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474A - 무선 통신의 향상을 위한 대역 외 정보의 이용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의 향상을 위한 대역 외 정보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474A
KR20130108474A KR1020137021970A KR20137021970A KR20130108474A KR 20130108474 A KR20130108474 A KR 20130108474A KR 1020137021970 A KR1020137021970 A KR 1020137021970A KR 20137021970 A KR20137021970 A KR 20137021970A KR 20130108474 A KR20130108474 A KR 20130108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agation channel
parameter
wireless device
data
propa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702B1 (ko
Inventor
쉐펑 인
Original Assignee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10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91Modelling the propag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9Self-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04N1/003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with an apparatus performing pattern recognition, e.g. of a face or a geographic fe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통신 설정들을 적응시키는 기술 및 구현이 일반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의 향상을 위한 대역 외 정보의 이용{USING OUT-BAND INFORMATION TO IMPROVE WIRELESS COMMUNICATIONS}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기재된 접근법들은 본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선행 기술이 아니고, 이 섹션에 포함되었다고 선행기술이라고 인정된 것은 아니다.
무선 환경에서, 송신 기술들은 예를 들어, 다중 경로 효과들 또는 다중 유저들 간의 간섭으로 인한 고속 페이딩과 같은 통신 문제들을 극복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송신 기술들을 채용하기 위하여, 무선 채널의 특성들을 추정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대역 내 센싱 기술들은 무선 채널 특성들을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역 내 기술들은 큰 계산 과부하, 무선 디바이스에 추가될 추가 디바이스들 및 다른 곤란함을 요구할 수도 있다.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 내에서의 통신 설정들을 적응시키기 위해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생성하도록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 환경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전파 채널 특성을 결정하는 것, 및 전파 채널 특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에서 통신 설정들을 적응시키기 위해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들은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카메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무선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생성하도록 이미지 및 사운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 환경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전파 채널 특성을 결정하는 것, 및 전파 채널 특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 내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실행시에 머신으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생성하도록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 환경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전파 채널 특성을 결정하는 것, 및 전파 채널 특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 계층 설정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대역 외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설정들을 제공하게 할 수도 있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장치는 프로세서, 및 실행시에 장치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생성하도록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 환경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전파 채널 특성을 결정하는 것, 및 전파 채널 특성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 계층 설정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대역 외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설정들을 제공하게 할 수도 있는 명령들이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앞선 개요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수도 있고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양태, 실시형태들, 및 특징들 외에도, 추가의 양태들, 실시형태들, 및 특징들이 도면들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될 것이다.
대상물은 상세한 설명의 결론적인 부분에서 특히 지적되고 분명하게 청구된다. 본 개시물의 전술한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에 연계하여 취해지는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로부터 더 충분히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들 도면들이 본 개시물에 따른 몇몇 실시형태들만을 묘사하여,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이해 하에, 본 개시물은 부가적인 특수함 및 상세함으로 첨부 도면들의 사용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에서:
도 1 은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통신 설정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의 예시이다.
도 2a 및 도 2b 는 예시적인 환경 및 그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오브젝트 인식 및 예상되는 전파 경로들의 예시들이다.
도 3a 및 도 3b 는 예시적인 환경 및 그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오브젝트 인식 및 예상되는 전파 경로들의 예시들이다.
도 4a 및 도 4b 는 예시적인 환경 및 그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오브젝트 인식 및 예상되는 전파 경로들의 예시들이다.
도 5 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예시이다.
도 6 은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의 블록도의 예시이고, 이 모두는 본 개시물의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배열된다.
다음의 설명은 청구된 대상물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세부사항들과 함께 갖가지 예들을 언급한다. 그러나, 청구된 대상물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세부사항들 중의 어느 정도는 없어도 실용화될 수도 있다는 것은 이 기술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일부 환경들에서, 주지의 방법들, 프로시저들, 시스템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회로들은 청구된 대상물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여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이 참조된다. 도면들 중에서, 유사한 심볼들은 문맥이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통상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식별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시된 대상물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다른 실시형태들이 활용될 수도 있고, 다른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에 대체로 설명되고 도면들에서 예시된 본 개시물의 양태들은, 모두가 명시적으로 의도되고 본 개시물의 부분을 만드는 매우 다양한 상이한 구성들로 배열, 치환, 조합, 및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 쉽사리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물은 무엇보다도,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통신 설정들을 적응시키도록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방법들, 장치들, 시스템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개시한다.
여러 송신 기술들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문제들을 극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유리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무선 통신 채널의 특성을 추정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채널 특성들에 기초하여, 물리 계층 설정 또는 설정들을 무선 디바이스에서 조정하여 통신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에서 설정들을 조정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데이터는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에서 획득될 수도 있다. 여러 예들에서, 센서는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일 수도 있으며, 획득된 데이터는 각각 이미지 데이터 또는 사운드 데이터일 수도 있다. 획득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부에서, 또는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수신된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될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프로세싱되어,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관련될 그리고 특성화할 수도 있는 환경 파라미터 또는 표시자들이 생성될 수도 있다. 환경 파라미터 또는 표시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전파 채널 특성이 결정될 수도 있다. 결정된 전파 채널 특성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 계층 설정이 결정될 수도 있고, 설정이 무선 디바이스에서 표명 (assert) 될 수도, 또는 구현될 수도 있다. 설명된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 또는 표시자, 채널 특성 및 물리 계층 설정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이들 중 임의의 것이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결정될 수도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도 있다.
도 1 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통신 설정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100) 의 흐름도의 예시이다. 방법 (100) 은 블록들 (110, 120, 130, 140 및/또는 15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예시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들, 동작들 또는 액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방법 (100) 은 예를 들어, 셀룰라 폰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방법 (100) 의 프로세스는 블록 110 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블록 110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센서를 활성화한다") 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된 센서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센서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통신 설정들을 적응시키는데 이용하기 위한 대역 외 정보를 획득 또는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센서는 무선 디바이스 내에 내장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센서는 카메라일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센서는, 유저가 전화 통화를 하고 디바이스를 잡고 있을 때, 카메라가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을 향하여 노출될 수도 있도록 무선 디바이스의 뒤에 설치된 카메라일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센서는 마이크로폰일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활성화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이벤트 (즉, 전화 통화, 메시지의 송신 또는 수신, 웹 브라우징) 와 같은 기준에 기초하여 또는 정기적인 시간 간격들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센서의 활성화는 유저에 대한 즉각적인 출력에 관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활성화시, 비쥬얼 출력이 유저에게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 120 에서 계속될 수도 있다.
블록 120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에서, 센서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데이터는 무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부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부는 로직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센서에서 획득된 데이터는 프로세싱을 위하여,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서버 또는 컴퓨터와 같은 원격 디바이스에서 프로세싱을 위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수신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패킷 등과 같은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부에 의해 인식가능한 임의의 포맷일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카메라일 수도 있으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마이크로폰일 수도 있으며,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 130 에서 계속될 수도 있다.
