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091A - Garment having cup portions - Google Patents

Garment having cup por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091A
KR20130109091A KR1020137000487A KR20137000487A KR20130109091A KR 20130109091 A KR20130109091 A KR 20130109091A KR 1020137000487 A KR1020137000487 A KR 1020137000487A KR 20137000487 A KR20137000487 A KR 20137000487A KR 20130109091 A KR20130109091 A KR 20130109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ust
underarm
strap
connec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츠코 호리이
유키오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ublication of KR2013010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0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0Brassieres with 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21Brassieres with suspension construction for the breas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28Brassieres with size and configuration adjust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바스트의 처짐에 의해 생기는 바스트 상부의 살의 늘어짐 부분과 컵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를 제공한다. 좌우의 컵부의 앞 중앙측 상단과 언더암측 상단을 연결하는 상변의 상단점을 상기 컵부의 바스트 탑의 바로 위 위치와 상기 언더암측 상단 사이의 중간의 늘어짐 발생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컵부의 상변 상단점에 스트랩을 연결하고, 상기 스트랩에 의한 컵의 인상에 의해 상기 늘어짐 발생 위치에 상기 컵부의 상변을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vided is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which prevents a gap from forming between the sag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st and the cup portion caused by sagging of the bust. The upper end point of the upper edge connecting the front center side upper end of the left and right cup parts and the upper end of the underarm side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agging occurs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bust top of the cup part and the upper end of the underarm side, and the upper end upper end of the cup part. A strap is connected to the point, and the upper side of the cup par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ag generation position by the lifting of the cup by the strap.

Description

컵부를 갖는 의류{GARMENT HAVING CUP PORTIONS}Clothing with a cup part {GARMENT HAVING CUP PORTIONS}

본 발명은 컵부를 갖는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스트가 처져서 바스트 상부의 살이 늘어져서 평탄화되어도 컵부의 상변을 바스트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꼭 맞출 수 있게 한 브래지어 등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 or the like that allows the top side of the cup portion to be fitted tightly so that a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bust even when the bust is sag and the fles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st is flattened.

일반적으로, 나이가 듬에 따라 바스트가 처지고, 이 처짐에 따라 바스트의 언더암측 상부의 둥금이 소실되어 컵부의 언더암측 상변에 접촉하는 위치의 바스트 상부의 살이 평탄화되고, 소위 살의 늘어짐이 발생된다. 도 7에 부호 X를 붙여서 나타내는 부분은 누드 상태에 있어서의 살의 늘어짐 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In general, the bust sags with age, and according to this sag, the round upper portion of the underarm side of the bust is lost, and the fles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st flattened at the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arm side of the cup portion is flattened, so-called sagging of the flesh occurs. . The part shown with the code | symbol X in FIG. 7 shows the state of the sag of the flesh in a nude state.

착용자의 바스트에 상기와 같은 살의 늘어짐 부분(X)이 형성되어 있으면, 종래의 브래지어에서는 컵부가 바스트에 충분 피트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8은 상기 늘어짐 부분(X)이 바스트에 형성되어 있는 착용자가 종래의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깨끈(스트랩)(100)은 컵부(101)의 상변(101a) 언더암측 상단에 연결되어 있고, 어깨끈(100)은 컵부(101)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If the above described sag portion X of the flesh is formed on the bust of the wear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p part does not fit the bust sufficiently in the conventional bra.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having the sagging portion X formed on the bust wears a conventional bra. As shown in FIG. 8, the shoulder strap (strap) 10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arm 101a of the cup portion 101, and the shoulder strap 100 is configured to pull the cup portion 101 upward. Formed.

이와 같이, 종래의 브래지어에서는 늘어짐 부분(X)에 인접하도록 어깨끈(100)이 컵부(10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 상태에 있어서도 살의 늘어짐 상태가 일부 잔존해 버려 컵부와 바스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바스트에 대한 브래지어의 피팅성이 낮은 것으로 되어 착용자가 팔을 올리고 내리는 일상 동작에 따라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생기기 쉽다. 또한, 몸을 앞으로 구부린 자세가 되었을 때 컵부 상변과 바스트 사이의 간극이 커져서 상방으로부터 들여다 보았을 때에 바스트가 보이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bra, since the shoulder strap 100 is connected to the cup portion 101 so as to be adjacent to the drooping portion X, the drooping state of the flesh remains even in the worn state,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up portion and the bust. It becomes. For this reason, the fitting of the bra to the bust is low, and the disturbance of the clothes tends to occur in accordance with the daily operation of the wearer raising and lowering the arm. In addition, when the body is bent forw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portion and the bust increases and the bust is easy to be seen when viewed from above.

즉, 종래의 일반적인 브래지어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스트를 효과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 스트랩은 컵부의 상변 언더암측 상단에 연결되어 있고, 스트랩에 의해 컵부의 상변을 피부측으로 끌어당기는 기능을 부여하고 있지 않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general bra, as shown in Fig. 8, in order to effectively raise the bust, the strap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underarm side of the cup portion, and the strap does not provide a function of pulling the upper side of the cup portion to the skin side by the strap. .

그런데, 일본 특허 공개 평 11-229205호 공보(특허문헌 1)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브래지어(200)가 제안되어 있다. 브래지어(200)는 바스트 업 작용을 담당하는 스트랩으로 되는 숄더부(201)의 폭은 20∼80㎜ 정도의 광폭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트랩이 세폭일 경우와 같이 압력이 집중해서 어깨 결림이 발생하고, 또한 위치 어긋남이 생겨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네크 주변이 되는 컵부의 앞면부(202), 상기 숄더부(201) 및 배면부(203)는 네크측을 되접어 꺾어서 가장자리부(202a, 201a, 203a)로 하고, 또한 숄더부(201)를 포함시켜서 앞면부(202) 및 배면부(203)는 신축성 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By the way,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1-229205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bra 200 shown in FIG. 9. The bra 200 has a width of about 20 to 80 mm in the width of the shoulder portion 201, which is a strap that performs the bust up action. As a result, as in the case where the strap is narrow, pressure is concentrated to prevent stiffness of the shoulders, and positional shifts are caused to prevent the disorder of the clothes. In addition, the front part 202, the shoulder part 201, and the back part 203 of the cup part which become a neck periphery are turned to the edge part 202a, 201a, and 203a by folding the neck side, and the shoulder part 201 Including the front portion 202 and the back portion 203 is formed of a stretch fabric.

