀
21, 24 : 외측 플라이
22, 23 : 내측 플라이
25 : 중앙 플라이
27 : 내부 코어
28 : 외피

Claims (18)

  1. 도관 내로 삽입되는 장치로서, 소망하는 인장 강도를 갖는 제1 재료부 및 소망하는 마찰계수를 갖는 제2 재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재료부 및 제2 재료부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 설정되는 것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부 및 제2 재료부는 서로 부착되는 것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부 및 제2 재료부는 직물인 것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부는 장치의 일면을 한정하고, 상기 제2 재료부는 장치의 대향면을 한정하는 것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부 및 제2 재료부는 도관 내로 삽입되도록 된 내관을 형성하는 것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소망하는 저마찰계수를 갖는 제3 재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재료부는 제1 재료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3 재료부는 제1 재료부에 부착되는 것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부, 제2 재료부 및 제3 재료부는 직물인 것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부는 장치의 일면을 한정하고, 상기 제3 재료부는 장치의 대향면을 한정하는 것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부, 제2 재료부 및 제3 재료부는 도관 내로 삽입되도록 된 내관을 형성하는 것인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부 및 제2 재료부는 서로 부착될 때에 스트랜드(strand)를 형성하는 것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부는 스트랜드의 외측부를 형성하는 것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가 함께 직조되어, 도관 내로 삽입되도록 된 내관을 형성하는 것인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스트랜드는 서로 직조되어, 도관 내로 삽입되도록 된 견인 테이프(pull tape)를 형성하는 것인 장치.
  14. 도관 내로 삽입되는 장치로서, 소망하는 인장 강도를 갖는 제1 직물재 및 이 제1 직물재에 부착되고 소망하는 마찰계수를 갖는 제2 직물재를 포함하는 장치.
  15. 도관 내로 삽입되는 장치로서, 소망하는 마찰계수를 갖는 제1 직물재, 이 제1 직물재에 부착되고 소망하는 인장 강도를 갖는 제2 직물재, 및 이 제2 직물재에 부착되고 소망하는 마찰계수를 갖는 제3 직물재를 포함하는 장치.
  16. 도관 내로 삽입되는 장치로서, 복수 개의 스트랜드 재료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스트랜드는 소망하는 인장 강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및 이 내부 코어 둘레에 있고 소망하는 마찰계수를 갖는 외피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는 함께 직조되어 내관을 형성하는 것인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는 함께 직조되어 견인 테이프를 형성하는 것인 장치.
KR1020137005964A 2010-09-23 2011-09-22 마찰이 감소되고 강도가 높은 도관 내관 KR20130109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0380610P 2010-09-23 2010-09-23
US61/403,806 2010-09-23
US13/193,915 US20120073854A1 (en) 2010-09-23 2011-07-29 Conduit innerduct having reduced friction and high strength
US13/193,915 2011-07-29
PCT/US2011/052678 WO2012040413A2 (en) 2010-09-23 2011-09-22 Conduit innerduct having reduced friction and high streng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109A true KR20130109109A (ko) 2013-10-07