블록 130 ("환경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해 수신 데이터를 프로세싱한다") 에서, 수신 데이터는 무선 디바이스의 주변의 환경에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도록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는 환경 파라미터를 제공하도록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는 환경 파라미터를 제공하도록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 및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양쪽 모두를 이용하여 환경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설명된 몇몇 예들에서, 프로세싱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프로세싱은 원격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소정 범위의 프로세싱 방법들, 환경 파라미터들 및 환경들이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환경 파라미터는 무선 디바이스 주변과 관련될 수도 있는 임의의 파라미터, 파라미터들, 표시들, 또는 특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는 환경 내에서의 오브젝트들의 밀도 또는 유형의 수치 표시 또는 등급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는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유형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러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실내 표시, 실외 표시, 도시 표시, 교외 표시, 시골 표시, 복도 표시 (corridor indication), 카페테리아 표시 (cafeteria indication), 밀폐된 룸 표시 (confined room indication), 정거장 표시, 차량 모션 표시, 이동 표시 (nomadic indication), 플랜트 밀집 (plant-rich) 표시, 개방 지역 표시 (open area indication), 또는 폐쇄 지역 표시 중 하나와 같은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카테고리들 및 표시들이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예를 들어, 실외, 도시 및 실외와 같은 수개의 카테고리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카테고리들 및 서브카테고리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경 파라미터는 실내 표시, 및 실내 표시의 보다 구체화된 디스크립션으로서 복도, 카페테리아, 홀 또는 또는 밀폐형 룸 표시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고리들 및 표시들의 여러 조합들을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을 특성화할 수도 있다. 환경 표시들은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의 카테고리의 가장 양호한 근사값들과 관련된다. 환경 파라미터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인코딩, 이를 테면, 데이터 파일로, 패킷으로, 메시지 등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아래 보다 자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다른 예들에서는, 환경 파라미터가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 140 에서 계속될 수도 있다.
블록 140 ("전파 채널 특성을 결정한다") 에서, 전파 채널 특성은 환경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결정된 전파 채널 특성은 전파 채널의 채널 계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결정된 전파 채널 특성은 전파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결정된 전파 채널 특성은 예를 들어, 전파 채널의 시간 가변성, 전파 채널의 페이딩 특성들, 전파 채널의 전력 지연 프로파일, 전파 채널의 도플러 주파수 스펙트럼, 전파 채널의 시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공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주파수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코히어런트 거리, 전파 채널의 코히어런트 시간, 전파 채널의 코히어런트 주파수, 전파 채널의 등급 정보, 전파 채널의 쉐도잉,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전파 현상, 전파 채널의 반사, 전파 채널의 굴절, 전파 채널의 회절, 전파 채널의 확산 산란, 전파 채널의 각도들에 있어서의 선택도 (예를 들어, 방위각 및 고도 (elevation)), 전파 채널의 편향 상태, 프레임 길이, 심볼 길이, 또는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심각도 (severity)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결정된 전파 채널 특성들은 환경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결정된 전파 채널 특성들은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어 환경 파라미터들이 룩업 테이블에서 대응 특성들을 찾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특성들은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들 또는 오브젝트들은 레이 트레이싱 기술들을 이용하여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들 또는 오브젝트들은 시뮬레이션 기술들을 이용하여 채널의 일반 프로파일을 시뮬레이션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들 또는 오브젝트들은 레이 론칭 기술들을 이용하여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예들에서, 프로세싱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지만, 다른 예들에서는, 프로세싱은 원격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전파 채널 특성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 이를 테면 데이터 파일, 패킷, 메시지 등으로의 인코딩 방식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아래 보다 자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다양한 전파 채널 특성들이 결정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블록 150 에서 계속될 수도 있다.
블록 150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한다") 에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이 조정될 수도 있다. 물리 계층 설정은 다양한 설정들 또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물리 계층 설정은 예를 들어, 다이버시티 스킴 선택 파라미터, 신호 대 잡음 비 예측 파라미터, 적응 변조 파라미터, 데이터 레이트 적응 파라미터, 도플러 주파수 설정, 편향 설정, 출발 (departure) 방향 적응 파라미터, 도달 방향 적응 파라미터, 코히어런트 주파수 적응 파라미터, 코히어런트 거리 적응 파라미터, 코히어런트 시간 적응 파라미터 또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스킴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물리 계층 설정들이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 전파 채널 및 물리 계층 설정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결정 및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 전파 채널 또는 물리 계층 설정 중 하나 이상이 원격 디바이스에서 결정되어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도 있어 물리 계층 설정은 궁극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용 및 조정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센서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채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센서는 카메라일 수도 있고 획득된 데이터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도 있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일련의 이미지들을 표현할 수도 있는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일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이미지 데이터는 예를 들어, 에지를 검출하는 것, 에지 배향 및 에지 길이를 결정하는 것, 표면을 검출하는 것, 균일 컬러 영역들을 결정하는 것, 급격한 컬러 변화들을 결정하는 것, 인간의 얼굴을 검출하는 것, 인간의 몸을 검출하는 것, 교통 차선을 검출하는 것,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것, 형상을 인식하는 것, 또는 오브젝트를 모델링하는 것 등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오브젝트 검출은 컴퓨터 지원 설계 (CAD) 유형 오브젝트 모델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싱은 도 1 과 관련하여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 는 예시적인 환경 및 그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오브젝트 인식의 예시들이다. 도 2a 는 예시적인 환경 (210) 을 나타낸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카메라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활성화 이벤트 동안에 환경 (210) 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2a 의 이미지는 설명된 예들에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미되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는 유저에게 가시적 형태로 표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환경 (210) 에서의 오브젝트들을 식별 또는 평가하도록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는 에지 검출 기술들, 에지 배향 결정 기술들, 표면 검출 기술들, 컬러 평가 기술들, 컬러 콘트라스트 검출 기술들, 오브젝트 검출, 모델링 기술들 또는 여기에서 설명된 임의의 기술들을 이용하여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도 2b 는 환경 (210) 에 기초한 오브젝트 인식 및 예상된 전파 경로의 예를 예시한다.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표면들 (220, 230) 및 나무들 (240, 250, 260) 이 환경 (210) 과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에 기초하여 인식될 수도 있다. 도 2b 에 나타낸 이미지는 예를 들어, 데이터 파일 또는 데이터 세트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에 기초한 오브젝트들 및 정보는 도 1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환경 (210) 과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210) 은 실외 환경인 것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환경 파라미터는 실외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는 나뭇잎들의 양 또는 밀도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는 나무 위치들 및/또는 빌딩 위치들 등을 포함한 실외 환경에서의 오브젝트 위치들의 상세한 맵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된 데이터는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 의 예에서, 프로세싱된 이미지 데이터는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인식된 오브젝트들 및 이들의 관련 상세 사항들 (즉, 크기, 배향, 위치, 거칠기 등) 은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여러 예들에서, 전파 채널 특성들은 예를 들어, 전파 채널의 페이딩 특성, 전파 채널의 도플러 주파수 스펙트럼, 전파 채널의 시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공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주파수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쉐도잉,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전파 현상, 전파 채널의 반사, 전파 채널의 굴절, 전파 채널의 회절, 전파 채널의 확산 산란, 프레임 길이, 심볼 길이, 또는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심각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전파 채널 특성들은 채널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b 의 예시에서, 통상의 채널 경로 분포들이 예를 들어, 나무 (250) 와 빌딩 표면 (230) 사이의 위치 (270) 에서, 나무 (240) 와 나무 (250) 사이의 위치 (272) 에서, 나무 (260) 바로 왼쪽과 빌딩 표면 (240) 위의 위치 (274), 빌딩 표면 (230) 을 따른 위치 (276) 에서, 및 빌딩 표면 (240) 을 따른 위치 (278) 에서 예상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전파 경로들은 나무 (240) 또는 나무 (250) 를 거치는 것과 같은 몇몇 위치들에서는 예상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예측되는 전파 도달 경로들이 방위각 및 고도 양쪽 모두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빌딩의 