이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스트랩에 상당하는 숄더부는 네크측에서 되접어 꺾은 광폭의 신축성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어깨에의 부담을 저감해서 어깨 결림을 예방하고, 또한 스트랩의 어긋남 발생을 적게 해서 착용감을 높이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Patent Document 1, the should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trap is formed of a wide elastic material folded back from the neck side,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shoulder to prevent shoulder stiffness, and also reducing the occurrence of strap misalignment. Is raising.

일본 특허 공개 평 11-229205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229205

특허문헌 1에서는 스트랩을 광폭의 숄더부(201)로 하고, 상기 광폭의 숄더부(201)를 앞면부(202) 및 배면부(203)와 광폭으로 접합함으로써 스트랩에 의한 어깨로의 압력 집중을 저감하고 있지만, 상기 바스트 상부의 늘어짐에 의한 컵부와의 간극 발생을 저감하는 기능은 갖고 있지 않았다.In Patent Literature 1, the strap is used as the wide shoulder portion 201, and the wide shoulder portion 201 is bonded to the front portion 202 and the back portion 203 in a wide manner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pressure on the shoulder by the strap. However, it did not have the function of reducing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clearance gap with the cup part by sagging of the said bust upper part.

즉, 광폭의 숄더부(201)의 언더암측 단(201b)은 암홀을 따르는 형상이며, 앞면부(202) 및 배면부(203)의 언더암측 단(202b, 203b)과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숄더부(201)를 언더암측으로 잡아당기는 힘, 앞면부(202)를 배면부(203)측으로 상방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지만, 숄더부(201)에 의해 앞면부(202)를 피부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지 않다.That is, the underarm side end 201b of the wide shoulder portion 201 has a shape along the arm hole, and because it is continuous with the underarm side ends 202b and 203b of the front portion 202 and the back portion 203, the shoulder portion ( 201) to pull the front arm 202 to the underarm side, the force to pull the front portion 202 upward toward the back portion 203 side, but the force to pull the front portion 202 to the skin side by the shoulder portion 201 It is not installed.

따라서, 바스트가 처져서 바스트의 상부의 살이 늘어져서 컵부와 바스트 사이에 간극이 발생해도 상기 간극이 없어지도록 컵부의 앞면부를 피부측으로 잡아당겨서 컵부의 상변을 바스트에 꼭 맞추는 기능은 없다.Therefore, even if the bust sags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ust stretches, and there is a gap between the cup portion and the bust,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portion is pulled toward the skin side so that the gap is eliminated,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cup portion does not have a function to fit the bust.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트랩에 의해 컵부의 앞면부를 상방으로 잡아당겨서 바스트 업 기능을 담당하게 할 뿐만 아니라 스트랩에 의해 컵부의 앞면부를 피부측으로 잡아당겨서 피부에 꼭 밀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바스트 상변에 늘어짐이 형성되어 있어도 착용 상태에 있어서 컵부와 바스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by pulling the front portion of the cup portion upward by the strap to perform a bust-up function, and by allowing the strap to pull the front portion of the cup portion toward the skin sid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Even if a sag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a bust, it is a subject to prevent a clearance gap between a cup part and a bust in a wearing state, an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a mes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컵부의 상변을 형성하는 앞 중앙측 경사변과 언더암측 경사변의 연결점을 상기 컵부의 바스트 탑 위치의 언더암측 상방에 위치하는 바스트의 늘어짐 형성 영역에 형성하고,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is invention forms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ront center side inclination side which forms the upper side of a cup part, and the underarm side inclination side in the droop formation area of the bust located above the underarm side of the bust top position of the said cup part,

상기 연결점에 스트랩을 연결하고, 상기 스트랩에 의한 컵의 인상으로 상기늘어짐 형성 영역에 상기 컵부의 상변을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컵부의 바스트 탑 위치란 착용 상태에 있어서 바스트 탑을 덮는 위치이다.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is provided, wherein the strap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and the upper side of the cup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longated formation region by the impression of the cup by the strap. In addition, the bust top position of a cup part is a position which covers a bust top in a wearing state.

상기 컵부의 상변의 연결점은 상기 상변의 전체 길이를 L이라고 하면 언더암측 단으로부터 0.2L∼0.6L의 범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upper side of the said cup part is located in the range of 0.2L-0.6L from the underarm side end, if L is the total length of the said upper side.

상기 컵부 상변의 연결점은 바스트가 처졌을 경우에 근육의 늘어짐이 현저하게 발생하는 부위에 상당한다. 상기한 컵부의 상변 전체 길이를 L이라고 하면 언더암측 상단으로부터 0.2L∼0.6L의 범위 내, 보다 한정적으로는 0.3L∼0.6L의 범위에 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본 발명자는 다수의 모니터의 경년적인 체위 측정에 의해 인식하고 있다.The connection point of the upper side of the cup portion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muscle sagging occurs remarkably when the bust sags.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upp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cup part is referred to as L, sagging occurs in the range of 0.2L to 0.6L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range of 0.3L to 0.6L from the upper end of the underarm side. We recognize by position measurement.

또한, 컵부의 상변이 상향 원호 형상으로 돌출할 경우, 산형 형상으로 돌출할 경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나 상기 범위에 컵부의 상변 연결점을 설정하고 있다. 또한, 컵부의 아랫둘레 가장자리에 부착하는 와이어의 언더암측 상단과 앞 중앙 상단을 직선으로 연결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직선 치수를 L이라고 하면, 언더암측 상단으로부터 0.2L∼0.6L의 범위 내에 컵부의 상변 연결점을 형성하고, 이 연결점에 스트랩을 연결하고 있다.Moreover, when the upper side of a cup part protrudes in an upward arc shape, the upper side connection point of the cup part is set in the said range in any of the cases where it protrudes in a mountain shape. In addition, even when the upper end of the underarm side and the front center upper end of the wire to be attached to the lower edge of the cup part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when the linear dimension is L, the upper side of the cup part is within the range of 0.2 L to 0.6 L from the upper end of the under arm side. A connection point is formed and a strap is connected to this connection point.

