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748A - 메뉴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메뉴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748A
KR20130108748A KR1020120030424A KR20120030424A KR20130108748A KR 20130108748 A KR20130108748 A KR 20130108748A KR 1020120030424 A KR1020120030424 A KR 1020120030424A KR 20120030424 A KR20120030424 A KR 20120030424A KR 20130108748 A KR20130108748 A KR 20130108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etting
electronic device
notification message
sett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8748A/ko
Publication of KR2013010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 설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장 장치에서 메뉴를 설정하는 방법은 특정 메뉴의 설정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가 존재할 시,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으로 인해 연관 메뉴의 설정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들의 효율적인 메뉴 설정을 도울 수 있다.

Description

메뉴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PROVIDING MENU SETTING SERVICE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장치에서 메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는 현대인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서, 다양한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전자 장치 제조자 및 서비스 제공자들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최대한 충족시키기 위하여 전자 장치를 통해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는 일반 촬영, 연속 촬영 및 흑백촬영 등과 같은 다양한 메뉴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 촬영 시에 다양한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원하는 조건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 간에는 연관관계가 존재하여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될 때, 연관된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의 특정 메뉴에 대한 설정 값이 변경될 경우, 연관된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메뉴 간의 연관관계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특정 메뉴 설정 값이 변경됨에 따라 연관된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의도하지 않은 환경에서 전자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변경 시, 연관된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어떤 메뉴의 설정 값이 같이 변경되는지 알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메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메뉴 설정 시, 연관된 다른 메뉴의 설정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메뉴를 설정하는 방법은, 특정 메뉴의 설정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가 존재할 시,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으로 인해 상기 연관 메뉴의 설정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메뉴를 설정하는 장치는 표시부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은, 특정 메뉴의 설정을 감지하고,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가 존재할 시, 특정 메뉴의 설정으로 인해 상기 연관 메뉴의 설정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청구항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됨으로 인해 연관된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경우, 연관된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뉴 간 연관관계를 인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메뉴들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 장치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뉴 설정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뉴 설정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MP3, 네비게이션, 랩탑(Laptop), 넷북(Netbook), 컴퓨터(Computer), 텔레비전(Television), 냉장고 및 에어컨 등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서 메뉴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지정 가능한 명령들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운드 메뉴, 디스플레이 메뉴, 촬영 메뉴, 통화 메뉴, 보안 메뉴, 입력 메뉴, 출력 메뉴 및 시스템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입출력(IO, Input Output) 서브 시스템(130), 터치스크린(140),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150), 오디오 서브 시스템(160), 스피커(161) 및 마이크로폰(162)을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다수 개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1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2) 및/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실행된 모듈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서브시스템(130) 및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1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 시킨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60)은 스피커(161) 및 마이크로폰(162)에 결합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160)은 스피커 (speaker)(161)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로폰(162)을 통해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60)은 프로세서 유닛(120)의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을 스피커(161)로 전달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60)은 마이크로폰(162)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 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인터페이스 (1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6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61)는 오디오 서브 시스템(160)으로부터 수신된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162)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서, 오디오 서브시스템(160)은 프로세서 유닛(120)의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스피커(161)로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I/O, Input/Output) 서브시스템(13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13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제어기(131)는 터치 스크린(140)에 결합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131)는 터치 스크린(14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13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5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150)는 하나 이상의 볼륨 제어를 위한 업/다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튼은 푸시 버튼(push button) 또는 로커 버튼(rocker button) 등을 사용 가능하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150)는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 일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은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14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자세히 말해, 터치 스크린(14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100)로 전달하고, 전자 장치(1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또한, 터치 스크린(14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 스크린(140)은 전자 장치(100)에서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만일,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140)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표시부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4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에 결합 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소포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111) 모듈, 그래픽 모듈(11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3),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114), 메뉴 설정 모듈(115) 및 메뉴 연관 관계 모듈(11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은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메모리(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다.