검출된 에지들, 코너들, 표면들 또는 검출된 오브젝트들은 채널의 구성의 근사값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에지들은 전자기파 방사의 소스일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표면들은 지연, 각도, 및 편향에 확산을 추가하여 채널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에서의 오브젝트들은 전파 채널의 신호 파워에서의 신호 감쇄 및 페이딩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상세 사항은 전파 채널을 특성화하도록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 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전파 채널 특성은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결정하고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 에 나타낸 예시적 환경에 관련된 예시적 방법에서, 본 방법은 유저가 전화 통화를 행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화 통화의 개시시에,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내장된 카메라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활성화된 카메라는 환경 (210) 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센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수신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환경 (210) 이 실외 환경일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도록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나열된 것들의 임의의 것에 대한 전파 채널 특성 또는 특성들은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전파 채널 특성 또는 특성들은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유리한 송신 기술들이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 는 예시적인 환경 및 그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오브젝트 인식의 예시들이다. 도 3a 는 예시적 환경 (310) 을 나타낸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카메라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활성화 이벤트 동안에 환경 (310) 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3a 의 이미지는 설명된 예들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의미되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는 유저에게 가시적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환경 (310) 에서 오브젝트들을 평가 또는 식별하도록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는 에지 검출 기술들, 에지 배향 결정 기술들, 표면 검출 기술들, 표면 거칠기 검출 기술들, 컬러 평가 기술들, 컬러 콘트라스트 검출 기술들, 오브젝트 검출, 모델링 기술들 또는 여기에서 설명된 임의의 기술들을 이용하여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도 3b 는 환경 (310) 에 기초한 오브젝트 인식 및 예상된 전파 경로의 예를 예시한다. 도 3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들 (320, 330, 340), 클러터 (370) 및 에지들 (350, 360) 이 환경 (310) 과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에 기초하여 인식될 수도 있다. 도 3b 에 나타낸 이미지는 예를 들어, 데이터 세트 또는 데이터 파일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에 기초한 오브젝트들 및 정보는 도 1 과 관련하여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환경 (310) 과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310) 은 실내 환경인 것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환경 파라미터는 실내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는 실내 환경에서의 오브젝트들의 양 또는 밀도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는 오브젝트 유형 및 위치들 등을 포함한 실내 환경에서의 오브젝트 위치들의 상세한 맵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된 데이터는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 의 예에서, 프로세싱된 이미지 데이터는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인식된 오브젝트들 및 이들의 관련 상세 사항들 (즉, 크기, 배향, 위치 등) 은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여러 예들에서, 전파 채널 특성들은 예를 들어, 전파 채널의 도플러 주파수 스펙트럼, 전파 채널의 시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쉐도잉,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전파 현상, 전파 채널의 반사, 전파 채널의 굴절, 전파 채널의 회절, 전파 채널의 확산 산란, 프레임 길이, 심볼 길이, 또는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심각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전파 채널 특성들은 채널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b 의 예시에서, 채널 경로 분포들이 예를 들어, 에지들 (350, 360) 사이의 위치 (381), 에지 (360) 와 표면 (320) 사이의 위치 (382), 표면 (320) 에서의 위치 (383), 표면 (330) 에서의 위치 (384), 표면 (340) 에서의 위치 (385), 및 클러터 (370) 에서의 위치 (386) 에서 예상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예측되는 전파 도달 경로들이 방위각 및 고도 양쪽 모두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빌딩의 검출된 에지들, 코너들, 표면들 또는 검출된 오브젝트들은 채널의 구성의 근사값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에지들은 전자기파 방사의 소스일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표면들은 지연, 각도, 및 편향에 확산을 추가하여 채널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에서의 오브젝트들은 전파 채널의 신호 파워에서의 신호 감쇄 및 페이딩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상세 사항은 전파 채널을 특성화하도록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 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전파 채널 특성은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결정하고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a 에 나타낸 예시적 환경에 관련된 예시적 방법에서, 본 방법은 유저가 전화 통화를 행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화 통화의 개시시에,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내장된 카메라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활성화된 카메라는 환경 (310) 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센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수신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환경 (310) 이 실내 밀폐 환경일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도록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나열된 것들의 임의의 것에 대한 전파 채널 특성 또는 특성들은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전파 채널 특성 또는 특성들은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유리한 송신 기술들이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 는 예시적인 환경 및 그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오브젝트 인식의 예시들이다. 도 4a 는 예시적 환경 (410) 을 나타낸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카메라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활성화 이벤트 동안에 환경 (410) 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4a 의 이미지는 설명된 예들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의미되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는 유저에게 가시적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환경 (410) 에서 오브젝트들을 평가 또는 식별하도록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는 에지 검출 기술들, 에지 배향 결정 기술들, 표면 검출 기술들, 표면 거칠기 검출 기술들, 컬러 평가 기술들, 컬러 콘트라스트 검출 기술들, 오브젝트 검출, 모델링 기술들 또는 여기에서 설명된 임의의 기술들을 이용하여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도 4b 는 환경 (410) 에 기초한 오브젝트 인식 및 예상된 전파 경로의 예를 예시한다. 도 4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들 (420, 430, 440), 클러터 (470), 에지들 (450, 454, 458), 나무 (480) 및 얼굴 (460) 이 환경 (410) 과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에 기초하여 인식될 수도 있다. 도 4b 에 나타낸 이미지는 예를 들어, 데이터 세트 또는 데이터 파일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에 기초한 오브젝트들 및 정보는 도 1 과 관련하여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환경 (410) 과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410) 은 실내 복도 환경인 것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환경 파라미터는 실내 복도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는 실내 복도 환경에서의 오브젝트들의 양 또는 밀도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는 오브젝트 위치들 등을 포함한 실내 복도 환경에서의 상세한 맵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된 데이터는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 의 예에서, 프로세싱된 이미지 데이터는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인식된 오브젝트들 및 이들의 관련 상세 사항들 (즉, 크기, 배향, 위치 등) 은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여러 예들에서, 전파 채널 특성들은 예를 들어, 전파 채널의 도플러 주파수 스펙트럼, 전파 채널의 시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쉐도잉,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전파 현상, 전파 채널의 반사, 전파 채널의 굴절, 전파 채널의 회절, 전파 채널의 확산 산란, 프레임 길이, 심볼 길이, 또는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심각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전파 채널 특성들은 채널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b 의 예시에서, 통상의 채널 경로 분포들이 예를 들어, 표면 (420) 에서의 위치 (492), 표면 (430) 에서의 위치 (494), 표면 (470) 에서의 위치 (496), 나무 (480) 주변의 위치들에서, 그리고 에지들 (450, 454, 458) 사이의 위치들에서 예상될 수도 있다. 나무 (480) 주변 및 에지들 (450, 454, 458) 사이의 위치들은 설명의 명확화를 위하여 나타내지 않는다. 