Family

ID=4478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964A KR20130109109A (ko) 2010-09-23 2011-09-22 마찰이 감소되고 강도가 높은 도관 내관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20120073854A1 (ko)
EP (1) EP2601717B1 (ko)
JP (1) JP2013539345A (ko)
KR (1) KR20130109109A (ko)
CN (1) CN103222141B (ko)
AU (1) AU2011305378B2 (ko)
BR (1) BR112013006666A2 (ko)
CA (1) CA2809676A1 (ko)
CL (1) CL2013000684A1 (ko)
CO (1) CO6650395A2 (ko)
DK (1) DK2601717T3 (ko)
ES (1) ES2552522T3 (ko)
HK (1) HK1182837A1 (ko)
IL (1) IL224804A (ko)
MX (1) MX2013003269A (ko)
MY (1) MY165385A (ko)
NZ (1) NZ606913A (ko)
PT (1) PT2601717E (ko)
RU (1) RU2580940C2 (ko)
WO (1) WO201204041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32309A1 (en) 2010-11-30 2012-05-31 Morris David D Woven textile fabric and innerduct having multiple-inserted filling yarns
USD785340S1 (en) * 2015-11-24 2017-05-02 Milliken & Company Fabric
US10254498B2 (en) 2015-11-24 2019-04-09 Milliken & Company Partial float weave fabric
CN111355192B (zh) 2018-12-20 2022-03-15 美利肯公司 多空腔内导管结构体
CN211151397U (zh) 2018-12-20 2020-07-31 美利肯公司 多空腔折叠的内导管结构体
US11404859B2 (en) * 2019-04-22 2022-08-02 Wesco Distribu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a cable into a conduit
US20230175612A1 (en) 2021-12-07 2023-06-08 Milliken & Company Blowable flexible innerduc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2283A (en) * 1957-05-28 1958-12-02 Russell Mfg Co Anti-friction fabric
US4892442A (en) * 1987-03-03 1990-01-09 Dura-Line Prelubricated innerduct
JPH0628940U (ja) * 1991-11-15 1994-04-15 東京瓦斯株式会社 管内走行機器用信号ケーブル
JPH1020171A (ja) * 1996-07-08 1998-01-23 Fujikura Ltd 空気圧送光ケーブル用パイプ
US5843542A (en) * 1997-11-10 1998-12-01 Bentley-Harris Inc. Woven fabric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conformability
DE69835582T2 (de) * 1998-06-05 2007-08-16 W.L. Gore & Associates Gmbh Textiler Verbundstoff
US6262371B1 (en) * 1999-06-23 2001-07-17 Marc Tal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 conduit into compartments
US6304698B1 (en) * 1999-09-22 2001-10-16 Milliken & Company Conduit insert for optical fiber cable
US6558250B1 (en) * 2000-10-23 2003-05-06 Nicolas B. Paschke Fabric flow restriction and method for restricting a fabric duct
US6845789B2 (en) * 2001-11-30 2005-01-25 Corning Cable Systems Llc High density fiber optic cable inner ducts
US6718100B2 (en) * 2002-03-28 2004-04-06 Milliken & Company Fire resistant conduit insert for optical fiber cable
US6901192B2 (en) * 2002-11-18 2005-05-31 Neptco Incorporated Cable strength member
KR100528751B1 (ko) * 2003-06-27 2005-11-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윤활성 표면을 갖는 광섬유 유닛 포설용 튜브
US7064299B2 (en) * 2003-09-30 2006-06-20 Milliken & Company Electrical connection of flexible conductive strands in a flexible body
US7188642B2 (en) * 2004-02-20 2007-03-13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Low-friction pull tape
US20050194578A1 (en) * 2004-03-03 2005-09-08 Morris David D. Innerduct guide tube assembly for fiber optic cable
US7550666B2 (en) * 2005-11-29 2009-06-23 Icore International Limited Electrical-cable shielding
CN106873110A (zh) * 2006-08-31 2017-06-20 美利肯公司 柔性内导管
US20080054236A1 (en) * 2006-08-31 2008-03-06 Morris David D Method of installing a conduit, innerduct, and cable
US7799997B2 (en) * 2007-04-27 2010-09-21 Milliken & Company Innerduct structure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CN101227072B (zh) * 2007-11-29 2010-06-02 浙江八方电信有限公司 电缆纺织子管
CN201250310Y (zh) * 2008-06-16 2009-06-03 李振杭 聚丙烯复合纱线
JP4601012B2 (ja) * 2008-09-19 2010-12-22 芦森工業株式会社 既設管路の情報対応管構築方法及び既設管路の情報対応管構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1717B1 (en) 2015-10-21
PT2601717E (pt) 2016-01-22
ES2552522T3 (es) 2015-11-30
WO2012040413A3 (en) 2013-05-02
CL2013000684A1 (es) 2013-07-05
BR112013006666A2 (pt) 2016-06-07
AU2011305378B2 (en) 2015-05-07
MY165385A (en) 2018-03-21
DK2601717T3 (en) 2016-01-18
MX2013003269A (es) 2013-04-24
NZ606913A (en) 2016-03-31
CN103222141B (zh) 2017-02-08
JP2013539345A (ja) 2013-10-17
CO6650395A2 (es) 2013-04-15
CA2809676A1 (en) 2012-03-29
RU2580940C2 (ru) 2016-04-10
RU2013118573A (ru) 2014-10-27
CN103222141A (zh) 2013-07-24
WO2012040413A2 (en) 2012-03-29
IL224804A (en) 2017-08-31
HK1182837A1 (zh) 2013-12-06
US20120073854A1 (en) 2012-03-29
EP2601717A2 (en) 2013-06-12
AU2011305378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9109A (ko) 마찰이 감소되고 강도가 높은 도관 내관
US10435824B2 (en) Innerduct structure containing monofilament jacketed woven rope
KR101219866B1 (ko) 도관, 내관, 및 케이블 포설 방법
TWI453484B (zh) 具有增強可撓性之內部管線結構
CN206502927U (zh) 包含交替图案的机织物、用于电缆的内导管以及包含管道和所述管道内部的内导管的装置
TW201229347A (en) Woven textile fabric and innerduct having multiple-inserted filling yarns
US20060215979A1 (en) Method of dividing a conduit using an innerduct structure
AU4982301A (en) Optic cable conduit ins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11525792A (ja) ファブリックスリーブを有する通信ケーブル
CN102751689B (zh) 分隔式管道及形成方法
KR102537734B1 (ko) 공기압 포설 섬유를 위한 직물 매입형 마이크로 튜브
KR20210152477A (ko) 케이블을 도관에 도입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