운영 체제 모듈(1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래픽 모듈(112)은 터치스크린(140) 상에 그래픽을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은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래픽 모듈(112)은 메뉴 설정 모듈(115)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제공받고, 알림 메시지를 터치 스크린(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3)은 터치스크린(140) 또는 기타입력/제어장치(150)를 통해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제공받는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14)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메뉴 설정 모듈(115)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3)을 통해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제공받은 경우, 제공받은 입력에 대응하는 메뉴 설정 값을 확인한다. 메뉴 설정 모듈(115)은 메뉴 설정 값을 바탕으로 메뉴 간의 연관관계 및 메뉴 설정 값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확인된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메뉴 간의 연관관계는 메뉴 연관 관계 모듈(117)에 저장된 메뉴별 연관관계 테이블을 통해 판단할 수 있고, 메뉴 설정 값 간의 연관관계는 메뉴 연관 관계 모듈(117)에 저장된 메뉴 항목별 연관관계 테이블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메뉴 설정 값이 변경됨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된다고 판단된 경우, 메뉴 설정 모듈(115)은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됨을 나타낸다. 알림 메시지는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할지 여부를 묻는 질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는 알림 메시지의 출력 활성화 상태 및 비활성화상태에 대한 선택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연관 관계 모듈(117)은 메뉴별 연관관계 테이블 및 메뉴 항목별 연관관계 테이블을 포함한다. 이때, 메뉴별 연관관계 테이블은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메뉴들 간의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메뉴별로 해당 메뉴 설정시에 설정 값이 변경되는 다른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뉴별 연관관계 테이블은 디지털 카메라의 효과 메뉴 변경 시에 조도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메뉴 항목별 연관관계 테이블은 메뉴를 구성하는 각 항목들의 설정 값에 대한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메뉴의 항목별로 해당 메뉴의 항목 설정시에 설정 값이 변경되는 다른 메뉴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뉴 항목별 연관관계 테이블은 디지털 카메라의 효과 메뉴 중에서 흑백효과 항목이 선택될 시, 화질 메뉴가 일반화질 항목으로 변경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위에서 기술한 모듈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일부의 모듈(명령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뉴 설정 모듈(115)에서 메뉴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메뉴 설정 모듈(122)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프로세서(122)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특정 메뉴가 설정됨으로 인해 다른 메뉴가 설정될 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메뉴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경우, 하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하기 도 3 및 도 4의 알림 메시지는 도움말 메시지 및 팝업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20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메뉴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값을 입력받고, 203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값에 대응하는 메뉴 설정 값을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205단계에서 특정 메뉴를 설정함으로 인해 설정 값이 변경되는 다른 메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입력받은 경우, 기 설정된 메뉴 간의 연관관계 및 메뉴 설정 값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정 메뉴를 설정함으로 인해 설정 값이 변경되는 다른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특정 메뉴를 설정함으로 인해 설정 값이 변경되는 다른 메뉴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 및 출력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22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메뉴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값을 입력받고, 223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값에 대응하는 메뉴 설정 값을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225단계에서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입력받은 경우, 기 설정된 메뉴 간의 연관관계 및 메뉴 설정 값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233단계로 진행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확인된 메뉴 설정 값으로 변경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227단계로 진행하여 알림 메시지 해제 상태인지 혹은 알림 메시지 설정 상태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 해제 상태는 알림 메시지 출력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하고, 알림 메시지 설정 상태는 알림 메시지 출력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알림 메시지 해제 상태 및 알림 메시지 설정 상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 해제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것을 허용한 상태라고 판단하여 233단계에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확인된 메뉴 설정 값으로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알림 메시지 설정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229단계에서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 및 출력한다. 알림 메시지는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어도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질의 메시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효과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지털 카메라는 효과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화질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효과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231단계에서 사용자가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235단계로 진행하여 특정 메뉴 설정 값을 이전 설정 값으로 유지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여기서 이전 설정 값은 20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메뉴 설정을 위한 값을 입력받기 전의 메뉴 설정 값을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가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것을 허용한다고 판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233단계로 진행하여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확인된 메뉴 설정 값으로 변경한다. 즉, 사용자가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것을 허용한다고 판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및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을 모두 변경시킨다. 이때,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은 기본 값, 미리 설정된 값 및 임의의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알림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 상황설명과 함께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어도 상관없는지 여부를 묻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특정 메뉴의 설정 값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어 상관없는지 여부를 묻지않고, 상황설명만을 제공하는 방식도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메뉴 설정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 기능에 대한 메뉴를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Effects 메뉴의 설정 값으로 Negative(301) 값을 입력받는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기 저장된 메뉴 간의 연관관계 및 메뉴 항목 간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Effects 메뉴 설정 값을 Negative(301)로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 설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Effects 메뉴 설정 값을 Negative(301)로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Effects 메뉴의 설정 값을 Negative(301)로 변경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White balance 메뉴의 설정 값으로 Daylight(302) 값을 입력받는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기 저장된 메뉴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White balance 메뉴 설정 값을 Daylight(302)로 변경함으로 인해 다른 메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White balance 메뉴 설정 값을 Daylight(302)로 변경함으로 인해 Effects 메뉴 설정 값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White balance 메뉴의 설정 값을 Daylight(302)로 변경할 경우에 Effects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White balance 메뉴의 설정 값을 Daylight(302)로 변경함으로 인해 Effect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어도 설정 값 변경을 계속 진행할지 혹은 설정 값 변경을 취소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 설정 상태 및 알림 메시지 해제 상태에 대한 선택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진행(303)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White balance 메뉴의 설정 값을 Daylight(302)로 변경하고, Effects 메뉴의 설정 값은 기본 설정 값인 None(304)으로 변경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메뉴 설정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알람 시간에 벨 소리로 알람을 제공해줄 것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시간에 대한 알람 기능을 설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알람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제어에 의해 터치 음, 벨 소리 및 문자 음 등과 같은 소리가 제공되지 않는 매너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설정 값이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메뉴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매너모드 변경으로 인해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전자 장치(100)는 매너모드 변경 시, 알람을 위한 벨 소리가 제공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매너모드 변경으로 인해 알람 소리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실시 예 및 모든 기능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조 및 이들의 균등 구조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firmware), 또는 하드웨어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실행되거나 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프로그램 명령어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머신 판독가능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머신 판독가능 전파 스트림에 영향을 주는 물질의 구성,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라는 용어는 예로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 하기 위한 모든 기기, 장치 및 머신을 포함한다. 기기는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구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3)