이에 의해, 예측되는 전파 도달 경로들이 방위각 및 고도 양쪽 모두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빌딩의 검출된 에지들, 코너들, 표면들 또는 검출된 오브젝트들은 채널의 구성의 근사값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에지들은 전자기파 방사의 소스일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표면들은 지연, 각도, 및 편향에 확산을 추가하여 채널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에서의 오브젝트들은 전파 채널의 신호 파워에서의 신호 감쇄 및 페이딩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상세 사항은 전파 채널을 특성화하도록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 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전파 채널 특성은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결정하고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4a 에 나타낸 예시적 환경에 관련된 예시적 방법에서, 본 방법은 유저가 전화 통화를 행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화 통화의 개시시에,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내장된 카메라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활성화된 카메라는 환경 (410) 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센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수신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환경 (410) 이 실내 복도 환경일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도록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나열된 것들의 임의의 것에 대한 전파 채널 특성 또는 특성들은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전파 채널 특성 또는 특성들은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유리한 송신 기술들이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 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환경 상세 사항들은 채널 특성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들을 통하여 제공된 환경에서의 오브젝트들은 레이 트레이싱 기술들을 이용하여 채널 특성들에 링크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들을 통하여 제공된 환경에서의 오브젝트들은 레이 론칭 기술들을 이용하여 채널 특성들에 링크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들을 통하여 제공된 환경에서의 오브젝트들은 채널 시뮬레이션 기술들을 이용하여 채널 특성들에 링크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오브젝트들의 사이즈와 함께 오브젝트들의 모션 상태는 도플러 주파수 스펙트럼을 재구성하거나 근사화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이는 채널의 가변성, 채널의 페이딩 통계, 채널의 시간 자동 상관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빌딩들, 나무들 또는 대형 오브젝트들은 전파 채널에서의 쉐도잉 상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전력 할당 물리 설정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의 상세 사항들은 전파 채널에 존재하는 독립적인 경로들의 수 및 채널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등급을 근사화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이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레이트에서 송신하는데 필요한 안테나의 수를 근사화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들 또는 상세 사항들은 채널 다중 경로들의 풍부도 또는 품질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품질은 부족 표시자, 적절 표시자, 양호 표시자와 같은 표시자를 이용하여 정량화될 수도 있다. 품질 표시자에 의존하여, 물리 설정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도 환경 경로에서, 수개의 전파 경로들이 복도 벽들로 인하여 집중될 수도 있을 경우에 품질이 부족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고 안테나들 간 상관해제 및 빔포밍 기술들을 요구하는 물리 설정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채널 특성들은 채널 임펄스 응답들의 결정적 부분 및 랜덤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둘에 대한 비는 채널 K 팩터가 결정될 수 있도록 채널이 시선 시나리오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K 팩터는 채널에서의 비트 에러 레이트를 예상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이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물리 계층 설정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의 환경 파라미터들이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과 연관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의 채널 특성들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 계층 설정들을 결정하는 것과 연관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결정된 채널 특성들은 물리 계층 설정들을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특성들은 적용된 물리 계층 설정들을 결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밸런싱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은 카메라로부터 수신되어 프로세싱 중인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싱은 스테이지들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의 제 1 스테이지는 균일한 컬러 및 급격한 컬러 변화를 갖는 이미지 내의 영역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은 에지 위치들 및 배향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은 설명된 환경 파라미터들, 채널 특성들, 및 물리 계층 설정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스테이지 프로세싱이 몇몇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충분할 수도 있거나 또는 설정들을 신속하게 결정하는데 제 1 패스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의 제 1 스테이지에 기초하여 변경이 행해질 수도 있거나 또는 이후에 변경 또는 정제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프로세싱의 제 2 스테이지는 환경에서의 클러터 오브젝트들의 결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된 환경 파라미터들, 채널 특성들 및 물리 계층 설정들은 설정들을 정제하는 제 2 스테이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제 3 스테이지가 빌딩들, 나무들 및 사람들과 같은 환경에서의 보다 구체적인 오브젝트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된 환경 파라미터들, 채널 특성들, 및 물리 계층 설정들은 설정들을 정제하는 제 3 스테이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예들에서, 환경 파라미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을 설명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이동은 모바일 디바이스 이동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이동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주변의 오브젝트들의 이동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주변 오브젝트들 양쪽 모두가 이동 중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환경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이동 표시자, 고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동 오브젝트 표시자, 또는 이동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동 오브젝트 표시자와 같이, 이동이 관련될 수도 있는 환경의 근사화 표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환경 파라미터는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 예들에서, 이동이 환경 파라미터에서 기술되어 있는 경우, 결정된 채널 특성은 채널 페이딩 레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카메라에서 획득된 일련의 이미지들에 기초하는 오브젝트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션의 기록은 채널 페이딩 특성들에서의 트렌드를 예상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센서를 채용하여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센서는 마이크로폰일 수도 있으며 획득된 데이터는 오디오 기록을 표현할 수도 있는 오디오 데이터일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기록된 오디오는 유저의 보이스, 환경 내 반사들에 의해 생성된 유저의 보이스의 공명, 또는 환경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사운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획득된 데이터는 환경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 및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싱은 공명 검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공명 검출은 특정 주파수에서 오실레이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추세를 결정하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환경 파라미터들은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특정 주파수들에서의 오디오 공명 검출은 실내 환경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련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싱은 오디오 에코 검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에코 검출은 특정 주파수들이 예를 들어, 오브젝트 또는 표면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시 반사되었을 수도 있는 것으로 결정하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여기에 설명된 환경 파라미터들은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오디오 에코 검출은 모바일 디바이스 근처에 있는 벽들에 관련될 수도 있고, 결정된 환경 파라미터는 실내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오디오 에코 검출은 산, 또는 사유 울타리와 같은 딱딱한 실외 표면들에 관련될 수도 있고, 결정된 환경 파라미터는 실외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오디오 에코 검출은 관련 환경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에코의 강도의 평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센서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고, 환경 파라미터, 전파 채널 특성 및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 채널 설정을 결정하기 위해 프로세싱되는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센서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도 있고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카메라와 마이크로폰 양쪽 모두가 공동으로 이용되어, 환경 파라미터, 전파 채널 특성 및 물리 계층 설정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와 사운드 데이터 양쪽 모두가 수신 및 프로세싱되어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환경 파라미터가 생성될 수도 있다. 전파 채널 특성은 환경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이 전파 채널 특성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은 동시에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상이하지만 같은 시간에 데이터가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동일 또는 유사 환경을 나타낼 수도 있도록 카메라가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마이크로폰이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예들에서, 대역외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들에서의 통신 설정들을 적응시킬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예를 들어, 여기에서의 도 1 에 대하여 설명된 대역외 정보는 통신 설정을 적응시키도록 대역 내 정보 및 대응 기술과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대역 내 기술은 대역 내 채널 설정 및 채널 추정, 복합 채널 계수들을 결정하는 것,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것, 지연 탭을 결정하는 것, 주파수 응답을 결정하는 것, 최적의 출발 방향을 결정하는 것, 최적의 도달 방향을 결정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이들 기술의 하나 이상이 여기에 설명된 대역 외 기술과 함께 이용되어, 예를 들어, 전파 채널 특성들이 결정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이 결정 또는 조정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대역 내 기술은 물리 계층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대역 내 및 대역 외 설정의 구현은 무선 디바이스의 물리 계층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예들에서, 센서 활성화가 무선 통신 이벤트 또는 정기적인 시간 간격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센서 활성화는 유용한 환경 정보가 획득될 수도 있는 임의의 시간 또는 이벤트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활성화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동 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활성화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커맨드 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활성화는 무선 디바이스가 셀룰라 스케이션들 사이에서 핸드오프될 때 발생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들의 센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을 표현할 수도 있는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도록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환경 파라미터들은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특성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들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특성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기지국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센서에서 획득된 데이터의 프로세싱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프로세싱될 수도 있거나 또는 원격 서버 또는 컴퓨터에서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센서에서 획득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의 부분들은 원격 서버 또는 컴퓨터에 송신될 수도 있다. 