상기 구성으로 하면, 착용 상태에 있어서 늘어짐 발생 위치에 어깨 스트랩과 컵부의 연결 부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컵부에는 어깨 스트랩에 의해 상방으로 끌어올림과 아울러 바스트측으로 컵부를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늘어짐이 발생하고 있는 부분에 컵부의 상부가 밀착하여 컵부와 늘어짐 부분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houlder strap and the cup portion is provi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agging occurs in the worn state, the cup portion is pulled upward by the shoulder strap and pulls the cup portion toward the bust sid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cup portion and the sag portion from being generated by bring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portion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ortion where sagging occurs.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브래지어는 상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부의 상변 연결점은 언더암측 단으로 하고, 상기 언더암측 단에 스트랩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트랩과 컵의 연결 부분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결 부분보다 앞 중앙 근처의 늘어짐이 형성되는 부분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늘어짐 형성 부분에 컵부의 연결점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점에 스트랩을 연결하면, 스트랩의 인장으로 컵부의 상변은 피부측으로 잡아당겨짐과 아울러 상방으로 잡아당겨진다. 스트랩으로 컵부 상변의 상단을 피부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피부측에 늘어짐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컵부 상변의 상단 부분을 피부에 피트시킬 수 있고, 피부와 컵부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general bra, as shown in Fig. 7, the upper connection point of the cup portion is the underarm side end, and a strap is connected to the underarm side end. Therefore, the connection part of the strap and cup of this invention is located in the part in which the sag near the front center is formed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general connection part. In this way, wh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up portion is formed on the sag forming portion and the strap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the upper side of the cup portion is pulled toward the skin side and pulled upward by the tension of the strap. By pulling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portion toward the skin 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portion can be fitted to the skin even if a sag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kin side, so that a gap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skin and the cup portion.

상기 컵부의 아랫둘레 가장자리와 토대부의 경계 위치에 와이어를 삽입한 테이프를 부착하고, 상기 컵부의 상변 연결점으로부터 바스트 언더암측을 경유해서 상기 와이어의 중간 위치와 접합하는 보강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einforcing part for attaching a tape inserted with a wire at a boundary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cup part and the base part, and joining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wire via the bust underarm side from an upper connection point of the cup part.

상기 보강부는 비신축성의 테이프를 컵부에 봉착하거나, 또는 심재를 삽입한 테이프를 컵부에 봉착해서 형성하고 있다.The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by sealing an inelastic tape in the cup part or by sealing a tape in which a core material is inserted in the cup part.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점으로부터 컵부의 언더암측 단을 따라서 상기 중간 위치와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컵부를 종단하도록 형성해도 좋다.The reinforcing portion is preferably join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along the underarm side end of the cup portion from the connection point, but may be formed so as to terminate the cup portion.

상기와 같이 연결점으로부터 와이어와 접하는 위치까지 바스트 언더암측을 종단하는 위치에 보강부를 설치하면 상기 보강부를 바스트에 밀착시켜서 언더암측으로 흐르는 바스트의 살을 확실히 억제하여 언더암으로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reinforcing part is provided at the position which terminates the bust underarm side from the connection point to the wire contact point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part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bust, thereby suppressing the flesh of the bust flowing to the underarm side and preventing the flow to the underarm. .

상기 보강부가 와이어와 접하는 위치는 와이어의 최하단 위치와 언더암측 단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강부의 하단 위치를 상기 위치로 하고, 상기 상변의 연결점과를 연결하는 보강부가 착용시에 대략 수직배치로 되도록 상변의 연결점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배치로 하면 바스트 언더암측부 중 가장 팽창이 큰 부위의 중앙부 부근을 보강부로 압박해서 바스트의 언더암측의 살를 앞 중앙으로 모으는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where the reinforc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wire is approximately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wire and the underarm side en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set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reinforcement part as the position, and set the connecting point of the upper side so that the reinforcing part connecting the connecting point of the upper side is approximately vertically arranged when worn. With the vertical arrangement, the reinforcing portion can be pressed near the center of the portion with the largest expansion of the bust underarm side to bring the function of collecting the flesh on the underarm side of the bust toward the front center.

본 발명의 컵부는 상기 보강부보다 언더암측의 영역을 덮는 외장재를 상기 컵부의 표면측에 갖고, 상기 컵부의 언더암측 단은 상기 보강부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컵부는 비신축성 또는 저신축성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up part of this invention has the exterior material which covers the area of the underarm side rather than the said reinforcement part on the surface side of the said cup part, and the underarm side end of the said cup part is formed so that it may follow the said reinforcement part. The cup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of an inelastic or low-stretch material.

상기 스트랩은 비교적 신장율이 낮은 고무 밴드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트랩의 폭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1∼2㎝가 적합하다.The strap is formed of a rubber band having a relatively low elongation. Although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strap is not specifically limited, 1-2 cm is suitable.

상기 스트랩은 상기 컵부의 연결점에 미리 설정한 각도만큼 언더암측으로 기울려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는 착용했을 때에 스트랩이 어깨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는 정도의 각도이며, 바람직하게는 20∼45°이다.The strap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up inclined to the underarm sid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angle is an angle at which the strap does not flow from the shoulder when worn, and is preferably 20 to 45 degrees.