  1. 전자 장치에서 메뉴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메뉴의 설정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가 존재할 시,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으로 인해 상기 연관 메뉴의 설정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의해 연관 메뉴의 설정이 변경되어도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할지 여부를 묻는 질의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 출력 여부에 대한 선택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의 존재 여부는 기 저장된 메뉴들 간의 연관관계 및 기 저장된 메뉴 항목 간의 연관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알림 메시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전자 장치에서 메뉴를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출력부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은, 특정 메뉴의 설정을 감지하고,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가 존재할 시, 특정 메뉴의 설정으로 인해 상기 연관 메뉴의 설정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의해 연관 메뉴의 설정이 변경되어도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변경할지 여부를 묻는 질의를 출력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알림 메시지 출력 여부에 대한 선택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기 저장된 메뉴들 간의 연관관계 및 기 저장된 메뉴 항목 간의 연관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메뉴의 설정에 대응하는 연관 메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20030424A 2012-03-26 2012-03-26 메뉴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108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24A KR20130108748A (ko) 2012-03-26 2012-03-26 메뉴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24A KR20130108748A (ko) 2012-03-26 2012-03-26 메뉴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748A true KR20130108748A (ko) 2013-10-07

Family

ID=4963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424A KR20130108748A (ko) 2012-03-26 2012-03-26 메뉴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87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386A (ko) * 2014-11-20 201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42256A (ko) * 2019-06-12 2020-12-22 카페24 주식회사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설정값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42258A (ko) * 2019-06-12 2020-12-22 카페24 주식회사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386A (ko) * 2014-11-20 201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42256A (ko) * 2019-06-12 2020-12-22 카페24 주식회사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설정값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42258A (ko) * 2019-06-12 2020-12-22 카페24 주식회사 설정항목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2298B2 (en)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headphone fit adjustment and audio output control
US7649526B2 (en) Soft key interaction indicator
WO2018043998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43624A1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20180039403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AU2010327452A1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9505035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使用を制限する方法、および端末
JP2016512357A (ja) バックグラウンドタスク用の対話式入力
KR102056485B1 (ko) 수신 메시지 특성에 따른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및 장치
KR20140131093A (ko) 음성 인식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40359436A1 (en)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999762B1 (ko)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7142225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234400B1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20043564A1 (en) Method for inputting content and terminal device
KR20140106775A (ko) 터치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042211B1 (ko) 벤딩 상태에 따라 오브젝트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60365021A1 (en) Mobile device with low-emission mode
JP2023093420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使用を制限する方法、および端末
WO2015014138A1 (zh) 一种显示框显示的方法、装置和设备
KR20130108748A (ko) 메뉴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U2013224735A1 (en) Method of processing touch input for mobile device
KR1020054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430988B1 (en) Mobile device with low-emission mode
CN110851106A (zh) 一种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