원격 서버 또는 컴퓨터는 수신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주변 환경을 표현할 수도 있는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도 있고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기술들을 이용하여 전파 채널 특성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채널 특성들에 기초하여, 서버 또는 컴퓨터는 기지국에 대한 물리 계층 설정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들 설정은 구현을 위하여 기지국에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서버 또는 컴퓨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 계층 설정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들 설정은 구현을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개시물의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배열된 일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00) 을 도시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00) 은 신호 베어링 매체 (50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신호 베어링 매체 (502)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가 여기에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동작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머신 판독가능 명령 (5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갖가지 예들에서, 머신 판독가능 명령의 일부 또는 전부는 여기에 설명된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 (502) 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 (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디지털 테이프, 메모리 등과 같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05) 를 포괄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 (502) 는 메모리, 읽기/쓰기 (R/W) CD들, R/W DVD들 등과 같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기록가능 매체 (508) 를 포괄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 (502) 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 (예컨대, 광섬유 케이블, 도파관,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 와 같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통신 매체 (510) 를 포괄할 수도 있다. 몇몇 예들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 (502) 는 머신 판독가능 비일시적 매체를 포괄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개시물의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배열된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 (600) 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갖가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 (600) 는 여기에 설명된 동작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도 6 에 관해 설명된 디바이스들은 컴퓨팅 디바이스 (600) 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기본 구성 (601) 에서, 컴퓨팅 디바이스 (600)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610) 및 시스템 메모리 (620) 를 구비할 수도 있다. 메모리 버스 (630) 는 프로세서 (610) 와 시스템 메모리 (620)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망의 구성에 의존하여, 프로세서 (610)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μP), 마이크로제어기 (μ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 임의의 유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610) 는 하나 이상의 레벨들의 캐싱, 이를테면 레벨 1 캐시 (611), 레벨 2 캐시 (612), 프로세서 코어 (613), 및 레지스터들 (614) 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 코어 (613) 는 산술 논리 연산 유닛 (ALU), 부동 소수점 유닛 (F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코어 (DSP 코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 제어기 (615) 는 또한 프로세서 (610) 와 함께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메모리 제어기 (615) 는 프로세서 (610) 의 내부의 부분일 수 있다.
소망의 구성에 의존하여, 시스템 메모리 (620) 는 휘발성 메모리 (이를테면 RAM), 비휘발성 메모리 (이를테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 임의의 유형일 수도 있다. 시스템 메모리 (620) 는 운영 체제 (621),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 (622), 및 프로그램 데이터 (62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622) 은, 여기에 설명된 기능적 블록들, 액션들, 및/또는 동작들을 포함하여,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기능들, 액션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컴파일러 애플리케이션 (623)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 (624) 는 배터리 관리 애플리케이션 (623) 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데이터 (625)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애플리케이션 (622) 은 운영 체제 (621) 상의 프로그램 데이터 (624) 로 동작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 설명되는 기본 구성은 점선 601 내에 있는 이들 컴포넌트들에 의해 도 6 에서 도시된다.
컴퓨팅 디바이스 (600) 는 기본 구성 (601) 과 임의의 요구된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통신들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부가적인 특징들 또는 기능성, 및 부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스/인터페이스 제어기 (640) 가 기본 구성 (601) 과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650) 사이의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버스 (641) 를 경유한 통신들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650) 은 착탈형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651), 비-착탈형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652),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착탈형 스토리지 및 비-착탈형 스토리지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몇몇 이름을 열거하면 유연성 디스크 드라이브들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들 (HDD) 과 같은 자기 디스크 디바이스들, 콤팩트 디스크 (CD) 드라이브들 또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드라이브들과 같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들, 고체 상태 드라이브들 (SSD), 및 테이프 드라이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착탈형 및 비착탈형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 메모리 (620), 착탈형 스토리지 (651) 및 비-착탈형 스토리지 (652) 는 컴퓨터 저장 매체들의 예들이다. 컴퓨터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들 (DVD) 또는 다른 광학적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들,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 (600) 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그러한 컴퓨터 저장 매체들은 디바이스 (600) 의 부분일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600) 는 또한 갖가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예컨대, 출력 인터페이스들, 주변 인터페이스들, 및 통신 디바이스들) 로부터 버스/인터페이스 제어기 (640) 를 경유한 기본 구성 (601) 으로의 통신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버스 (64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출력 인터페이스들 (660) 은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 (661) 과 오디오 프로세싱 유닛 (662) 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두 처리 유닛들은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들과 같은 각종 외부 디바이스들에 하나 이상의 A/V 포트들 (663) 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주변 인터페이스들 (680) 은 직렬 인터페이스 제어기 (681)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제어기 (682) 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제어기들은 입력 디바이스들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등) 또는 다른 주변 디바이스들 (예컨대, 프린터, 스캐너 등) 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들과 하나 이상의 I/O 포트들 (683) 을 경유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통신 인터페이스 (680) 는 네트워크 제어기 (681) 를 구비하며, 이 네트워크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통신 포트들 (682) 을 경유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 (683) 과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통신 접속부 (connection) 는 통신 매체들 중 하나의 예이다. 통신 매체들은 통상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데이터 신호, 이를테면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에 있는 다른 데이터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에 있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그 정보의 특성들 중의 하나 이상을 갖는 신호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통신 매체들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전선 (direct-wired)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들, 및 음향, 무선 주파수 (RF), 적외선 (IR) 및 다른 무선 매체들과 같은 무선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을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600) 는, 셀 폰, 모바일 폰, 태블릿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개인휴대 정보단말 (PDA), 개인용 미디어 플레이어 디바이스, 무선 웹와치 (web-watch) 디바이스, 개인용 헤드셋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특화 디바이스, 또는 위의 기능들 중 임의의 것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와 같은 소형-폼 팩터 휴대용 (또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600) 는 또한 랩톱 컴퓨터 및 비-랩톱 컴퓨터 구성들 양쪽 모두를 구비한 개인용 컴퓨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덧붙여서, 컴퓨팅 디바이스 (600) 는 무선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의 일부 부분들은 컴퓨팅 시스템 메모리, 이를테면 컴퓨터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이터 비트들 또는 이진 디지털 신호들에 대한 동작들의 알고리즘들 또는 심볼 표현들의 측면에서 제시된다. 