이와 같이, 스트랩을 언더암측으로 경사지게 해서 부착해 두면, 장착시에 스트랩은 컵부를 상방으로 비틀듯이 끌어올린다. 이에 따라, 컵 언더암측 부분과 바스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strap is inclined to the underarm side and attached, the strap twists upwards at the cup portion during mounting. Thereby, it can suppress that a clearance gap arises between a cup underarm side part and a bust.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는 브래지어, 브라슬립, 브라캐미솔 등의 컵부를 갖는 이너, 수영복, 레오타드 등의 컵부를 갖는 아우터, 아우터의 내면의 바스트 부분에 컵부가 부착되는 의류 등에 적용할 수 있다.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nner having a cup portion such as a bra, a bra slip, a bra camisole, an outer having a cup portion such as a swimsuit, a leotard, or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attached to a bust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에서는 컵부의 상변을 바스트의 피부측에 밀착시키도록 스트랩으로 끌어당기기 때문에 바스트의 상부의 살이 늘어져서 평탄화되었을 경우에 바스트와 컵부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고, 간극이 외부로 노정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또한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side of the cup portion is pulled by the strap to closely adhere to the skin side of the bust, the gap between the bust and the cup portion does not occur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bust is flattened and flattened. In addition, the ga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disturbance of the dressing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브래지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래지어의 일부 확대 배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스트랩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제 2 실시형태의 브라슬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늘어짐 형성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종래예의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bra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rear view of the bra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wearing the bra.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tate wearing the bra.
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trap.
6 (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brass slip of the second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sagging formation part.
8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a.
9 is a view showing a bra of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 제 1 실시형태의 브래지어로 이루어지는 컵부를 갖는 의류 에 관하여 설명한다.1-5,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which consists of a bra of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브래지어(1)는 3/4컵의 브래지어이며, 좌우의 컵부(C)에서 좌우의 바스트를 각각 아랫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윗둘레 가장자리를 향해서 바스트 전체의 3/4을 덮는 것으로 하고 있다.The bra 1 is a 3/4 cup bra, and the left and right bust covers three quarters of the entire bust from the lower circumferential edge toward the upper circumferential edge in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C, respectively.

좌우의 컵부(C)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컵 본체(2)와, 상기 컵 본체(2)의 표면측에 씌우는 외장재(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표면측이란 피부측의 면과 반대측의 면이다.The cup part C on either side consists of the cup main body 2 which consists of a non-stretchable material, and the exterior material 3 which covers the surface side of the said cup main body 2. Here, the surface side is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on the skin side.

컵 본체(2)는 앞 중앙측 하부(2a), 언더암측 하부(2b) 및 상부(2c)의 3부재로 분할하고, 이것들을 이음선(S)에서 봉착하여 바스트 탑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The cup main body 2 is divided into three members of the front center side lower part 2a, the underarm side lower part 2b, and the upper part 2c, these are sealed by the seam line S, and the bust top is projected forward.

상기 외장재(3)는, 예를 들면 신축성을 갖는 스트레치 레이스의 피부측에 파워넷을 겹쳐서 형성하여 난신축성으로 해서 강도를 다소 높이고 있다. 또한, 외장재(3)는 컵 본체(2)보다 스트레치성을 구비한 헴(hem) 소재, 프리 컷 등이라도 좋다.The exterior member 3 is formed by overlapping a power net on the skin side of an elastic stretch lace, for example, to slightly increase the strength as the elasticity. In addition, the exterior material 3 may be a hem material, a free cut, etc. which have a stretch property rather than the cup main body 2.

컵부(C)의 버지스 라인에 배치하는 아랫둘레 가장자리를 따라서 와이어(4)를 테이프(5)에 삽입해서 봉착하고 있다. The wire 4 is inserted into the tape 5 and sealed along the lower periphery arrange | positioned at the Burgess line of the cup part C. As shown in FIG.

상기 좌우의 컵부(C) 사이의 앞면 중앙부에서 상기 와이어(4)를 따라 설치한 토대부(6)와, 토대부(6)의 좌우 언더암측 단으로부터 배면 중앙에 연속시킨 등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토대부(6)와 등부(7)를 연속 소재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토대부(6) 및 좌우의 등부(7)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해서 고무 밴드(9)를 봉착하고 있다.The base part 6 provided along the said wire 4 in the front center part between the said left and right cup parts C, and the back part 7 which continued from the left and right underarm side ends of the base part 6 to the back center part is provided. Doing. In addition, you may form the base part 6 and the back part 7 from a continuous raw material. The rubber band 9 is continuously sealed along the lower edges of the base portion 6 and the left and right back portions 7.

상기 좌우의 컵부(C)의 컵 본체(2) 상변(10)의 상단점(연결점)(P1)에 각각 스트랩(어깨끈)(8)의 앞단을 연결하고, 상기 스트랩(8)의 뒷단을 상기 등부(7)의 상변에 연결하고 있다. 상기 스트랩(8)은 폭 약 1∼2㎝의 고무 밴드로 형성하고, 길이 조절 기구(17)를 개재시키고 있다. 또한, 스트랩(8)의 소재 및 폭은 한정되지 않는다.The front end of the strap (shoulder strap) 8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int (connection point) P1 of the upper body 10 of the cup body 2 of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C, and the rear end of the strap 8 is connected.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aid back part 7. The strap 8 is formed of a rubber band having a width of about 1 to 2 cm, and has a length adjusting mechanism 17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material and width of the strap 8 are not limited.

스트랩(8)은 컵 본체(2)의 상단점(P1)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더암측으로 각도(α)를 20∼45°의 범위로 해서 경사지게 해서 봉착하고, 또한 외장재(3)에 컵 본체(2)와의 제 1 연결점[상단점(P1)과 같음]보다 약간 언더암측의 제 2 연결점(P10)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8)을 컵 본체(2)에 제 1 연결점(P1)에서 연결하고, 외장재(3)에 제 2 연결점(P10)에서 연결함으로써 컵부(C)에 강력하게 스트랩(8)을 연결하고, 또한 스트랩(8)의 부착 각도(α)를 경사각도로 고정하고 있다. 도 2에 부호 T를 붙여서 나타내는 영역은 착용 상태에 있어서 바스트 탑을 덮는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The strap 8 is inclined and sealed to the upper end point P1 of the cup main body 2 in the range of 20-45 degrees to the underarm side as shown in FIG. It is connected by the 2nd connection point P10 of the underarm side rather than the 1st connection point (same as upper end point P1) with the cup main body 2. As shown in FIG. In this way, the strap 8 is strongly connected to the cup portion C by connecting the strap 8 to the cup body 2 at the first connection point P1 and to the exterior material 3 at the second connection point P10. The attachment angle α of the strap 8 is fixed at an inclination angle. The area | region shown with the code | symbol T in FIG. 2 shows the area | region which covers a bust top in a wearing state.