이들 알고리즘적 서술들 또는 표현들은 데이터 프로세싱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그들의 작업의 실체를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다른 자들에게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기법들의 예들이다. 알고리즘이 여기 있고, 대체로, 소망의 결과로 이끄는 동작들 또는 유사한 프로세싱의 자기 일관적 시퀀스일 것이라고 간주된다. 이 상황에서, 동작들 또는 프로세싱은 물리량들의 물리적 조작을 수반한다. 통상,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양들은 저장, 전송, 조합, 비교, 또는 그렇지 않으면 조작되는 것이 가능한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들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주로 통상적인 사용의 이유 때문에 이러한 신호들을 비트들, 데이터, 값들, 엘리멘트들, 심볼들, 문자들, 항들 (terms), 숫자들 (numbers), 수 표현들 (numeral) 등을 말하는 것으로 하면 가끔은 편리하다는 것이 입증된다. 그러나, 이들 및 유사한 용어들의 모두는 적합한 물리량들에 관련될 것이고 단지 편리한 레이블들일 뿐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한, 다음의 설명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프로세싱", "컴퓨팅", "계산", "결정" 등과 같은 용어들을 이용하는 설명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들,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정보 저장 디바이스들, 송신 디바이스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내에서 물리적 전자적 또는 자기적 양들로서 표현되는 데이터를 조작 또는 변환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액션들 또는 프로세스들을 말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블록도들, 흐름도들, 및/또는 예들의 사용을 통해 디바이스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의 갖가지 실시형태들을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블록도들, 흐름도들, 및/또는 예들이 하나 이상의 기능들 및/또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한, 이러한 블록도들, 흐름도들, 또는 예들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넓은 범위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가상적인 임의의 조합에 의해 제각기 및/또는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 기술분야 내에 있는 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서, 본 개시물에서 설명되는 대상물의 여러 부분들이 주문형 집적회로들 (ASICs),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s), 또는 다른 집적형 포맷들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개시물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의 일부 양태들이, 전체로 또는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중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서 (예컨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 상에서 실행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실행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로서 (예컨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상에서 실행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로서), 펌웨어로서, 또는 이들의 가상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집적회로들에서 동등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과, 회로를 설계하는 것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 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본 개시물에 비추어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의 스킬 내에서 잘 이루어질 것이라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덧붙여서,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개시물에서 설명되는 대상물의 메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배포될 수 있다는 것과, 본 개시물에서 설명되는 대상물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 실질적으로 배포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한 유형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할 것이다. 신호 베어링 매체의 예들은,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콤팩트 디스크 (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디지털 테이프, 컴퓨터 메모리 등과 같은 기록가능형 매체; 그리고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 (예컨대, 광섬유 케이블, 도파관,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 와 같은 송신형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설명되는 대상물은 때때로 상이한 다른 구성요소들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이러한 다른 구성요소들과 연결되는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이렇게 묘사된 아키텍처들은 단지 예들이고, 실제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많은 다른 아키텍처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개념적인 느낌에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배열은 소망의 기능이 달성되도록 효과적으로 "연관"된다. 그런고로, 특정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조합되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2 개의 구성요소들은, 아키텍처들 또는 중간 구성요소들에 무관하게, 소망의 기능이 달성되도록 서로"와 연관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비슷하게, 그렇게 관련되는 임의의 2 개의 구성요소들은 또한 소망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에 "동작상 접속된", 또는 "동작상 연결된" 것으로 보일 수 있고, 그렇게 연관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2 개의 구성요소들은 또한 소망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상 연결가능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동작상 연결가능한 구체적인 예들은, 물리적으로 교합가능한 (mateable) 및/또는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들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작용하는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들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작용가능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지만 이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복수 및/또는 단수 용어들의 사용에 관하여,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상황 및/또는 응용에 적합한 대로 복수에서 단수로 및/또는 단수에서 복수로 바꿀 수 있다. 갖가지 단수/복수 바꾸기들은 명료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대체로, 본 개시물에서, 그리고 특히 첨부의 청구항들 (예컨대, 첨부의 청구항들의 본문들) 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대체로 "개방형" 용어들로서 의도된다 (예컨대,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지만 그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용어 "가지는"은 "적어도 가지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용어 "포함한다"는 "포함하지만 그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로 해석되어야 하는 등이다) 는 것이 이 기술분야의 자들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특정한 수의 도입된 청구항 한정이 의도된다면, 이러한 의도는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될 것이고, 그러한 한정이 없으면 그러한 의도는 없다는 것이 이 기술분야의 자들에게는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첨부의 청구항들이 청구항 한정들을 도입하기 위해 도입 어구들인 "적어도 하나의" 및 "하나 이상의"의 사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구들의 사용은, 부정관사들인 "a" 또는 "an"에 해당한다고 여겨질 국어 표현들에 의한 청구항 한정의 도입이,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어구들인 "하나 이상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와 "a" 또는 "an" (예컨대,"a" 및/또는 "an"은 통상은 "적어도 하나의" 또는 "하나 이상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야 한다) 와 같은 부정관사들에 해당한다고 여겨질 국어 표현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그러한 한정만을 담고 있는 본 개시물에 대한 그런 도입된 청구항 한정을 담고 있는 임의의 특정한 청구항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동일한 것이 청구항 한정들을 도입하는데 사용되는 정관사들의 사용에 대해 참을 유지한다. 덧붙여서, 구체적인 수의 도입된 청구항 한정이 명시적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도,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그러한 한정이 적어도 언급된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예컨대, 다른 수식어 없이 가장 기본적인 것만 갖춘 "2의 언급"은, 적어도 2 개의 언급, 또는 둘 이상의 언급을 의미한다). 더욱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등"에 유사한 약속사항이 사용되는 이러한 경우들에서, 대체로 이러한 구조는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가 그 약속사항을 이해할 것이라는 뜻으로 의도된다 (예컨대,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를 함께, A 및 C를 함께, B 및 C를 함께, 그리고/또는 A, B, 및 C를 함께 등등을 가지는 시스템들을 포함하지만 그러한 시스템들로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에 유사한 약속사항이 사용되는 이러한 경우들에서, 대체로 이러한 구조는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가 그 약속사항을 이해할 것이라는 뜻으로 의도된다 (예컨대,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를 함께, A 및 C를 함께, B 및 C를 함께, 그리고/또는 A, B, 및 C를 함께 등등을 가지는 시스템들을 포함하지만 그러한 시스템들로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둘 이상의 대체 용어들을 나타내는 가상의 임의의 선언적인 낱말 및/또는 어구는,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 중 어디에 있든, 용어들 중의 하나, 용어들 중의 어느 것이든, 또는 용어들 양쪽 모두를 포함할 가능성들을 생각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에 의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어구 "A 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특정 예시적인 기법들이 다양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여기에 설명되고 보여졌지만, 다양한 다른 변형예들이 만들어질 수 있고, 동등물들이 청구된 대상물을 벗어나는 일 없이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이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덧붙여, 여기에 설명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청구된 대상물의 교시들에 특정 상황을 맞추는 많은 변형예들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청구된 대상물이 개시된 특정한 예들로 제한되지 않지만 또한 이러한 청구된 대상물이 첨부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구현예들, 및 이들의 동등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의도되고 있다.

Claims (22)

  1. 무선 디바이스에서 통신 설정들을 적응시키기 위해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상기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파 채널 특성을 결정하는 것; 및
    결정된 상기 전파 채널 특성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물리 계층 설정은 상기 전파 채널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에지를 검출하는 것, 에지 배향 및 에지 길이를 결정하는 것, 표면을 검출하는 것, 균일 컬러 영역들을 결정하는 것, 급격한 컬러 변화들을 결정하는 것, 인간의 얼굴을 검출하는 것, 교통 차선을 검출하는 것,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것, 형상을 인식하는 것, 또는 오브젝트를 모델링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상기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에서의 오브젝트 모션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공명 검출 또는 오디오 에코 검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파라미터는 실내 표시, 실외 표시, 도시 표시, 교외 표시, 시골 표시, 복도 표시 (corridor indication), 카페테리아 표시 (cafeteria indication), 밀폐된 룸 표시 (confined room indication), 정거장 표시, 차량 모션 표시, 이동 표시 (nomadic indication), 플랜트 밀집 (plant-rich) 표시, 개방 지역 표시 (open area indication), 또는 폐쇄 지역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채널 특성은 전파 채널의 시간 가변성, 전파 채널의 도플러 주파수 스펙트럼, 전파 채널의 시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쉐도잉,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전파 현상, 전파 채널의 반사, 전파 채널의 굴절, 전파 채널의 회절, 전파 채널의 확산 산란, 전파 채널의 각도들에 있어서의 선택도, 전파 채널의 편향 상태, 프레임 길이, 심볼 길이 또는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심각도 (sever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계층 설정은 다이버시티 스킴 선택 파라미터, 신호 대 잡음 비 예측 파라미터, 적응 변조 파라미터, 데이터 레이트 적응 파라미터, 빔 포밍 파라미터, 도플러 주파수 설정, 편향 설정, 또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스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10. 무선 디바이스에서 통신 설정들을 적응시키기 위해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카메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상기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수신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파 채널 특성을 결정하는 것; 및
    결정된 상기 전파 채널 특성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물리 계층 설정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물리 계층 설정은 상기 전파 채널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채널 특성은 전파 채널의 시간 가변성, 전파 채널의 도플러 주파수 스펙트럼, 전파 채널의 시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공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주파수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쉐도잉,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전파 현상, 전파 채널의 반사, 전파 채널의 굴절, 전파 채널의 회절, 전파 채널의 확산 산란, 전파 채널의 각도들에 있어서의 선택도, 전파 채널의 편향 상태, 프레임 길이, 심볼 길이, 또는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심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계층 설정은 다이버시티 스킴 선택 파라미터, 신호 대 잡음 비 예측 파라미터, 적응 변조 파라미터, 데이터 레이트 적응 파라미터, 최적의 도달 방향 파라미터, 최적의 출발 (departure) 방향 파라미터, 빔 포밍 파라미터, 도플러 주파수 설정, 편향 설정, 또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스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역 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13. 복수의 명령들이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비일시적 매체로서,
    상기 복수의 명령들은 실행될 때 머신으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상기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파 채널 특성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전파 채널 특성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 계층 설정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리 계층 설정은 상기 전파 채널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상기 물리 계층 설정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대역 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설정들을 제공하도록 하는, 복수의 명령들이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비일시적 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에지를 검출하는 것, 에지 배향 및 에지 길이를 결정하는 것, 표면을 검출하는 것, 균일 컬러 영역들을 결정하는 것, 급격한 컬러 변화들을 결정하는 것, 인간의 얼굴을 검출하는 것, 교통 차선을 검출하는 것,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것, 형상을 인식하는 것, 또는 오브젝트를 모델링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복수의 명령들이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비일시적 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오디오 트랙에서의 공명 검출 또는 오디오 에코 검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복수의 명령들이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비일시적 매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채널 특성은 전파 채널의 시간 가변성, 전파 채널의 도플러 주파수 스펙트럼, 전파 채널의 시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공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주파수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쉐도잉,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전파 현상, 전파 채널의 반사, 전파 채널의 굴절, 전파 채널의 회절, 전파 채널의 확산 산란, 전파 채널의 각도들에 있어서의 선택도, 전파 채널의 편향 상태, 프레임 길이, 심볼 길이, 또는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심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명령들이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비일시적 매체.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계층 설정은 다이버시티 스킴 선택 파라미터, 신호 대 잡음 비 예측 파라미터, 적응 변조 파라미터, 데이터 레이트 적응 파라미터, 빔 포밍 파라미터, 도플러 주파수 설정, 편향 설정, 또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스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명령들이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비일시적 매체.