상기 컵부(C)의 컵 본체(2)의 하변(11)은 와이어(4)의 앞부 중앙측 상단점(P2)으로부터 최하단점(P3)을 경유해서 언더암부측 상단점(P4)에 이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에 나타내는 P5는 최하단점(P3)과 언더암부측 상단점(P4) 사이의 치수의 1/2의 중간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와이어(4)는 앞부 중앙측 상단점(P2)으로부터 최하단점(P3)을 경유해서 언더암부측 상단점(P4)에 이르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와이어(4)는 앞부 중앙측 상단점(P2)으로부터 최하단점(P3)을 경유해서 중간점(P5) 근방까지 연장시키도록 해도 좋다.The lower side 11 of the cup main body 2 of the cup part C reaches the underarm part side top point P4 from the front center side top point P2 of the wire 4 via the bottom end point P3. It is curved. In addition, P5 shown in the figure has shown the halfway point of 1/2 of the dimension between the lowest end point P3 and the underarm part side upper end point P4.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wire 4 is demonstrated and demonstrated as the example extended to the position from the front center side upper end point P2 to the underarm part side upper end point P4 via the lowest end point P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wire 4 may be extended from the front center side upper end point P2 to the vicinity of the intermediate point P5 via the lowest end point P3.

컵 본체(2)의 상변(10)은 산형 형상으로 하고, 앞부 중앙측 상단점(P2)과 상기 중간점(P5)으로부터 서로 근접 방향으로 상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변(10a)과 경사변(1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변(10a)과 경사변(10b)의 교점을 상변(10)의 상기 상단점(P1)으로 하고 있다. The upper side 10 of the cup main body 2 has a mountain shape, and the inclined side 10a and the inclined side 10b which incline upward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from the front center side upper end point P2 and the intermediate point P5. ), And the intersection of the inclined side 10a and the inclined side 10b is the upper end point P1 of the upper side 10.

상기 상단점(P1)의 위치는, 착용시에는 컵 본체(2)의 하변(11)의 언더암측단이 되는 상기 중간점(P5)과 상단점(P1)을 연결하는 선이 대략 수직선이 되는 위치에 설정하고 있다. 이 상단점(P1)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바스트가 처져서 바스트의 상부의 살에 늘어짐이 형성될 경우, 늘어짐 발생의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이다.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point P1 is such that the line connecting the intermediate point P5 and the upper end point P1, which becomes the underarm side end of the lower side 11 of the cup body 2, becomes a substantially vertical line when worn. It is set at th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point P1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agging occurrence when the bust sags and the sagging is formed on the upper flesh of the bust.

상기 컵 본체(2)의 상단점(P1)의 위치는 상변(10) 앞측의 경사변(10a)의 길이(L1)와 언더암측의 경사변(10b)의 길이(L2)의 합계 길이를 L이라고 하면, 언더암측 단으로부터 0.2L∼0.6L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3L∼0.6L의 범위로 하고 있다.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point P1 of the cup main body 2 is L as the total length of the length L1 of the inclined side 10a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ide 10 and the length L2 of the inclined side 10b on the underarm side. In this regard, the range is 0.2L to 0.6L, preferably 0.3L to 0.6L from the underarm side end.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L1은 15㎝, L2는 10㎝로 해서 0.4L의 위치에 상단점(P1)을 설정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L1 is set to 15 cm, L2 is set to 10 cm, and the upper end point P1 is set in the position of 0.4L.

컵 본체(2)의 상변(10) 언더암측의 경사변(10b)은 상단점(P1)과 하변(11)의 중간점(P5)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경사변(10b)은 착용시는 수직선에 근사한다. 따라서, 바스트의 언더암측 부분을 종단하는 위치에 있다.Since the inclined side 10b of the upper arm 10 underarm side of the cup main body 2 is provided along the line which connects the upper end point P1 and the intermediate point P5 of the lower side 11, the inclined side ( 10b) approximates a vertical line when worn. Therefore, it is in the position which terminates the underarm side part of a bust.

상기 경사변(10b)에는 테이프(13)를 봉착해서 단처리하고, 이 테이프(13)의 상단은 상기 스트랩(8)과 함께 컵 본체(2)와 봉착하고, 테이프(13)의 하단은 와이어(4)를 수용한 테이프(5) 및 컵 본체(2)와 봉착하고 있다. The tape 13 is sealed to the inclined side 10b for single processing, and the upper end of the tape 13 is sealed with the cup main body 2 together with the strap 8, and the lower end of the tape 13 is wired. It seals with the tape 5 and cup main body 2 which accommodated (4).

또한, 테이프(13) 내에는 편평한 수지 띠로 이루어지는 심재(14)를 수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언더암측의 경사변(10b)의 단 가장자리를 보강부(20)로 하고 있다. 또한, 바스트의 언더암으로의 흐름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을 경우에는 심재(14)를 테이프(13) 내에 수용하지 않아도 좋다.Moreover, the core material 14 which consists of a flat resin strip is accommodated in the tape 13. As a result, the short edge of the inclined side 10b on the underarm side is used as the reinforcing portion 20. If the flow of the bust to the underarm can be sufficiently suppressed, the core material 14 may not be accommodated in the tape 13.

이와 같이, 컵 본체(2)의 언더암측의 경사변(10b)은 하변측을 향해서 급격하게 경사져서 와이어(4)의 도중에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컵 본체(2)의 표면에 씌우는 외장재(3)를 컵 본체(2)의 언더암측으로부터 연장시켜서 토대부(6)의 언더암측 단(6a)에 연속시키고, 상기 외장재(3)의 연장 부분의 하단과 토대부(6) 사이에 와이어(4)를 수용한 테이프(5)를 봉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3)는 컵 본체(2)의 경사변(10a)측에서는 컵 본체(2)보다 약간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상기 스트랩(8)과도 봉착되어 있다.Thus, since the inclined side 10b of the underarm side of the cup main body 2 is inclined rapidly toward the lower side, and is joined in the middle of the wire 4, the exterior material 3 which covers the surface of the cup main body 2 is covered. ) Extends from the under arm side of the cup body 2 to the under arm side end 6a of the base portion 6, and the wire 4 is plac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3 and the base portion 6. ), The tape 5 is housed. Moreover, the said exterior material 3 protrudes slightly outward from the cup main body 2 in the inclined side 10a side of the cup main body 2, and is also sealed with the said strap 8.

상기 구성으로 한 브래지어(1)를 착용한 상태를 도 3∼도 5에 나타낸다. 또한, 도 3의 부호 X를 붙여서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은 누드 상태에 있어서 살의 늘어짐 정도가 가장 현저하게 보여지는 영역이다. 브래지어(1)의 착용시, 스트랩(8)에 의해 컵부(C)는 어깨봉우리 근방을 넘어서 배면측으로 잡아당겨지기 때문에, 도 5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부(C)는 상방으로 끌어올려짐과 동시에 피부측으로 잡아당겨진다. 스트랩(8)을 연결한 컵부(C)의 컵 본체(2)의 상단점(P1) 근방은, 스트랩(8)에 의해 특히 바스트 상부의 피부측으로 잡아당겨지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본체(2)의 상변(10)은 바스트 상부의 피부에 꼭 밀착된다. 이와 같이 스트랩(8)과 연결한 상단점(P1)을 바스트 상부의 살의 늘어짐 부분(X)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늘어짐 부분(X)에 컵 본체(2)의 스트랩(8)과 연결한 상변(10)이 간극 없이 피팅되게 된다. 따라서, 몸을 앞으로 구부렸을 때에도 늘어짐 부분(X)과 컵 본체(2)의 상변(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간극이 외부로 노정되지 않는다.3 to 5 show a state in which the bra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worn. In addition, the area | region shown with the dashed-dotted line by the code | symbol X of FIG. 3 is the area | region where the slack of flesh is seen most remarkably in a nude state. At the time of wearing the bra 1, the cup C is pulled to the back side beyond the vicinity of the shoulder peak by the strap 8, so that the cup C is pulled upward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Pulled to the skin side.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end point P1 of the cup main body 2 of the cup part C which connected the strap 8, the cup main body is pulled toward the skin side of a bust upper part especially by the strap 8, as shown in FIG. The upper side 10 of (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pper bust. Thus, since the upper end point P1 connected with the strap 8 is formed in the sagging part X of the upper part of a bust, the upper side connected with the strap 8 of the cup main body 2 to the sagging part X is shown. (10) is fitted without a gap. Therefore, even when the body is bent forward, the ga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drooping portion X and the upper side 10 of the cup body 2, so that the gap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스트랩(8)은 외장재(3)에 제 2 연결점(P10)에서 봉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장재(3)에도 스트랩(8)의 상방 및 피부측으로의 인장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외장재(3)에 의해서도 바스트 상부의 늘어짐 부분(X)을 가려서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ap 8 is sealed to the packaging material 3 at the second connection point P10, the tension force to the packaging material 3 above and to the skin side also acts on the packaging material 3. Therefore, also by the exterior material 3, the sagging part X of an upper part of a bust can be covered and it cannot be seen from the outside.

또한, 종래는 언더암측에 연결되어 있었던 스트랩(8)을 앞중심 근처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스트랩(8)이 위치 어긋나서 어깨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팔을 들거나 돌리거나 하는 팔의 거동시에 스트랩(8)이 팔 주위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스트랩(8)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기 어렵고, 브래지어의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ap 8,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connected to the underarm side, is positioned near the front center, the strap 8 is displaced, making it difficult to fall off the shoulder. In addition, since the strap 8 is loca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arm circumference at the time of the arm movement such as lifting or turning the arm, shift of the strap 8 is unlikely to occur,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turbance of the dressing of the bra.

또한 일반적으로, 컵 본체의 상변은 바스트로부터 들뜨기 쉽지만, 본 발명의 브래지어에서는 컵 본체의 상변을 바스트에 피팅시킬 수 있기 때문에 브래지어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In general, the upper side of the cup main body is easy to be lifted from the bust, but in the br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of the cup main body can be fitted to the bust, thereby increasing the wearing comfort of the bra.

또한, 컵 본체(2)의 언더암측의 경사변(10b)에 심재(14)를 수용한 테이프(13)를 봉착해서 단처리하고, 언더암측의 경사변(10b)을 보강부(20)로 하고 있다.Moreover, the tape 13 which accommodated the core material 14 was sealed and insulated by the inclination edge 10b of the underbody side of the cup main body 2, and the inclination edge 10b of the underarm side is reinforced by the reinforcement part 20. As shown in FIG. Doing.

상기 보강부(20)의 테이프(13)는 컵 본체(2)의 상단점(P1)에서 스트랩(8)과 봉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랩(8)에 의해 보강부(20)는 상방으로 잡아당겨진다. 이것에 의해, 바스트의 언더암 부분과 컵부(C)의 언더암측 단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tape 13 of the reinforcement part 20 is sealed with the strap 8 at the upper end point P1 of the cup body 2, the reinforcement part 20 is pulled upward by the strap 8. . As a result, a ga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underarm portion of the bust and the underarm side end of the cup portion C.