  18. 복수의 명령들이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매체; 및
    상기 복수의 명령들을 실행시키기 위해 상기 머신 판독가능 매체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명령들은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상기 무선 디바이스 주변의 환경에 관련된 환경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파 채널 특성을 결정하는 것; 및
    결정된 상기 전파 채널 특성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 계층 설정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 계층 설정은 상기 전파 채널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상기 물리 계층 설정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대역 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설정들을 제공하도록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에지를 검출하는 것, 에지 배향 및 에지 길이를 결정하는 것, 표면을 검출하는 것, 표면 거칠기를 결정하는 것, 균일 컬러 영역들을 결정하는 것, 급격한 컬러 변화들을 결정하는 것, 인간의 얼굴을 검출하는 것, 교통 차선을 검출하는 것,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것, 형상을 인식하는 것, 또는 오브젝트를 모델링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오디오 트랙에서의 공명 검출 또는 오디오 에코 검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채널 특성은 전파 채널의 시간 가변성, 전파 채널의 도플러 주파수 스펙트럼, 전파 채널의 시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공간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주파수 자동 상관, 전파 채널의 쉐도잉,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전파 현상, 전파 채널의 반사, 전파 채널의 굴절, 전파 채널의 회절, 전파 채널의 확산 산란, 전파 채널의 각도들에 있어서의 선택도, 전파 채널의 편향 상태, 프레임 길이, 심볼 길이, 또는 전파 채널의 다중 경로 심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계층 설정은 다이버시티 스킴 선택 파라미터, 신호 대 잡음 비 예측 파라미터, 적응 변조 파라미터, 데이터 레이트 적응 파라미터, 빔 포밍 파라미터, 도플러 주파수 설정, 편향 설정, 또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스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37021970A 2011-02-21 2011-02-21 무선 통신의 향상을 위한 대역 외 정보의 이용 KR101472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1/071124 WO2012113132A1 (en) 2011-02-21 2011-02-21 Using out-band information to improve wireless commun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474A true KR20130108474A (ko) 2013-10-02
KR101472702B1 KR101472702B1 (ko) 2014-12-12

Family

ID=4672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970A KR101472702B1 (ko) 2011-02-21 2011-02-21 무선 통신의 향상을 위한 대역 외 정보의 이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03325B2 (ko)
EP (1) EP2679067B1 (ko)
JP (1) JP6002157B2 (ko)
KR (1) KR101472702B1 (ko)
CN (1) CN103430604B (ko)
WO (1) WO2012113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67005B1 (en) * 2011-10-13 2019-09-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istics for direction of departure
US9020169B2 (en) * 2012-05-15 2015-04-28 Cochlear Limited Adaptive data rate for a bilateral hearing prosthesis system
WO2016005977A1 (en) * 2014-07-08 2016-01-14 Trekeye Systems Ltd. A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changes in a defined surveyed area
US9460338B2 (en) * 2014-12-10 2016-10-04 Intel Corporation Fac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lookup table
CN104507039B (zh) 2014-12-27 2019-03-0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通信方法及用户设备
US9820232B2 (en) * 2015-05-12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delay profile based indoor outdoor detection
CN106375041B (zh) * 2016-08-25 2018-10-23 合肥工业大学 用于无线通信信道特征参数提取的便携式装置
WO2018063243A1 (en) * 2016-09-29 2018-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ing settings on computing devices based on location
US9912373B1 (en) * 2016-10-19 2018-03-06 Whatsapp Inc. Techniques to detect echoes using audio fingerprinting
US10429926B2 (en) * 2017-03-15 2019-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hysical object addition and removal based on affordance and view
WO2019032605A1 (en) * 2017-08-11 2019-02-14 Cohere Technologies RADIATION TRACING TECHNIQUE FOR WIRELESS CHANNEL MEASUREMENTS
KR102442410B1 (ko) 2017-12-18 2022-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 물체를 고려한 통신 환경 분석 및 망 설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0807A (en) 1979-10-03 1983-04-19 Polaroid Corporation Echo recognition system
CA2186793C (en) * 1995-11-13 2000-12-19 Vijitha Weerackody Method and apparatus to implement antenna diversity for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receivers
US6148078A (en) 1998-01-09 2000-11-14 Ericss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cho suppression in communications systems
JP3513058B2 (ja) * 1999-09-30 2004-03-31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装置
JP2001358984A (ja) * 2000-06-15 2001-12-26 Mitsubishi Heavy Ind Ltd 動画像処理カメラ
US7139336B2 (en) * 2002-04-05 2006-11-2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estimation using iterative estimation and detection
US7421276B2 (en) * 2003-04-09 2008-09-02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based on location
US7583645B2 (en) * 2004-09-01 2009-09-01 Intel Corporation Adaptive MAC architecture for wireless networks
JP4759304B2 (ja) 2005-04-07 2011-08-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7259445A (ja) * 2006-03-20 2007-10-04 Fujitsu Ltd Ofdm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装置及び方法
WO2008040088A1 (en) * 2006-10-05 2008-04-10 Cohda Wireless Pty Ltd Improving receiver performan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796948B2 (en) * 2006-12-13 2010-09-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radio performance through inferred knowledge of indoor-outdoor radio status
US7646297B2 (en) * 2006-12-15 2010-01-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text-detected auto-mode switching
US7801079B2 (en) * 2007-03-02 2010-09-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aware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groups of wireless sensor node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JP5312456B2 (ja) 2007-07-05 2013-10-09 コーヒレント・ロジ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移動体テレビジョン放送システム
EP2201343A1 (en) * 2007-07-25 2010-06-30 Nxp B.V. Indoor/outdoor detection
CN101478352B (zh) 2009-01-19 2014-01-08 北京邮电大学 一种认知无线网络系统和认知网元设备
JP2012516076A (ja) * 2009-01-20 2012-07-1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画像処理
KR101584058B1 (ko) * 2009-08-07 201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1668070A (zh) * 2009-08-14 2010-03-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及其自适应射频参数配置方法
US20110084868A1 (en) * 2009-10-08 2011-04-14 Brijot Imaging Systems, Inc. Variable range millimeter wave method and system
US20120050570A1 (en) * 2010-08-26 2012-03-01 Jasinski David W Audio processing based on scene type
US8812014B2 (en) * 2010-08-30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Audio-based environment aware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702B1 (ko) 2014-12-12
EP2679067A4 (en) 2017-01-04
EP2679067A1 (en) 2014-01-01
CN103430604A (zh) 2013-12-04
WO2012113132A1 (en) 2012-08-30
US20130005285A1 (en) 2013-01-03
CN103430604B (zh) 2017-04-19
US8903325B2 (en) 2014-12-02
JP2014506089A (ja) 2014-03-06
EP2679067B1 (en) 2018-12-12
JP6002157B2 (ja)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8474A (ko) 무선 통신의 향상을 위한 대역 외 정보의 이용
CN110992974B (zh) 语音识别方法、装置、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793723B (zh) 使用移动声源的麦克风自定位
KR101337695B1 (ko) 강력한 노이즈 저감을 위한 마이크로폰 어레이 서브세트 선택
JP6400566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60210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recognition
Dorfan et al. Tree-based recursive 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 for localization of acoustic sources
CN108681440A (zh) 一种智能设备音量控制方法及系统
US20140142934A1 (en) Speech recognition
US10295649B2 (en) Wireless signal identification
CN106898360B (zh) 音频信号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2884575A (zh) 话音活动检测
US20160118038A1 (en) Reverberation estimator
CN109616135B (zh) 音频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10006976A1 (en) Privacy restrictions for audio rendering
WO2020093278A1 (zh) 一种基于多天线的手势识别方法及装置
CN114788304A (zh) 用于减少环境噪声补偿系统中的误差的方法
CN104244055A (zh) 多媒体设备有效空间范围内实时交互方法
CN108337604A (zh) 音频系统及音频控制方法
KR20240008310A (ko) 무선 주파수 감지에 기초한 음향 구성
JP2017521638A (ja) オーディオ信号を用いるデバイス間の距離の測定
Noura et al. VOISMA: Indoor Location Identification for Voice-based Smart Home
JP5847951B2 (ja) 少なくとも一部は送信電力に基づいたユーザの向きの変更
Dalton Audio-based localisation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s
Mao Acoustic sensing on smar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