통상의 브래지어에서는 컵 본체의 언더암측의 테이프 처리가 바스트의 언더암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누드 상태에 있어서 늘어짐이 형성된 처진 바스트는 처져 있지 않은 바스트보다 살의 언더암으로의 흐름이 크고, 종래의 브래지어와 같이 컵부의 언더암측 단부에 테이프 처리를 설치해도 바스트와 테이프 처리 부분을 충분하게 피팅시킬 수 없어 바스트의 언더암으로의 흐름을 억제할 수 없다.In normal bras, the tape treatment on the underarm side of the cup body is provided on the underarm side portion of the bust. However, the drooping bust with sagging in the nude state has a larger flow to the underarm of the flesh than the bust that is not sagging, and the bust and the tape treatment portion are sufficiently provided even if a tape treatment is provided at the underarm side end of the cup portion as in a conventional bra. It cannot be fitted and the flow of the bust to the underarm cannot be suppressed.

이것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컵 본체(2)의 언더암측의 테이프 처리한 보강부(20)는 종래보다 바스트 탑측에 접근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컵 본체(2)의 테이프 처리 부분을 바스트의 언더암 부분에 피팅시켜서 바스트의 언더암 부분을 확실히 눌러서 언더암으로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심재(14)를 테이프(13)에 수용시키고 있지만, 바스트의 언더암 부분을 누르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것이라면 심재(14)를 테이프(13)에 수용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id embodiment, since the tape-reinforced part 20 on the underarm side of the cup main body 2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which approached the bust top side conventionally, the tape process part of the cup main body 2 is bust. By fitting to the underarm portion of the squeeze, the underarm portion of the bust can be pressed firmly to prevent flow to the underarm. In addition, although the core material 14 is accommodated in the tape 13 in this embodiment, as long as the effect which presses the underarm part of a bust is fully acquired, you may not make the core material 14 be accommodated in the tape 13.

특히, 바스트 살의 언더암으로의 흐름의 방지 효과를 가장 높이기 위해서는, 바스트 언더암측 부분 중 가장 팽창이 큰 부위를 보강부(20)의 중앙 부분 부근에서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low of the bust flesh to the underarm, it is preferable to press the portion having the greatest expansion among the bust underarm side portions near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ing portion 20.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점(P1)과 중간점(P5)을 연결하도록 보강부(20)를 설치함으로써 보강부(20)의 중앙 부분 부근이 상기 팽창이 큰 부위를 압박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바스트의 살의 언더암으로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part 20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end point P1 and the intermediate point P5 may be connected, and the vicinity of the center part of the reinforcement part 20 presses the site where the said expansion is large. This effectively prevents bust flow to the underarm of the flesh.

또한, 스트랩(8)을 앞중심 근처의 위치에서 컵 본체(2)의 상단점과 봉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랩(8)과 상단을 연결한 상기 보강부(20)를 앞중심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보강부(20)에 의해 바스트를 앞중심측으로 모으는 기능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strap 8 is seal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body 2 at a position near the front center, the reinforcing portion 20 connecting the strap 8 and the upper end is pulled in the front center direction. The reinforcement part 20 also has a function of collecting the bust to the front center side.

또한,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컵 본체(2)는 언더암측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컵 본체(2) 표면의 난신축성의 외장재(3)가 언더암측 부분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컵 본체(2)의 언더암측의 경사변(10b)의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언더암 살의 솟아오름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up main body 2 which consists of a non-elastic material does not extend to the underarm side part, since the non-stretchable exterior material 3 of the surface of the said cup main body 2 extends to the underarm side part, the cup main body 2 The rise of the underarm flesh in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inclined edge 10b on the underarm side of the can be prevented.

또한, 스트랩(8)을 컵 본체(2)의 상단점(P1)의 제 1 연결점에서 언더암측으로 경사지게 해서 봉착함과 아울러 외장재(3)에 제 2 연결점(P10)에서 봉착하여 경사 부착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브래지어 착용시에 스트랩(8)은 컵부(C)를 상방으로 비틀듯이 끌어올려 컵부(C)의 언더암측 부분을 끌어올리는 힘이 커진다. 이것에 의해, 컵 언더암측 부분과 바스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랩을 상기 경사 부착 상태로 하는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브래지어의 사양에 따라서는 스트랩을 경사 부착 상태로 하지 않아도 좋다. 단, 이 경우에는 바스트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경사 부착 상태로 하는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rap 8 is inclined to the underarm side at the first connection point of the upper end point P1 of the cup body 2 and sealed, and the sealing material 3 is sealed at the second connection point P10 to the exterior material 3 in an inclined state. Therefore, when the bra is worn, the strap 8 twists the cup portion C upwards to increase the underarm side portion of the cup portion C. This can prevent a gap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cup underarm side portion and the bust. In addition, although the said embodiment demonstrated and demonstrated the example which makes a strap into said inclined attachment state, you may not need to make a strap in inclined attachment state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of a bra. In this case, however, a gap tends to be formed between the bust, and thus it is more preferable to be in the inclined state as in the above embodiment.

도 6의 (A) 및 (B)에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6A and 6B show a 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형태는 브라슬립(50)이며, 상기 브라슬립(50)의 컵부(C)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형태로 하고, 스트랩(8)을 컵부(C)의 컵 본체의 상단점(P1)에 봉착 하고 있다. 상기 상단점은 컵 본체(2)의 상변(10)의 전체 길이(L)에 대하여 언더암측 단으로부터 0.3L∼0.6L의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컵 본체(2)의 상변(10)은 상향으로 팽창되는 원호형상으로 하고, 와이어(4)의 언더암측 상단점에 연결하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치하고 있었던 바스트 언더암측부를 누르는 보강부(20)는 설치하고 있지 않다.2nd Embodiment is brasslip 50, Cup part C of said brasslip 50 is also made the same form as the said 1st Embodiment, and strap 8 is the upper end point of the cup main body of Cup part C. Sealed on (P1). The upper end point is formed at a position of 0.3L to 0.6L from the underarm side end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L of the upper side 10 of the cup main body 2. The upper side 10 of the said cup main body 2 is made into the arc shape which expands upwards, is connected to the underarm side upper end point of the wire 4, and the reinforcement part which presses the bust underarm side part provided in 1st Embodiment. 20 is not installed.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슬립(50)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의 브래지어와 마찬가지로 컵부(C)의 상변을 스트랩(8)의 인장에 의해 바스트 피부측으로 잡아당길 수 있어 살의 늘어짐 부분(X)에 있어서 컵부(C)와의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the brasslip 5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milarly to the bra of the first embodiment, the upper side of the cup portion C can be pulled toward the bust skin side by the tension of the strap 8, and in the sag portion X of the fles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p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cup portion C.

본 발명은 상기 브래지어, 브라슬립에 한정되지 않고, 컵부를 갖는 의류이면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ra and brasslip, and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 garment has a cup portion.

1 : 브래지어(컵부를 갖는 의류) 2 : 컵 본체(컵부)
3 : 외장재 4 : 와이어
5 : 테이프 6 : 토대부
7 : 등부 8 : 스트랩
10 : 컵 본체의 상변 11 : 컵 본체의 하변
20 : 보강부 P1 : 상단점(연결점)
T : 바스트 탑 영역(바스트 탑 위치) X : 늘어짐 부분
1 bra (clothing having a cup part) 2 cup body (cup part)
3: exterior material 4: wire
5: tape 6: base part
7: back 8: strap
10: upper side of the cup body 11: lower side of the cup body
20: reinforcement part P1: upper point (connection point)
T: Bust top area (Bus top position) X: Hanging part

Claims (5)

컵부의 상변을 형성하는 앞 중앙측 경사변과 언더암측 경사변의 연결점을 상기 컵부의 바스트 탑 위치의 언더암측 상방에 위치하는 바스트의 늘어짐 형성 영역에 형성하고,
상기 연결점에 스트랩을 연결하고, 상기 스트랩에 의한 컵의 인상으로 상기늘어짐 형성 영역에 상기 컵부의 상변을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ront center side inclined side and the underarm side inclined side forming the upper side of the cup portion is formed in the sagging formation region of the bust located above the underarm side of the bust top position of the cup portion,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wherein the strap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and the upper side of the cup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longated formation region by the impression of the cup by the str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의 상변 연결점은 상기 상변의 전체 길이를 L이라고 하면 언더암측 단으로부터 0.2L∼0.6L의 범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ide connection point of the said cup part is the garment which has a cup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the range of 0.2L-0.6L from the underarm side end, if the total length of the said upper side is 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의 아랫둘레 가장자리와 토대부의 경계 위치에 와이어를 삽입한 테이프를 부착하고, 상기 컵부의 상변 연결점으로부터 바스트 언더암측을 경유해서 상기 와이어의 중간 위치와 접합하는 보강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tape inserting a wire is attached to the lower edge of the cup portion and the boundary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a reinforcing portion is provided to join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wire via the bust underarm side from an upper connection point of the cup portion. Clothing having a cup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보다 언더암측의 영역을 덮는 외장재를 상기 컵부의 표면측에 갖고,
상기 컵부의 언더암측 단은 상기 보강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t has the exterior material which covers the area of the underarm side rather than the said reinforcement part on the surface side of the said cup part,
The underarm side end of the cup part is formed so as to follow the reinforcement part.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의 연결점에 상기 스트랩을 언더암측으로 경사지게 해서 봉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lothing having a cup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p is inclined to the underarm side and sealed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up part.
KR1020137000487A 2010-06-28 2011-06-23 Garment having cup portions KR2013010909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6486 2010-06-28
JP2010146486A JP5540941B2 (en) 2010-06-28 2010-06-28 Clothing with cup
PCT/JP2011/064364 WO2012002242A1 (en) 2010-06-28 2011-06-23 Garment having cup por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91A true KR20130109091A (en) 2013-10-07

Family

ID=4540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487A KR20130109091A (en) 2010-06-28 2011-06-23 Garment having cup portion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40941B2 (en)
KR (1) KR20130109091A (en)
CN (1) CN203072916U (en)
WO (1) WO201200224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7169B2 (en) 2015-04-23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terior forming method and exterior form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087Y2 (en) * 1986-06-11 1989-07-21
JP3506362B2 (en) * 1998-08-12 2004-03-15 株式会社ワコール Women's clothing with cup
JP4717201B2 (en) * 2000-12-20 2011-07-06 トリンプ・インターナショナル・ジャパン株式会社 Women's clothing with a cup
JP2003055805A (en) * 2001-08-14 2003-02-26 Wacoal Corp Lady's garment with cup
JP4291702B2 (en) * 2004-01-27 2009-07-08 株式会社ユタックス Clothing with cup
JP2005320659A (en) * 2004-05-10 2005-11-17 Wacoal Corp Garment with cup part
JP4476784B2 (en) * 2004-11-08 2010-06-09 株式会社ワコール Cups and women's clothing with cu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7169B2 (en) 2015-04-23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terior forming method and exterior form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07271A (en) 2012-01-12
WO2012002242A1 (en) 2012-01-05
CN203072916U (en) 2013-07-24
JP5540941B2 (en)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361B1 (en) Garment with cup sections
US20140141692A1 (en) Garment with cup part
CN111163657B (en) Lady underwear with cup parts
EP3510881B1 (en) Garment having cup parts
CA3012737A1 (en) Garment having cup parts
JP4423083B2 (en) Clothing with cup
WO2010090255A1 (en) Clothes with cup parts
JP6427943B2 (en) Clothing with cup
KR20130109091A (en) Garment having cup portions
JP3118046U (en) bra
JPWO2012056572A1 (en) Skirt-type correction underwear
JP4410539B2 (en) bra
JP2000064105A (en) Woman garment with cups
JP3118295U (en) Lower body clothing
JP4673720B2 (en) Women's clothing
JP7137056B2 (en) clothing with a crotch
JP4423010B2 (en) Clothing with cup
JP3126486U (en) Molded inner
CN101301119B (en) Brassieres for raising and optical magnification of breast, so-called 'push-up' bra
JP3141759U (en) bra
JP7355995B2 (en) Lower clothing
JP5978550B2 (en) Clothing with cup
JP4359180B2 (en) Women's clothing with breast cup
JP2022139044A (en) Underwear for garment with cups
JP3208876U (en) Clothing with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